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50년, 그 역할과 역사적 의미

        김영희,윤상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3 언론정보연구 Vol.50 No.2

        이 연구는 2013년 3월 1일로 설립 50주년이 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가 한국 언론정보학의 발전에 어떤 역할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그 역사적 의미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언론정보연구소의 설립과정과 연구소가 전개한 주요 활동을 살펴보았다. 언론정보연구소는 1963년 3월 1일 기자 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매스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신문연구소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연구소는 설립 직후부터 5년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언론인 재교육을 실시했다. 이와 함께 한국언론학계에서 처음으로 내용 분석과 사회 조사 방법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연구활동을 수행했다. 1968년 기자 재교육 프로그램을 석사 학위 과정으로 발전시킨 신문대학원 설립 이후 신문연구소는 사회과학적인 연구 활동을 주로 전개했다. 1975년 신문대학원을 폐지하고, 사회과학대학 산하에 신문학과 학부 과정과 대학원 석·박사 학위 과정을 설치한 이후 언론정보연구소는 사회과학적 연구 학술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전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94년 3월 1일 언론정보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50년의 역사는 연구 활동, 학술지 발간, 국내외 학술 교류 활동 및 교육 기능 등 대학에 설립된 연구소의 본래 기능에 충실하면서 한국 언론정보학 연구를 선도해 온 역사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내용분석을 통해 본 『언론정보연구』 50년

        양승목,김규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3 언론정보연구 Vol.50 No.2

        『언론정보연구』는 국내 최초의 언론학 연구소인 서울대학교 신문연구소(현 언론정보연구소)에 의해 1964년 2월 『신문연구소학보』라는 제호로 창간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언론정보연구』의 창간 50주년을 맞아 동 학보가 지난 50년 동안 형식과 내용 면에서 어떻게 변해 왔는지 분석하고 그러한 변화가 제도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지난 50년을 다섯 시기로 나누어 『언론정보연구』의 발간정보 및 편집방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내용분석을 통해 게재 논문의 저자, 사용언어, 연구패러다임, 연구영역, 연구방법 등이 시기별로 어떻게 변해 왔는지 분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는『언론정보연구』가 지난 50년 동안 내부적으로는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의 제도적 변화와, 외부적으로는 언론학의 학문적 변화와 상호작용하면서 학보의 개방성과 게재논문의 이론적 · 방법론적 다양성을 확대해 왔음을 보여 준다.

      • KCI등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 교육 40년

        양승목(Seung-Mock Yang),김관호(Kwanho K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5 언론정보연구 Vol.52 No.2

        이 글의 목적은 1975년에 설립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의 창설 40주년을 맞아 언론정보학과의 커리큘럼 분석을 통해 학부 및 대학원 교육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매학기 서울대가 발간하는 수강편람에 기재된 학부와 대학원의 개설교과목을 분석함으로써 매년 학기별로 학부와 대학원에 어떤 교과목이 개설되었고 그것이 학년 또는 학위과정별로, 전공영역별로 어떻게 변해 왔는지 10년 단위의 네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지난 40년 동안 언론정보학과의 커리큘럼은 큰 폭의 변화를 겪었고 시기별로도 차이가 있었는데, 여기에는 대학의 교육정책, 학과 교수진의 변동, 미디어환경과 같은 사회적 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런 변화의 의미를 해석하고 미래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As 2015 mark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SNU Department of Communication, this paper serve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its communication education through examining both the undergraduate and the graduate program"s curriculums. In order to obtain data, all course catalogues published by the Office of Academic Affairs during the last four decad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consecutive time periods and analyzed to produce a complete list of course titles by calendar year, semester, class, and subject area.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urriculums have gone through a number of significant changes in process of time; the University"s education policy, the Department"s faculty line-up, and social chang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were the major influential factors. The meanings of the abovementioned changes and the orientation of future education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언론학 교육에 있어서 실무와 이론의 이분법을 넘어서 : 서울대 언론학 교육 30년을 중심으로

        강명구(Kang Myung-Koo),윤상길(Yoon Sang-Gil)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05 언론정보연구 Vol.42 No.1

