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경합형 공공방송기금론의 전개와 함의

        강형철(Hyung-Cheol Kang),오하영(Ha-Young Oh),김효진(Hyo-Jin Kim),배정근(Jung-Kun Pa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08 언론정보연구 Vol.45 No.2

        본 연구는 공영방송 재원을 보다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의 하나로, 공공방송기금을 특정 공영방송사가 독점하지 않는 방식, 즉 ‘경합형 공공방송기금’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합형 공공방송기금도입에 대한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영국에서의 논의를 검토해보았고, 이에 대한 정의와 유형을 파악해 보았으며, 끝으로 한국에서 이 방식의 적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분석을 통해 경합형 공공방송기금에 대한 주장은 디지털 시대에 공공방송기금을 보다 투명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사용하여야 한다는 책무성의 요구에서 출발함을 논하였다. 경합형 공공방송기금이란 경쟁이나 경매를 통해 공공서비스 주체를 선정하여 해당 방송사 및 제작사에 기금을 지급하거나 공공서비스 운영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공공방송 콘텐츠 제작을 위해 조성된 기금이 개방경쟁을 통해 방송사나 제작사에 배분되는 방식으로, 기금수혜후보자들은 경쟁과정에서 공익실현 기능을 이행하는 데 자신이 얼마나 적합한 주체인지 증명해낼 수 있어야 한다. 한국에서 지난해 KBS 수신료 인상 시도가 좌절된 것도 이 방송사의 사회적 책무성과 효율성에 대한 사회적 신뢰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영국에서도 그동안 공공서비스 부분의 효율성과 질 향상을 위한 개혁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수신료가 특정 방송사에만 지급되는 재원구조를 지닌 공영방송도 예외는 아닌 것이다. 경합형 공공방송기금은 기금을 분배하는 주체가 누구인지, 그것이 분배하는 기금의 내용은 어떠한 것인지, 분배 대상이 되는 단위는 무엇인지의 세 가지 차원에 따라 유형이 구분되며 이를 고려한다면 현실적으로 5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우선, 경합형 공공방송기금 유형 중에서 가장 경합성이 큰 것은 정부 또는 별도 기구(예를 들면, ‘공공방송기금위원회')가 개별 프로그램 단위로 제작비를 분배해 주는 형태이다. 두 번째로, 공공방송기금은 프로그램 단위가 아니라 방송사업자 단위로 그들의 방송 제작비 총량을 할당해주는 방식, 이름 하여 ‘방송사업자 제작비 경합’ 방식도 가능하다. 세 번째로, 방송사 단위로 기금이 분배되면서도 이 기금이 제작비뿐 아니라 방송사 운영비에도 활용될 수 있는 ‘방송사업자 제작 · 운영비 경합’ 방식도 있다. 네 번째로, 공공기금으로 운영되는 공공서비스방송 운영권을 놓고 사업자들이 경합을 벌이는 ‘공공서비스방송 운영권 경합’ 방식도 가능하다. 끝으로, ‘외주제작 경합’ 방식으로서 공영방송사가 자신의 공공기금을 가지고 외주 제작사의 경쟁을 통해 자신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게 하는 방식도 있다. 경합형 공공방송기금 방식은 투명성을 바탕으로 점차 늘어가는 공영방송에 대한 비판 항목인 사회적 책무성을 제고한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지만 정작 다채널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는 공영방송의 기능인 창의성과 그를 통한 긍정적 외부효과 창출에는 부정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이른바 공익장르라고 하는 다큐멘터리와 교양 등 특정 장르에 대한 지원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한 사회 내 방송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외부효과를 도출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 시도해 볼 수 있는 모델로 평가된다. 끝으로 한국에 이 방식이 도입된다먼 전문성과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배분 기관이 필요하며, 전체적인 공공 재원 규모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ntestable public service broadcasting funding system by which public monies for the provision of public interest broadcasting are distributed not to one or two public service broadcasters but to any applicant in open competition. It traces, to this end, debates on the issue of funding public service broadcasting on the contestable basis and attempts to classify this funding system into several type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contestable funding system into South Korea is examined. Arguments for funding public service broadcasting through open competition are based on the notion that competition will improve both the competitiveness and the accountability of public service broadcasters. Contestants for the fund have to demonstrate their suitability to discharge the public interest functions in question against rival potential suppliers. A similar approach in Western Europe has already become the norm for the distribution of public funds in fields other than broadcasting such as public transportation, electricity supply and health care. According to a policy report of UK Conservative Party, the contestable funding system is to provide not only a means of guaranteeing diversity of voice, but also a way of ensuring high creative standards. The authors divide this contestable funding system into five models: 'Funding Producers for Program Making', 'Funding Broadcasters for Program Making', 'Funding Broadcasters for Broadcasting Operation', 'Franchisin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and 'Broadcaster's Program Commissioning'. First, 'Funding Producers for Program Making' is a competition model by which public fund is distributed through a government agency or an independent organization to producers for each program making. Second, under 'Funding Broadcasters for Program Making' model, broadcasters receive public fund for their total cost for public interest program making. Third, 'Funding Broadcasters for Broadcasting Operation' is a model by which broadcasters receive public fund for their operation cost in addition to total cost for public interest program making. Fourth, under 'Franchisin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model, broadcasters would compete to run PSB channels. Fifth, 'Broadcaster's Program Commissioning' model would turn a public service broadcaster into a commissioner without any production, instead filling its broadcast schedule with programs made by independent producers. Objectors to the use of contestable funding such as BBC have argued that it would not be an efficient or effective use of public funding, since it would both spread limited resources more thinly, and could increasingly substitute for other sources of investment. Nevertheless, it might be expected that competition for public funding will introduce a quality driver comparable to the pressure under this current 'battle-far-ratings' system. If a society would introduce this competition model of public funding for broadcasting, it should guarantee beforehand two preconditions: the one is the distribution body's independence from political pressures and its capability of exercising adequate creative judgment and the other is to increase the volume of current PSB fund.

