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한 공공건물 내부 길 찾기 용이성 연구 - 중국 내 공공 도서관을 중심으로 -

        장윤호,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Since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rapid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profoundly impacted the domains of spatial digitization and spatial cognition. This is especially significant in public buildings and libraries, where the spatial structure and visual accessibility in emergency evacuations play a critical role. Although China has the largest number of public libraries in the world, their evacuation structures' characteristics are not fully reflected, leading to fire safety issue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analyze the spatial structure and visual accessibility of Chinese public libraries through the lens of Space Syntax theory, based on the principles of wayfinding behavior. Moreover, by comparing libraries from different construction periods,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spatial functionality and wayfinding convenience of public libraries over time. (Method)The study organized the concepts of relevant variables and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and prior research. Furthermore, based on the standards of first-class libraries in China, Dongguan Library in Guangdong Province, Jinling Library, Nanjing Library, Dongtai Library, and Shanghai Librar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or Space Syntax analysis. The data obtained through DepthMapX and VGA method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software, revealing the impact of spatial structure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on wayfinding behavior in public libraries. (Results)The elements of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as ease-of-wayfinding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the understanding of public library spaces. Analysis of cases over time showed that public libraries built after 2010, compared to those built before 2010, exhibited an increasing trend in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This suggests easier wayfinding and enhanced spatial understanding. Spaces with specific functions such as children's areas, disabled loan rooms, and comprehensive service desks on the ground floor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structural clarity and visual accessibility. However, spaces with relatively fixed functions like public e-reading rooms, study areas, book and magazine lending zones, and offic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se aspects. (Conclusion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spatial digitization by capturing the data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spaces and providing quantitative public space data for design methods influenced by data technology. Additionally, to enhance wayfinding convenience in public library spaces, it aims to identify core elements applicable as design factors in public libraries and proposes guidelines for wayfinding convenience. This meaningful attempt is hoped to serve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future data-driven design support in public building wayfinding convenience. (연구 배경 및 목적) 21세기를 맞아 빅 데이터(Big Data),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같은 정보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공간 데이터화와 공간 인식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공공건물, 공공도서관에서는 비상 상황에서의 효율적인 대피에 관한 공간의 구조와 시각적 접근성은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중국에는 세계 최다수의 공공도서관이 존재하지만 대피구조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어 소방안전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해 길 찾기 행동 이론에 기반 한 중국 공공 도서관의 공간 구조와 시각적 접근성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건설 시기에 따른 비교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기능과 길 찾기의 용이성에 대한 시기별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이론적 고찰과 선행 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중국공공 도서관에 대한 중국1급도서관 기준을 바탕으로 광둥성(廣東省), 장쑤성(江蘇省), 상하이시(上海市) 세 지역의 동관(東莞)도서관, 금릉(金陵)도서관, 난징(南京)도서관, 동대(東台)도서관 및 상하이(上海)도서관동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공간 구문론 분석을 수행하였다. DepthMapX와 VGA 방법을 통해 얻은 데이터에 대해 SPSS통계 프로그램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 길 찾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다. (결과)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라는 길 찾기 용이성의 요소는 공공 도서관의 공간에 대한 이해도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순서로 사례 분석한 결과, 2010년 이후 지어진 공공도서관의 경우 2010년 이전에 지어진 공공도서관에 비해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에 있어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길 찾기가 더욱 용이해진 것을 의미하며 공간에 대한 이해도 또한 높아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정 기능을 가진 공간인 어린이, 장애인용 대출실, 종합 서비스 데스크가 위치한 1층 공간은 구조의 명료도와 시각적 접근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공공 전자 열람실, 자습실, 도서, 잡지 대여구역 및 업무 사무실 등 상대적으로 고정된 기능을 가진 공간은 구조적 명료성과 시각적 접근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공간 데이터화에 대응하여 공공도서관 공간의 데이터 특성을 파악하고, 데이터 기술로 인해 변화하는 설계 방법에 대하여 정량화된 공공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또한, 공공도서관 공간에서 길 찾기의 용이성을 향상하고 공공도서관 설계 요소로 적용될 수 있는 핵심적 요소를 파악하여 길 찾기 용이성에 관한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의미 있는 시도는 향후 데이터화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공공건물의 길 찾기 용이성 설계에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영국 공공도서관의 운영 및 서비스에 관한 연구

