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HRD 프로그램 평가에의 논리주도적 평가체제 적용가능성 탐색

        박소연 한국기업교육학회 200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9 No.2

        This study is an attempt to verify the utility of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alternative approach, in HRD area and draw out implications for HRD program evalu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B program in A corporation was selected and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applied step by step for evaluating the program. It followed by interview about the utility, feasibility, propriety and accuracy of the theory driven evaluation.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was useful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affect on the result of the program. The program theory reflected the unique mechanism of the program. The critical factors could inference based on the theory and the reason why the program was successful or could not become clear. Second,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improved the accuracy of program evaluation. In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evaluation questions were drawl from the program theory of its own and evaluation methods were selected to get answers on the questions. It helped to raise the validity and keep balances. Third, program theory in theory driven evaluation system should be revised to raise the feasibility. To adapt this model to HRD program cost-benefit should be considered first and evaluator should utilize it flexibly. These findings can contribute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theory driven approach in HRD area and suggest how to utilize it. HRD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평가는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종합적인 평가 준거를 가지면서도 현장에서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평가체제로 논리주도적 평가체제를 채택하여 HRD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사의 B프로그램에 논리주도적 평가체제를 적용한 결과 유용성, 정확성, 실행가능성 측면에서 다음과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논리주도적 평가체제는 평가 활동의 전체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즉, 평가가 이루어지는 현상에 대한 총체적인 정보와 함께 프로그램의 성공 및 실패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과 함께, 프로그램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되는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과 최종적으로 평가 결과를 보고받을 이해관계자의 기대 사항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논리주도적 평가체제의 적용을 통해 HRD 프로그램 평가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의 평가가 한정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반해 평가체제를 적용할 경우 과정과 결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정확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논리주도적 평가체제의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논리주도적 평가체제에서 제시하고 있는 활동이 현실적으로 모두 프로그램 평가에 적용되기에는 부담스러우므로 비용효과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적용,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제 적용 상황에 있어서는 현재의 논리주도적 평가체제의 단계별 요구 활동을 최소화하여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HRD 현장에서의 논리주도적 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 적극적 활용을 위한 개선점을 발견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며, 현장 활용의 촉진을 위해서는 평가자의 적용에의 선택과 집중, 각 평가 단계에서의 유연한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음주운전자 대상 단기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류준범,이세원,김순나 한국교통연구원 2014 交通硏究 Vol.21 No.4

        Recently, the drunk driving fatalities is slowly declining, but socioeconomic costs of drunk driving accident is still high in Korean society.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Canada, Australia, and etc., have been operating and systemizing Driving While Intoxication(DWI) rehabilitation or specific counselling programs to prevent drunk driving a long time ago.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DWI counselling program using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theory, and a REBT (R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Therapy) theory, and evaluated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present DWI counselling program was a 2-hour program and consisted of drunk-driving attitude change, drinking refusal training and stress management. Especially, the effects of DWI counselling program were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typical education program to certain the effects of counselling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ward drunk driving, and drunk driving inten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e-program session. Bu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compared to the pre-program session except drivers’ attitude in the educational program. The future research needs to consider adapting a double-blind experimental design for both of experimenter and participants not to know the aim of experiment because demand characteristics was not fully exclude in this study. 최근, 국내의 음주운전 사망자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음주운전 사고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여전히 높은 편이다. 미국, 캐나다, 호주 등과 같은 선진 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음주운전자를 대상으로 재활 프로그램이나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음주운전 재발 방지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 이론, 음주거절 자기효능성 이론, REBT(R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Therapy) 이론을 사용하여 단기 음주운전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총 2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주운전 태도 변화, 음주 거절 훈련 및 스트레스 관리가 포함되었다. 특히,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여부를 명확히 알아보기 위하여 음주운전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와 강의식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 대상자들에서는 음주운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통제력 지각 및 음주 운전 의도가 상담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나, 교육 대상자들에서는 태도 이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 요구특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 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는 실험자와 참가자 모두가 실험 목적에 대해 알지 못하게 하는 이중 은폐 실험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 교육 이수자 교통사고 특성 분석을 통한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 제시

        양지민 ( Yang Ji Min ),김동욱 ( Kim Dong Uk ),박소은 ( Park So Eun ),고민지 ( Koh Min Ji ),권오훈 ( Kwon Oh Hoon ),박신형 ( Park Shin Hyoung ),서동정 ( Seo Dong Jeong ) 한국도로교통공단 2020 교통안전연구 Vol.39 No.-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와 교통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체험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업용 차량 운전자의 체험교육 이수 후 1년간 발생한 교통사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수자 사고 특성 분석을 통해 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통사고 현황 분석 및 교통사고다발자·다발업체의 현황 분석결과, 사업용 차량 운전자의 고령운전자 및 안전운전 태도에 대한 교육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국내외 체험 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 사례조사를 통해 인지 능력 및 개인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운전 특성 및 성향 파악을 위한 개인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도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운전자 자질 향상과 더불어 교통사고 예방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e rapid aging of drivers and changes in the traffic environment necessitate the improvement of driving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driving education programs in Korean safety driving training centers through th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of trainees. The accident data of commercial vehicle drivers that occurred within a year after training was us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included statistics of the accidents for the drivers and companies with high accident count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improve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elderly drivers and safe driving awareness is need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programs that can identify an individual’s cognitive ability and personalized education program to identify driving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were suggested. The training program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driver awareness and the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 KCI등재후보