        지식정보사회로 이행하는 사회적 변화, 정보테크놀로지와 산업의 변화, 저널리즘의 변화 등 언론정보학을 둘러싼 사회환경의 변화는 언론학 교육의 목표와 실천에 커다란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 학부 교육 30년을 되짚어 봄으로써, 자기 혁신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를 성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지난 30년간 커리큘럼의 변화와 그 거리 큘럼에 대해 학생들이 실제로 어떤 과목을 수강하였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기존의 언론학교육을 둘러싼 논쟁, 특히 실무와 이론교육에 대한 논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무교육에 대해서는 현장이 요구하는 인재의 능력이 무엇인지에 관해 보다 정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론중심 교육에 대해서도 대학원에 진학할 학문후속세대를 위한 커리큘럼과 언론과 정보통신 산업 현장으로 진출할 인력을 위한 이론중심 교육을 명확히 구분하고 그 내용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실무와 이론교육을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형성적 학습과 현장지식 (hands-on knowledge)의 교육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surrounding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such as the advent of a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industries and changes of journalism, demand responding changes in the realm of communication education. By reviewing curriculum changes of th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etween 1975 and 2004, this study aims to discover a way to innovate communication education. This study reviews disputes on the roles of communication education, whether it should more focus on practical knowledge or theoretical knowledge. After comparing pros and cons of educational focus of the two opposing camps, this thesis suggests an alternative way to perceive communication education, which emphasizes 'formative learning' and 'hands-on knowledge' as its important elements. By doing so, this study will offer a way to integrate the two opposing perspectives and overcome the dichotomy.

      • KCI등재

        오정보(misinformation), 왜 믿는가? 어떻게 정정할 것인가?: 오정보와 그 정정에 대한 이론적 검토

        황현정,김장원,이효은,서유지,고예나,양소은,김현석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0 언론정보연구 Vol.57 No.4

        Misinformation, boosted by mass media and social network sites, is disseminating farther and faster than ever before, affecting millions. Despite the deleterious consequences of the spread of misinformation, such as engendering ill-informed voting behaviors and misleading health related beliefs, there has been insufficient discussion on the ramifications of and solutions to this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 examin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acceptance and correction of misinformation by systematically review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from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science; and (b) propose effec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s to correct misinformation. Our literature review suggests that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source (source credibility), message (processing fluency, familiarity, coherence, narrative), channel (modality, synchronicity, affinity), and receiver (skepticism, preexisting beliefs, news literacy) aspects of communication may affect the extent to which people believe misinformation. Once misinformation is accepted, it tends to continue to shape the message recipient’s beliefs and attitudes, making its correction difficult. However, carefully-crafted corrective messages can reduce the negative influence of misinformation. Specifically,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corrective messages should aim at undermining the persuasiveness of and replacing the mental models formed by the misinformation. We conclude by recommending four strategies to design effective corrective messages: (a) employ a reliable information source, (b)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to replace the existing mental model, (c) activate the recipients’ skepticism, and (d) focus on forewarning before exposure to misinformation alongside post-exposure corrective efforts.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로 대표되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 속에서 오늘날 오정보(misinformation)는 과거보다 더 빠르게 더 광범위하게 확산하고, 더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오정보는 민주주의와 지식체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아직 국내에서는 오정보의 영향과 그 정정 방안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상대적으로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학과 심리학의 이론적·실증적 연구들에 대한 문헌 검토를 바탕으로 오정보의 수용과 정정의 과정과 원리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효과적인 오정보 정정 방법을 도출했다. 구체적으로, 사람들이 오정보를 믿게 되는 이유와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정정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정보원’, ‘메시지’, ‘채널’, ‘수용자’의 커뮤니케이션 요소별로 나누어 검토했다. 오정보가 믿음직한 정보로 수용되는 데는 (1) 정보원의 공신력, (2) 메시지의 정보 처리 용이성과 친숙도, 일관적인 논증 구조, (3) 전송 양식, 동시성 및 친밀감과 같은 채널과 관련한 속성들, (4) 수용자의 선유 신념과 회의주의적 태도, 뉴스 리터러시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관련 요인이 영향을 미침을 확인했다. 아울러, 기존 연구들은 이렇게 한번 진실로 받아들여진오정보는 이후 수용자의 추론 과정과 태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정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동시에, 비록 오정보 노출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는없지만, 오정보 정정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체계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오정보의 부정적 영향력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다는 점 또한 시사한다. 대표적으로, 오정보의 설득력을 줄이고, 오정보로 형성된 심성모형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적인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메시지 전략이 여러 연구들에서 강조되어왔다. 오정보를 효과적으로 바로잡기 위해서는 정정의 원리를 이해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변인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에서 이 연구는 효과적인 오정보의 정정 방법으로 (1) 공신력 높은 정보원을 제시할 것, (2) 심성모형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 정보를 제공할 것, (3) 수용자의 회의주의 성향을 활성화할 것, (4) 사후 정정보다는 사전 경고를 활용할것을 제안했다.

