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급 및 수요 충격이 주식과외환 시장에 미치는 영향

        이근영 한국국제경제학회 2013 국제경제연구 Vol.19 No.3

        This study extends the closed economy model of Hess and Lee (1999) to the two-country open economy model and then analyzes the contemporaneous and long-term effects of supply and demand shocks on stock and foreign exchange markets.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ults, because foreign and domestic supply shocks increase KOSPI returns, while decrease won-dollar exchange rate changes, they generate a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On the other hand, relative demand shocks increase KOSPI returns and won-dollar exchange rate changes together and therefore cause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In recent years, foreign supply shocks have stronger impact on these two variables than domestic supply shocks. The impact of domestic demand shocks on KOSPI returns is also restrictive. The percentage of forecast error variance of KOSPI returns and won-dollar exchange rate changes explained by foreign supply shocks keeps rising up to recently. In the case of domestic supply and demand shocks, the reverse is true. 본 연구에서는 먼저 Hess and Lee(1999)의 폐쇄경제모형을 2국 개방경제모형으로 확장시켜 국내외 공급 및 수요충격이 국내 주식과 외환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당기와 장기에 걸쳐 살펴보았다. 이론 및 실증분석결과 양(+)의 해외 및 국내공급충격은 당기와 장기 모두 코스피 수익률을 상승시키는 반면 원/달러환율 변화율을 하락시켜 이 경우 두 변수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기간별로 살펴보면 시간이 흐를수록 국내공급충격보다는 해외공급충격이 코스피와 원/달러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국내수요충격이 코스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한편 상대적인 국내수요충격은 당기의 코스피 수익률과 환율변화율을 상승시켜 이 경우 두 변수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결과도 최근으로 올수록 코스피 수익률과 원/달러환율 변화율의 분산에 대한 해외공급충격의 설명비율이 증가하는 반면 국내공급충격과 국내수요충격의 설명비율은 감소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공급 및 수요 충격이 주식과 외한 시장에 미치는 영향

        ( Keun Yeong Lee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3 국제경제연구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먼저 Hess and Lee(1999)의 폐쇄경제모형을 2국 개방경제모형으로 확장시켜 국내의 공급 및 수요충격이 국내 주식과 외환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당기와 장기에 걸쳐 살펴보았다. 이론 및 실증분석결과 양(+)의 해회 및 국내 공급충격은 당기와 장기 모두 코스피 수익률을 상승시키는 반면 윈/달러환율 변화율을 하락시켜 이 경우 두 변수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기간별로 살펴보면 시간이 흐를수록 국내공급충격보다는 해외공급충격이 코스피와 원/달러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국내수요충격이 코스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한편 상대적인 국내수요충격은 당기의 코스피 수익률과 환율변화율을 상승시켜 이 경우 두 변수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결과도 최근으로 올수록 코스피 수익률과 원/달러환율 변화율의 분산에 대한 해외공급충격의 설명비율이 증가하는 반면 국내공급충격과 국내 수요충격의 설명비율은 감소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tends the closed economy model of Hess and Lee(1999) to the two-country open economy model and then analyzes the contemporaneous and long-term effects of supply and demand shocks on stock and foreign exchange markets.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ults, because foreign and domestic supply shocks increase KOSPI returns, while decrease won-dollar exhange rate changes, they generate a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On the other hand, relative demand shocks increase KOSPI returns and won-dollar exchange rate changes together and therefore cause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In recent years, foreign supply shocks have sronger impact on these two variables than domestic supply shocks. The impact of domestic demand shocks on KOSPI returns is also restrictive. The percentage of forecast error variance of KOSPI returns and won-dollar exchange rate changes explained by foreign supply shocks keeps rising up to recently. In the case of domestic supply and demand shocks, the reverse is true.