        공공주도형 청년층 경력개발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 Caffarella의 상호작용모형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노경란 ( Kyung Ran Roh ),변정현 ( Chong Hyun Pyu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HRD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Caffarella의 상호작용모형을 공공 주도형 청년층 경력개발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해 봄으로써 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도출하고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전국적 단위 공적 고용서비스 일환으로 제공될 청년층 경력개발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상호작용모형을 적용해 본 결과 첫째, 상호작용모형의 비선형적 성격이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국가의 정책적 결정 변화에 따라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상황 및 요구 변화에 대응하는데 적합함이 드러났다. 둘째, ‘지원기반구축’이라는 개발 요소가 정책수립기관과 정책실행기관 간의 파트너십을 공고히 하여 교육프로그램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사전 여건 조성에 기여하였다. 셋째, 상호작용모형의 구성 요소 중 ‘결과 자문 청취 및 의사결정’은 공적 책무성이 요구되는 공공부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로 나타났다. 한편 첫째, 프로그램 실행 후 사후관리의 요소가 누락되어 평가 결과를 반영하거나 프로그램 실행 상에서 도출된 새로운 요구를 흡수할 여지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둘째, ‘상황파악’의 요소가 포괄적으로 접근하도록 되어 있어 다양한 지역 환경에서 운영될 표준 프로그램 개발에 한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셋째, 상호작용모형이 획득된 다양한 요구를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에 대한 기술적 적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① 급변하는 정책 환경에 공공부문 교육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행 평가 결과의 환류 및 사후관리를 위한 요소의 추가, ② 상황파악 요소의 실행에서 포괄적인 수행보다는 범위와 대상 수준에 따른 상황파악 체계의 단계화, ③ 많은 양의 요구 선택 의사결정을 위한 요구 우선순위 채택 방법의 구체화, ④ 공공부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적용 시도 노력의 필요성 및 민간부문으로의 확대 등을 후속 과제로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which were found as Caffarella`s Interactive Model wa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driven education program. From conducting this research, first of all, it is shown that non-linear attribute of Interactive Model is very responsive to unexpected needs and changes in view of the political circumstances. Second, one of development components, ``Building a solid base of support`` contributes to building partnerships between policy decision-makers and policy implement side. Third, another component of this model, ``Making recommendations and communicating results`` is essential in terms of public responsibility. On the other hand, some limitations of this model were viewed as follows: First, this model neglects ``Maintaining programs continuously after completion and implementation``, although it is necessary in developing government driven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accept new political needs. Second, ``Discerning the context``, one of components, should be modified friendly to understand community based needs. Finally, it is hard to make a decision when program developer has to prioritize a lot of needs or deal with controversial interest.

      • KCI등재

        Program Cache Busy Time Control Method for Reducing Peak Current Consumption of NAND Flash Memory in SSD Applications

        Se-Chun Park,You-Sung Kim,Ho-Youb Cho,Sung-Dae Choi,Mi-Sun Yoon,Tae-Yun Kim,Kun-Woo Park,박종선,김수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ETRI Journal Vol.36 No.5

        In current NAND flash design, one of the most challengingissues is reducing peak current consumption (peak ICC), as itleads to peak power drop, which can cause malfunctions inNAND flash memory.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approach for reducing the peak ICC of the cache program inNAND flash memory — namely, a program Cache Busy Time(tPCBSY) control method. The proposed tPCBSY controlmethod is based on the interesting observation that the arrayprogram current (ICC2) is mainly decided by the bit-line biascondition. In the proposed approach, when peak ICC2becomes larger than a threshold value, which is determined bya cache loop number, cache data cannot be loaded to the cachebuffer (CB). On the other hand, when peak ICC2 is smallerthan the threshold level, cache data can be loaded to the CB. As a result, the peak ICC of the cache program is reduced by32% at the least significant bit page and by 15% at the mostsignificant bit page. In addition, the program throughputreaches 20 MB/s in multiplane cache program operation,without restrictions caused by a drop in peak power due tocache program operations in a solid-state drive.

