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박사학위 취득 신진연구자의 질적 연구 경험

        박정애,김갑선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4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applying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 to deeply explore th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of a new researcher who has obtained a doctoral degre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xperience of qualitative research at the individual level, the condition of <the beginning of qualitative research> promotes the interaction among <deepening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research knowledge>, <perform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earch tool>, and <refining the research to introduce to the world>. These actions and interactions led to the result that <they go out and enter the field as qualitative researchers>. Second, interactions with social conditions affecting individual experiences are analyzed through contextual/conditional matrix analysis. It was explained in wide range from the macro-concepts such as <the sports culture that tolerates violence> and <the transition from quantitative paradigm to qualitative paradigm in science> to the micro-concept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reactions of the people around them. Third, it was found that th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was the result of complex interaction, generated from the interaction of personal experiences and external social condi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experience of a young researcher who acquired a degree with a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factors, to gain a holistic understanding on th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s. It is meaningful as it can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for researchers who are conducting or preparing qualitative research. 본 연구는 박사학위 논문을 질적 연구로 수행한 신진연구자의 연구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적용한 단일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차원의 질적 연구 경험에서, <질적 연구의 시작>이라는 조건은 <질적 연구지식의 이해가 깊어짐>, <연구도구로 질적 연구를 수행함>, <연구를 세상에 내기 위해 정련(精練)함> 이라는 작용·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작용·상호작용은 <질적 연구자로 현장에 섬>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개인경험에 작용하는 사회적 조건과의 상호작용에서, <폭력을 용인하는 체육문화>, <학문의 양적 패러다임에서 질적 패러다임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와 같은 거시적 개념에서부터, ‘주변 사람들의 긍정적, 부정적 반응’에 이르는 미시적개념까지 설명되었다. 셋째, 질적 연구 경험은 개인적 경험과 외부에서 작용하는 사회적 조건과 의 상호작용에 의한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신진연구자의 개인적 경험과 외부와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질적 연구 경험의 총체적 이해를 도모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거나 준비하는 연구자들에게 질적 연구수행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체육학에서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관한 다학문적 고찰

        김원정(WonJungKim)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6

        체육학에서는 질적 연구를 방법적(또는 기법적)으로 적용하는 논문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질적 연구방법론’ 자체에 대한 논의와 담론을 함께 다루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체육학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패러다임과 연구방법론에 대해 그동안 논의되어 온 질적 연구의 문제점을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적용하는 체육학 분야 중에서는 여덟 개 영역(체육철학, 체육사, 스포츠교육학, 스포츠사회학, 스포츠 여가, 사회체육, 스포츠심리학, 특수체육학)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첫째, 체육학의 학문 분야별 특성과 질적 연구방법론은 어떻게 연계되는가, 둘째, 체육학에서의 질적 연구방법론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적용되어 왔는가, 셋째, 체육학에서의 질적 연구방법론 적용 연구의 ‘질적 글쓰기’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관한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체육학 전반에 걸친 이러한 거시적 논의와 반성적 고찰은 미래의 질적 연구방법론의 적용과 학문적 확산을 위하여 지속되어야 할 것이며, 체육학 연구자들은 각자의 연구 분야에서 질적 연구방법론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역량과 전문성을 발달시켜야 할 것이다. Recently, a number of qualitative researches using qualitative methods (or techniques) have been increasing. But, there are not so many researches dealing with discourses and discussions related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paradigm and to reflect qualitative researches by reviewing many multidisciplinary literatures in P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There are three main themes around eight sub-academic areas in PE and sport, First, what is the linked meanings between academic identit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PE and sport? Secondly, what kinds of aspects should we reflect on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es? Lastly, how can we do qualitative writing of those qualitative researches? These macro-level arguments and reflective exploration of qualitative methodology should be continued and disseminated in the future. Ultimately, it can be possible for researches to develope the competency so that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and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paradigm and methodology.

