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프로야구구단 SNS 팬페이지 특성이 이용만족도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민석 ( Min Seok Choi ),박철 ( Cheol Park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19 경상논집 Vol.39 No.1

        외국의 프로 스포츠 구단이 SNS를 통하여 마케팅을 활발히 진행하는 것에 비하여, 한국 프로 스포츠 구단의 SNS를 통한 마케팅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SNS를 통한 마케팅은 기존 전통적인 마케팅 채널에 대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마케팅 실시가 가능할 뿐 아니라 빠른 파급력을 가지고 있고 상대적으로 프로야구에 관심이 많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이퍼 타겟팅(Hyper Targeting)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로야구 구단에 적합한 마케팅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실증연구에서는 반응성, 유대감, 정확성, 유용성과 구단 SNS 팬페이지 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여 보고, 구단 SNS 팬페이지의 만족도가 실제 구장 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반응성(.020)을 제외한 유대감(.223), 정확성(.154), 유용성(.520)은 구단 SNS 팬페이지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용성은 구단 SNS 팬페이지 이용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구단 SNS 팬페이지 이용만족도(.505)는 실제 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continues to gain importance in marketing across all industries and services from the electronics industry through food and clothing industries in Korea. However, the Korean professional sport clubs make poor use of SNS in their marketing strategies compared to overseas professional sport clubs. In addition, professional baseball clubs in Korea cannot afford the extra marketing expense and customer-relationship management cost because they are maintained through the sponsorship of their parent companies. SNS, however,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at lower cost with young people most likely to be interested in baseball as the hypertarget and reaches further than traditional marketing channels. It is thus, the market channel best suited for professional club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responsiveness, connectedness, accuracy and usability were chosen as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Korea professional baseball. We analyzed how responsiveness, emotional bond, accuracy and usability are relate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n page and how this satisfaction affects the intention to visit baseball stadium.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motional bond (.223), accuracy (.154) and usability (.520), except responsiveness (.020),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n page and in particular, usability has the greatest influence. Moreov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n page (.505) affects the intention of fans to visit baseball stadium. In this paper, we proposed four key factors - responsiveness, emotional bond, accuracy and usability - and their importance in SNS-based marketing strategies in a sense that they influe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among fans with SNS fan page, which in turn, affects their intention to visit baseball stadium.

      • KCI등재

        SNS에서 사용자의 정보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방정혜(Jounghae Bang),강소라(Sora Kang),김민선(Min S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자들이 늘어감에 따라 SNS에서 정보를 공개하게 되는 일도 많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 한 SNS 사용시 정보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사회적 자본 이론과 조절초점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SNS 사용자들은 연결자본 중심적인지 결속자본 중심적인지에 따라, 그리고 촉진지향적인지, 방어지향적인지에 따라 정보공개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연결 자본이 클수록 SNS 셋팅 공개도 많아지고, 대화에 서의 정보공개 또한 많아지지만, 결속자본은 SNS에서의 대화에 정보공개는 많아지지만, SNS 셋팅에서의 정보공개에는 영향 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조절초점이론에 대해서는, 촉진지향성이 크면 SNS 셋팅과 대화에서 모두 정보공개가 많아졌으나, 방어지향성은 SNS 셋팅에서 정보공개는 적게 하지만 SNS 대화에서의 정보공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로는 연결자본이 크고 촉진지향성이 큰 사람일수록 SNS 셋팅에서의 정보공개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NS 사용자 들이 정보공개를 늘리고 SNS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들에게 관계의 형성과 확산이 중요하고 개인 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는 인식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과 SNS정보공개 및 개인의 조절초점 성향을 통합한 연구로써,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툴인 SNS에서 정보공개 및 SNS 셋팅 공개에 영향을 미치 는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중요한 요소들을 보여주고 있다. 정보를 공개하거나 보호하는 요소들을 파악함으로써 교 육자들이나 연구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정보 보호나 공개의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number of SNS users increases, so does their self-disclosur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self-disclosure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and Regulatory Focus Theory. The (extent of self-disclosure by users/number of users disclosing themselves) in SNSs is expected to differ depending on their social capital (bonding capital vs. bridging capital) and regulatory focus (promotional vs. defensiv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bridging capital is positively related to self-disclosure in profile and in conversation, while bonding capital is positively related to self-disclosure only in conversation. With regard to regulatory focus, promotional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isclosure in profile and in conversation, while defensive orientation is negatively related to self-disclosure in profile, but not related to self-disclosure in conversation. Promotional orientation i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 of bridging capital on self-disclosure.

