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와 양육 행동

        유광자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job stres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in nurs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201 nurses in total who have preschool children and work at two university hospitals and three general hospitals in D Metropolitan.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SPSS 17.0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the statistical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for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in the mothers. Among daily lived stress, parental role stress and job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d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daily life stress, job stress and parental role stress had an influence on the paren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renting stress, job stress are powerful factors for understanding parenting behavior. An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nurses in future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parenting stress and job stress.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또래 유능성의 관계

        안라리,김정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교사가 평정한 또래유능성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지원하고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만 5세 4학급의 유아 97명과 그 어머니 및 담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양육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는 어머니 질문지를 통해,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담임교사의 평정을 통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면접을 통해 각각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이 일상적 스트레스 및 또래 유능성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도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관계는 여아에게서만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또래유능성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o reduce children's daily stress by examining correlation between the four variables, which are mother's parenting efficacy, mother's parenting stress, children's daily stres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97 five-year-old children in 4 different classes, their mothers and the teachers have be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1) mothers' replies submitted to a questionnaires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2) teacher's rating for children's peer competence 3) the interview with the children on their daily stres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s a negative relation to mother's parenting stress. 2)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daily stress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3) Mother's parenting stress has a positive relation to children's daily stress. However,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related to children's peer competence with the girls only. 4) Children's daily stress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peer competence.

      • RISS 인기논문 KCI등재후보

        코로나19 시대 영유아기 부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김성현(Kim Seong Hyun)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대의 상황에서 코로나19 스트레스,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메르스와 같은 지난 감염병 상황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가족 상황에서의 다양한 스트레스는 연구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수행을 기반으로 앞으로의 전염병 관련 상황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가정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여러 가지 위험 요소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 여부, 자녀 연령, 가정 수입, 맞벌이 여부 등의 배경 변인을 기준으로 한 코로나19 및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고 배경변인이 코로나19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양육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인 용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 ‘양육스트레스척도 단축형’을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모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독립표본 t 검증과 중다회귀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여부, 수입, 자녀연령, 맞벌이 여부에 따라 코로나19 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타인에 대한 분노는 수입, 자녀 연령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맞벌이 여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가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부모의 고통 하위요인에서는 모든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경제적 배경변인이 코로나19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 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저소득 가정, 영아기 자녀를 둔 가정과 맞벌이 가정의 코로나19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적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가정의 배경변인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의 하위 요인별로 결과가 달라짐을 살펴보았을 때 부모의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지원 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및 부모의 배경 변인 등을 고려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시대의 스트레스가 양육스트레스와도 관련성이 있기에 전염병 상황에서 부모의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지원체계 마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ess of parents in the situ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the Corona 19 stress and parenting stress. In spite of experiencing past infectious disease situations such as MERS, various stresses in family situations that may arise from these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accumulate basic data on various risk factors that threaten the mental health of families rais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future infectious disease-related situ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COVID-19 and parenting stress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parental status, children s age, family income, and dual-income status. In addition, the effect of parental background variables on COVID-19 stress was analyzed. Lastly,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parenting stress was analyze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COVID-19 Stress Scale for Koreans and Shortened Parenting Stress Scale .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Multiple regression and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method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VID-19 stress according to mother and father, income, age of children, and whether or not to work as a dual worker. Among the sub-factors, anger towards others did not show a difference according to income or children s ag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re was a dual income. In detail, in the parental pain sub-factor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all background variables. Third, socioeconomic background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VID-19 stress and parenting stres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parenting stress. The conclusions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is required to reduce the COVID-19 stress of mothers, low-income families, young families such as infants, and dual-income families. Second, considering that the results are different for each sub-factor of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fami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ub-factors of stress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of parents when applying for parental stress relief. Lastly, since the stress of the COVID-19 pandemic is also related to parenting stres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upport system to alleviate various stresses of parents in the case of an epidemic.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양육지식, 영아의 성별과 기질을 중심으로