      • KCI우수등재

        질적 연구 (어떻게) 해야 하나?: 질적 연구 논문 길라잡이

        박나라 한국행정학회 2023 韓國行政學報 Vol.57 No.3

        This article outlines the current status of qualitative research, concepts, advantages, disadvantages, methods, strategie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practical problems that researchers encounter when trying to write qualitative research papers. The first step in conducting good qualitative research is understanding what qualitative research is. We describe qualitative research by emphasizing th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differenti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traditions and types, and its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criteria. As a second point, even if qualitative methods are largely helpful, you must evaluate their relevance to you(r own research). To accomplish this, we suggest that you examine whether you are capable of fulfilling the role of a qualitative researcher, whether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s appropriate for your research objectives and questions, and whether you agree that qualitative research produces reliable results through an ethical process. Lastly, we provide advice, following a typical sequence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Specifically, practical steps are discussed, encompassing 1) selecting a research topic, 2) reviewing the literature, 3) securing funding, 4) obtaining 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al for a research plan, 5) collecting data, 6) analyzing data, and 7) writing and presenting a paper. As a last note, we emphasize that institutional support, alongside qualitative researchers' individual efforts, is essential. Strengthening education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improving the IRB system are recommended as key initiatives to promote and facilitate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 KCI등재

        질적 연구의 이해를 돕다: 연구를 경험하는 초보 연구자들에게 있어 ‘질적 연구’의 의미

        김희라,윤소영,임성만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9 No.4

        In this study, the stories of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who are study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t a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in Korea was studied as a narrative inquiry method. The 4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in a lecture called 'Elementary Science Research Methodology' when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semester, each of the four study participants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also collected while they were in their research journey. The data were collected in four ways: 15 week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records, 4 interviews each, 5 tasks each, and 1 research journal and daily record. 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w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ived about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while taking the research. First, in the early days of taking research methodology, there was a difficulty in understanding due to their unfamiliarity with 'research'. Second, the proces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grasp the difficulties and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Thir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nd writing papers, the meaning and purpose of qualitative research began to be gradually obtained. Fourth, while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outcomes and listen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other research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uld realize that qualitative research is connected to their lives and is a study to empathize with the lives of others. This study represen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actual research conducting experience to many researchers and teachers to assist them to understand qualitative research widely. It would be a chanc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students and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교원 양성 대학교의 초등과학교육 전공 대학원생들인 연구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질적 연구 경험에 대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4명의 연구 참여자들은 한 학기 동안 ‘초등과학연구방법론’ 강의를 수강하며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는 참여 관찰 기록 15주, 면담 각 4회, 과제 각 5종, 연구 일지 및 일상 기록 1종의 총 네 가지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연구방법론을 수강하면서 연구 참여자들이 질적 연구에 대해 이해한 것과 그 경험의 의미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론을 수강하는 초기에는 ‘연구’에 대해 익숙하지 않음에서 오는 이해의 곤란함을 겪었다. 둘째, 질적 연구 실습 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질적 연구의 어려움과 특성을 파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질적 연구를 진행하고 논문을 작성해가는 과정에서 질적 연구의 의미와 목적을 차츰 이해해가기 시작했다. 넷째, 진행한 질적 연구의 결과를 발표하고 다른 연구 참여자들의 연구결과를 들으면서 질적 연구가 자신들의 삶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사람의 삶을 공감하기 위한 연구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본 연구는 많은 연구자 및 교사들에게 질적 연구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실제적 경험 제공의 중요성을 드러낸다. 이 실제적 경험은 이들이 학생 및 교육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갖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 질적연구방법의 질에 대한 쟁점 고찰

        한석실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0 인간과 문화 연구 Vol.16 No.-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타당도, 일반화, 연구자 관점에 관한 최근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질적연구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질적연구 결과가 공적인 의미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질적연구는 개별적 사례의 적용 가능성에 관심을 가짐과 동시에 보편성에도 관심을 갖고 있으므로, 일반화를 가능하게 하는 표집의 문제를 고민하는 과정을 거쳐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질적연구에서 연구자는 연구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질적연구자가 어떤 관점을 갖느냐에 따라 수집되는 자료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연구과정에서 어떤 관점을 갖고 연구자료를 수집할 것인지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의 과정을 거치면서 질 높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ed the recent researches about validity, generalization, and researcher's percep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ied to find out the way elevating the level of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ers have used quantitative methods to verify research's validity, but it was criticized that these methods didn't fit with qualitative research's existence belief. However, this kind of criticism doesn't mean that researchers can do research according to their own way without any objective limitation. Qualitative researchers try to elevate qualitative research's validity. Qualitative research interested in not only adaptability of individual case but also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It is antinomic statement that qualitative research pursue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simultaneously, but qualitative research try to overcome the antinomy. So qualitative researchers as well as quantitative must consider sampling design and the number of sample for generalization. Researchers perform the role as a research tool in qualitative research. It is possible to have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researcher' perception. Researchers have etic and emic approaches to collect exact and fluent informations and data.