      • KCI등재

        실용주의적 목적과 발전주의적 역사관의 만남

        이정훈(Junghoon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6 언론정보연구 Vol.53 No.2

        이 글은 한국의 언론학계에 미국 저널리즘사 연구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기 위해 2005년부터 2014년까지 미국에서 발간되는 언론사 전문 학술지 American Journalism과 Journalism History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저널리즘사 연구의 최신 동향은 언론과 민주주의의 관계와 언론의 자유를 강조하는 언론학 전통 속에서 발전주의적 역사관에 입각하여 모범적인 언론인에 대한 전기적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1960∼1970년대 사회사적 전환을 시도한 이래로 인종과 젠더 문제를 다룬 연구가 많이 늘어났으나 그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전통적인 저널리즘사 연구의 특성으로부터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과 민주주의의 관계 및 언론의 자유에 대한 강조, 사회사적 전환 이후 인종과 젠더 등 정치·사회적 문제에 관한 관심 등은 저널리즘사 연구 풍토가 상대적으로 척박한 한국의 언론학계에 적지 않은 함의를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특히, 저널리즘사 연구 성과와 저널리즘 교육 간의 연계가 오랜 전통으로 자리 잡고 있는 미국의 상황은 언론과 언론인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커져가는 한국에서 언론인 교육 및 재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zes articles published from 2005 to 2014 in the professional journalism history journals, American Journalism and Journalism History, in the United States to report the latest trends in the American journalism history research. As a result,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latest trends in American journalism history consist mainly of biographical approaches to exemplary journalists based on the progressive view of history in the journalism tradition that emphas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ism and democracy and freedom of the press. Since the 1960s and 1970s when the transition in social history was attempte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dealing with race and gender, but they do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ournalism history research. Nevertheless, the empha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ism and democracy and freedom of the press, together with the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such as race and gender since the transition of social history can be assessed as having much implications for the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academia of Korea where the journalism history research is relatively poor. In particular, the situation in the US where a long tradition of the link between the journalism history research and journalism education exists will have greater implications on training and retraining of the journalists in Korea where a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press and journalists has been growing.

      • KCI등재

        한국언론학 개척자 임근수 박사의 학문적 생애와 업적

        차배근(Bae Keun Cha)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언론정보연구 Vol.56 No.2

