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위논문 어떻게 할 것인가 ?

        장덕현,조영주,이용재,김종성,이수상,김영기,김용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993 학기논고집 Vol.3 No.-

        사회자 반갑습니다. 제 5회 토론마당을 맞이하여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먼길을 달려오신 여러분들과, 특히 저희들의 초청에 흔쾌히 응해주신 김용근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석사 3학기를 지낸 네 명의 대학원생들이 학위논문의 일환으로 진행중인 글을 예비발표 형식으로 간략하게 발표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학위논문 어떻게 쓸 것인가"라는 주제로 토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김종성, 이용재, 장덕현, 조영주씨의 학위논문 초고를 며칠 전에 나누어 드렸기 때문에 충분히 읽어보았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시간을 절약하는 의미에서 이 네명의 발표자들이 자기 논문의 특징적인 부분들을 간략하게 말씀하시는 것으로 토론을 시작 하도록 하겠씁니다 우선 김종성씨부터 시작하시죠. 김종성 제 논문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이나 특징은 논문을 읽어 보시면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 논문을 쓰게 된 동기와 논문을 쓰면서 가지는 기대를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저는 언제부터인지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부산대학교도서관 장서 앞에 서면 그 장서에 대한 의구심이 강하게 생겼습니다. 이용자의 수준에 이 장서는 어느 정도 부합되는가. 그 양적 규모에 비해 질적 수준은 어느 정도 인가, 이 장서는 과연 이용자들에게 이용되는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나는 장서에 대한 저의 의구심은 끝이 없었습니다. 그런 의구심은 곧바로 그 장서를 해부하고 싶은 욕망을 가지게 했고, 짧지 않은 기간의 탐색 끝에 나름대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메스를 들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현재의 장서를 있는 그대로 살펴보고 개선을 위한 출발점을 제사하려는 생각에서 이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논문의 서두에서도 언급하고 있습니다만, 기본적으로 이 논문은 현장 사서들의 모방을 기대하면서 수행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이 현재 도서관에서 취하여야 할 장서 개발 방안 으로 합당하다고 생각하며, 현장 사서들이 그 작업을 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사서가 그 작업을 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으며 선행연구도 없는 실정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비록 현장에서 일을 하는 사서는 아니지만, 현장사서의 입장을 견지하려고 애쓰면서 연구를 수행한다면 사서들에게 충분히 모델로 삼을 만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연구의 결과물보다는 그 연구방법과 과정, 그리고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에 의미의 무게를 두고 싶습니다. 저는 현재의 장서개발 문제를 탈피하는 도구로 이 논문이 이용되기를 바라는 기대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KCI등재

        ‘원북원부산’을 통해 본 한책 한도시 캠페인의 성과와 반성

        장덕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One Book One CityCampaign as Viewed Through ‘One Book One Busan’Durkhyun Ch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One Book One Busan’, which has been most successful among One Book One City campaigns in Korea, as viewed through everyday reading and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in community. For this, based on interviews and raw materials of the campaign which disseminated social reading in communities, created an environment for reading books and citizen-led reading culture. As a result, the history,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of the campaign as a reading movement with the community and a social reading model led by public libraries were analyzed. Suggestions are added for the sustained development of the campaign, which aim to stimulate interest in books and reading, and to contribute to community integration by forming a consensus among residents with various backgrounds. Key Words: Reading, Reading Campaign, Public library, One Book One Busan, One Book One City ‘원북원부산’을 통해 본 한책 한도시 캠페인의 성과와 반성장 덕 현**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한책 한도시(One Book One City) 캠페인 중 가장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원북원부산’의 성과와 한계를 지역사회의 일상적 독서와 공공도서관의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그 동안 생산된 원북원부산 관련 원자료들과 참가자들과의 면담을 토대로, 사회적 독서와 독서공동체 확산, 독서환경 조성, 시민주도형 독서문화 등을 시도한 예로서 ‘원북원부산’의 현황과 성과, 그리고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지역과 함께 하는 독서운동이자, 공공도서관이 주도하는 사회적 독서 모형로서의 ‘원북원부산’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논점 등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지역사회에서 독서운동을 통해 책과 책읽기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진작하고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지역사회 통합에 기여하고자 하는 풀뿌리 독서운동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핵심어: 독서, 독서캠페인, 공공도서관, 원북원부산, 한책 한도시 □ 접수일: 2022년 1월 17일, 수정일: 2022년 2월 3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0년 부산대학교 인문사회기금의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Professor, Pusan National Univ., Email: dchang@pnu.edu)