      • KCI등재

        초ㆍ중학생의 SNS에서의 긍정적ㆍ부정적 행동 분석

        이수정,연정화 한국정보교육학회 201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7 No.1

        SNS는 온라인과 현실 세계의 경계를 다양한 사람들이 연결되어 양방향 소통, 인맥관리, 정보 전달 등의 기능을 하는 사회적 연결망 서비스로써 국내․외 SNS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해왔으며, 최근에는 그 성장세를 가속화하고 있다. 그러나 SNS에 대한 연구가 성인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초․중학생의 사용 실태와 SNS 사이버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중학생들의 SNS 사용실태와 사용동기, SNS의 적극적 기능사용 정도, 의존경향성, SNS에 대한 인식과 SNS에서 이루어지는 사이버행동과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별과 학년을 불문하고 개인정보도용 행위가 가장 많았으나, 낯선이와 접촉 행위는 학년이 오를수록 또는 사용시간이 많을 수록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SNS 의존경향성은 부정적 사이버행동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정적 사이버행동 전반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학년에 따른 차이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SNS is a social networking service that removes the barrier between cyber spaces and the real world and helps people who have common interests to have a two-way communication, manag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hare informati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NS markets have attained a steady growth, and their growth is being more accelerated in recent days. However, studies on SNS have just examined adults, and it's required to research the use of SNS and cyber behaviors via SNS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use of SNS, motivation of using SNS, the use of active SNS functions,SNS-dependent tendency and SNS awareness to cyber behaviors via SNS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stealing private information was the most frequent activity and the frequency of `contacting strangers' activity increased most rapidly with the usage time and grade. SNS dependency turned out to be the most highly correlated with the negative cyber behavior. Moreover, the difference of gender was not significant to the overall negative cyber behavior, whereas that of grade was.

      • KCI등재

        SNS 광고가치(속성)이 광고침입성 인식과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재미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4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value of advertising can reduce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if we could form a favorable brand attitude by reducing perceived advertising intrusiveness. The author selects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interaction and personalization for SNS advertising value. First, the study verifies the impact of these values on perceived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brand attitude. Second, the paper investigates whether perceived intrusiveness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SNS advertising value and brand attitude. Finally, the study tes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advertising intrusiveness by consumers’ SNS capacity. The results show that advertising value has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intrusivenes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The finding also indicates that perceived advertising intrusive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value and brand attitude.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dvertising intrusiveness depends on consumers’ SNS capacity.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 광고 노출량 증가로 소비자들의 광고피로도가 쌓이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광고침입성(advertising intrusiveness)을 감소시킬 수 있는 SNS 광고가치(속성)이 무엇인지 그리고 광고침입성인식 감소를 통해 호의적 브랜드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지 탐색했다. 기업이 SNS를 통해 세분화된 타겟 소비자에 광고를 노출하는 이유는 자사나 브랜드이미지, 태도를 호의적으로 형성하고 궁극적으로 자사브랜드의 구입을 유도하고자 함이다. 이에 SNS광고에 대한 부정적 반응인 침입성인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광고가치(속성)을 탐색하고 침입성인식 감소를 통해 브랜드태도에 긍정 영향을 줄 수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SNS 광고가치(속성)은 웹광고 가치 모형을 바탕으로 정보성, 오락성, 상호작용성, 개인맞춤성 등을 선정하고 해당 가치가 광고침입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침입성인식(감소)가 SNS 광고가치와 브랜드태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했다. 또한, 침입성인식의 매개효과가 소비자의 SNS이용능력에 따라 조절되는지 검증했다. 연구결과, 정보성, 오락성, 상호작용성, 개인맞춤성 등의 광고가치는 유의하게 광고침입성 인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광고가치와 브랜드태도 관계에서 광고침입성인식(감소)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소비자가 지각하는 광고가치가 높을수록 SNS 광고에 대한 침입성인식을 덜 하게 되고 이는 브랜드태도에 긍정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가, 침입성인식(감소)의 매개효과는 소비자의 SNS 이용능력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SNS 이용능력이 클수록 광고가치가 침입성인식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크게 하고 이것이 브랜드태도를 더 호의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다만, 광고가치 속성 중 개인맞춤성은 침입성인식의 매개효과 및 SNS이용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 KCI등재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광고의 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이용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허재강,이상헌,엄금철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9 마케팅논집 Vol.27 No.2