        김영석 한국문헌정보학회 200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No.2

        Follow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United Kingdom achieve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earlier than other countries. The British people, who gained free time, wanted to have library services. Thus, the central government established the Public Libraries and Museums Act in 1850, which was the first in the world. The local government began to establish public libraries using tax income and provided free library services. At present, the operation and services of British public librari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exemplary, compared to South Kore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U.K. developed their public library operations and services, and how they operate public libraries. 영국은 산업혁명을 통하여 다른 나라들 보다 일찍 정치․경제․사회적으로 발전하였고, 시민들의 생활이 여유로워지면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자, 1850년에 세계 최초로 국가차원의 도서관(및 박물관)법을 제정하여 세금으로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고, 무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현재도 영국의 공공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다른 개발도상국과 비교해서 발전되어 있고, 모범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의 중앙 및 지방정부가 공공도서관 운영 및 서비스를 어떻게 발전시켜 왔고, 현재는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 KCI등재

        공공도서관 공론장 경험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연구

        이연옥,강영아,장덕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4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library public forums, which are conducted as a part of the library’s information services, affect users’ perception of libraries. We analyzed the variations in users’ perception of libraries based on their participation in public forums held by the public librari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users from the Seongbuk Public Libraries in Seoul, which hold public forums. It was discovered that users’ perception of public libraries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attended the library’s public forums or not. The study revealed that users who participated in library public forums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ublic librarie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Specifically, users who participated in public forums exhibited a deeper comprehension of the library’s roles, higher trust in the library, and a greater willingness to visit the library. In addition, we found that user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public forums in libraries and expressed a high level of interest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m.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library public forums on users’ perception of libraries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information services that are based on public forums. 본 연구는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일환으로 수행한 도서관 공론장이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에 어떠한 변화를 만들어내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 공론장의 경험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도서관 공론장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 성북구립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이용자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은 도서관 공론장 경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서관 공론장을 경험한 이용자가 비경험자에 비해 도서관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공론장을 경험한 이용자의 도서관 역할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으며, 도서관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도서관을 이용하려는 의지 또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더해, 이용자들은 도서관 공론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용자의 공론장에 대한 기대 수준과 참여의지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에 있어서 도서관의 공론장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공론장과 연계된 정보서비스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발전 방향 연구

        권지은 ( Kwon Jieun ),권기윤 ( Kwon Giyoon ),박현주 ( Park Hyunj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2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beyond the place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education centered on books is demanding the symbol of the community and the value as a cultural community space. Accordingly, public libraries are developing in the form of complex cultural spaces to revitalize the reg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ublic library to provide the central point of the development of unique culture and arts in a specific region and to create a cultural ident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ublic libraries for local cultural branding through the study of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Method) First, we studies the concept of public library, the role related to the community, and the meaning of the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based on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Second, we analyzes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public libraries operating as complex cultural spaces. Thir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Results) The functio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can be linked to the function of a public library by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ism, complexity, expertise, participation and accessibility.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participation among the five characteristic elements was the highest, which could see the importance of encouraging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oviding various programs and spaces. The next high level of complexity and accessibility conforms to the meaning of a complex cultural space in that you can experience various values in an easily accessible space. Symbolism was rated as the highest scale in all cases. Based on this symbolism, the public library as a cultural complex will be able to be a landmark that accentu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thus gain the value of the tourism industry as well as the influx of people from other regions. (Conclusions) Public librar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can be landlocked and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al spaces by developing contents of cultural space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and providing profess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rchitecture that serves as the hardware of space should be unique, and the operating program that is the software should meet the user's requirements. Variety, a characteristic of complex cultural spaces, needs to be applied to the spatial composition and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conclusion, the pursuit of directionality, which fused the role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composite cultural space while maintaining the basic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is expected to help promote the local branding and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 KCI등재