      • KCI등재

        공모형 부동산 펀드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최진하 ( Jin Ha Choi ),전재범 ( Jae Bum Jun ) 한국감정평가학회 2016 감정평가학논집 Vol.15 No.1

        우리나라에서 부동산 펀드는 부동산투자회사법상의 REITs(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와 함께 부동산간접투자의 중요한 수단으로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소액의 일반투자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모형 부동산펀드는 사모형에 비해 그 성장이 매우 더딘 실정이며, 국내 펀드를 규율하고 있는 자본시장법이 2015년 7월24일을 기점으로 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내용이 사모펀드에 대한 규제완화에 치중하고 있어 공모형부동산 펀드의 활성화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이다. 더군다나, 지금까지 부동산 펀드의 활성화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도 사모형 부동산 펀드나 부동산 펀드의 성과측정 및 보수체계 등을 그 대상으로 하거나 개략적인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정도에 머물러 공모형 부동산 펀드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향을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관련 문헌, 연구논문, 보고서, 그리고 현황자료 등을 토대로 종합적인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공모형 부동산 펀드가 활성화되지 못했던 원인들을 고찰한 후, 이를 바탕으로 공모형 부동산 펀드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들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로부터 금융당국의 심사절차개선, 자산운용사에 대한 자본조달 등 지원, 펀드의 영속성 강화를 위한 유상증자 제도의 신설, 펀드설정 시대상물건에 대한 투자기간 및 차입제한의 완화, 일반투자자의 펀드비용 부담의 해소를 위한 판매보수의 인하, 공모형 부동산 펀드의 신뢰성 제고 및 대형화 방안의 필요성을 제도적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Since its introduction, real estate fund has been used as indirect real estate investment vehicle with REITs(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However, public offering real estate fund aimed to attract small individual investors has grown way slower than private placement real estate fund. Furthermore, even if Capital Markets Act governing all kinds of funds within Korea went through amendment July 24 2015, since the most of the amendments announced were focused on deregulation of private placement real estate fund, growth of public offering real estate fund is still questionable. In addition, as most of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real estate fund, so far, tend to be focused on issues of fund``s performance measures and reward system or private placement real estate fund, research solely concentrated on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activate investment on public offering real estate fund have been rare. In light of this notion, this study aims to seek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activate investment on public offering real estate fun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factors to undermine use of public offering real estate fund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research papers, and reports. And, finally,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rs gained from this research to stimulate investment on public offering real estate fund are as follows : (1) improvement of review system to public offering real estate fund, (2) assistance to financing and taxation support for asset management company, (3) improvement of permanency through introducing fund paying monthly, (4) deregulation of time limitation to invest upon establishing public offering real estate fund and of borrowing limitation, (5) reduction of sales remuneration, (6) preparation of regulation to induce large-scale fund by joining various financial investors.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공적자금과 재정건전화에 관한 법적 연구 -재정관리법제의 원칙과 재정운용 방안-