        본 연구는 판매촉진형 SNS광고를 시청한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속성(신뢰성, 전문성, 유희성, 동의성) 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주 효과에 SNS이용 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신뢰성과 유희성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전문성과 동의성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정보지향적인 SNS이용동기는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신뢰성, 전문성, 유희성, 동의성과 구 매의도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관계지향적인 SNS이용동기는 SNS이용자에게 지 각된 SNS광고의 유희성과 구매의도의 관계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정보지향적이면서 동 시에 관계지향적인 SNS이용동기는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신뢰성과 구매의도의 관계 사이 에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유희성과 구매의도 사이에는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SNS이용자가 지각한 판매촉진형 SNS광고의 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 고 SNS이용동기의 상호작용 효과를 조명하였다. 나아가 SNS플랫폼과 이용자특성의 영향을 제시함으 로써 기업들이 SNS광고를 제작할 때 고려해야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advertisement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for SNS user. In addition, we also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role of users’ usage motivation in the above relationshi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advertisement trustworthiness and play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SNS purchase intention. However, the perceived advertisement expertness and consensu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Information/knowledge acquisition motivation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attributes(trustworthiness, expertness, playfulness, and consensus) and purchase intention. Communication/relationship maintaining motivation had positi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play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Information/knowledge acquisition and communication/relationship maintaining motivation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play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It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trustworthiness and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사이버대학의 SNS 플랫폼 활용방안 고찰

        김민정,김학민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활성화를 위한 소셜 미디어활용은 매우 활발한 데 비해, 고등교육기관인 대학교에서의 SNS를 활용한 홍보는 이제 막 시작 단계이다. 특히 국내 사이버대학교의 경우 온라인 강의를 바탕으로 양적⋅질적 성장을 보이지만, 인구학적, 사회학적 변화를 대비한 소셜 미디어 활용 대책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 온라인대학교에서의 SNS 활용 특성을 홈페이지에서의 노출 형태와 콘텐츠 내용을 분석하여, 사이버대학이 갖춰야 할 SNS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사례분석으로 진행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SNS는 개인의 프로필을 만들고 인맥을 구축하여, 새로운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작용하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현재 SNS의 이용률은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매체별 사용 이유와주요 활동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국내외 온라인대학교의 경우, 평균 5개 이상의 공식 SNS 채널을 활용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 메뉴 또는 버튼의 형태로 제시되어 있다. 다만 국내의 경우 디자인의 일관성이 떨어지고 플랫폼별 차별화된 전략 없이 학교의 지난 행사를 알리는 콘텐츠에만 주력하고 있어 사용자의 참여가 저조가 단방향 채널이 다수였다. 반면, 해외 대학의 경우 소셜 플랫폼의 특성에 맞게 학교의 실시간소식을 전달할 뿐만이 아니라 학교의 정체성 또는 역사적 소식을 제공하여 졸업생들의 네트워크 형성에도지속적인 전략을 추구하고 있었다. 따라서 온라인대학 교가 SNS 채널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1) SNS 미디어별 차별화된 전략과 콘텐츠 제시 지침이필요하며, (2) 일관성 있는 SNS 채널 디자인(아이콘& 채널별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마련되어야 하고, (3) 예비학생, 재학생, 그리고 졸업생에 대한 대상별, 콘텐츠 제시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사이버대학교의SNS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While the use of social media to vitalize corporate brand image is very active, the application of SNS at universities,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has been just beginning. In particular, Korean cyber universities show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based on online lectures,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measures to utilize social media for preparing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n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NS utilization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online universities, and to present strategies of using SNS that cyber universities should have considered. The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by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NS is a platform for creating personal profiles and building personal connections, creating new human networks, interacting and sharing information. Currently, SNS usage rates are gradually increasing, and it shows that the reasons for the use and the main activities are different. In the case of domestic and foreign online universities, they have an average of five or more official SNS channels and design with menus or icons on their website. Domestic universities’ SNS channels are almost one-way media with low participation of students because the design consistency has problem and the school only has focused on informing the past events without specific strategies of each platform.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 universities delivers not only real-time news but also the school’s identity or historical memories, pursuing a continuous strategy for the network formation of alumnus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social network platform. Thus, in order for online universities to strategically utilize SNS channels, they need (1)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guidelines for presenting content by SNS media, (2) consistent SNS channel designs (icon & channelspecific interface designs), and (3) methods for presenting content, by subject to an admission student, a student, a graduat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SNS design of cyber universities.

