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애아동 학대에 대한 법제도의 검토와 개선방안

        최형보 ( Choi Hyoung Bo ),강동욱 ( Kang Dong Wook ) 한국아동보호학회 2018 아동보호연구 Vol.3 No.1

        아동학대의 문제가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 관련부처 및 민간단체들의 노력으로 아동학대 예방과 대책, 아동학대범죄처벌 등에 관한 제도가 강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반면 장애아동에 대한 학대의 경우 다른 아동과 동등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장애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입법행정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특히 학대피해 장애아동에 대한 보호조치 및 사후조치가 장애유형에 맞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관계로 장애아동 및 그 보호자는 불편을 겪고 있으며,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애아동 및 그 가정에 대한 복지지원 또한 장애로 인한 정신적·경제적 부담을 해소시키기에 아직 역부족이다. 또한 장애아동 보호기관이나 시설에 장애유형별로 전문 인력수급이 미흡하여 장애아동에 대한 교육 및 돌돔 서비스에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에 대한 학대로 부터 권리보호를 함에 있어 입법·정책적으로 매우 미약한 수준이므로 이에 대한 정비·보완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장애아동의 권리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국제 장애인권리협약의 장애아동 관련 내용을 기준삼아 현행 장애아동 관련 법제를 분석·검토하고, 장애아동학대행위에 대한 예방 및 사후조치에 대한 입법적·정책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Thanks to a growing social concern for child abuse and endeavors by the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it could be said that the system on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countermeasures and punishment for child-abuse crimes has improved. In fact,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n't taken into account in legislation and administration about abuse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ough the rights of abus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guaranteed as equally as those of children without any disabilities. Specifically, these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are in trouble because countermeasures and follow-up measures haven't been taken in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disabilities. Furthermore, welfare supports that are provid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t present aren't yet sufficient enough to relieve them of the mental and economic burden caused by the disabilities. Also, protection agencies and facilities for these children aren't equipped with sufficient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who can provide different services tailored to the types of disabilities. Indeed, it's not easy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and care services for these children. As there is much room for improvement in the laws and policies to prevent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being abused and protect their rights, proper measures are necessary to remedy the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nt legal system relat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child-related contents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legal and political reform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abuse behaviors again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effort to seek ways of improving these children's rights.

      • 방과후 아동보호 실태와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욕구에 관한 연구 - 울산시 한부모가정을 중심으로 -

        윤경선 ( Yoon Kyoung Sun ),이은주 ( Lee Eun Ju ) 한국아동보호학회 2018 아동보호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의 방과 후 아동보호 실태를 살펴보고 아동보호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욕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아동복지 서비스 향상을 위해 방과후 아동보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한부모 가정 지원 사업 확대를 위한 사회복지정책과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한부모가정 중 부자가정 8,030가구와 모자가정 23,908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학령기 아동을 둔 한부모가정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한부모의 일반적 특성과 한부모가정 아동의 방과 후 아동보호 실태, 한부모가정 아동의 방과 후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욕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부모의 욕구에 따른 제언은 아동보호 프로그램은 다양성을 확보를 통해 아동의 흥미 및 관심을 유도하여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모색, 한부모가정 아동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방과후 아동보호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사회복지기관의 양적 확충, 효율적인 학습 연계 프로그램, 부모의 참여 확대를 위한 활발한 의사소통 교류 방법 모색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 study is to look into the reality of the juvenile protection and catch the parent’s needs for child protection program in single parent families, as the subjec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 study can be used not only a basis of the development of child protection program to improve the child welfare in a community but also referenc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welfare policies and service to expand a government-sponsored enterprise in single parent families. To closely grasp the reality and parent’s needs for child protection program after school, the survey asked the single-mother families and the single-father families. The survey was done about 8,030 single-father families and 23,908 single-mother families, who have the school-aged children in Ulsan metropolitan city. The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16 cooperation possible institutions (Ulsan self-reliance center for single parent family, Ulsan self-support center, single-mother institution, the unmarried mother’s institution, Ulsan sorority, child center, etc.) by interview. 320 copies had distributed as purposive sampling, and 202 copies were collected. In Ulsan self-reliance center for single parent and Ulsan sorority, we visited self-help party by district and explained the substance of our questionnaire to help their preparing. In child centers, we explained a head and officers about the substance of our study by pre-assurance calling. After that, we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to parents through their children and collec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ir writing. In this research & study, all the data had passed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as followings. Frequency Analysis had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single parent, the reality of the child protection after school in single parent families and the parent’s needs for child education program after school in single parent families.