        공공도서관 공간 특성에 따른 공간 유형 및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육지혜,김기영 한국정보관리학회 2016 정보관리학회지 Vol.33 No.1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have been diverse not only provision of information but also provision of cultural programs. According to this tre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have been also changed to reflect the diverse roles.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public libraries with two objectives: 1) to suggest spatial type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2)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types and users’ perception.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we adopted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as research methods. Consequently, three spatial types of public libraries are identified based on an investigation of several public libraries: divided, partially integrated, and integrated. Then,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re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data. The results from the statical analyse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rs’ perceptions and behaviors between the spatial types. That is, the spatial type influences user’s percep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its first attempt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atial factors in libraries and users’ perceptions. Based on this, it is suggested that libraries should consider their spatial structures for developing user’s positive perception on the libraries. 오늘날 공공도서관은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문화생활 기능 제공 등 그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도서관 공간 역시 도서관의 서비스를 반영해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서관 공간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서관 공간과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간 상관관계를 탐색하고, 도서관의 물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도서관 공간 유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관찰조사 및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관찰조사 결과, 도서관의 공간 유형은 ‘분리형’, ‘부분통합형’, ‘완전통합형’ 세 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공간 유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공간 유형에 따라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과 이용 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도서관의 공간 구성에 따라 도서관 공간을 유형화할 수 있으며, 공간 유형이 이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고려되지 않았던 도서관 공간과 도서관 인식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공공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도서관 공간 구성을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작은도서관 입지평가기준 제안- 경기도 안산시 공립 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

        김유진,김용승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1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73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location evaluation standard suitable for public small libraries. For this, it has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the location analysis of similar public facilities and the location evaluation standards for public small libraries. The location analysis of public facilities examined exploring optimal locations and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prearranged locations. In the location evaluation standard for public libraries, their location had to have efficiency and equitability for using them. The determining factors for library buildings are location, accessibility, location-scale, and lo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gal standards and regulations, the factors concerning public small libraries such as service areas, the population of service, the role type, and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the public library’s. Therefore, location evaluation standards to be used for public small libraries have to differ from the public library’s. It can be said that location evaluation standards for public small libraries are based on existing standards for the public library. The determining factors for it are accessibility, demand/duplication, and connectivity. Furthermore, to confirm the findings, this study was applied to public small libraries in Ansan, Korea. In conclusion, the location evaluation standards for public small libraries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acceptably used for the planning of public small libraries.

      • KCI등재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본 시드니 공공도서관 디자인 특성 연구

