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판구제수단으로서의 형사재심의 재인식

        민영성(Min, Young Sung)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1

        Retrial is a very important legal proceeding because misjudgment may result in unacceptable denial of basic rights by punishing the innocent and may harm public trust on judicial rulings. However, unfortunately there have been not much discussions and studies concerning retrial in theoretical aspect as well as in practical aspect.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s of a petitioner for retrial, the retrial proceeding should be carried out under the adversary party system by regarding the petitioner as a party. Under the adversary party system, the petitioner should be provided with a chance to make his or her arguments and to participate in fact finding process. And then, it will be proper for the court to make directions or certain orders to parties if there are problems with reasons of retrial request or documentary evidences. The purpose of retrial is to provide a remedy to the innocent, and the due process clause of the Constitution (with a right to impartial trial and the principle against double jeopardy) supports the principle of retrial. Regarding requirement of new evidence in retrial,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right to require new evidence in adversary party system relates to the question of whether to apply principle of promissory estoppel in retrial request. The question also depends on how to compromise in case there is conflict between the principle of adversary party system and principle of passive truth finding. On the view point of due process of law, it will be proper to put the principle of truth finding before the principle of adversary party system, and therefore, it will be proper to take retrial request even by disguised surrendered person as a valid one. Regarding requirement of clear evidence in retrial, the evidence must be regarded as clear if there is a probability that the final judgment may be overruled by bringing reasonable doubt on fact finding of the judgment using the suggested evidence. In order to provide remedy to every retrial request that may result in 'not guilty' verdict in the end, the principle of 'in dubio pro reo' should be applied in the retrial request hearing stage, and a retrial should be granted if there is a reasonable doubt that the person might be innocent. Understanding of retrial should start from the fact that there may be misjudgment even in the highest court, and retrial is a necessary part of today's legal proceeding.

      • KCI등재후보

        재심소송에 있어서 재심사유에 관한 고찰

        최성호 대한변호사협회 200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99

        A retrial shall be instituted by filing the petition for retrial with competent court for retrial. Matters falling under each of the following subparagraphs shall be entered in the petition for retrial : ① Parties and their legal representatives, ② Indication of a judgment subject to a retrial, and the purport of requesting a retrial against such a judgment, ③ Grounds for retrial (Article 458 of the Civil Procedure Act). Grounds for retrial may serve as the grounds for a retrial which a petition for a retrial against the final judgment which has become conclusive. A petition for a retrial against the final judgment which has become conclusive may be made when falling under any one of paragraph (1) 1 through 11 in Article 451. The first, author’s opinion is which each grounds for retrial in Litigation Procedures for Retrial is ‘special requirement’ required for a lawsuit. So, if deemed that there is not exist a ground for retrial, the court shall dismissal of a retrial case. The second, In the case of paragraph (1) 4 through 7, a lawsuit of retrial may be instituted only when a conviction or a judgment to impose a fine for negligence has become final and conclusive against the punishable acts, or when it is impossible to render a final and conclusive conviction or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to impose a fine for negligence, on account of other grounds than the lack of evidence(Article 451(2)). So, if deemed that there is not exist when a conviction or a judgment to impose a fine for negligence has become final and conclusive against the punishable acts, or when it is impossible to render a final and conclusive conviction or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to impose a fine for negligence, on account of other grounds than the lack of evidence, the court shall dismissal of a retrial case. 재심의 소는 재심을 관할할 법원에 재심소장을 제출하여 제기한다. 재심소장에는 ① 당사자와 법정대리인, ② 재심할 판결의 표시와 그 판결에 대하여 재심을 청구하는 취지, ③ 재심의 이유를 기재하여야 한다(민소 제458조). 재심의 대상으로 된 판결과 재심사유는 특정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재심사유란 확정된 종국판결에 대하여 재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 사유를 말한다(민소법 제451조 제1항). 이러한 사유는 제한적으로 열거되어 있는바, 민소법 제451조 제1항에는 제2호 내지 제3호 및 제11호는 절대적 상고이유로 되어 있는 것인데, 이 경우 판결에 영향을 미쳤는가의 여부를 불문하나, 제4호 내지 제10호는 판결주문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제4호 내지 제7호는 모두 판결에 영향을 미친 범죄 기타 위법행위, 즉 가벌적 행위를 규정하였는바, 이 경우에는 가벌적 행위로만 족하지 않고 확정된 유죄의 판결 또는 과태료의 제재가 있거나, 증거부족 이외의 이유로 유죄의 확정판결 또는 과태료의 제재를 할 수 없는 때에 한하여 재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 사유로 하고 있다. 이러한 각개의 재심사유는 재심소송절차에 있어서 재심소송에 특유한 소송요건(적법요건)으로서 그 존재가 요구된다고 할 것인바, 민소법의 규정도 ‘…재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민소법 제451조 제1항)라고 하여 재심사유의 존재를 재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 사유로 하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보면, 재심사유는 재심소송에 있어서 특유한 소송요건이라 할 것이지 이를 소송물로 볼 수는 없다 할 것이다. 이러한 소송요건인 재심사유를 개별적으로 검토하여 이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재심소송은 각하되어 소송이 종료하게 된다 할 것이다.