        김민정(Min Jeong Kim),김소영(So Young Kim),이경옥(Kyung Ok Lee) 한국보육학회 2020 한국보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취업 여부, 양육지식, 영아의 성별, 기질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상대적 설명력을 검토하였다. 이를위해 18개월~36개월의 영아를 자녀로 둔 취업모(87명)와 비취업모(98명) 185명을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과 더불어 영아의 기질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영아의 성별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취업모가 비취업모 보다 양육 스트레스가 더 높았으나 영아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의 차이는 없었다. 둘째, 영아의 기질 중 부정적 정서를 높게 인식하고 의도적 통제를 낮게 인식할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높아졌으며, 어머니의 양육지식 중 정서발달에 대한 지식이 많을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낮았다. 셋째, 동시적 회귀분석을 통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있어 영아의 성별과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취업 여부의 상대적 설명력을 살펴본 결과, 영아의 기질 중 부정적 정서와 의도적 통제가 중요한 변수임을 알수 있었으며, 특히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어머니의 양육지식이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에 중요한 변수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자녀의 기질을 잘 이해하고, 양육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하며,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고려하여 다양한 지원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loyment status, parenting knowledge, infant gender and temperament in relation to the infancy parenting stress, and examined the unique contribution of these variables to parenting stress. Methods: Subjects were 185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aged 18-36 month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to perform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wo-way ANOVA, effect siz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was higher than that of non-employed mother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 gender of infants. Second,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were closely related: the higher the negative affectivity and the lower the effortful control,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Also, among the mother"s parenting knowledge, the more knowledge about emotional development, the lower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ird, simultaneous regression analysis investigated the unique contribution of these variables to parenting stress. As a result, we found the importance of their child"s temperament,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mother"s parenting knowledge. Among infant teperament, negative affectivity and effortful control were important factors i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knowledge of parenting proved to be important variables in parenting guilt. Conclusion/Impli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nature of infants, and to reduce the social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mother"s role in reducing guilt about other people"s parenting, and to reduce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it suggests that mother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ir child"s temperament well and help in different approaches depending on whether the mother is employed or not.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문화적응스트레스, 양육효능감과 유아기질의 영향: 중국, 베트남, 일본 여성 비교 중심으로

        프리만, 트로이 크리스찬,안정신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7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parenting efficacy,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of Chinese, Vietnamese, and Japanese marriage migrant women. Als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cultural adaptation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infant temperament influence parenting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Method: 276 marriage migrant women from China, Vietnam, and Japan were surveyed. For data analysis, SPSS 18.0 was used to obtain frequencies, means, reliabilitie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Variance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ltural adaptation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infant temperament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by their country of origin. No such difference was observed in parenting stress. Second, the communication problem was most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among 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followed by parenting efficacy and adaptive infant temperament. For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hostil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next to the communication problem. Hostility was also most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among Japanese women, followed by parenting efficacy and orderly temperament of infants. Conclusions: Findings highlight that cultural backgrounds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reduce parenting stress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유아기질 및 양육스트레스가 출신국가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유아기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결혼이주여성 276명을 대상으로 PASW 18.0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신뢰도, 분산분석, 상관계수,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그리고 유아기질에 출신국가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는 출신국가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신국가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결혼이주 중국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에서 의사소통문제, 양육효능감, 유아의 적응적 기질 순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이주 베트남 여성의 경우는 적대감과 의사소통문제 순으로, 결혼이주 일본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에는 적대감, 양육효능감, 유아의 규칙적 기질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혼이주여성들의 출신국가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이 다르므로 양육스트레스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문화적 배경과 양육관련의 특성들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방은주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neral tendency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and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as well as seek efficient ways to improve their parenting efficacy.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between April 7, 2018 and April 19 in Seoul that included 200 mothers with infa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tudy of the overall trend of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among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showed that the overall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were all high. Second, after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the whol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 care was an amulet correlation. Third, in the study of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knowledge on the ability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parental role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were affected throughout the child care system. Subsection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ability to raise children were affected by parental role and knowledge, and parenting skills were influenced by parental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s’ education and parental counseling programs are necessary to reduce the stress on the parenting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nd to enhance the efficacy of parenting through parenting knowledge.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전반적인 경향과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4월 7일부터 4월 19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국·공립 어린이집과 직장 어린이집의 영아기(만 1세, 만 2세) 자녀를 둔 어머니 200명을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모두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소는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소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양육효능감 전체에서는 부모역할 스트레스와 양육지식이 영향을 주었다.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소별로는 전반적인 양육능력, 의사소통능력,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에는 부모역할 스트레스와 양육지식이 영향을 주었으며, 훈육능력에는 양육지식이, 학습지도능력에는 부모역할 스트레스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양육지식을 통해 양육효능감을향상시킬 수 있도록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소아 간질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부모효능감