      • KCI등재

        멕시코의 원유 공급 제한에 따른 대기질 변화 연구

        장유윤(Jang, Yu-W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멕시코시티에서 2019년 1월 8일부터 1월 26일간 원유공급 제한에 따른 대기질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멕시코시티의 측정망이 재평가된 시기인 2011년부터 2019년 1월 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원유공급에 따른 이산화질소와 미세먼지 농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원유공급제한에 따른 영향은 특히 일요일에 감소폭이 가장 많았다. 원유공급제한에 포함된 일요일의 일산화질소와 이산화질소도 원유공급제한 이전의 일요일과 이후의 일요일 농도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지역적으로는 대부분 20~30% 수준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오존 농도는 원유공급 제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것은 일산화질소 성분이 감소하면서 대기의 오존 적정현상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원유공급제한은 멕시코 중부지역의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는 도시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과달라하라와 몬테레이 그리고 톨루카에서도 질소산화물의 경우 최대 30%의 감소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연료사용을 제한할 경우 도시 대기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hanges in air quality due to fuel supply restrictions from January 8, 2019 to January 26, 2019 in Mexico. Using data from 2011 to January 2019, when Mexico City"s measurement network was reassessed, it was statistically estimated that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dioxide and fine dust decreased. The impact of fuel supply restrictions was the most severe on Sunday. Carbon oxide and nitrogen dioxide on Sunday included in the oil supply restriction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Sunday concentrations before and after Sunday. Regionally, most of them showed a decrease of 20-30%. However, ozone concentrations were not affected by oil supply restrictions. This is because the ozone titration of the atmosphere decreases as the nitrogen monoxide component decreases. Fuel restrictions could be affected in cities using pipelines in central Mexico, resulting in up to 30% reduction in NOx in Guadalajara, Monterrey and Toluca. Restriction on fuel use in this study improved urban air quality.

      • KCI등재

        유형별 유가충격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효과 분석

        차경수 한국은행 2015 經濟分析 Vol.21 No.4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oil shocks on demand and suppl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Korea. For this purpose, oil shocks are classified as oil supply shocks, oil demand shocks, and oil speculative demand shocks. For empirical analysis, SVAR models including industry-level data are constructed, and the "sign restrictions" approach is employed for identification. The analysis of the impulse responses of industry-level output and price shows that, in the case of oil supply shocks to the energy-intensive industries such as petroleum, coal, chemicals, oil shocks mainly reduce supply. In contrast, in the case of oil demand shocks arising from changes in global economic activities, oil shocks are found to reduce the demand for the export-intensive industries, such as general machinery, electric machinery, precision instrument, and transport equipment. In the case of oil speculative demand shocks, for most industries, oil shocks reduce both supply and demand. In particular, for industries which are energy-intensive or have many backward industries, the reduction in supply seems more important. However, for industries which produce final consumption goods or have many forward industries, the decrease in demand looks more crucial. Finally, the output responses to these different types of oil shocks show similar patterns across most industr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oil shocks do not cause sectoral relocation across industries, but rather reduced production across different industries, resulting in economy-wide recessions. 본 연구는 SVAR 모형을 이용하여 국내 산업생산 활동에 미치는 유형별 유가충격의 역할 및 영향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유가충격을 공급교란, 수요교란 그리고 투기적 수요교란에 의한 충격으로 분류한 후, 부호제약(sign restrictions)에 의해 이들 충격들을 식별하였다. 추정결과, 공급교란충격의 부정적 효과는 에너지 집약도가 높은 산업에서 유가충격이 갖는 공급충격의 특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요교란충격의 부정적 효과는 주로 수출비중이 높은 산업들에서 중장기적으로 나타나며, 이는 유가충격이 갖는 수요충격으로서의 역할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투기적 수요교란충격의 경우, 유가충격은 산업 전반에서 공급충격과 수요충격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유가충격은 에너지 집약도가 높은 산업뿐 아니라, 중간재를 공급하는 후방산업의 비중이 높은 산업에서도 공급충격의 역할을 하였다. 반면, 해당 산업의 산출물을 중간재로 이용하는 전방산업의 비중이 높거나, 최종소비재의 성격을 갖는 산업들에서는 유가충격이 수요충격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상수도관망에서 제한급수에 따른 간헐적 흐름의 특성 및 제어

        양강승,김동홍,정관수,김주환 대한상하수도학회 2014 상하수도학회지 Vol.28 No.1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should be invariably operated on continuous pattern for 24 hours a day. Occasionally, it is not practically possible to operate for 24 hours due to water shortage or financial constraints. Therefore an intermittent water supply is unavoidable in water shortage area and developing countries.But the intermittent water supply can introduce large pressure forces and rapid fluid accelerations into a water supply network. These disturbances may result in new pipe failure, leakage and secondary contamination.This paper proposed an improvement methodology to prevent the disturbances by intermittent water supply. For the study, the hydraulic variation of intermittent flow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was measured and analyzed in the field by comparing with simulation of hydraulic model. Installations of control valves such as, pressure reducing and sustaining and air valves were employed for pressure and flow control.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s are presented by comparing hydraulic conditions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the proposed solutions.