        김희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정보센터이자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자들에게 열린 공공공간으로서 발전하였다. 또한, 도시 내 사회적 교류, 즐거움을 공유하는 일상적 공공공간인 ‘제3의 공간(The Third Place)’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국내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연령대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시설로 계획하고 있지만, 도시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사업 대상지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용자의 물리적 접근성이 좋지 않은 곳에 새롭게 건립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업시설의 공공화 전략으로 인해 공공도서관의 활용 및 가치가 낮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공공도서관을 위한 디자인 특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범위 및 방법) 공간적 범위는 시드니 공공도서관 5개 관으로 한정하고,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도시 및 건축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고찰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및 현황조사, 현지 담당자 인터뷰, 도면 및 현황사진 등을 활용한다. (결과) 첫째, 5개의 프로젝트 모두 접근성 항목에서 매우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배경에는 도심지역 내 공원, 상업시설과의 직접적 연계를 주요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입지성 항목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이는 기존 시설의 재활용 혹은 지역 재활성화 프로젝트와 연계되어 있다. 둘째, 환경성 측면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평가를 받았다. 이는 분석 사례들이 현대 공공도서관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을 상대적으로 공간 활용성과 접근성 측면을 더 중시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시드니 공공도서관 디자인 특성 도출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첫째, 대규모 단일형 도서관 건립이 아닌 중·소규모의‘지역 밀착형 공공도서관’이다. 둘째, 지역사회의 수요를 고려한 ‘지상 1층의 다목적화’이다. 현대 공공도서관은 도서관의 주 기능이 축소됨과 함께 도서관은 다양한 목적을 수용할 수 있는 복합공간으로 변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서관 중심의 디자인이 아닌 ‘이용자 배려형 디자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시드니 공공도서관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고, 이는 향후 건립될 국내 공공도서관 기본계획 및 디자인 방향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public libraries have evolved into a public space that serves as an information center for local communities and is open to users of all ages. They also play the role of a "third place," a common public space for social interaction and enjoyment in urban areas. However, while public libraries in Korea are designed to be facilities that all age groups can freely access, they are often built in areas with poor physical accessibility due to the difficulty of securing a business location in densely populated urban areas. In addition,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facilities has led to a decrease in the utilization and value of public librar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public libraries. (Method) The spatial scope is limited to five public libraries in Sydney, and they a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in terms of urban and architectural aspects.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literature and surveys, interviews with local officials, and the use of drawings and photos. (Results) First, all five projects received an excellent evaluation in terms of accessibility. This is due to their direct linkage with parks and commercial facilities in urban areas. In addition, they received a high evaluation in terms of location suitability, which is linked to the reuse of existing facilities or local revitalization projects. Second, environmental aspects received a relatively low evaluation. This can be seen as the analyzed cases emphasize spatial utilization and accessibility rather than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of modern public libraries. (Conclusions) This study aimed to deriv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public libraries in Sydney. First, it is a "regionally focused public library," which is not a large-scale single type of library but a medium and small-scale library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local community. Second, it is a "multipurpose space on the first floor" that considers the demands of the local community. Modern public libraries should evolve into a multi-functional space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purposes as the primary function of the library is reduced. Lastly, it is a "user-oriented design" rather than a library-centered design. Through this study, the sustainable design characteristics of Sydney public libraries were derived,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basic plan and design direction of public libraries to be built in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

        해외 공공도서관 공간구조의 특성 고찰 - IFLA ‘올해의 도서관’ 수상작 및 2018년 이후 우수사례로 소개된 해외 공공도서관 중심으로 -

        박영애,임채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Background and Purpose)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library is the starting point of library construction to achieve the library’s purpose. Libraries must provide knowledge and culture to a variety of users and provide them with various experiences by creating spaces that fit the intended purpose of the library. Initially, many public libraries in Korea were constructed with a closed spatial structure centered around study rooms, rather than providing diverse purposes and experiences. However, many public libraries in Korea have recently been transformed into open-space structures, similar to public libraries overseas. Open-space structures enhance users’ freedom and familiarity in accessing materials, and provide diverse experiences in expanded spaces. Therefore, the spatial changes in domestic public libraries signify that libraries have evolv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In this regard, it is valuable to understand the role of transformed librari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open-space structures in overseas public librarie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future construction and remodeling plans of domestic public libraries. (Method) An overseas website that showcases the winners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s “Library of the Year” award and outstanding architectural works introduces libraries opened since 2018 with a floor area between 2,500㎡ and 5,500㎡. They analyzed the floor plans and other materials of these libraries to classify their spatial structures into core, open plans, and layout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 Recently, overseas public libraries have pursued more diverse openness in their open space design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is trend, a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libraries selected as the “Library of the Year” by IFLA and two libraries that have opened since 2018, as introduced on overseas website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diversity of spatial structures is evident in recent overseas libraries. (Conclusion) In modern society, boundar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blurred in various fields and new spaces are created through convergence. Recently, the goal of establishing public libraries in Korea has been to create an open library for everyone and develop it as a space for the local community. This openness facilitates social interactions and the expansion of experiences, making the library a public place accessible to more people. Therefore, as a public good, the library should be based on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trends of the times and should implement diverse roles by creating a social hub within the library space.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영아 대상 서비스와 북스타트의 관계 분석