        이 논문은 우리나라 언론학의 4비조 중 한 명으로 특히 언론사 연구 분야의 개척자였던 희관 임근수 박사 서거 40주년을 맞아 그의 학문적 생애와 업적을 간단히 살펴본 뒤에, 언론사에 대한 그의 연구목적과 사관, 연구입장, 연구방법 및 그가 우리나라 언론사 내지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의 발전에 끼친 공헌 등을 조명해 보고자 것이었다. 희관 임근수 박사는 이 땅에 ‘언론학’이라는 새로운 학문분야를 탄생시키고 발전시키는데 주역을 담당하였다. 또한 그는 여러 권의 저서와 40여 편의 논문들을 발표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언론학의 방향, 과제, 연구방법 등을 제시해 줌으로써 우리나라 언론학 연구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특히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의 선도자이자 대표적 학자로서 크게 공헌했다. 첫째 그는 언론사 연구대상을 신문사에서부터 매스 커뮤니케이션사로, 다시 커뮤니케이션사로 확대발전시켜 주었다. 둘째로 커뮤니케이션사의 연구범위도 종래의 송신자 중심의 연구에서 탈피해서 메시지와 그 전달과정, 수용자, 효과 분석 등 커뮤니케이션 과정 전반에 관한 역사적 연구로 확대, 발전시켜 주었다. 셋째로 커뮤니케이션사의 연구 범위를 공간적 즉 지역적으로도 넓혀서 우리나라 언론학도들의 시야를 넓혀주었다. 넷째로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에서 사관정립을 위하여 신민족주의 사관을 제시해 주었다. 다섯째로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사의 시대·시기를 어떻게 구분해야 할 것인지도 제시해 주었다. 여섯째로 커뮤니케이션사 연구방법으로 사회학적 연구방법도 제시해 주었다. This paper is to commemorate the 40th demise anniversary of Professor Lim Keun-soo, one of the famous forerunners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education in Korea. It is, however, not merely to honor him but to learn from him academic spirit and viewpoint, studious attitude, intellectuality, scientific knowledge and methods and so on, which play significant roles in studying communication. In this paper, therefore, more than forty scholarly publications of Dr. Lim were reviewed and analyzed elaborately. In result, it revealed that Dr. Lim left behind remarkable academic achievements and made valuable contributions especially to the studies of Korean communication history. Among the major contributions to Korean communicationn studies are to (1) expanding its subject from newspaper history to all kinds of media communication history; (2) scaling up its status from communicator-centered history to communication process-centered comprehensive history; (3) building up or establishing the historical view of communication history by suggesting Son Jin-Tae’s New Nationalism; (4) making periodization of Korean communication history into period, age, era and (5) applying and implementing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research of communication history. 이 논문은 우리나라 언론학의 4비조 중 한 명으로 특히 언론사 연구 분야의 개척자였던 희관 임근수 박사 서거 40주년을 맞아 그의 학문적 생애와 업적을 간단히 살펴본 뒤에, 언론사에 대한 그의 연구목적과 사관, 연구입장, 연구방법 및 그가 우리나라 언론사 내지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의 발전에 끼친 공헌 등을 조명해 보고자 것이었다. 희관 임근수 박사는 이 땅에 ‘언론학’이라는 새로운 학문분야를 탄생시키고 발전시키는데 주역을 담당하였다. 또한 그는 여러 권의 저서와 40여 편의 논문들을 발표하면서 우리나라에서 언론학의 방향, 과제, 연구방법 등을 제시해 줌으로써 우리나라 언론학 연구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특히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의 선도자이자 대표적 학자로서 크게 공헌했다. 첫째 그는 언론사 연구대상을 신문사에서부터 매스 커뮤니케이션사로, 다시 커뮤니케이션사로 확대발전시켜 주었다. 둘째로 커뮤니케이션사의 연구범위도 종래의 송신자 중심의 연구에서 탈피해서 메시지와 그 전달과정, 수용자, 효과 분석 등 커뮤니케이션 과정 전반에 관한 역사적 연구로 확대, 발전시켜 주었다. 셋째로 커뮤니케이션사의 연구 범위를 공간적 즉 지역적으로도 넓혀서 우리나라 언론학도들의 시야를 넓혀주었다. 넷째로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사 연구에서 사관정립을 위하여 신민족주의 사관을 제시해 주었다. 다섯째로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사의 시대·시기를 어떻게 구분해야 할 것인지도 제시해 주었다. 여섯째로 커뮤니케이션사 연구방법으로 사회학적 연구방법도 제시해 주었다. This paper is to commemorate the 40th demise anniversary of Professor Lim Keun-soo, one of the famous forerunners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education in Korea. It is, however, not merely to honor him but to learn from him academic spirit and viewpoint, studious attitude, intellectuality, scientific knowledge and methods and so on, which play significant roles in studying communication. In this paper, therefore, more than forty scholarly publications of Dr. Lim were reviewed and analyzed elaborately. In result, it revealed that Dr. Lim left behind remarkable academic achievements and made valuable contributions especially to the studies of Korean communication history. Among the major contributions to Korean communicationn studies are to (1) expanding its subject from newspaper history to all kinds of media communication history; (2) scaling up its status from communicator-centered history to communication process-centered comprehensive history; (3) building up or establishing the historical view of communication history by suggesting Son Jin-Tae’s New Nationalism; (4) making periodization of Korean communication history into period, age, era and (5) applying and implementing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research of communication history.