      • KCI등재

        초심자의 질적연구 입문 경험: 삶의 방식으로서의 질적연구, ‘하기’에서 ‘되어가기’로

        전영아 한국질적탐구학회 2023 질적탐구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eginner’s introductory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nternal and extern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researcher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explore what kind of experiences researchers form in relation to their identity as qualitative researcher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ir research. For this purpose, a research puzzle called ‘What kind of experience did I form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s a beginner of qualitative research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was formed, and the researcher’s own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was formed. The meaning of the researcher’s introductory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which was reconstructed and solved with five narrative topics, is as follows. First, “the point where I stopped, come back there,” second, “grope the way for lack of sight,” third, “I get lost in the ups and downs of fear, shame, and overwhelming emotions,” and fourth, “moving forward while making a path, fifth, still on the road: living as a qualitative researcher.” This study deals with my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as a beginner, and it may be meaningful to expand and share empirical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process of forming identity as a qualitative researcher to beginners who start qualitative research vividly in my own voice.

      • KCI등재

        질적연구 수행의 의미

        서근원 한국교육학회 2008 敎育學硏究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oing qualitative research. Until now there are many qualitative researches and literatures introduc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Korea. But it is not easy to find a literature inquires the meaning of doing qualitative research. It means that we have lost some important point of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I studied these three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awareness of the issues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which are known to us, and on what they study, and what are the main questions each of them? Second, what can we find out from the overview on the qualitative researches?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doing qualitative research, and what should we do to do qualitative research adequately. From the study, I found this out. Doing qualitative research is not only just to apply a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to one's research, but also to accept the awareness of issue and theoretical perspective premised to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he selects. So, If a researcher want to do qualitative research adequately, he should better define the awareness of issue and perspective of him, and select an adequat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his issue and perspective, or devise his own. That is the proper way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practice of Korean education. 본 연구는 질적연구의 수행하는 일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 우리나라 교육학계에는 질적연구 관련 연구물과 질적연구 관련 안내서가 증가하고 있지만, 질적연구를 수행한다는 것의 의미를 탐구하는 연구물을 찾아보는 것은 쉽지 않다. 그것은 우리가 지금까지 질적연구의 또 다른 측면을 소홀히 해왔음을 의미한다. 이런 이유에서 본 연구자는 우리에게 지금까지 알려진 질적연구가 각각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떤 연구대상과 질문으로 구체화되는지, 각각의 질적연구를 통해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등을 검토하고, 그 결과에 근거해서 질적연구를 수행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질적연구를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이해하고자 했다. 검토 결과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알게 되었다. 질적연구를 수행한다는 것은 단순히 질적연구 기법을 적용하는 것만 아니라, 각각의 질적연구가 전제로 하고 있는 문제의식이나 이론적 관점을 함께 수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질적연구를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구자 자신의 문제의식과 이론적 관점을 명확히 하고, 그에 적합한 연구방법을 선택하거나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 그렇게 했을 때 우리의 교육 현실을 충실히 이해하고 적절한 개선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 수학교육 관련 연구에서 활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나장함,김진호 한국학교수학회 2016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9 No.1

        90년대 중후반 이후 질적 연구법이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이후, 질적 연구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 맥락에서 실제로 적용된 질적 연구물에 대한 분석이나 방법론적 논의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 방법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질적 연구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연구에서 의도한 목적 달성과 연구 결과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학회지인 초등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2012년 게재된 논문 5편을 대상으로 샘플링 선정,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방법 등을 중심으로 세밀하게 분석하여, 그 결과와 논의점을 질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ho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into educational journals, especially focusing on research articl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Since the mid 90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As a resul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becoming one of the main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quite different from before the mid 90s that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mselves alone were undisputed research methods. However, such change in research methods also lead to a matter of concern, the rigor and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identify ho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this study carefully selects and analyzes 5 article that used qualitative methods and were published by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in 2012. Several leading scholars' ideas and theories of qualitative research are used in the analytical process, with careful attention paid to every detailed element of 5 selected articles. In sum, this study conclude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ers and discusses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 KCI등재후보