        김수연 한국문헌정보학회 201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4 No.4

        This study analyzed the services of libraries for babies and toddlers and the possibilities of service expansion through Bookstart program as a cooperative system for libraries. This study shows how users change their way of using librarie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ervices of libraries for toddlers by implementing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the analysis of library statistics. Results show that most of library users (98.8%) expressed the need for Bookstart program. Respondes also said that libraries, rather than other institutions, should be the place where the program is to be implemented.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library users, we also find that they think that the age of the first use of a library is more appropriate for toddlers than kindergarten-ages. We also found that library users who participated in a Bookstart program had a positive change in the way they used libraries. After participating in Bookstart programs, many changes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perception of babies, reading habits of parents, and users’ perception of libraries. After introducing Bookstart program, one city library’s membership enrollment rates of babies and toddlers increased from 7.1% to 26.2%. But the rate for another city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was shown at 4.3%.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troduction of Bookstart program would bring changes and expansions to the functions of libraries and the sometimes inflexible attitudes of library users. The study examined Bookstart program as a cooperative system for libraries by changing the perception of library users and activating the services of libraries for babies and toddlers.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영아 대상 서비스와 북스타트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도서관 이용자의 북스타트에 대한 인식 조사, 둘째, 도서관 이용자의 북스타트 참여 이전과 이후 도서관 이용 행태 변화 분석, 셋째, 북스타트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들이 북스타트 참여 이전과 이후에 아기와 이용자 자신의 변화, 그리고 도서관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이다. 넷째, 북스타트 도입시 도서관의 영아 이용자 등록률 향상 여부이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북스타트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의 이용자 1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는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도입 지자체와 미도입 지자체 어린이 도서관의 영아 이용자 등록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을 처음 이용하기에 적합한 시기는 영아기 74명(54.7%)와 유아기 70명(45.4%)이라고 응답했다. 도서관 이용자들은 북스타트의 취지에 적극 동의하고 있었으며(98.8%), 북스타트 사업을 도서관에서 시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응답했다(96.9%). 둘째, 도서관 이용자들이 북스타트 사업에 참여하는 경우, 참여 이전과 이후에 도서관 이용 횟수 및 도서관 이용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북스타트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들이 북스타트 참여 이전과 이후에 아기가 책을 좋아하는 정도, 이용자 자신이 책을 좋아하는 정도, 아기의 독서와 육아 정보 획득, 동아리 및 자원 활동으로 삶에 활력소가 생긴 정도 등 도서관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하게 변화하였음을 분석하였다. 넷째, 북스타트를 도입하기 이전 영아등록률이 7.1%에 불과하던 A시 어린이 공공도서관이 시행 이후 26.2%로, 19.1%포인트가 증가한 반면 북스타트를 도입하지 않는 C시 어린이 공공도서관의 경우 4.3%에 불과하여, 두 기관 간 영아등록률은 약 15%포인트 가량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영․유아 대상의 책놀이를 중심으로 한 북스타트가 도서관의 영아서비스와 연계되어 영아 대상 서비스를 활성화함은 물론 도서관의 기능 확장 및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여지가 높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형 공공도서관의 보이드 공간 계획 특성