      • KCI등재

        중국 SNS 공익광고에 대한 참여도 및 그 영향 요인 연구

        주추신,신인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3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are beneficial to the construction of spiritual civilization, to regulate social behavior, to improve social atmosphere, to publicize moral culture, to improve the quality of citizens, and to promote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society. Through relevant data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re is still a big gap between the overall level of the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in China and and the countries with more mature SNS operation.China has a large number of SNS users. The emergence of SNS has created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in China, especially for the participation of ordinary people in public service dissemination.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NS, a series of universal public welfare activities are widely spread on the SNS platform. Many brands, organizations, and personnel use this platform to create many excellent cases of communication. SNS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communication effectively integrates the power of media communication, audience interaction, public opinion guidance and public welfare behavior.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uses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 and data analysis method to construct the research model of Chinese SNS public service advertising and its influencing factors, with the help of advertising, psychology, communication and other fields. This paper collects audience data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and analyzes them. It is found that the self-attributes of SNS audiences, peer relationships and the audience's participation motiva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udiences' participation in SNS public service advertising.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and resonance of SNS public service advertising and the audience's participation in SNS public service advertising.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make effective decisions for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o provide scientific basis and valuable reference, to inspire more SNS audiences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cation of SNS public service advertising, and to further promote the development of SNS public service advertising. 공익광고는 정신문명 구축, 사회 행위 규범화, 사회 기강 확립, 도덕적 문화 전파, 국민 소양 함양, 조화로운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 관련 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재 중국의 공익광고 전파 수준이 성숙하게 SNS를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는 방대한 규모의 SNS 사용자 집단이 있다. SNS의 출현은 중국 공익광고의 발전, 특히 일반대중이 공익광고 전파에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SNS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일련의 전국민 공익활동이 SNS 플랫폼에서 널리 전파되었고 많은 브랜드, 기관, 사람들이 이 플랫폼을 이용해 수많은 우수 전파 사례를 창출했다. SNS 공익광고 전파에는 미디어 전파, 시청자와의 상호교류, 여론 선도, 공익적 행동의 힘이 효과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법, 학제간연구법, 데이터분석법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고 광고학, 심리학, 방송학 등 다양한 분야를 참고하여 중국 SNS 공익광고에 대한 참여도 및 그 영향 요인 연구에 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시청자 데이터 분석에서 SNS 시청자 자체의 속성, 또래 관계, 참여 동기와 시청자의 SNS 공익광고 참여도 간에 분명한 영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SNS 공익광고의 상호교류성·공감성과 시청자의 SNS 공익광고 참여도 간에는 분명한 상관관계가 있다. 본 연구가 정부 관련 부처나 비영리기관 등에서 효과적인 정책 결정을 위한 과학적 근거와 가치를 지닌 참고자료로 활용되고, 더 많은 SNS 시청자가 SNS 공익광고 전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SNS 공익광고의 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SNS 유형이 브랜드충성도 및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개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희정,차문경 한국산업경영학회 2018 경영연구 Vol.33 No.2

        Despite advertisers and researchers have shown great attention in SNS, little is known about SNS brand management.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type (relational vs. self-presentational) and brand loyalty focusing the mediating role of brand personality. We also investigated SNS type-brand personality-attitude toward AD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we have conducted a survey with 214 SNS users by stratified sampling method to minimize potential confounding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NS brand personality consists of sincerity, competence, sophistication, excitement, community. Self-presentational brand users reported higher level of excitement and sophistication, whereas relational brand users rated higher level of sincerity and community. Second, SNS brand personality factors positively affect brand loyalty. The relative effects of 5 factors are different between SNS type. Third, SNS type-AD attitude relationship is fully mediated by brand personality. The authors provided sever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dea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SNS브랜드개성의 각 차원이 브랜드충성도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특별히 변수 간 관계에 있어서 SNS유형(관계형 vs. 표현형)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241명의 응답자들에게 자신의 주이용 SNS브랜드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브랜드개성은 ‘신뢰성’, ‘유능함’, ‘세련됨’, ‘흥미로움’, ‘공동체스러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SNS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둘째, SNS브랜드개성은 브랜드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으며 여기에도 SNS의 유형별로 차이가 존재했다. 셋째, SNS유형-광고태도의 관계는 브랜드개성 중 ‘신뢰성’과 ‘공동체스러움’의 완전매개로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앞의 결과와 종합하여 해석해 볼 때, 관계형에서 우위를 보인 ‘신뢰성’, ‘공동체스러움’의 매개효과로 관계형 SNS의 광고태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불어 ‘유능함’의 차원은 SNS유형 별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아 매개효과가 비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분석의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열한 경쟁이 예고된 SNS브랜드 시장상황에서 브랜드 정체성을 차별화 하는 데 있어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치밀한 브랜드전략을 통해 SNS브랜드들은 장기적으로 충성스러운 이용자들을 확보할 뿐 아니라, 강력한 광고채널로서의 입지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SNS 이용 및 이용자 특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소셜 스낵으로서의 SNS