        이호용 ( Ho Yong Lee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34 No.1

        The Korean government injected 168.5 Korean trillion won of public funds to ensure financial stability and public confidence in the financial sector. As a result of this, the condition that financial crisis connected with economic crisis is overcome. But early days of injection, for the system of decision was not clear, public funds injection is not much efficient, and so many problems are exposed in whole process of public funds injection, recovery, exchange. Because the Management of injected public funds was not substantial in contents and financial expenditure was bigger and bigger, the concern to damage soundness of public finance was brought up. Specially the greater part of injected public funds are not able to recover and arrived at financial budget, this raised public gross debt finally heightened tax budget of future generation. Therefore this time is proper time to examination and settlement for recovery and exchange of public funds. Recently prolonged economic stagnation threat soundness of public finance of Korea and so necessity of this study is very high. This paper contains analysis of public funds management, including proper magnitude, evolution of resolution process and asset disposition, maintenance and supervision of public funds, cost effectiveness, equitable treatment, collection and tax burden of public fund injection. And in this study, I intended to examine problems concerns to financial budget that is expenses of public funds, and next management of public funds, financial law problems due to injection of new public funds or Quisi public funds, and financial law and policy program for maintenance of sound public finance.

      • KCI등재

        공중위생업의 육성을 위한 기금 조성 방안

        이호용(Lee, HoYong) 한양법학회 2009 漢陽法學 Vol.26 No.-

        The paradigm of ‘concept of health' in public health is developing day and day. Traditionally health was concept of ‘hygiene' that meaned disease prevention through isolation from infectious disease, but it passed through concept of ‘sanitary' that meaned personal health maintenance, developed concept of ‘health promotion' that meaned national health furtherance and maintenance, recently its meaning is expanded to the concept of ‘convenience of living'. However, the concept and category of public health is larger and larger and occupies most important part of national every day life, but governmental efforts for industrial promotion of public health business is scarcely accomplished. It is not question of selection but what should be to improve quality of public health business and to make advance to high class in side of national basic rights too. In making revision bill of ‘The Management Law of Public Health Business', it is regarded three sides as follows: constitution side, action side, and finance side of administration. In this article is about finance side among these. Specially public fund as financial methods for promotion of public health business is theme of this article. Fund for promoting public health business(it is called ‘public health fund' for short) is local autonomy fund and operation fund. Main resources of this fund is surcharges that is collected against violation of ‘The Management Law of Public Health Business'. In this article I intend to study methods of building up and practical use of public health fund.

      • KCI등재

        사모펀드 과세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안경봉,손영철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3