      • KCI등재

        공공도서관 지역특성화장서 구축 방안 연구

        장덕현,Chang, Durk 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4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지역특성화장서 구축의 필요성과 구축 방법론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지역과 지역 문화의 정체성을 제고하고 지역사회의 기억을 유지·보존하기 위해서 지역특성화자료(향토자료)를 수집, 보존, 제공하는 것은 공공도서관의 중요한 책무 중 하나이다. 그러나 지역특성화자료는 주제와 유형이 다양하고 지역사회 내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소유되고 산재되어 있어서, 자료의 수집과 장서 구축에 어려움이 많으며, 도서관 현장의 혼선도 적지 않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지역특성화장서를 구축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몇 곳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의 역사와 로컬리티를 담은 지역특성화장서를 구축하고 관련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llustrates the necessity and feasible process of constructing local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One of the important responsibilities of public libraries is to collect, preserve, and provide local inform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identity of the region and local culture and to maintain and preserve the social memory of the community. However, as the subjects and types of local information are diverse and are owned and scattered by various persons and organizations in the local community, it is difficult to collect materials and build collections. There is, as a result, a lot of confusion in the library field. Focusing on the case of a few public libraries that hold good local collec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add suggestions to build a local collection containing regional history and locality and to promote related services.

      • KCI등재

        도시 저소득층의 정보빈곤 양상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도서관 봉사방안 연구

        장덕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6 No.1

        This study intends to shed light on the everyday lives of the urban poor in four metro areas in Korea, viewed especially from the information perspective. Employing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changeably, it attempts to illustrate such phenomena as information poverty, and to scrutinize the reasons of their passive behaviors in information seeking.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need and information related behaviors of the urban poor: types of everyday concerns and ways to deal with them; characteristics of the help provided;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consulted; and, barriers and limitation of everyday information seeking and information use. 이 연구는 도시저소득층의 일상적 생활세계를 ‘정보적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 질적 연구이다. 자료는 질적 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수집, 분석하였으며,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지역의 대도시 저소득계층이 지니고 있는 일상적 정보요구와 정보행태를 밀착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이 당면해 있는 정보빈곤의 실태와 이러한 현상을 초래하는 제반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정보빈곤 현상과 정보행태의 소극성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상적 고민의 유형과 대처 방법상의 특성; 일상적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이용하는 매체의 유형과 특성; 그리고 일상 정보의 탐색과 수집 과정에서 경험하는 각종 장애 등의 범주에 접근하였으며, 소외계층을 위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도서관의 전자자원 통합관리 유형 연구

        장덕현,최원찬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No.4

        The explosion in the number of electronic resources has necessitated that academic libraries rethink the way they manage the life cycle of their electronic resources within the structure and processes of their library. With this momentum, led by the Digital Library Federation's Electronic Resources Management Initiative, specifications and tools for electronic resources has been devised. This study surveys the terrain of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as viewed through the current development of ERM Systems and their adaptations into major academ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For this, we tried to report how such tools are implemented with various additional modules. The potential of the module to integrate the management of its electronic resources into the new process has been suggested, as well.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전자정보원 통합관리와 서비스를 위한 도구들의 개발 동향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자원 통합관리 시스템 사례를 통해, 대학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전자자원 서비스의 유형과 전자자원 관리의 요건들을 조사하였다. 우선 전자자원의 관리적 측면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자자원의 라이프사이클을 이해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자원관리시스템(ERMS)의 기능적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전자자원관리시스템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는 DLF의 ERMI의 기능적 특징들을 일별하고, 전자자원의 라이프사이클 단계에 맞추어 그 기능들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대학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전자자원서비스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광범하게 적용되고 있는 전자자원관리시스템 2종을 사례로 선정하고 이를 사용하고 있는 대학도서관 포털의 전자자원서비스 영역을 조사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유형들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