        박수빈,유한익,전정원,최순호,왕희령,김건우,김진용,고태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7 신경정신의학 Vol.46 No.6

        Objectives : While parents who foster children with epilepsy would have considerable parenting diSiculties, the parenting stress and sense of competence have not been investigated. We investigated matemal parenting stress, Parenting satisfaction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in children with seizure disorders, and the associations with seizure-related variables. Methods : Mothers of 79 children with seizure disorders (41 boys, 38 girls ; mean age, 9.9±2.3 years) and 79 healthy comparison subjects matched for age and sex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 (K-PSI-SF) and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K-PSOC) were used to assess parenting stress, parenting satisfaction and parenting effcacy. Results : Mothers of children with seizure disorders showed higher scores on stress related to difficult child and child leaming and parenting anxiety compared to mothers of healthy children. In addition, scores on stress related to parental-child interaction and child leaming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rental economic status. Scores on stress from parental-child interaction was also correlated with seizure severity, and stress from child leaming was correlated with seizure type.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and anxiety scores were correlated with patemal educational status,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fndings suggest that mothers of children with epilepsy have greater parenting stress and anxiety and social and seizure-associated factors may affect the parenting stress and anxiety.

      •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정윤주 ( Joung Yoon Ju ),김은영 ( Kim Eun Yo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사회적 능력이 또래와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히 적응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라고 보고,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고,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할 때,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 양육 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효능감은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행복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에 대한 결과를 보면 어머니의 행복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서,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발달을 위해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하며, 양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다양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that affect infants' social abilities, an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other's happiness and child care stress on their social abilities, considering that social skills are necessary to maintain smooth relationships with peers.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euphoria,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ectiveness on infants' social abilitie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happiness and child-rearing stress on child-rearing effectiveness? Third, what is the medium effect of mother's happiness and child support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social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57 infants and mothers aged 2 to 5 years old who are volunteering at daycare centers in Suwon and Yong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using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effects of mother's happiness, child-rearing stress, and child-rearing effectiveness on infants' social abilities, it was found that mother's happiness and child-rearing effectiveness had a direct impact. However,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infant's social ability. On the other hand, mother's happiness and child support stress we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effectiveness of parenting. Second, the results of whether the mother's happin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ant's social ability showed that the mother's happiness has a direct effect on the infant's social ability, but also indirectly has a mediating effect. Meanwhile,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only indirect to the infant's social 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parenting effectiveness.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ffects the infant's social ability rather than having a direct impact on the infant's social ability, a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 infant's parenting effectiveness are completely mediated. Through th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her's happines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ectiveness were important variables in improving the infant's social skills. Therefor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at the management of mother's happiness and child-rearing stress ar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s' social skills, and that various education is needed to enhance their child-rearing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아버지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지예,신경순,김영희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7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ternal psychological stress, parenting-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on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0 fathers of children who were aged from 3 to 5. Data were collected by one-line survey from mothers and fathers separately and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t-test, F-test with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21.0 program.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 matrix in AMOS 18.0 program using a path analysis. Also 'Bootstrapping Methods' were used to confirm the statistical of indirec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were not directly affected by fathers' psychological stress. However, children'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ere directly affected by fathers' psychological and parenting stress. Thus, the higher the level of psychological and parenting stress of a fathers were, the mor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children showed. Second, fathers' parenting behaviors had the different effects on the dimension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such as internalizing, externalizing, and peer relationship. Fathers'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had direct effects on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Thus, the higher the level of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fathers were, the lower the level of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children