      • KCI등재

        재심청구절차의 구조와 재심개시결정의 효력

        권오걸 대검찰청 2024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82

        벌로부터 무고한 사람을 보호하여야 한다는 현실적인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인간인 법관이 증거를 토 대로 자유심증에 기초하여 진실을 발견하는 절차는 본질적으로 오판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다. 증거의 왜곡과 오류와 같은 법관 외적인 사유, 경험칙 · 논리칙 위반 등 법관 내적인 사유 등 오 판의 사유는 다양하다. 오판을 피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마지막 절차가 바로 재심절차이다. 재심은 확 정판결에 기초한 법적 평화의 요청과 확정판결에 존재하는 사법적 오류(Justizirrutümern)를 제거 하여 진실과 정의의 회복의 요청사이의 갈등을 조정하는데 기여한다. [재심청구 - 재심개시결정- 재 심심판]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형사재심절차에서 재심개시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재심을 통한 실체 적 진실회복을 계속하여야 할지 또는 멈추어야 할지를 정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즉 억울함을 안고 평 생을 살아야 할지 여부가 결정되는 순간인 것이다. 재심청구절차의 구조의 문제는 재심절차가 통상의 재판절차와 다른 어떤 특수성을 지니고 있는가의 문제로 직결된다. 일반형사절차는 검사의 공소제기 로부터 출발함에 비해, 재심절차는 재심청구에서부터 시작된다. 재심청구가 없으면 기존의 확정판결 의 기판력은 그대로 유지된다. 재심을 청구받은 법원은 직권주의적 관점에서 청구인이 주장한 재심이 유가 법률이 정하고 있는 이유에 해당하는 것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그 이유의 유무를 확인 하기 위해 사실조사를 명할 수도 있고, 재심을 청구한 자와 상대방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그러러한 사실조사와 의견청취는 궁극적으로는 재심이유의 유무 판단을 위한 법원의 직권주의적 권한이 라고 할 수 있다. 재심개시결정은 기존의 확정판결에 구애받지 않고 “다시 새롭게” 사실인정을 하는 것을 허용하는 결정이다. 즉 기존의 확정판결의 기판력의 배제를 사실상 확인하는 결정이라고 보야야 한다. 따라서 재심개시결정이 즉시항고 없이(또는 즉시항고에 대한 기각결정으로) 확정되면, 재심대 상판결의 효력이 배제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그리고 재심개시결정이 확정되면, 원확정판결의 효력은 실질상 소멸하고, 청구인은 형의 집행이 정지됨과 함께, 피고인으로서 통상공판에 있어서와 마찬가지 로 절차상의 권리도 보장되는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The purpose of criminal litigation procedures is to discover the substantive truth. However, the process by which human judges discover the truth based on free deliberation based on evidence is inherently bound to have the possibility of misjudgment. There are various reasons for misjudgment, including reasons external to the judge, such as distortion and error of evidence, and reasons internal to the judge, such as violation of rules of experience and logic. Practically the final procedure to avoid misjudgment is the retrial procedure. In the criminal retrial procedure that proceeds through the process of [request for retrial - decision to start retrial - retrial], the step of deciding whether to start a retrial is an important step in deciding whether to continue or stop the recovery of the substantive truth through retrial. In other words, it is the moment when it is decided whether or not to live the rest of your life with injustice. The problem of the structure of the retrial request procedur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etrial procedure has any special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rom ordinary trial procedures. While general criminal procedures begin with the prosecutor’s filing of an indictment, retrial procedures begin with a request for retrial. If there is no request for retrial, the res judicata of the existing final judgment remains. The court that receives the request for retrial determines from an ex officio point of view whether the reasons for retrial claimed by the applicant correspond to the reasons prescribed by law. In addition, a factual investigation may be ordered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reason, and the opinions of the person who requested a retrial and the other party must be heard. However, such factfinding and opinion-hearing can ultimately be said to be the court’s ex officio authority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grounds for retrial. A decision to initiate a retrial is a decision that allows “new” recognition of facts regardless of the existing final judgment. In other words, it should be viewed as a decision that effectively confirms the exclusion of the res judicata of the existing final judgment. Therefore, if the decision to initiate a retrial is confirmed without an immediate appeal (or a decision to dismiss the immediate appeal),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the effect of the judgment subject to retrial is excluded. And once the decision to commence a retrial is confirmed, the effect of the original judgment is essentially extinguished, the execution of the sentence is suspended, and as a defendant, it is reasonable to view that procedural rights are guaranteed as in a normal trial.