        iSchool 논의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장덕현,Jang, Durk-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북미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iSchool movement의 추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움직임이 문헌정보학 교육의 미래에 어떠한 도전과 기회를 제공하는지 가늠해 보는 것이다. 북미의 주요 iSchool들이 생산한 공식 문건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러한 움직임이 과연 정보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다학문적 접근과 미래지향성이라는 목적을 충실히 내화하고 있는지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iSchool과 관련된 논의의 역사적 맥락을 짚어내고 이러한 변화가 각 학과(school)의 전략적 계획과 사명 등 공식 문건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그리고 실제학과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변화가 얼마나 현실화되고 확산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 iSchool의 사명, 교육목적과 목표, 그리고 전략적 계획 등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하여 iSchool movement의 현단계와 향후의 발전 방향을 진단하였다. 이를 통하여 미국에 있어서의 이러한 변화가 우리 문헌정보학계에 암시하는 바는 무엇인지 가늠해 보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uch discourse as mission statements and objectives, goals, and strategic plan of iSchools. Educational changes created by the digital reality and prevalent information systems and computers became an increasingly important par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s a result, library and information schools joined iSchools as the cooperative effort to advance and to understand the rapid changes. These positioning validated the missions, objectives, goals of iSchools and thus an analysis of these documents can lead the way to the future of LIS education. For this job a qualitative analysis were performed to scrutinize the awareness of, support for and involvement with the field among key constituencies.

      • KCI등재

        공립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과 과제 - 부산광역시 K구를 중심으로 -

        장덕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4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effective strategies for small library services in Busan metro area.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of small libraries that provide user friendly services for local residents. Local governments that is interested in such roles as community spaces based on the familiarity and flexibility of small libraries keep building and operating small libraries in Korea. This study, in this regard, surveyed the small libraries established and operated by a specific local government and analyzed the significance and problems in managing small libraries. In this study, we obtained data from observations, dialogues with managers and users through actual visit surveys to find out the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of local small libraries. 최근 지역주민에 대한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은도서관의 증가세가 꾸준하다. 한편으로는 작은도서관 특유의 친근함과 융통성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주목한 지자체들이 작은도서관을 지속적으로 건립, 운영하고 있지만, 양적 증가에 부합하는 내실있는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적지않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특정 지자체가 설립, 운영하고 있는 작은도서관들을 방문 조사하여, 현행 작은도서관의 운영의 의의와 문제점 등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방문 조사를 통한 관찰과 운영자들과의 면담으로부터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보다 실제적인 관점에서 지역의 작은도서관이 지니고 있는 한계와 애로사항, 그리고 작은도서관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우수등재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요구 분석

        장덕현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1

        The study strives to shed a light on the users’ perception and demand on public libraries in Busan area through a survey asking the facility, materials and service conditions in public libraries. Data are drawn from a survey with three hundred respondents. The survey was implemented to figure out current status and needs regarding library facility, materials, and cultural programs. Supporting data are collected via interview as well. Since this paper discusses such an issue as current situation in public libraries,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policy makers with basic information in developing and improving public library programs in Busan area. 이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현재 부산의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들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이용 현황 및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역 주민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공도서관에 대한 부산시민들의 인식과 요구는 매우 높은 반면 부산의 부족하고 노후화된 도서관 시설이 요구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접근이 용이한 생활권 중심의 공공도서관, 쾌적하고 편리한 공간, 신속한 장서 제공, 디지털서비스 확충과 역동적인 홍보정책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