      • KCI등재

        How the United States Marched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to Its Trade War with China

        Chad Bown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 East Asian Economic Review Vol.24 No.4

        The US-China trade war forced a reluctant semiconductor industry into someone else’s fight, a very different position from its leading role in the 1980s trade conflict with Japan. This paper describes how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global semiconductor industry has evolved since the 1980s. That includes both a shift in the business model behind how semiconductors go from conception to a finished product as well as the geographic reorientation toward Asia of demand and manufactured supply. It uses that lens to explain how, during the modern conflict with China, US policymakers turned to a legally complex set of export restrictions targeting the semiconductor supply chain in the attempt to safeguard critical infrastructure in the telecommunications sector. The potentially far-reaching tactics included weaponization of exports by relatively small but highly specialized American software service and equipment providers in order to constrain Huawei, a Fortune Global 500 company. It describes potential costs of such policies, some of their unintended consequences, and whether policymakers might push them further in the attempt to constrain other Chinese firms.

      • KCI등재

        구조벡터모형으로 살펴본 코로나19 이후 인플레이션의 원인

        김덕파 ( Dukpa Kim ),어윤종 ( Yunjong Eo ) 서강대학교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2022 시장경제연구 Vol.51 No.3

        최근 한국경제는 오랜 기간 지속되어온 저물가 상황이 종료되고 물가상승률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경제를 축약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물가상승률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대외 부분의 변수인 에너지 가격지수 상승률과 대내 부문의 변수인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상승률, CD91일물 유통수익률로 구성된 벡터자기회귀모형에 장기제약과 부호제약을 부여하여 대외충격, 공급충격, 수요충격, 통화신용충격을 식별하였고 각 충격이 최근 물가상승에 기여한 정도를 역사적 재분해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물가상승의 가장 큰 원인은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이자율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한 것으로 나타난 한편 대외부문에서 비롯된 물가상승 압력은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물가상승은 단기적으로는 통화신용정책 그리고 중장기에서는 대외부문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 정책당국의 긴밀한 대처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Korean economy has been experiencing high inflation rates after COVID-19. We investigate the causes of inflation using a structural vector-autoregression of energy price, GDP growth rate, inflation rate, and interest rate. An external shock and three internal shocks, namely, supply, demand, and monetary policy are identified via long-run exclusion restrictions and sign restrict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ain cause is the interest rate maintained at a historically low level as a policy action to COVID-19. Furthermore, the ongoing high growth rate of international energy prices is likely to affect inflation rate in Korea in the near future.

      • KCI우수등재

        총수요와 장기 성장 간 관계에 대한 연구

        임근형 ( Geunhyung Yim ) 한국경제학회 2017 經濟學硏究 Vol.65 No.3

        최근 우리 경제에 이전과는 상이한 성장 패턴이 관측되고 있다. 실제GDP가 잠재GDP를 하회하는 마이너스 GDP갭이 지속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잠재성장률이 실제GDP성장률과 유사한 속도로 하락하고 있다. 그러나 장기 성장이 공급 측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류경제학적 통념으로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곤란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수요와 성장 간 장기 관계와 관련된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최근 글로벌 성장의 이례적 부진 현상을 평가해 보았으며 나아가 우리나라의 경우를 대상으로 총수요가 장기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계량 분석해 보았다. 유효수요 이론과 총수요 관점 접근법을 양 축으로 하여 발전해 온 수요 중심 성장론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최근 글로벌 경제의 성장부진이 수요 부족 문제에서 비롯되었을 소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노동소득분배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자가 저축을 하회하는 현상도 만성화했다. 특히 잠재성장률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저물가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것은 수요 부족 시에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다. Bashar(2011, 2012)의 방법론을 우리나라의 자료에 적용한 실증분석 결과 역시 총수요가 장기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수요충격은 더 이상 장기 중립적이지 않고 공급충격과 마찬가지로 실질GDP 수준에 지속적인 양(+)의 영향을 끼쳤다. 더욱이 총수요와 장기 성장 간 관계는 2012년 이후 더욱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economy is now showing a new growth pattern. Negative GDP gap continues for years and potential GDP growth rate is decreasing at a speed close to that of actual GDP growth rate. But these phenomena are hard to be explained by the “conventional view” that supply factors determine long-run economic growth. On these backgrounds, this paper surveys the theoretical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and and economic growth, assesses the current low growth trend of the global economy, and conducts an econometric analysis using Korean data to see whether aggregate demand can affect long-run economic growth. The analysis focuses on changes in the link between aggregate demand and aggregate supply. Demand-led growth theory, developing with effective demand theory and aggregate demand approach as its two pillars, implies that deficiency of demand may be one of causes of recent sluggish global economic growth. The labor income share has decreased since the 1980s, a shortage of investment has been chronic, and inflation remains low despite of a decline in potential GDP. Moreover, empirical analysis, which adopts Bashar (2011, 2012)`s identification methodology, indicates that aggregate demand shocks have a permanent impact on the long-run economic growth of Korea. The result also shows that such relationship has been intensified after 2012.