      • KCI등재

        언론 위기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언론 연구자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유용민(Yong-Min Ryu)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1 언론정보연구 Vol.5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언론 위기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언론 위기 담론에 대한 향후의 언론학적 도전 과제가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00년대 이후 폭증한 일련의 언론 위기론에 관한 언론 연구자들의 인식과 전망을 질문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심층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한국 언론의 위기 담론의 문제적인 성격들을 주제화하고 언론 위기 담론의 위기 구성성과 정치성을 토의하는 한편 언론 위기 담론에 대한 언론학 실천의 향후 방향과 도전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언론 위기가 언론학의 중요한 탐구 대상이라면 동시에 언론 위기에 대한 담론 또한 비판적인 성찰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우리 언론 위기 담론의 맹점을 돌아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ws media crisis discourse, and to explore the future academic challenges for elaborating news media crisis discourse.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asking media researchers" perceptions and prospects on a series of the crisis discourse of news media that have exploded since the 2000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his researcher thematicize the probl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crisis discourse of the Korean news media and discuss the crisis-constitutiveness and political effects of the media crisis discourse and the future directions and challenges of elaoborating it. If the press crisis is an crucial subject of journalism Studies, the discourse on it must also be the essential subject of critical refle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looks back at the blind spots of so far press crisis discourse.

      • KCI등재
      • KCI등재

        언론사의 비용 투자와 음성적 사업 전략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2011년~2020년 패널 데이터 분석

        고문정(Moonjung Koh)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2 언론정보연구 Vol.59 No.1

        이 연구는 한국 언론 위기론이 공공성과 상업성의 양면성, 상업성을 숨기려고 하는 이중성에서 비롯되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언론의 사회적 역할과 경제적 활동을 결합하고자 뉴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들이 경영 성과와 어떤 관계를 맺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뉴스 생산에 대한 투자와 언론사가 획득하는 주목, 한국 언론사들이 공공연히 활용하고 있는 음성적 사업 전략(기사형 광고·종이신문 시대의 영향력 유지·저품질 뉴스 생산)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음성적 사업 전략이 투자와 경영 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29개 언론사의 10년 간 패널 자료 분석결과, 투자액과 월간 순이용자수가 증가하면 매출액이 증가했고, 기사형 광고와 종이신문 발행부수가 증가하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으며, 저품질 뉴스 생산은 영업 이익 증가로 이어졌다. 음성적 사업 전략들은 투자액과 매출액의 관계를 조절하여 투자 대비 수익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언론사들이 투자와 사업 전략을 선택하는 모형을 경영 목표와 뉴스 품질 추구 정도에 따라 정리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음지에 있어 적극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던 언론사의 사업 전략들을 고려하여 한국 언론의 사업 모형에 대한 실증적 논의를 다소 진전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hypothesis that the Korean media crisis stems from the duality of news agencies attempting to hide their commercialism while pursuing profit. To connect commercialism and journalism, this study first verifies the effect of media companies" investment and attention on the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the financial commitment model and the influence model of the newspaper business. Also, the influence of shady business strategies such as undisclosed sponsorship, perpetuating the influence of the print era, and producing low-quality news, are analyzed on the investment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news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panel data analysis of 29 media companies for the period 2011-2020, the sales increased as the investment of media companies and the monthly active users increased. In addition, the more the undisclosed sponsorship and print circulation, the more sales and profit increased, and the more violation of the codes of ethics, which indicates low-quality news, the more the profit increased.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stment and a firm’s performance could be influenced by shady business strategies. This study, as an attempt to combine the social role of the journalism practice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has advanced the empirical discussion on the business model of the Korean news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