      • KCI등재
      • 노인의 운전 관련 기능, 운전행동 및 차량 적합성 평가 사례 보고

        김미정,신수정 한국운전재활학회 2021 한국운전재활·사회참여학회지 Vol.3 No.1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운전자를 대상으로 한 운전 관련 기능 및 차량 적합성을 평가한 사례를 보고하고 노인운전자의 안전운전에 필요한 중재의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경기 남부 지역의 지역사회 거주 중인 노인 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노인운 전자의 신체기능(인지, 운동. 감각 기능)을 평가하고 운전행동에 대한 자기 보고, 차량조절 프로그램(Carfit)을 이 용한 운전자-차량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7명의 대상자 중 3명에서 최근 1년 내 범칙금 부과와 교통사고 경험이 보고되었다. 신체기능에서는 MMSE-DS 검사와 관절가동범위 검사 결과가 모두 정상이었다. 반면 시계그리기 검사(CDT)에서 2명(28.6%), 선 로잇기 검사(TMT-B)에서 4명(57.1%)의 대상자가 어려움을 보였다. 시야검사 결과 7명의 대상자(100%) 모두 정상 보다 저하된 시야범위를 갖고 있었으며, 차량적합성 평가(Carfit)에서도 모든 대상자(100%)에서 하나 이상의 차량 적합성 문제가 나타났다. 결론 : 운전은 지역사회 참여의 수단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저하된 운전 관련 신체기능, 부적절한 운전행동 및 차량 적합성은 노인의 안전운전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행동 및 차량 조절에 관련된 운전 중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평가 사례는 노인의 안전운전 중재 계획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노인운전자와 이들의 운전에 대한 자료 수집을 위한 확대 연구 및 중재 실천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of evaluation of driving-related functions and vehicle suitability for elderly drivers and to identify direction for safe driving of elderly drivers. Method : The subjects is 7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southern of Gyeonggi Province. Th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subjects were evaluated and self-report on driving behaviors and driver-vehicle suitability evaluation( Carfit program) were conducted. Results : 3 out of 7 subjects reported violations and experiences of accident, respectively. All is normal in MMSE-DS and ROM. On the other hand, 2 subjects(28.6%) in Clock Drawing Test and 4 subjects(57.1%) in the Trail Making test-B showed difficulties. Additionally 6 subjects(85.7%) showed a decrease in horizontal visual field, and all(100%) represented at least one problem in the driver-vehicle suitability of Carfit. Conclusion : Driving has important implications as a means of community participation. Decreased driving- related physical functions, inappropriate driving behavior, and bad vehicle suitability may threaten the safe driving of the elderly. Therefore, driving interventions related to driving behavior and vehicle adjustments are required,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safe driving strategy in the elderly. In the future, expansion studies and intervention studies on elderly drivers are need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데이터 기반 경로 선별을 통한 상용 정적분석기의 성능 향상 방법

        김진영,이광근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6 No.4

        We propose a data-driven method to improve path-sensitive industrial-strength static analyzers. Most industrial static analyzers adopt path-sensitive techniques and path selection holds the key to their performance. We propose a method to automatically learn new cost-effective path-selection heuristics from an existing analyzer with a manually tuned path-selection heuristic. We evaluated our method on an industrial static C code bug-finder from Sparrow as a baseline analyzer with 17 C open-source benchmark program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with the newly-learned path-selection heuristic, the analyzer reported 90.8% of the defects in only 38% of the analysis time, compared to the baseline analysis. This method reported more defects in less time than the baseline path-selection heuristic under similar path search space constraints. 데이터에 기반한 경로 선별을 통해 상용 정적분석기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경로에 민감한(path-sensitive) 분석은 상용 정적분석기가 일반적으로 채택하는 기법이며, 어떤 경로를 골라 분석하느냐에 따라 분석비용과 검출하는 오류 수가 달라진다. 이 논문은 손수 튜닝된 경로 선별 휴리스틱을 장착한 기존 상용 정적분석기로부터 비용 대비 효과가 좋은 새로운 경로 선별 휴리스틱을 자동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분석기 코드에서 추출한 특징(feature)과 벤치마크 프로그램의 분석결과에 기대어 학습한다. 이 방법을 스패로우(Sparrow)의 상용 C 소스코드 정적분석기와 17개의 C 오픈소스 벤치마크에 적용한 결과, 대표적인 17종 대상오류에 대해 기존 분석 대비 90.8%의 오류를 38%의 분석시간에 검출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분석기의 경로 선별 휴리스틱을 따르되 탐색하는 경로의 개수만 유사한 조건으로 제한했을 때보다 더 많은 오류를 더 짧은 시간에 검출한 것이다.

      • SCIESCOPUSKCI등재

        DESIGN PROGRAM FOR THE KINEM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BUS DOOR MECHANISM

        KWON S.-J.,SUH M.-W.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6 No.4

        The bus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driving stability, safety, and convenience for drivers and passengers has tremendously increased in recent day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design of the bus door mechanism composed of an actuator (or motor) and linkages. The bus door mechanism is divided into many types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linkages and the driving system. The mathematical models of all types of door mechanism have been constructed for computer simulation. To design the bus door mechanism, we developed a simulation program, which automates the kinematic and dynamic analysis according to the input parameters of each linkage and the driving system. Using this program, we investigated the design parameters that affect the kinem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bus door mechanism under various simulation conditions. In addition, simple examples are examined to validate the developed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