      • 배임행위에 의한 항소취하와 재심사유

        정선주 민사판례연구회 2016 民事判例硏究 Vol.- No.38

        Article 451 (1) 5 of Korean Civil Procedure Act stipulates that a petition for a retrial against the final judgment which has become conclusive may be made “when a party has been led to make a confession, or obstructed in submitting the method of offence and defense to affect the judgment, due to the criminally punishable acts of another person.” However, Korean Supreme Court has interpreted the concept of “confession” somewhat loosely, affirming that the party may make a petition for a retrial when he/she has made recognition of the claim. This article studies the grounds for retrial under Korean Civil Procedure Act, with a focus on the Supreme Court ruling that deemed the withdrawal of appeal constituting the grounds for the retrial, as “confession.” Such ruling neither serves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retrial system nor conforms to the statute because the retrial system was originally designed as an exception to the appeal system, allowing the parties to petition for retrial only on restricted grounds. The retrial prioritizes concrete correctness in the given case rather than legal stability or predictability. However, the Civil Procedure Act limits the grounds for retrial and the period for filing the petition for the retrial to ensure that the retrial does not infringe the legal stability to a greater extent. As such, the grounds for retrial enumerated in the provision cannot be further stretched and the analogy of the provision cannot be invoked. The reasons for retrial stipulated in Korean Civil Procedure Act seem fairly restricted, compared to German or Austrian Civil Procedure Code which allows an action for retrial “where the judgment was obtained by the representative of the party or its opponent or the opponent’s representative by a criminal offence committed in connection with the legal dispute.” Thus, the possibility of retrial must be limited under Korean Civil Procedure Act; acknowledgment or withdrawal of appeal cannot be deemed corresponding to the confession as the ground for retrial. Moreover,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retrial which is to nullify the final judgment retroactively, the concept of “confession” cannot be stretched as far as covering the withdrawal of the appeal. If the party who filed an appeal later withdraws the appeal due to the criminally punishable acts of some person, the judgment becomes finalized. In such case, the alleged criminal offense has not affected the judgment itself. Furthermore, concerning the cases that involve an act of representative, the ruling states that the alleged representative must substantively lack the power of representation besides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of guilty. Such reasoning does not seem sound, as Article 451 (1) 5 of Korean Civil Procedure Act suggests that “the criminally punishable acts” conducted by any “another person” constitute the grounds for the retrial. It can be recognized sufficiently that the party must be entitled to have the opportunity to correct the situation if the party withdraws the appeal due to someone’s criminal offense. As such situation does not fall into one of the grounds for retrial enumerated in Article 451 (1), however, the party’s petition for retrial cannot be accepted. More plausible solution to the situation is to avoid such withdrawal by the analogy of related provisions in Civil Code.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5호에서는 명시적으로 “형사상 처벌받을 다른 사람의 행위로 말미암아 자백을 하였거나 판결에 영향을 미칠 공격 또는 방어방법의 제출에 방해를 받은 경우”를 재심사유로서 명시하고 있다. 그런데 대법원은 이 규정의 ‘자백’을 넓게 해석하여 형사상 처벌받을 범죄행위로 인하여 인낙을 한 경우에 재심사유를 인정하고 있으며, 대상판결에서는 항소취하를 ‘자백을 한 경우’에 준하는 것으로 보아 재심사유로서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대법원의 입장은 비상의 불복방법으로서 매우 제한적인 경우에만 인정되는 재심제도의 의의와 목적에 반할 뿐 아니라, 명문의 법규정에도 반하는 것이다. 우선 재심제도가 법적 안정성보다는 구체적 정당성을 우선시한 제도이기는 하지만 법적 안정성을 위하여 재심사유를 매우 제한하여 인정하고 있으며 재심제기기간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재심사유에 대한 확대해석이나 유추적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우리 민사소송법은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처럼 ‘판결 자체가 범죄행위에 의한 것’이라는 의미로 규정하지 않고 ‘범죄행위에 의해 자백이나 공격방어방법의 제출이 방해받은 것’으로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인낙이나 항소취하를 자백에 준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특히 항소취하의 경우에는 형사상 처벌받을 행위로 항소가 취하됨으로써 제1심판결이 확정된 데에 문제가 있는 것이며, 가벌적 행위가 제1심판결의 성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다. 이 점에서 원판결을 소급적으로 제거하려는 일반적인 재심의 목표와는 차이가 난다. 그리고 대상판결에서는 대리인의 경우 재심사유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유죄의 확정판결 외에 대리권의 실질적인 흠이라는 요소가 더 필요한 것으로 판시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민사소송법이 가벌적 행위의 주체를 제한하지 않고 ‘다른 사람의 행위’로 명시하고 있어 일반 제3자까지 포함된다는 점에 반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가벌적 행위에 의해 부당하게 항소취하가 이루어진 경우 그 시정의 필요성은 충분히 인정되지만 이를 자백에 준하는 것으로 보아 재심청구를 인정할 수는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항소취하와 같은 소송종료적 소송행위에 대해서는 민법상 의사표시의 흠에 관한 규정을 유추적용하여 흠이 있는 경우 그 취소나 무효를 주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형사소송법 제420조 제2호의 재조명 -해석론과 운영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김도윤 ( Doyoon Kim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31 No.4