        In recent years, the size of private equity investment organizat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vate equity funds”) under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ct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reason why private equity funds are activated is that private autonomy is widely recognized unlike the public offering funds under the regulatory law, and as with corporate system, the anonymity of the investor is guaranteed, but it also bears limited liability, not paying corporate tax. The principle of diversified investment, the principle of mark to market, or the principle of buying back from time to time are not applied to the private equity funds, which are sold for a small number of wealthy person, unlike public offering funds sold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small investors. Private equity funds need to be differentiated in taxation as they differ in nature from public offering funds. Moreover, the private equity funds are more likely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 economic substance of any transaction or activity is the same, they can select a legal transaction or activity with minimal tax burden (the likelihood of tax avoidance). The need to design a tax law so that the private equity funds take the same tax burden in any legal form is greater than the public offering funds. However, according to the current tax regime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are taxed in the same way without discrimination from the public offering funds, if it falls under the eligible collective investment organization under the Income Tax Law and the Corporate Tax Law. Since the private equity fund sto have legal personality, are taxed as a legal entity, otherwise being taxed differently, there is a problem that is deviated from the logical structure of handling the same taxation in the same economic function. In the taxation of private equity funds, there is no reason to apply the logic of tax equilibrium with direct investment applied to public offering funds, and it is possible to design a taxation system according to its own taxation logic. Therefore, I will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regarding the taxation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First, private equity fund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eligible collective investment organizations under the current income tax law and corporate tax law. Second, trust-type and non-corporate private equity funds without legal personality, by being assumed to be a corporation and that equity to be assumed to be stock under the tax law, should be taxed in the same manner as private equity funds with legal personality. Third, the dual tax adjustment method of private equity funds is to be taxed by selecting the pay-through method in case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and the revised pass-through method in the case of a professional investment private equity funds. For a management participation private equity funds, it is not appropriate to separately calculate the amount corresponding to interest income from the income allocated to the private equity funds and impose a withholding obligation on that part. In addition, if the private equity funds does not choose to apply the partnership tax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it is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e dividend deduction provisions. In order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tax evasion using passive business partner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vision of the private equity funds in the direction of withholding and paying for each income. 최근 자본시장법상 사모집합투자기구(이하 ‘사모펀드’라 한다)의 설정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사모펀드가 활성화되는 이유에는, 규제법상 공모펀드와 달리 사적자치가 폭넓게 인정되고, 법인제도와 같이 투자자의 익명성이 보장되면서도 유한책임을 부담하며, 법인세 부담도 지지 않는 등 조세편익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소수의 재산가를 대상으로 판매되는 사모펀드는 불특정 다수의 소액투자자를 대상으로 판매되는 공모펀드와 달리 분산투자의 원칙, 시가평가의 원칙, 수시환매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사모펀드는 공모펀드와 그 성격이 다른 만큼 과세에 있어서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또, 사모펀드는 어떤 거래나 행위의 경제적 실질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조세부담이 최소인 법적 거래나 행위를 선택할 가능성(조세회피 행위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사모펀드가 어떤 법적 형태를 취하든 동일한 과세부담을 지도록 세법을 설계할 필요성은 공모펀드보다 크다. 그러나 현행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과세제도는 소득세법 및 법인세법상 적격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면 공모펀드와 차별 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과세하고 있고, 사모펀드의 법적 형태가 법인격이 있는 경우에는 법인으로 과세되고, 법인격이 없는 경우에는 달리 과세되고 있어서, 동일한 경제적 기능에 동일한 과세상 취급이라는 논리구조와 괴리되어 문제가 있다. 사모펀드의 과세에 있어서는 공모펀드에 적용되는 직접투자와의 과세형평이라는 논리를 적용할 이유가 없으며 그 나름의 과세논리에 따라 과세제도의 설계가 가능하다. 이에 연구자는 전문투자형 사모펀드 과세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행 소득세법 및 법인세법상 적격집합투자기구의 범위에서 사모펀드를 제외한다. 둘째, 법인격 없는 신탁형․조합형 사모펀드에 대해서는 세법상 법인으로 의제하고 그 지분권도 주식으로 의제하여 법인격 있는 사모펀드와 동일하게 과세한다. 셋째, 사모펀드의 이중과세 조정방법은 사모펀드가 전문투자형 사모펀드인 경우에는 pay-through method를, 경영참여형 사모펀드인 경우에는 현행과 같이 수정된 pass-through method를 선택하여 과세한다. 경영참여형 사모펀드에 관해서는 PEF에 배분된 소득 중 이자소득에 해당하는 금액을 별도로 산출하여 해당 부분에 대해 원천징수의무를 부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또한 PEF가 동업기업과세제도의 적용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지급배당공제규정의 적용대상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 PEF가 동업기업과세제도를 선택한 경우 수동적동업자 규정을 이용한 조세회피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국내 PEF의 경우에도 각 소득별로 원천징수하여 납부하는 방향으로 개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국의 선거 보조금 지급제도에 관한 분석