were shown. However, fathers' coercive parenting behaviors had direct effects on children'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us, the higher the level of fathers' coercive parenting behaviors, the higher the level of th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atic behaviors children showed. Third, fathers' parenting behavior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fathers' psychological and parenting stress to effect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athers'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s had a mediator to reduce the negative influences of fathers' psychological and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 problems. However, fathers' coercive parenting behaviors had mediated the negative influences of fathers' psychological and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 the need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s in parental education and counselling and to seek ways to encourage fathers, who have a high level of parenting stress due to psychological stress, to engage in education and counselling programs to relieve their stress. It also suggests that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be appropriate to reduce the level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y parent education program.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세워진 이론적 모형을 통하여 아버지의 심리적 스트레스가 아버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을 통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아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 유아교육과 부모교육 프로그램, 유아 및 가족상담 현장에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온라인 패널관리전문기관인 ‘Macromill Embrain Research'에 연구자가 직접 의뢰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만 3, 4,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3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온라인 패널조사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성공적인 온라인 패널조사를 위해서 조사자가 원하는 조건을 비율할당조사를 통해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택하여 NO기능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아버지의 심리적 스트레스는 양육스트레스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심리적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여 강압적 양육행동은 증가시키고 지지적 양육행동은 감소시켰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하위요인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심리적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아버지의 지지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또래관계 문제를 감소시키지만 내면화 문제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아버지의 강압적 양육행동은 내면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또래관계 문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미애 ( Kim Mi Ae ) 한국아동보호학회 2018 아동보호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울산지역 다문화가정 어머니 420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수준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수준을 알아보고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중 부모효능감의 평균은 2.63, 부모불안감의 평균은 2.61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학습기대의 평균은 2.42, 자녀기질의 평균은 2.36, 자녀와의 관계의 평균은 2.20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중 부모효능감에서는 어머니의 최종학력과 결혼기간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부모불안감에서는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중 자녀관계 스트레스와 학습기대 스트레스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학력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상관관계에서는 양육스트레스의 자녀 기질은 양육효능감의 부모효능감과는 부의 상관이, 부모불안감과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와의 관계는 부모효능감과는 부의 상관이, 부모불안감과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기대는 부모효능감과는 부의 상관이, 부모불안감과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부담을 덜어주고 나아가 다문화가정 어머니, 자녀, 가족의 행복한 생활을 원조할 수 있는 사회적 서비스 및 정책개선에 함의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become members of unfamiliar Korean society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and simultaneously experience complex difficulties under the new environment including language problems, economic difficulty, lack of information and support, cultural differences, psychological and social isolation, and conflicts in family values. Furthermore, they receive burden and stress on parenting of children. Within the Korean society taking priority on child-oriented education, they feel unskilled and stressed about difficulty in parenting children. Accordingly in this study,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on parenting stress. 420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visiting four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centers and four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Ulsan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As research tools, two tools including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 and parenting stress index (PSI/SF) were used in addition to general social questions.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8.0 was used to analyze research problems based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N), t-test,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stress. As a result, mean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was 2.63 for efficacy and 2.61 for anxiety. Second, mean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2.42 for learning anticipation, 2.36 for child's disposition, and 2.20 for relationship with child.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ducational background and marriage period among parenting efficacy, and in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parenting anxiety. Among parenting stress factor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only child relationship stress and learning anticipation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educational background. Fourth, for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child's disposition in parenting stress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efficacy in parenting efficacy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anxiety. Child relationship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efficacy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anxiety. Learning anticipa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efficacy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s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in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on parenting stress.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utilize as data for positive child parenting for moth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to remove their burden on parenting, and further to provide an undertone for social services and policy improvements supporting happy life for mothers, children, and members of multi-cultural househ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