        사법신뢰는 한번 침해되면 되찾기 어렵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되찾을 수 있는 것이기도하다. 그 중에서도 기존의 제도가 본연의 목적을 다하면서 수범자에게 믿음을 주는 것이 으뜸가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고, 형사재심은 피고인 구제와 더불어 설득력 있는 판결로 신뢰를 회복하는 적절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제2호 재심이유는 제3자가 증거방법으로 개입하여 이뤄진 판결에 오류가 발생한 상황이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지금까지는 형식적 기준과 유죄의 확정판결을 중심으로 해결하여 왔으나, 앞으로는 재심대상판결에 피고인에 불이익한 오류가 개입했다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 제2호 재심이유를 해석 · 적용하여야 한다. 제2호 재심이유의 요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실제 절차운영의 현실상 증언이나 감정, 통역, 번역 등이 재심대상판결의 판결서에 증거의 요지로 기재되어 있어야 한다. 단 앞서의 문제의식에 비추어 보면 증언 등은 사실오인과 관계없는 증인적격이나 선서의 법률상 근거, 위증죄의 해석론과 같은 형식논리에 좌우되지 않고 객관적 진실에 반하는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증명방법에 있어서도 현행 민사소송법이나 독일과 같은 명문규정 없이 유죄의 확정판결로만 오류를 증명하라고 하여서는 안 된다. 다만 허위통역은 통역한 진술이 판결서에 기재되지 않으므로 소송기록과 허위통역을 밝히고 있는 확정판결이 인정한 사실 등을 종합하여 인정하여야 한다. 확정판결도 재심의 목적상 재심대상판결에 오류가 개입하였음을 알 수 있으면 충분하고, 확정판결을 처음부터 받을 수 없는 때에는 확정판결에 대신하는 증명(형사소송법 제422조)에 따라 오류를 증명하면 된다. 제2호 재심이유 운영의 개선방안은 구제의 문을 넓힘과 동시에 해당 부분에서의 사법신뢰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수단이기도 하다. 가장 큰 흐름에서는 근대 형사소송이 추구해 온 합리성과 적법절차를 더욱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방안이다. 이미 대한민국의 형사소송법은 독자적 운영과 입법례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으며, 형사재심의 해석론과 운용은 형사소송의 근대성에 대한 전형적인 척도이므로 이에 부합하는 해석론을 전개하여야 하고, 일본의 권위적 · 관료적인 형사사법 해석론을 답습하여 피고인에 명문의 근거 없이 불이익한 결론으로 귀결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법원과 실무의 인식 개선과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 형식논리나 일본 해석론에서 벗어나는 것 외에도, 제2호 재심이유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때는 예비적으로 문서위 · 변조(제1호 재심이유)나 새로운 증거의 발견에 의한 재심이유(제5호 재심이유)를 주장 또는 석명하여 재심개시결정의 여지를 충분히 살피고 도출해낼 수 있어야 한다. 법률상담등을 제공할 때도 재심개시의 여지가 있는 사건에 충분한 조력을 제공하고 변호인이 해당사건에 진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재심개시의 가능성이 없는 때에는 다른 구제수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의뢰인을 설득하거나 철저한 준비를 촉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노력들이 꾸준해질 때, 법이 마련하는 절차가 권리구제의 마지막 보루라는 믿음을 심어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When there is an error with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the opposition between realization of National Jurisdiction and the Freedom of Individual is at its maximum state. To resolve this and to ensure trust in jurisdiction, the existing law has Retrial Procedure. Request for Retrial is possible when testimonies, expert opinions, interpretations or translations on which the Original Judgment was based, have been proved to be false by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Civil Procedures and various legal examples from other countries also allow retrial when False Statements and such are involved; this is not only because a doubt on mistake in determining relevant facts in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is a heavy defect as a False Prosecution for the Defendant, but also because it harms the reliability of Legal Judgments.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issue. To proceed with a Retrial according to Article 420 Subparagraph 2, testimony, expert opinion, interpretation or translation must be used as evidence in the Judgment for Retrial. This means it must be explicit in writing on the Written Judgment as the Gist of the Evidence, but testimonies must not rely on formalities such as legal qualification as a witness, and since false interpretation does not get recorded on the Written Judgment, the decision must be made comprehensively by including trial records and facts acknowledged by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that reveals the interpretation is false. ‘False’ represents testimony and such are against objective truth.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proving such falsity is not required to be Verdict of Guilty as in Germany, which has substantive enactment; it is enough to understand that there was an error in the Judgment for Retrial; this is the goal of Retrial. When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cannot be obtained from the first place, the error can be proven with a qualification that can substitute the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Article 42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en it is not enough to qualify the requirements as Cause for Retrial listed in Subparagraph 2, a decision to proceed with Retrial should be urged with preparatory means such as arguing forgery or falsification of documents, or discovery of new evidences. Operation until the present day has been following formal standards such as Requisite for Requirements for Qualification as Witness or Perjury, but it should be in the direction based on the fact that errors disadvantageous to the Defendant have been involved in the Judgment for Retrial. Therefore, the Defendant’s burdens on legal procedures based on formalities must be reduced, and judicial precedents that requires to prove Causes for Retrial by only the Verdict of Guilty by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The Court must elucidate and induce preparatory arguments other than the ones presented by the person asking for Retrial when at Court Hearings, and refrain from blindly following Japanese analytic theories, in which the legal reality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ne in Korea. When providing legal advices and such, enough assistance should be given in cases that have rooms to proceed with Retrial; and the attorneys must be able to do their best in such cases.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is necessary to let attorneys to persuade their clients to utilize other means of relief or urge for thorough preparations when there is no possibility for proceeding Retrial.