        김정곤(Jeong-Gon Kim) 한국정당학회 2009 한국정당학회보 Vol.8 No.1

        이 글은 미국에서 선거 보조금제도에 관한 최근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하고 기존 연구가 선거 보조금제도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어떤 한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선거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 만병통치약은 아닐지라도 선거 보조금제도는 민주주의의 다양한 역기능들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선거 보조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 몇 가지 변수들이 있다. 기존학자들은 이런 변수들을 고려하지 않은 채로 선거 보조금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왔다. 첫째, 기존 학자들은 선거 보조금을 제공하는 목적 중부패방지라는 관점에서 선거 보조금의 효과에 대하여 관심을 두지 않아왔다. 둘째, 기존 학자들은 후보자가 선거 보조금을 받을지 거부할지를 전략적으로 결정한다는 사실을 연구하지 않고 있다. 보조금 지급을 조건으로 하는 선거비용 제한은 후보자들이 전략적으로 선거보조금을 선택하도록 촉진한다. 셋째, 기존 연구들은 선거비용 제한과 기부한도가 선거 보조금과 함께 선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지 않았다. 이들 선거자금 제도들은 상호작용하고 서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는 선거 보조금의 영향을 분석하면서 제3자의 선거비용 지출을 간과해 왔다. 선거 보조금제도를 정치자금제도에 새롭게 도입한다고 할지라도 선거 보조금제도는 제3자 선거비용 지출을 감소시킬 수 없다. 따라서 선거 보조금은 목표를 달성할 수 없고 정치자금 개혁은 실패하고 말 것이다. 후보자의 역선택과 제3자 선거비용 지출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추가적인 선거 보조금 지급과 강제적인 선거비용 제한이 그것이다. To assess the impact of public funding on election in the USA, I have examined previous studies. In my view, even though public funding is not panacea, it may cure various ills of democracy. However, for public funding to function normally, there are prerequisites. As described below, previous studies have failed to notice the prerequisites. In the absence of considering them, they have analyzed the impact of public funding on election. As a result, their studies have various limitations. First, previous scholars have not studied the impact of public funding on corruption. Second, existing literatures fail to notice that candidates decide strategically to receive public funding. Third, campaign finance system consists of public funding, contribution limits, and spending limits. These sub-campaign finance systems are interacting and influencing each other. Previous studies analyze public funding without controlling the effect of spending limits and contribution limits. Finally, they have overlooked non-candidate spending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public funding. Even though public funding is introduced into campaign finance system, it cannot decrease non-candidate spending. Consequently, public funding cannot achieve goals and campaign finance reform results in failure.