        질적교육연구방법론 수업을 수강한 어느 대학원생의 학습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하연실(Yeonshil Ha),손승남(Seungnam Son)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현장수업연구 Vol.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질적교육연구방법론 수업에 참여한 대학원생의 질적 연구 입문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인 나는 2022년 3월부터 6월까지 자기성찰일지 작성, 수업 참여관찰 및 또 다른 내부자 면담을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질적 연구 입문 경험은 ‘배움의 장에 참여하기’, ‘배움 속에서 관계 맺기’, ‘배움을 정리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안내로 진행되는 수업과 질적 연구 입문자에게 적합한 교재로 질적 연구 세계에 입문하게 되지만, 질적 연구 입문자는 질적 분석과 해석에서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이는 질적 분석과 해석 과정 자체가 몸소 실행함으로써 앎을 얻을 수 있는 실천지의 성격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초심자에게는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을 기반으로 한 피드백이 다음 연구 성장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질적 연구 입문자는 프로젝트 과제를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수행할 때 다양한 해결전략을 모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질적 연구 입문 경험의 의미로는 ‘배움에 대한 배움’, ‘연구 현장에서의 배움’, ‘연구자로서 나 자신에 대한 배움’ 등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 입문자가 질적 연구 렌즈를 경험한 것은 새로운 사고방식과 연구 방법이라는 질적인 경험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칫하면 연구 현장에서 자신만의 세계에 매몰될 수 있는 자문화기술지의 특성을 고려할 때, 특히 질적 연구 입문자는 풍부하고 다양한 자료로써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질적 연구 입문자는 질적 연구 수업 경험을 디딤돌 삼아 보다 나은 질적 연구자를 소망하게 된다. 결국 질적 연구 수업 참여를 통해 연구자는 앎과 배움의 과정을 성찰함으로써 자기-전환을 도모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입문 경험과 의미를 드러냄으로써 질적 연구 입문자들에게 유사한 경험을 공유하고, 질적 연구에 대한 초보적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utoethnographically explore a Graduat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Meaning in the Qualitative Education Research Methodology Seminar. To this end, I reviewed a reflective journal from March to June 2022, observed class participation, and conducted another insider interview. As results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introducing qual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participating in learning’, ‘building a learning relationship’, and ‘organizing learning’. Students enter the world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classes guided by advisors and textbooks suitable for beginners in qualitative research. However, beginners of qualitative research soon have difficulty in qual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is is because the process of qual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s a practice that can only be learned by doing. Therefore, for beginners, feedback based on positive interdepend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advancing to the next stage of research growth. It was also found that beginners of qualitative research seek various solutions when performing project tasks. The meaning of the introductory experience of qual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learning about learning’, ‘learning in the research field’, and ‘learning about myself as a researcher’. Introductory experiences with a qualitative research lens are qualitative experiences of new ways of thinking and research methods. Given the nature of autoethnographical study that can be buried in their own world in the field of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m with rich and diverse data, especially for qualitative research beginner. In addition, beginner of qualitative research hope to become better qualitative researcher using the experience of qualitative research classes as a stepping stone. In the end, the researcher sought self-transformation by reflecting on the process of learning through participation in qualitative research classes. As a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 I looked back o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seeking self-transform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hare experiences with beginners in qualitative research and help them understand preliminary research.

      • KCI우수등재

        The qualitative orientation in medical education research

        Jennifer Anne Cleland 한국의학교육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9 No.2

        Qualitative research is very important in educational research as it addresses the “how” and “why” research questions and enables deeper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phenomena and context. Qualitative research allows you to ask questions that cannot be easily put into numbers to understand human experience. Getting at the everyday realities of some social phenomenon and studying important questions as they are really practiced helps extend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o do so, you need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stance of qualitative research and work from this to develop the research question, study design, data collection methods and data analysis. In this article, I provide an overview of the assumptions underlying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role of the researcher in the qualitative process. I then go on to discuss the type of research objectives which are common in qualitative research, then introduce the main qualitative designs, data collection tools, and finally the basics of qualitative analysis. I introduce the criteria by which you can judge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Many classic references are cited in this article, and I urge you to seek out some of these further reading to inform your qualitative research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