      • KCI등재

        재심에서의 입증책임 분배와 입증의 정도에 관한 소고

        김정한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18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approach to the division of burden and depth of proof at the retrial. The common view and precedent are that In dubio pro reo rule must be applied to all the merits procedure of retrial (regardless of the type of retrial), if reasonable doubts are raised about the guilty, the court must sentence the accused to not guilty. At the request procedure of retrial through the new evidence about the ‘certainty’, the merits procedure of retrial must begin how certainly it proved the fact that the accused are innocent, which is a conflicting point of view that several theories have.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the common view and precedent in the literature miss the fact that the essence of retrial is closely connected and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retrial. Thus, they make a conclusion that the retrial can not achieve its own function because they fix the depth of proof that is needed to retrial too high, or the conclusion that may cause the abuse of request of retrial because they fix the depth of proof that is needed to retrial too low. On the other hand, they fix too low depth of proof at the merits procedure of retrial, they failed to keep the balance, which leads to the drawback that the merits procedure of retrial became meaningless. I argue that according to the cause of retrial - propter falsa retrial, propter nova retrial, the essence of retrial needs to be viewed differently and according to the essence of retrial, the problem of proof needs to be decided differently. At the propter falsa retrial, the right of lawfuljurisdiction is the essence. So it is natural that the in dubio pro reo rule is applied to the merits procedure of retrial. At the propter nova retrial, the harmony of legal stability and concrete justice is the essence. Thus, at the merits procedure of retrial, the court can sentence the accused to not guilty only if it is proved over 50% of the confidence of not guilty. Recently retrial takes place frequently, and the interest of people to the retrial increases. I hope that the study on the retrial, especially the issue of proof at the retrial will be further discussed in the future research. 이 글에서 필자는 재심에서의 입증책임의 분배와 입증의 정도에 관하여 기존의 학설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시도를 해 보았다. 통설과 판례는 재심의 유형 과 관계없이 재심심판절차에는 의심스러운 때에는 피고인의 이익으로 법칙이적용되기 때문에 유죄에 합리적 의심만 생기면 무죄 등을 선고하여야 한다는입장이었으며, 신증거에 의한 재심의 재심개시절차에서 ‘명백성’ 즉 무죄 등이 어느 정도 입증된 경우에 재심개시를 허가하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학설이 대립하고 있었다. 이러한 통설과 판례의 태도는 재심에서의 입증은 재심의 본질과깊은 관련이 있으며, 재심의 본질이 재심의 사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 을 간과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재심개시에 필요한 입증의 정도를턱없이 높게 보아 재심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하거나, 너무 낮게 보아 재심청구의 남용을 초래할 수 있는 결론을 만들어 내었고, 한편으로는 재심심판에 필요한 입증의 정도를 너무 낮게 보면서도 재심개시에 필요한 입증의 정도와균형을 맞추지 못하여 재심심판절차가 무의미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필자는 재심의 사유에 따라, 즉 오류형 재심인지 신규형 재심인지에 따라 재심의 본질을 달리보아야 하고 각 재심의 본질에 따라 재심개시절차와 재심심판 절차에서의 입증의 문제가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리하여 오류형 재심에서는 피고인의 적법한 재판받을 권리 보장이 본질이므로 재심심판절차에서 당연히 의심스러운 때에는 피고인의 이익으로 법칙이 적용되어야 하고 재심개시절차에서 도 확정판결에 갈음한 입증으로 대체하는 경우에는 개시사유의 소명 정도로 요건을 낮추어야 하는 반면, 신규형 재심에서는 법적 안정성과 구체적 정의의 조화가 본질이므로 재심심판절차에서 의심스러운 때에는 피고인의 이익으로 법칙 이 적용되어서는 아니되고 오히려 무죄 등이 50% 이상 입증되는 경우에만 무죄 등을 선고하여야 하며 재심개시절차에서도 신증거 및 이와 관계있는 증거들에 대한 실체심리 결과 재심심판절차에서 무죄 등이 선고될 가능성이 상당정도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재심개시가 허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근자에 들어 재심제도가 많이 이용되고 국민들의 관심도 높아졌다. 그러나재심제도에 대하여는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또는 정치적으로 접근된 측면이 많고, 특히 재심에서의 입증과 관련하여서는 특정 주제에 대하여만 미시적으로 논의되었을 뿐 재심 전체의 입증 문제는 많이 논의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재심제도, 특히 그 입증과 관련한 전체적인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찬양고무죄의 재심