      • 아동학대관련 민간단체의 현황과 역할 및 발전 방향

        문영희 한국아동보호학회 2019 아동보호연구 Vol.4 No.2

        심각한 아동학대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정부가 제시한 아동학대대책들의 주요 내용은 ‘아동학대 조기발견’이었다. 아동학대의 조기발견을 위해 정부는 법과 제도를 통해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고, 민간영역에서는 공적영역이 놓치기 쉬운 아동학대예방 및 신고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캠페인과 교육을 활발히 진행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일환으로 아동학대 피해아동의 실제 발견율은 2001년 대비 2018년에는 12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최근, 민간기관 차원에서 굿네이버스가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아동보호 통합지원 전문서비스’ 모형은 학대피해아동 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상담, 치료, 양육기술 및 교육 등과 같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민간기관들과의 협력체제 강화로 인해 민간단체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은 전문적인 상담접근이 용이해지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이어오고 있다. 오래전부터 미국, 영국, 호주 등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아동학대에 대한 대응시스템을 공적 영역과 민간영역과의 공조체제를 갖춰서 아동학대관련 업무를 확보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민간단체로써 아동학대 업무를 전담해오던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이 2020년부터는 ‘포용국가 아동정책’의 일환으로 공적영역에 편입됨에 따라 차츰 아동학대 및 아동보호와 관련된 공적전달체계가 확대되어 갈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의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를 비롯하여 아동학대 관련 5개의 민간단체(월드비전, 굿네이버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세이브더칠드런을 중심으로 하여 아동학대 관련 민간단체의 주요 활동을 살펴보고, 향후 아동학대관련 민간단체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Whenever a serious incident of child abuse occurred, the main content of the child abuse measures proposed by the government was the early detection of child abuse. For the early detection of child abuse, the government is making various efforts such as supporting policies and laws through the law and system. And the private sector actively conducted campaigns and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child abuse prevention and reporting. As part of these efforts, the actual discovery rate of abused child increased more than 12 times in 2018 compared to 2001. Recently, Good Neighbors’ Professional Services for Child Protection Integrated, developed by Good Neighbors to provide professional services at the private agency level, served as an opportunity to provide services such as counseling, treatment, parenting skills and education to family of abused children as well as abused children. Du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cooperative system with various private organizations that provide such services, social workers working for private organizations have enjoyed positive evaluations, such as facilitating professional counseling access. For a long tim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have secured child abuse-related work by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ince ‘Korea Association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Neglect’, which has been dedicated to child abuse as a private organization,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public domain as part of the ‘Inclusive State, Child Policy’ since 2020, the public delivery system related to child abuse and child protection will be gradually expanded. In this paper, in celeb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Korea Association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Neglect’, I reviewed five major private organizations(World Vision, Good Neighbors, Child Fund, Save the Children) related to child abuse, including ‘Korea Association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Neglect’, and I explore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se private organizations.

      • 아동보호 공공요원의 역할과 민관 네트워크 활성화 구축방안

        김표민,최원석 한국아동보호학회 2021 아동보호연구 Vol.6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보호전담공무원 및 아동보호전담요원에 대한 역할과 아동보호와 관련한 민관에서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효율성 있는 아동보호 방안을 고찰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지자체 아동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공공인력과 사회복지기관 및 아동시설 등의 민간영역 간 사례공유가 필요하며, 아동보호업무를 담당하는 민관의 1회/2주 비대면 회의를 통한 긴급점검 필요하다. 또한 공공에서 담당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파악하여 민간기관이 가정방문을 통한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아동학대공공요원의 예산확보를 통한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role of child protection public official and child protection personnel and the way efficiently protect childre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of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related with child protec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should be case sharing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in public personal and private sector in charge of child related affairs in local government, and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information through emergency inspection through non-face-to-face meeting once every two weeks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institutions in charge of child protection. In addition, private institutions intervene through case management through home visit identifying blind spots which cannot be handled by the public, and it should be possible to motivate public child abuse personnel to work through labor condition improvement by securing the budget.