      • KCI등재

        국내 주식형 펀드의 투자스타일과 성과에 관한 비교 연구: 공모와 사모 펀드를 중심으로

        하연정 ( Yeon Jeong Ha ) 국제지역학회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주식형 공모와 사모 펀드의 투자 스타일과 성과를 비교하였다. 4요인 모형과 최근 제시되고 있는 5요인 모형(Fama and French, 2015)을 이용하여 공모와 사모 펀드의 투자 스타일 및 성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모 펀드는 공모 펀드와 비교하여 시장을 추종하는 성향이 약하며, 소형 주식, 가치형 주식, 영업이익률이 높은 주식, 총자산증가율이 높은 주식에 더 많이 투자하였다. 둘째, 사모 펀드는 펀드별 투자 스타일에 차이가 컸다. 셋째, 4요인 및 5요인 모형의 결정계수가 낮은 사모 펀드가 알파(종목선택능력)는 더 높게 나타났지만, 펀드의 순수익률에서는 공모 펀드와 차이가 없었다. 넷째, 사모 펀드는 펀드별로 성과 차이가 크게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동일한 주식형 펀드라도 불특정 다수의 일반 투자자에게 판매되는 공모 펀드와 특정한 목적을 가진 소수 투자자에게서 자금을 모집하는 사모 펀드의 투자 스타일 및 성과가 차이가 발생함을 보였다는 데에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compares the investment style and performance of public and private equity funds. Using 4-factor and 5-factor models, we investigate the investment style and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vate equity funds have a weak tendency to follow the stock market comparing with the public equity funds and invest small, value, high profitability, high growth of total assets stocks more than public funds. Second, the private funds have large differences in investment styles between funds. Third, private funds that have low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4-factor and 5-factor have higher alpha (stock selection ability),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funds in fund net returns. Last, the private funds have large differences in fund performance.

      • KCI등재

        보험업권에 있어서 공적자금관리와 법적 쟁점에 대한 연구

        김은경 (사)한국보험법학회 2018 보험법연구 Vol.12 No.2

        1997년 말 외환위기로 금융부실문제를 정상화시키기 위하여 금융구조조정 등에 자금이 지원되었는데 이를 통상적으로 공적자금의 지원이라고 한다. 현재 공적자금은 2000년 12월에 제정된 공적자금관리특별법에서 정한 공적자금(I)과 2009년 5월 개정된 공적자금관리특별법에 따른 구조조정기금으로서의 공적자금(II)로 구분되고, 2008년 2월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이에 대한 관리업무를 금융위원회가 맡고 있다. 공적자금의 순환은 자금의 조성, 지원, 회수, 상환 및 사후관리인 5단계를 거치게 된다. 공적자금은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가 발행한 채권을 정부가 보증하는 방식으로 공공차관 또는 국유재산 등에서 조달한 공공자금으로 조성된다. 문제는 공적자금이 원칙에 맞지 않게 회수와 상환과정을 거치면 그 최종적인 책임은 정부가 지게 되고, 이는 고스란히 국민부담으로 된다. 더욱이 공적자금의 상환계획기간인 25년을 넘긴다면 공적자금 수혜세대와 상환세대가 달라져 세대갈등의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적자금의 회수 및 상환은 매우 엄격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공적자금의 회수 절차에서는 회수율에 왜곡이 심각하다. 회수금액은 원리금이 아닌 원금을 기준으로 하고 있고 실제로 시간가치가 고려되고 있지는 아니하다. 또한 출자방식으로 한 공적자금의 지원의 경우 수령한 배당금도 공적자금 회수에 포함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성이 문제가 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2002년 ‘제1기 공적자금관리위원회’ 기간에 공적자금의 회수와 관련하여 그 상환의 불확실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상환대책을 마련하였는데 당시 정부는 공적자금의 회수가 용이하지 않다고 추정되는 부채 69조원 중 재정과 금융회사 분담비율을 각각 49조원과 20조원으로 나누어 분담하는 것으로 정하고, 매 5년마다 이를 재산정하도록 한 바 있다. 그런데 최근 논의를 보면 초기와는 다른 시장환경이 조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재정의 의존도가 높은 49:20을 고수하려는 것은 문제가 있다. 공적자금 상환과 관련하여 가장 큰 문제는 공적자금 지원의 주원인이 은행권에서 발생한 것인데 공적자금 상환부담이 보험권에 과중하다는 것이다. 현행 보험권 예금보험료 및 상환기금 특별기여금의 산정체계는 은행 등 타 금융업권 대비 불합리한 요소들이 있어 이에 대한 시급한 수정이 불가피하다. 이상의 문제점은 합리적인 근거와 형평성의 제고 차원에서 다시 논의되어져야 한다. In order to resolve the insolvency of the financial institutions due to Korean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Korean government (through its agency) provided the funds to the financial institution for the reorganization, which is called “publically supported funds”. The publically supported funds are classified to the public fund I pursuant to “Special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Funds” enacted in 2000 and public fund II pursuant to “Special Act on the Management of Public Funds” revised in 2009. Since 2008,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has been in charge of this work pursuant to “Act on the Establishment, etc. of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revised in 2008. The cycle of public funds goes through five stages: funding, support collection, repayment, and ex post facto management. The public funds are financed from the public loans or state-owned properties in a way of the bonds issued by the Korea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and Korea Asset Management Corporation, and the bonds are guaranteed by the Korean government. However, if a financial institution which supported by public fund repay the mone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e final responsibility will be borne by the government, and this will be borne by the public. Moreover, if the repayment period for public funds exceeds 25 years, it will be a factor of generation conflict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beneficiaries and reimbursement parties. Therefore, the collection and repayment of public funds must be very strict. At present, there is a serious distortion in the recovery rat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public funds. The collection amount is only based on principal without the reflection of the time value. Also, in the case of the support of public funds in the way of equity, it requires the further study on adequacy in terms of the received dividend in the way of the collection for the supported public fund. The second issue is government policy. The government decided to share total debt amount, 69 trillion won which was uncertain about the repayment of related to the recovery of the public funds between the national finance and the financial institutions into 49 trillion won and 20 trillion won. Because of the uncertainty of repayment and recovery, the 1st Public Fund Management Committee pointed out it and the committee arranged another plan for it. However, in recent discussions, it is problematic to adhere to the ration, 49:20,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national finances, despite the market environment is changed. The last material issue with the repayment of the public fund is that the liability to repay the public fund is heavily weighted to insurance industry even though the main reason for supporting public funds has occurred in the banking industry. The current calculation system of the deposit insurance premium and the special assessment in the insurance industry has unfairness in comparison with other indu stry such as banks. It is inevitable to amend the current calculation system. The above-mentioned issues should be discussed again in terms of rational basis and equity.