        이재승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22 민주법학 Vol.- No.78

        This article is a proposal to remedy the abuses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called the Makgeolli Security Act. On the one hand, a number of courts initiated recently the retrials on the grounds of Art. 420 Subparagraph 7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crime of the officials engaged in the investigation and trial) and acquitted the defendants of the politically suggestive praise & incitement(§7 of National Security Act).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same substance of the action, the defendants who cannot prove the grounds for retrial under Art. 420 Subparagraph 7 have not crossed the threshold of retrial. treating similar cases of misuse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is a reason for retrial specified in Art. 420 Subparagraph 7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s regarded as an serious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equality in damage relief. The author tries to construe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limitative constitutional decision in 1990 and the legislative objective of revising the National Security Act in 1991 into the rechtsstaatliche reason for retrial to allow the retrials even for the defendants who do not have or cannot prove the reasons for the retrial. The Supreme Court’s or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laration or decision of simple unconstitutionality of acts or decrees has become an important channel for retrial relating to the past political trials. However, the limitative constitutional decision itself was not recognized as a reason for retrial. In order to justify the limitative constitutional decision and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Security Act as the reason for retrial, their purposes should be normatively transformed into the rechtsstaatliches moment and also the legally forbidden and permitted areas of politically suggestive praise & incitement must be able to semantically be distinguished. 이 글은 ‘막걸리 보안법’이라 불리는 국가보안법 오남용 사례를 구제하기 위한 제안이다. 최근 다수의 법원은 형사소송법 제420조 제7호(수사 및 재판에 관여한 공직자의 범죄 등)를 이유로 재심을 개시한 후 찬양고무죄의 피고인들에게 무죄를 선고하였다. 반면 행위의 실체가 동일한데에도 불구하고 제420조 제7호 재심사유를 증명할 수 없는 피고인들이나 유족들은 재심의 문턱을 넘어서지도 못하고 있다. 동질적인 사건을 형사소송법 제420조 제7호 사유의 존재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르게 취급하게 된다면 피해구제에서 평등권을 침해하는 것이다. 저자는 제420조 제7호 재심사유가 없거나 이를 증명할 수 없는 피고인들도 재심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찬양고무죄에 대한 1990년 헌법재판소의 한정합헌결정의 취지와 1991년 국보법 개정의 취지를 법치국가적 재심사유로 구성하고자 한다. 한정합헌결정과 국보법 개정의 취지를 재심사유로 인정하려면 규범적으로는 그 취지를 법치국가적 모멘트로 확립할 수 있어야 하고, 의미론적으로는 찬양고무의 허용영역과 금지영역을 명료하게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글은 그동안 과거사에 관한 판례 동향과 국보법의 적용 관행을 검토함으로써 바로 이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한다.

      • KCI등재

        재심사건과 재판의 전제성

        신현석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25 No.1