      •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의 아동학대 연구동향 분석 -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세미나 자료집을 중심으로

        박은미 한국아동보호학회 2019 아동보호연구 Vol.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cademic contribution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Neglect(KAPCAN), which has performed various functions since the early days of child abuse until now,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60 seminar over 30 years by the KAPCAN. To this end, first, the prior studies on child abuse were reviewed.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academic data that a newspaper article called the Child Abuse Prevention Act, published by Chosun Telecom in 1930. The academic researches were started in the mid-1970s. Since then, the number has increased gradually. With the enactment of the Act on Child Abus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hild Protective Services, the number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early 2000s, but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11. Next, analysis guidelines for categorization were built based on prior research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guidelines by topic, speaker and debater, subject of study, and year. The errors were minimized by repeating the coding three times afterwards. The coded data were SPSS version 25, which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 cross tab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94 studies were conducted on child abuse laws, policies, preparation plan and delivery systems, followed by those on certain types of child abuse, such as sexual violence, neglect and abandonment. Furth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classification of the KAPCAN, there were issues that were mainly dealt with during the Settlement Period but rarely dealt with during the Expansion Period. Also, speakers and debaters were classified, and the academic community was the largest, but we could see that the practice field had continued to work together, and the judicial community and civil servants, although a few, albeit in a minority.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KAPCAN became the cornerstone of the nation's child abuse practice and academic research, and that it has since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providing a forum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academic, practical, and public and private sectors by covering various research subjects on child abuse in a timely manner according to social needs. 본 연구는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에 의해 30년간 개최된 60회의 세미나 자료집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아동학대 초기부터 지금까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온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의 학술적 기여를 살펴 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아동학대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는데, 비학술자료로써는 1930년 조선통신에 게재된 ‘아동학대방지법안’이라는 신문기사가 검색되었으며, 학술연구는 197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점차 증가하였으며, 아동학대 관련법이 제정되고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설치되면서 2000년대 초반부터 대폭 증가하다가, 2011년부터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음, 1991년부터 시작된 아동학대 연구동향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고, 이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분석틀을 수립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1988년부터 2019년까지 개최된 세미나 자료집 60호에 수록된 연구 중 누락된 자료집을 제외하고 206편이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범주화를 위한 지침을 설정하고 분석지침에 맞게 논문 주제, 발표자 및 토론자, 연구대상, 연도 별로 분류하여 3차례 코딩을 반복함으로써 오류를 최소화한 후, SPSS 버전 25로 빈도분석, 다중응답 빈도분석, 다중응답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동학대 법, 정책, 대처방안,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가 9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성폭력, 방임, 유기 등 특정 유형의 아동학대에 관한 연구 순이었다. 또한, 연구주제를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의 발달구분에 따라, 정착기, 성장기, 확장기로 구분하여 기간 별로 분석한 결과, 정착기에는 주로 다뤄지다가 확장기에는 거의 다뤄지지 않는 주제도 있었고, 지속적으로 비중 있게 다뤄지는 주제도 있었다. 다음, 발표자와 토론자도 분류해보았는데, 학계가 가장 많았으나, 실천현장도 지속적으로 함께 해왔음을 알 수 있었고, 소수이지만, 사법계와 공무원도 함께 참여해왔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가 우리나라 아동학대 실천과 학술연구의 초석이 되었으며, 이후 시의적절하게 사회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아동학대에 관한 연구주제를 다루며 학계와 실천계, 공공과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장을 마련해오는데 크게 기여해왔음을 확인하였다.