      • KCI등재

        연기금투자풀 주식형펀드의 성과분석

        이성효(Seong-Hyo Lee) 한국FP학회 2016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9 No.4

        본 연구는 연기금의 여유자금을 예탁 받아 운용하는 연기금투자풀 액티브 주식형펀드의 운용 성과와 운용스타일을 공모 펀드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기금투자풀의 중요성에 비해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이고 또한 연기금투자풀은 사모펀드의 성격을 띄고 있어 자료를 구할 수 없어 연구를 할 수 없었던 사모펀드의 성과에 대해서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분석 결과 순자산 규모에 의해 가중 평균하여 하나로 통합된 펀드(전체 펀드)를 비교할 때 연기금투자풀 펀드는 공모 펀드에 비해 보수 차감 전(후) 기준으로 0.64%(1.84%) 정도 높은 연간 성과를 달성하였지만 4요인모형으로 분석한 운용 스타일 측면에서는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 간에 큰 차이가 존재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는 베타 성과 측면에서 유사하고, 둘째, 위험과 스타일 요인을 조정한 후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의 성과 차이는 대부분 알파 수익률 차이인데, 보수 차감 전에는 알파 수익률 차이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개별 펀드를 분석 단위로 하는 패널회귀분석 결과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 간에는 역시 유의적인 성과 차이가 존재하지만 펀드별 보수율 차이를 감안하면 성과 차이가 현저히 줄어들어 투자풀과 공모 펀드 간 성과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졌다. 연기금투자풀 자금을 운용하는 개별운용사는 여러 단계의 엄격한 평가를 거쳐 선정될 뿐만 아니라 운용현황을 주간운용사와 제도관리주체인 기획재정부가 상시적으로 파악하고 만일 운용성과가 계속 저조하면 자금을 회수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강력한 모니터링에도 불구하고 투자풀 펀드와 공모 펀드의 성과 차이가 보수율 차이를 조정하면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지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조사자료를 구하기 어려운 여타 기관투자자를 위한 사모펀드의 성과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는 연기금투자풀이 사모펀드를 완전히 대표할 수 없다는 점이라 하겠다. This study compares the performance and management style of Investment Pool active equity funds with those of public-offering active equity f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despite the importance of Investment Pools, no studies on their performance have been done yet. Second, it is difficult to study the performance and management style of privately-placed funds for institutional investors due to the lack of open data. However, the data for Investment Pools, which are one of the privately-placed funds for institutional investors, is relatively easier to access and, consequently,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the performance of privately-placed funds for institutional investors. Since Investment Pools are one of the most tightly monitored types of private-placement funds for institutional investors, they would be expected to outperform, on average, the public-offering funds. The test results, however, do not seem to support this hypothesis. Although the annual average return of the Investment Pool active equity funds is 1.84%p higher than that of the public-offering active equity funds,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more than 100bp difference in management fee, this difference is reduced to 0.64%p, which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compare the management styles of the two types of funds, both the 4-factor model of Carhart (1997) and the style analysis model of Sharpe (1992) a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the management styles of the two types of funds are not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except that the momentum exposure of the Investment Pool funds i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public-offering funds. The beta return performances of both the Investment Pool funds and the public-offering funds are found to be similar. Hence, the performance difference is mainly due to the alpha return difference, after the risk and style factors are adjusted for, and the alpha difference is significantly reduced if we consider the fee difference.