        The Retrial Court cannot easily make a decision to initiate a reconsideration because the grounds for retrial don't be accepted merely by arguing that the law on which the conviction is based is unconstitutional. The Constitutional Court also cannot recognize the Prerequisite for Judgement on the relevant law without a decision to initiate a retrial based on the dual-structure of criminal retrial. This vicious cycle is the same in the opposite case: if the Constitutional Court cannot make a decision unconstitutional on the grounds that there is no Prerequisite for Judgement, the grounds for retrial under Article 47 (4)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which preemptively requires a decision of being unconstitutional, cannot be satisfied, and the court cannot make a decision to initiate a retrial.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necessary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take the initiative and actively interpret the underlying law, accepting the Prerequisite for Judgement, even if there is no decision for a retrial; otherwise, the court that received the request for retrial may recognize the grounds for retrial even with the help of partial amendments to Article 47 (4)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and make a decision to initiate a retrial. In this way, through the Constitutional Court's active interpretation theory and the Retrial Court's generous legislative theory, it is possible to partially relieve the systemic shortcomings that have repeatedly turned away to the relief of innocent people's rights. 재심 제도의 존재의의를 살리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법적 안정성의 요구보다는오판방지를 통한 당사자의 권리구제라는 가치를 우선 시켜야 한다는 결단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법원의 재심개시결정과 헌법재판소의 재판의 전제성 판단에 모순된 논리가있거나 형평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까지도 법적 안정성의 이념을 위해 당사자의 권리구제 요청이 양보해야 하는 것인지는 의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형사 재심 제도에서 유죄 확정판결의 근거가 된 법률조항의 위헌성이 문제된 경우에는 재심을 통한 권리구제와 인권보호 필요성을 높여 줄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절차상 문제가 되는 부분으로는 헌법재판소의 재판의 전제성 인정 가능성과 법원의 재심개시결정 가능성의 점을 들 수 있다. 먼저 재심개시심판 법원은 유죄 확정판결의 근거법률이 위헌이라고 다투는 것만으로는 재심사유를 인정할 수 없어 재심개시결정을 할 수 없고, 그에 따라 헌법재판소도 형사 재심의 이원적 구조에 입각하여 재심개시결정 없이는 해당 근거법률에 대해 재판의 전제성을 인정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는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어서, 헌법재판소가 재판의 전제성을부정하여 위헌결정을 하지 못하게 되면, 위헌결정을 선결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4항의 재심사유도 충족할 수 없어서 법원은 재심개시결정을 할 수 없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헌법재판소가 나서서 설령 법원의 재심개시결정이 없더라도 해당 근거법률에 대해 재판의 전제성을 인정하는 적극적인 해석을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재심청구를 받은 법원에서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4항에 대한 법률 일부 개정의 도움을 받아 위헌법률심판제청이 된 법률조항에 대해서도 재심사유로 인정하여 재심개시결정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둘 필요가 있다. 이로써 재판의 전제성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적극적인 해석론과 법원의 재심사유에 관한 관대한 입법론을 통해 지금까지 절차법적 이유로 무고한 자의 권리구제에 대해 눈감는 일을 반복해 온 제도상의 미흡을 일부나마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본다.