      • RISS 인기논문

        한국의 아동학대의 현황 및 아동학대에 관한 법적·제도적 대응에 관한 고찰

        강동욱 한국아동보호학회 2019 아동보호연구 Vol.4 No.2

        아동학대는 아동의 발달과 성장에 심각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성인으로 성장한 이후에도 피해아동에게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적·사회적인 문제로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국가적 차원에서도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마련된 아동정책을 통해 아동학대의 실태조사 및 아동학대의 방지 및 피해아동의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아동복지법」과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제정·시행을 통해 그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특히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를 비롯한 민간단체들과 아동보호전문기관의 활동을 통해 민간차원에서의 아동학대의 방지와 피해아동의 보호를 위한 노력은 우리 사회에서 아동학대를 사회적 이슈로 만드는 한편, 아동학대 관련 법제와 정책을 수립·시행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아동학대의 현황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아동학대와 관련한 정책과 법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오늘날 가정내 아동문제에 대한 국가의 역할은 소극적인 개입에서 적극적인 개입으로 변화되었으며, 학대가 발생한 가정에 대해 동반자적 입장과 감시자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피해아동을 보호해야 하는 존재에서 나아가 권리를 가진 주체로 바라보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사건의 발생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아동의 고통도 줄어들고 있지 않고 있다. 이것은 국가주도의 아동정책에서 아동학대 관련 영역은 여전히 제한적이고 소극적이며, 아동학대관련 법률의 제·개정도 아동학대에 관한 장기적인 연구나 아동학대의 발생원인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에 따라 행하여지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아동학대문제 해결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하더라도 지역사회와의 종합적인 연계와 일반시민의 자발적인 협조를 이끌어낼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아울러 아동학대의 문제해결에 있어서도 학대행위자의 처벌강화 보다는 피해아동의 보호와 학대행위자의 개선·교화에 중점을 둠으로써 원가정회복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여야 한다. Child abuse is required as a national and social issue in that it not only has a serious impact on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child, but also negatively affects the child after it has grown into adulthood. At the national level,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cuses on children's policies to prevent child abuse and protect abused children. And the legal basis was established through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Child Welfare Act」 and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rimes of Child Abuse and Neglect」. In particular, efforts to prevent child abuse at the private level and to protect abused children through the activities of private organizations and child protection agencies, including ‘the Korea Child Abuse Prevention Association’(Chairman: Bae-Geun Lee), while making it a social issue, it contributed decisively to the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child abuse. In this paper, based on a survey on the current state of child abuse in Korea, the policy and legislation related to child abuse are reviewed. Today, the state’s role in children’s problems in the family has changed from passive intervention to active intervention and plays both a companion position and a supervisor on the abused family. In addition, it changed from the existence of protecting children to the subject of rights. Nevertheless, the incidence of child abuse cases is on the rise, and the sufferings of the abused children are not decreasing. This is because the areas of child abuse in state-led children’s policies are still limited and passive, and have not been done in accordance with long-term studies on child abuse or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causes of child abuse. Therefore, even if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plays a leading role in solving child abu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lead to a comprehensiv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and voluntary cooperation of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in solving the problem of child abuse, efforts should be made to recover the cost family by focusing on the protection of the victims and on the improvement and rehabilitation of the abuser, rather than on the enhancement of the punishment of the abuser.

      • RISS 인기논문

        아동학대범죄의 예방 및 대책 방안

        김화미 한국아동보호학회 2017 아동보호연구 Vol.2 No.2

        최근 아동학대로 인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정부관련부처 및 민간단체들의 노력으로 아동학대 예방과 대책, 아동학대범죄처벌 등에 관한 제도가 강화되었다. 이것은 아동의 권리를 강조하고 올바른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독려하는 것으로 아동보호와 아동학대예방, 피해아동에 대한 보호조치 및 아동의 안전에 관한 제도적 지원을 확충하는데 밑바탕이 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안에서의 부모에 의한 학대를 조기발견하거나 재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장기적인 대책 등과 같은 보다 현실적이고 실효성있는 아동보호방안과 예방조치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학대피해아동이 원가정으로 되돌아가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피해아동 보호에 궁극적인 목표라면 이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학대 후에 조치는 물론이거니와 학대행위에 이르기 전에, 또 학대행위가 범죄로 이어지기 전에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아동과 보호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아동관련 현행 법제를 분석·검토하고,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예방체계 및 그 대책에 대한 정책적·입법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with the increased social interest in child abuse and diverse efforts from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system related to the prevention, measures, and punishment for child abuse has been strengthened. As a way to emphasize children's rights and also to encourage their correct roles as members of society, it becomes a basis to expand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child protection, prevention of child abuse, protection of victimized children, and child safety. However, it would be more necessary to have more realistic and effective child protection/prevention measures like long-term measures to discover child abuse by parents at home early or to prevent re-abuse. When the ultimate goal of protection of victimized children is that abused children maintain their healthy and safe lives after going back to their original families, our society should be able to be helpful to both children and guardians by preventing child abuse before it is led to abusive treatment or before abusive treatment is led to a crime, on top of taking actions after abuse. Thus, this paper aims to consider preferential ac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by analyzing/reviewing the current legislations related to child. Also, examining the preventative/follow-up actions of child abuse based on the safe returning to original family, it suggested the institutional/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 RISS 인기논문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상 학대피해아동의 보호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김봉수 한국아동보호학회 2016 아동보호연구 Vol.1 No.2