      • KCI등재

        시뮬레이션과 1일 급수량 분석을 이용한 갈수기 감압에 의한 제한급수 방법

        남영욱,김경수,현인환,김두일 대한상하수도학회 2020 상하수도학회지 Vol.34 No.5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mega-droughts have occurred frequently. Since long-term droughts make it difficult to secure the water resources, water supply needs to be restricted in a reasonable manner. In the event of limited water supply, the waterworks need to develop a restricted water supply strategy. This study showed that analyzing daily water supply could be used to respond to the first stage of a drough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Korea's major water authorities, there was about 7~21% of room for daily minimum water supply in case of a drought. Restricting the water supply by lowering pressure is a good strategy for local water authorities with high water leakage rate since leakage is inversely dependent with pressure. For this method, it is necessary to quantify water deficiency and pressure at each node using a simulation. Since DDA-based software is not possible to predict changes in demand at nodes with pressure reduction, WaterGEMS, a PDA software, was used to quantitatively predict water shortages and pressures at each node. Locations where water is deficient need to install booster pumps or to be dispatched with water tank truck and bottled water. Without these support, lowering pressure could not be an option for water works.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for waterworks to plan a drought by lowering pressure to restrict water supply using daily water supply analysis and PDA based simulation.

      • KCI등재후보

        부호제약을 이용한 한국 주택시장의 변동요인 분석

        민선옥,이영수 한국감정원 2019 부동산분석 Vol.5 No.1

        This paper analyzes the dynamic spill-over effects of shocks on housing market, using a six-variable VAR model. As housing market variables, housing price and housing trading volume are used, and as shock variables, housing demand shock, housing supply shock, interest rate shock, household loan shock, aggregate demand shock, and aggregate supply shock are taken into account. The shocks are identified by imposing sign restrictions on the responses of variables. Data analyzed are monthly data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8.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pill-over effects of the shocks on housing market showed great difference in housing price and housing volume. Second, housing supply shock had relatively great effects on the fluctuation of housing trading volume, housing demand shock had relatively great effects on the fluctuation of housing price, and household loan shock and interest rate shock had greater effects on the fluctuation of housing price than on the fluctuation of housing trading volume. Third, housing supply shock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housing trading fluctuation, followed by housing demand shock, household loan shock, interest rate shock, aggregate demand shock, and aggregate supply shock. And interest rate shock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housing price fluctuation, followed by household loan shock, housing demand shock, aggregate demand shock, and aggregate supply shock. Particularly, it is noteworthy that interest rate shock and household loan shock in the financial sector explain more than 50% of housing price fluctuation. 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 변수들과 거시경제변수들로 구성된 6개 변수 VAR 모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충격들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동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하였다. 주택시장 변수로는 주택(아파트)가격과 주택(아파트)거래량을 사용하였으며, 충격 변수로는 주택공급충격, 주택수요충격, 이자율충격, 가계대출충격, 총수요충격, 총공급충격을 고려하였다. 충격의 식별은 부호제약을 이용하였다. 데이터는 200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의 월간자료이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시장에 미치는 충격들의 파급 효과는 주택가격과 주택거래량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둘째, 주택공급충격은 주택거래량 변동에, 주택수요충격은 주택가격 변동에 상대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가계대출충격과 이자율충격은 주택거래량보다는 주택가격의 변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주택거래량 변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주택공급충격>주택수요충격>가계대출충격>이자율충격>총수요충격 >총공급충격의 순이며, 주택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이자율충격>가계대출충격>주택수요충격>총수요충격>총공급충격>주택공급충격의 순이다. 특히 주택가격 변동에 대한 영향력에서 금융부문 2개 충격의 비중이 50%를 넘어서고 있음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