      • KCI등재

        과거사 사건 재심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 여순사건 재심을 중심으로 ―

        최관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20 민주법학 Vol.0 No.74

        The retrial of past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has a double problem. The original trial was illegal and abusive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and barriers to the retrial are too high. At the same time, a retrial court must solve two things. They should remove the stigma of illegal trials and confirm the judiciary's responsibility for state crimes. This paper reviews the retrial process of the Yeosu-Suncheon case and summarizes the considerations for the retrial of the past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The retrial is a struggle between illegality and justice. The commencement of a retrial is a process in which justice overcomes the contradictions and the retrial itself should be a process for the restoration of human rights. For this purpose, the principle of “in dubio pro reo” should be the main criterion for judgment. Finally, murder by trial is an obvious state crime. Since the judiciary of that trial is a criminal,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enact a special law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retrial. 과거사 사건의 재심은 원심이 형식과 내용면에서 불법이자 가해행위였으며 재심의 벽이 너무나 높다는 이중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동시에 재심은 두 가지를 해결해야 한다. 불법적인 재판의 멍에를 벗겨줘야 하고 국가범죄에 대한 법원의 책임을 확인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순사건의 재심 과정을 살펴보면서 과거사 재심에서 고려할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과거사 재심은 불법과 정의의 모순투쟁이다. 재심 개시 절차는 정의의 모순극복과정이며 인권회복 절차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 원칙이 주요한 판단 기준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재판에 의한 살인은 명백한 국가범죄이며, 사법부는 그 범죄자이기 때문에 재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특별법의 제정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중국 민사소송제도상의 재심절차

        김호 ( Ho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07 法學硏究 Vol.17 No.4

        According to the sharply raising development of Chinese society, many new kinds of civil litigation have been emerging so the existing litigation system is not suitable for these new circumstances. Thus, a new and international civil litigation system is required to satisfy new demand. Civil litigation amended in 2007 extends the causes of retrial procedure from 5 to 13 provisions, which are largely divided by error on fact approval, error on legal approval and violation on procedure, and prescribes that retrial motion has to be brought by upper the people`s court and period of retrial judgement has to be done within 3 months. These new provisions of retrial procedure brought many epochal developments in many aspects however, many problems are still existing because retrial procedure is still brought by decision of the people`s court and appeal of the people`s procurator. This complex retrial structure encroaches disposition of party, violates neutrality principle of court and destructs equal status of party on trial by intervening of state power. Consequently, under this condition, it is hard to maintain legal stability. Therefore, civil litigation system suitable for chinese circumstances must be established by adopting foreign advanced legal system from now on. In other words, retrial motion of party is to be the only way to propose retrial and appeal of procurator is to be limited to the cases for the public and collective body. Furthermore, by canceling retrial decision of court, disposition of party should be respected and equal status should be guaranteed on civil litigation. In conclusion, the court of third instance being that of the last instance should be adopted to confirm authority of judgement and prevent unlimited ret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