        아동학대의 심각성으로 인해 우리 사회에서는 아동학대피해의 예방, 학대피해아동의 보호, 학대피해아동의 권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2013년 아동학대 사망사건이 발생하면서 학대행위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통해아동학대를 예방하고, 학대피해아동의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아동학대 관련법률 등이 제‧개정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가차원에서는 학대피해아동의보호를 위해 회복과 지원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제정 이후 아동학대 현장에서의 아동학대 방지와 행위자에 대한 처벌은 강화되었지만 학대피해아동의 보호와 지원을 위해서는 재원과 전문성의 부족으로 효과성이 크지 않은 실정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학대피해아동에 대한 보호, 지원을 위한 아동학대범죄처벌법 체계의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고 효과적인 방안을 강구해 보고자하며,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대피해아동의 보호,지원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역사회기관과 응급처치협력방안을 제시하였고, 둘째,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학대피해아동의 긴급임시조치명문화를 제시함으로써 학대피해아동의 보호와 지원에있어서 효율적 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한다. 셋째, 임시조치담당기관 ‘(가칭)피해아동지역협의회 설립, 피해아동보호명령의 구체적인대응방안 매뉴얼 제정, 국선변호사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Today, child abuse is a serious problem all over the world.Diverse organ has been involved in a campaign against childabuse. The most obvious reason that child abuse is still prevalentin Korean society is that physical punishment has been sociallyaccepted as a means of discipline for decades.Child abuse spans across the class system and across theeducation system. We don't know whether these children are stillbeing the victims of child abuse. Child abuse Mothers and fathersare the most prevalent perpetrators; They represent approximately70% of all cases. Its long term effect is beyond ourcomprehension. Child abuse endangers life and health. Childabuse is on a steady rise in the Korea. Lately, child abuse hasbecome a major social problem in Korea. Child abuse can bedefined in many different ways. There are many ways in whichone can prevent child abuse.I guess child abuse law would be a precedence. Proper trainingby child psychologists should be given to social workers dealingwith abused children. Child abuse must be forbidden. Ultimately,these procedures will help decrease the chronic practice of childabuse in Korea.

      • 아동학대방지를 위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부모역량 강화방안

        양정옥 ( Yang Jung Ok ) 한국아동보호학회 2019 아동보호연구 Vol.4 No.1

        인간은 끊임없이 집단 구성원 간의 대인관계를 통하여 사회화된다. 특히, 주양육자인 부모의 역량은 인간의 인격과 자아의 형성에 결정적 요소로서 작용한다. 아동은 그들을 둘러싼 가정이나 사회환경, 그중에서도 교육과 관련된 사회적 문화와 규범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약자의 위치에 있는 아동은 가족영역에서 학대상황에 더 많이 노출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아동학대 행위자의 다수가 아동의 실질적인 양육을 책임지고 있는 부모라는 측면과 아동학대 발생장소의 대부분이 가정이라는 측면을 감안할 때, 아동학대의 방지를 위해서는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아동의 삶과 전인적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과 아동과 많은 시간을 보내며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는 주 양육자인 부모의 역량에 대해 알아보고, 부모에 대한 교육과 치료의 병행 요청 등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Humans are constantly socialized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group members. In particular, the competence of parents who are child-rearing children acts as a critical factor in the formation of human personalities and self. Children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 around them, especially the social cultures and norms related to education. Children in the position of the weak are bound to be exposed to more abuse situations in the family real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family factors affecting child abuse in order to prevent child abuse, given the fact that many child abuse actors are parents responsible for the actual upbringing of children and that most of the place where child abuse occurs is home. In this paper, I provided practical and policy alternatives to prevent child abuse, including requests for education and treatment of parents, who are the main caregivers who spend a lot of time with children and closely influence their lives and overall development.

      • 양육시설 아동들의 인권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은주,박명숙 한국아동보호학회 2016 아동보호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는 시설아동의 권리 수준을 조사하였다.본 연구는 전국 23개 양육시설에서 1,001명 아동을 층화표집하였다. 설문조사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아동의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자기기입식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아동의 권리인식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일부 양육시설에서 아동의 보호권이 침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는 아동의 권리 증진을 위해 정책적 개입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level of children's rights who are livingin the child-caring institution. For the study 1,001 children wererecruited from the 23 child-caring institutions by quota sampling.Structured instrument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thequestionnaires included the children's rights of survival,development, protection, and participation as well as theawareness of child rights. Study verified that children's rightswere not totally respected and protected in some situations and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child rights were relatively low.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children's rights living inchild-caring institution were suggested based on study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