        최영,강형미,김지현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6 No.1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 of SNS usage on decreasing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This study utilizes the concept ‘social snacking’ supposed to reduce loneliness from the lack of real social interaction similar to a snack reducing hunger. A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with varimax rotation reveals six major dimensions: SNS usage, offline relationship, online relationship, life satisfaction, self esteem and narcissism. The key finding is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NS usage and decreasing loneliness. However, offline relationship, self-esteem and narcissism affect the level of lonelines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no concrete evidence of the role of social media use in helping to alleviate loneliness and isolation. 이 연구는 사회적 교류의 대체재로서SNS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대학생들의 SNS 이용, 오프라인 대인 관계 및 SNS 이용자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외로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SNS 이용, 오프라인 친구관계, 삶의 만족도, 나르시시즘, 자아존중감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SNS 이용및 대인관계 등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인 외로움을 잇는 매개변인으로서 온라인 사회적 연결감의 영향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자아존중감은 높을수록 외로움의 정도는 낮아지고, 나르시시즘의 경향이 높을수록 외로움의 정도는 높아진다. 또한 오프라인에서의 친구가 많을수록 외로움의 정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에서의 대인관계는 온라인 사회적 연결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온라인 사회적 연결감은 외로움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연구에서 SNS 이용은 외로움의 정도를 낮추는데 직접적이건, 간접적이건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사회적 교류의 대체재로서의 SNS의 역할에 대한논의는 보다 보수적인 접근을 요구한다.

      • KCI등재

        논문 : IBI(Image Based Identity)에 기반한 SNS이미징 디바이스 컨셉 개발 -이미지를 통해 표출되는 정체성 속성 규명을 중심으로-

        허인진 ( In Jin Hur ),이은종 ( Eun Jong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9 No.5

        Social Network Service(SNS)은 삶을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툴로써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이미지를 활용해서 사용자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이미징 디바이스와 이미지를 사용해서 사람들과 소통하는 SNS는 이미지라는 연결고리 안에서 연결 되기 때문에 두 대상이 융합되었을 때 새로운 디바이스 컨셉으로써 발전 기회가 있다. 하지만 이 연관성은 너무 큰 범주이기 때문에 실제 디바이스 개발 시 구체적인 방향을 잡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SNS 안에서 사용자가 이미지를 사용해서 자신을 드러내는 행태에 집중하여 이미지 안에서 표출되는 정체성적인 속성을 IBI(Image Based Identity)라고 정의하고 이미징 디바이스와 SNS를 결합의 기회를 IBI의 속성을 바탕으로 발견하였다. IBI규명을 위하여 SNS에서 이미지 안에서 자신 정체성 표출방식을 3가지 (의미적 측면, 용도적 측면, 시간 변화에 따른 측면)로 추출하고 각 리서치를 기획하고 진행하였다. 이후 이미지를 통한 정체성 표출 방식을 IBI 속성으로 구조화 하여 SNS이미징 디바이스 컨셉으로 도출 시켰다. 본 연구는 이질적일 문제를 직면하는 디자이너에게 상이한 대상을 연결하는 기회로써 사용자의 행태를 집중하고 이를 통해 컨셉을 도출하는 과정을 제시함으로써 디자인 문제 해결의 한 예시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제시되는 IBI속성은 이후의 SNS 서비스 개발 시 사용자의 행태를 이해하는 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 될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that new imaging device concept which delivers new value for user by combining SNS and Imaging Device. SNS and Imaging Device could have conjunction point of user using image to express self-identification in SNS. But designer would face question that how could make device which deliver value to user by combining two different subjects like device and service?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explains that how new concept of imaging device has developed by presenting process of designing new SNS imaging device. This study builds user value in designing device for SNS by structuring user behavior in point of expression self-identification in image. This study defined ‘Image based Identity’, the behavior pattern for self identification through image in SNS to find the opportunity of convergence between SNS and Imaging Device. To define properties of IBI this study establishes 3 aspect of IBI: Semantic, Usage and Time dependant and plan each research. Based on properties of IBI,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 for imaging device concept. This study would be used as a considerable date when design new device or SNS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