        문은미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sign of void spaces in public libraries today which activates public spaces as they combine with original programs in them. As they are built as the large scaled complexes of cultural and public facilities, public libraries tend to have void spaces which act as central attraction to provide spectacle and symbolic identity to visitors. As case studies, the study analyzes the design characters of these void spaces in five recent built and internationally well-known public libraries, Amsterdam Central Library, Stuttgart City Library, Library of Birmingham, Tianjin Binhai Public Library, and Qatar National Library. The study finds the followings as the results. First, the void spaces are designed in three forms, the plaza style, the corridor style, and the theater style. Although these three forms identify characters of void spaces of the libraries, they tend to merge into one void space as the size of the library becomes big. Second, the void spaces in space composition have the single layout style, the central layout style, and multi-layout style. The single layout style is found in the big sized library, while the central layout style tends to combine with vertical open space in the middle of the library. Third, the void spaces of the libraries have the functions of transition, congregation, and connection. The void spaces tend to be inner plazas and corridors where visitors transfer from public domain to private domain and from dynamic space to static space. The void spaces are also a large single space where visitors find ways as well as meet various book stacks and reading spaces in the libraries as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new technology of media and interfaces. The void spaces often shape like theaters with stages in the centers and stepped reading areas in the edges. Public libraries, today, have huge void spaces with bold and strategic design. Thus they build public domain in-side and combine book stacks and reading area in the spac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ology and the design character of the void spaces in public libraries and suggests new design approaches of the libraries in current speedy technological and social changes. 오늘날 대도시의 도서관은 대표적인 문화시설이자 공공시설로 대형화, 복합화 되면서 마치 쇼핑몰이나 복합상업시설처럼 대형 보이드 공간이 적용된 사례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방문자들에게 흥미로운 스펙터클을 제공하는 입체적인 보이드 공간은 도서관 고유의 프로그램과 유기적으로 통합됨으로써 현대도시의 공공영역으로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상징적 중심이자 공공 영역인 보이드 공간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도서관에 적용되는 보이드 공간의 계획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문헌조사를 통해 도서관에 적용되는 보이드 공간의 개념과 역할을 조사하여 도서관의 보이드 공간을 광장형, 가로형, 극장형 세 가지 유형으로 정의하였다. 최근 10년 이내에 완공된 공공도서관으로 국제적인 지명도가 있는 건축가가 설계한 암스테르담, 슈투트가르트, 버밍엄, 천진 빈해 공공도서관과 카타르 국립도서관, 5개관을 대상으로 보이드 공간에 대한 사례조사와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보이드 공간 계획의 특성을 아래와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도서관은 광장형, 가로형, 극장형 특성을 가지는 중심적인 보이드 공간에 도서관 고유의 정체성을 표현한다. 도서관의 보이드 공간은 서가와 열람공간으로 둘러싸여 경계를 형성한다. 둘째, 보이드 공간은 이용자가 순환하거나 관통하면서 책과 열람석으로 둘러싸인 개방적이고 연속적인 실내경관의 변화를 체험하도록 보이드 공간의 형태와 배치를 구성한다. 셋째, 도서관의 보이드 공간은 출입구 홀과 로비, 계단, 에스컬레이터 등 이용자의 동선이 집중되는 공공영역뿐 아니라 열람, 서가, 미디어 영역을 포함하여 대형화, 단일화 특성을 보인다.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미디어의 종류와 인터페이스 방식의 변화는 주제별로 여러 층에 분산되었던 서가와 열람공간을 개방된 보이드 공간 안으로 통합시킨다. 이는 도서관에서 정적, 사적 영역으로 간주되었던 서가와 열람공간이 사회적 교류와 정보의 교환을 포괄하는 보다 공적인 영역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넷째, 보이드 공간은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된 일련의 계단식 열람석이 마치 극장의 객석처럼 보이드 중심을 내려다보도록 배치하는 극장형 공간 특성을 가진다. 보이드 공간의 중심은 원형극장, 어린이 공간, 문화유적, 물과 빛 등 도서관의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표현하는 상징 요소를 배치하고 있다. 다섯째, 도서관의 보이드 공간은 도서관 출입구에서 연결되는 실내광장이나 실내가로의 특성을 가지며 보이드 공간을 경계로 공적 영역에서 사적 영역, 동적 영역에서 정적 영역으로 전환되는 전이적 특성을 가진다. 오늘날 공공도서관에서 보이드 공간은 대담하고 전략적으로 공공영역을 구축하고 있으며 서가와 열람석을 통합하여 도서관 고유의 공간 특성을 부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 보이드 공간의 유형과 계획특성을 제시하여 급속한 환경변화에 직면하고 있는 향후 도서관 공간계획의 방향을 제시했음에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