      • KCI등재

        주식형 펀드의 해지와 부의 이전

        하연정(Yeon Jeong Ha),고광수(Kwang Soo Ko) 한국증권학회 2012 한국증권학회지 Vol.41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모와 사모 주식형 펀드의 해지와 부의 이전 현상을 검증하였다. 먼저주식형 펀드의 해지 결정이 수익률 저하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펀드 투자 기간 만료에 따른다는 우리나라 펀드 시장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투자 기간 만료에 따른 펀드 해지의 경우 해지 기간이 다가오면, 운용사 입장에서 부의 이전 현상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공모와 사모 펀드의 해지 시자산 운용사의 행동을 검증하여 펀드 투자자와 운용사 간의 대리인 문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모와 사모 주식형 펀드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공모와 사모 펀드에 운용 전략적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주식형 펀드의 해지는 수익률 저하에 의한 것이 아니다. 셋째, 주식형 펀드의 해지 시 운용사 안에서 부의 이전 현상이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운용사와 투자자간의 대리인 문제로 해석될 수 있다. 부의 이전은 공모와 사모 펀드의 운용 전략 차이로 인해 그 형태가 달라진다. 공모 펀드의 경우에는 해지 펀드로부터 과거 성과가 높았던 펀드로 부의이전이 발생하고, 사모 펀드의 경우에는 과거 성과가 높았던 펀드로부터 해지되는 펀드로 부의이전이 발생한다. 또한 시장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양의 시장 수익률 기간에서만 부의 이전 현상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공모와 사모 펀드 사이에는 펀드 해지에 의한 부의 이전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wealth transfer between survival funds and funds to be liquidated in the process of liquidation. Public and privately placed equity funds a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fund family. We could not find any evidence that equity fund liquidation is due to inferior fund performance. Rather the maturity of investment period leads a fund to be liquidated, which is a unique feature in the Korean fund market. When funds are to be liquidated due to expiration of investment period, a fund family is likely to benefit from a strategy of wealth transfer between funds within a family during the liquidation period. We test for the existence of wealth transfer between funds as an agency problem by studying the behavior of fund family during the liquidation period. Ou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exist somewhat different investment strategies between public and privately placed equity funds. Second, the cause of fund liquidation is the expiration of fund investment period, not the under-performance of fund. Third, we find wealth transfer between survival funds and funds to be liquidated within a family. Wealth transfer must be an agency problem between fund investors and advisors. Different investment strategies between public and privately placed equity funds affect the type of wealth transfer taken by the fund family. For public equity funds, an advisor transfer wealth from the funds to be liquidated to the past winner funds among survival funds. For privately placed funds, wealth is transferred from the past winner funds among survival funds to the funds to be liquidated. As easily expected, such transfers occur when the market is in a good condition, not in a bad condition. Interestingly, we fail to find any evidence of wealth transfer between public and privately placed equity funds before liqui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