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브리드 가정 성교육 모형 개발

        강차선,허희임,정민,박정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Hybrid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model is a model that parents teach their parents about the contents of sexual education by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They were deployed in a hybrid environment to facilitate such training. The M-M midwives are placed in a hybrid environment where parents can help their children open their minds to guidance of their children, and the techniques of midwifery include the ident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pre-assessment, learning, result evaluation. The contents of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are combined with these procedural steps to develop hybrid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model. These models can establish strategies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boundaries, and functions in family relationships as well as attitudes related to performance, gender attitudes that reveal individual's sexuality, reliable value to child, and knowledge.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n be manifested in a dangerous manner so that personal boundary control can be secur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y of home sex education and to develop hybrid Parent-Child sexual education model to improve the time efficiency of dual - income families and to resolve the sexual conflicts in adolescence. Moreover, it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and reducing the potential attackers and victims of child sexual abuse, which is a social problem, and contributing to the family, the society, and the national interest. 하이브리드 가정 성교육 모델은 부모가 가르치는 성교육으로서 부모는 자녀와의 상호작용으로 I-M 산파술을 활용하여 성교육의 콘텐츠 내용으로 교육하는 모델이다. 이러한 교육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이브리드 환경에 배치하였다. I-M 산파술은 하이브리드 환경 안에 배치되어 부모가 자녀를 지도하는데 있어서 자녀가 자신의 마음을 열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산파술의 기법에는 교육목표확인, 사전평가, 학습, 결과평가의 절차적 단계가 있다. 이에 가정성교육의 내용을 갖고, 이러한 절차적 단계를 접목시켜 하이브리드 가정성교육 모형을 개발한다. 이러한 모형은 가족 간의 상호관계에 있어서 부모-자녀 간의 관계, 경계 및 기능,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전략을 세울 수 있으며, 또한 성과 관련된 마음가짐이나 자세, 개인의 sexuality를 드러내는 자세인 성 태도, 자녀에게 신뢰할 수 있는 가치, 그리고 지식 등의 지원이 가능하다. 특히 위험에 처한 관계를 나타나게 할 수 있어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으로 개인적 경계 조절을 확고하게 할 수 있다. 이에 가정 성교육 이론 확립과 하이브리드 가정 성교육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맞벌이 가정의 시간 효율성을 높이고, 학령기 아동들이 겪게 되는 사춘기 시기의 성적갈등을 해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성인식 함양으로, 사회문제가 되는 아동성폭력의 잠재적 가해자와 피해자를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어 안심할 수 있는 사회 환경 조성에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초기청소년의 부모-자녀 협력형 성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홍현정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부모-자녀 협력형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한 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초등고학년을 양육하는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파악된 성교육 요구에 대한 실증적 자료와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부모-자녀 성 의사소통, 포괄적 성교육 담론 등을 근거로 활용되었다. 프로그램은 9팀의 초등 5-6학년 자녀와 부모가 함께 참여하였고, 크리에이터 역량강화 4회기, 자녀성교육 역량강화 12회기, 부모-자녀 성 의사소통과정을 담은 동영상 제작 및 유튜브 업로드 9회, 동아리활동 9회기로 8개월간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단일사례 전후비교설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부모-자녀 협력형 성교육프로그램은 초기 청소년의 건강한 성의식 형성과 부모-자녀 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가지 못하는 기존 성교육 프로그램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arent-child cooperat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is developed based on empirical data of the needs of parents raising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children on sexuality education, Vygotsky'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parent-child sexuality communication, and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discourse. A total of 9 families of 5th and 6th grade children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The 8-month program was consisted of 4 sessions of creator competency reinforcement, 12 sessions of child sexuality education competency reinforcement, 9 times of parent-child sex communication video production and YouTube uploading, and 9 sessions of club activit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design of before-and-after comparison of a single-case was used. The study resulted in that the parent-child cooperat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stablishment of healthy sexual consciousness in early adolescents and improvement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veloped and designed a sexuality education program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programs that could not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

      • KCI등재

        영유아 부모의 자녀 성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홍경선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For a long tim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exuality educatio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have been emphasized. But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and sexuality education are so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knowledge of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and the information of sexuality education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To do these, previous studies and internet documents from foreign organizations were reviewed.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and helpful reference for parents were summed up.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is natural to explorer their body and to satisfy curiosity on their developmental stage. The parents’ reaction itself to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can be the ground for building up young children’s conception and attitudes of sexuality. To start with teaching correct name of body parts is good for sexuality education. Accurate sex information from parents make children distinguish false information and sexual abuse.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parents’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sexual behavior. 오랜 기간 영유아 부모의 자녀 성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나 영유아 부모들이 성교육을 실행하고하 하여도 이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매우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들에게 영유아들의 성에 대한 기본 지식과 성교육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들과 해외 기관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자료를 조사하여 영유아 성행동과 영유아 부모들이 성교육을 실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영유아의 성행동은 영유아 발달 단계상, 자신의 신체를 탐구하고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자연스러운 행동이다. 영유아들의 성행동에 대한 부모들의 반응 자체가 영유아에게는 성교육이 될 수 있으며, 성에 대한 기본 개념과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다. 신체 부위의 정확한 명칭을 가르쳐주는 것을 시작으로, 영유아와 대화를 통해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부모가 성에 대하여 정확하게 정보를 주면, 영유아가 자라면서 잘못된 정보를 구별할 수 있게 되고 성범죄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 정리한 내용은 영유아와 영유아 부모의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영유아의 성행동을 이해하는데 기본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 성학대 예방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오남(Kim OhNa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3

        성교육은 물론 성학대 예방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부모교육은 현재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실제 부모들은 유아 성학대 예방에 대한 내용을 전달하는데 부모들의 관심, 지식, 용어, 자료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유아를 둔 부모들을 위해 성학대 예방교육 실태와 교육시 어려운 점, 필요한 내용에 대한 요구도 등을 미리 점검하여 성학대 예방교육에 대한 교육적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유아 성학대 예방교육의 실태와 아울러 예방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며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고찰과 함께 유아 성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는 유아 성학대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conducted to find out parents' level of knowledge on child sexual abuse prevention, and their demands for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on sexual abuse prevention. Two hundred and six parents of 4 to 6 year-old children in kindergartens in Kwangju and Chonnam were survey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ed: Parents have obtained knowledge on sexual abuse through mass media, guiding books and so on. They were aware that communication with children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sexual abuse prevention. They were somewhat at a loss on exactly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the children, and complained about the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They think that the age that is most appropriate for such education is between 6 and 7 year-old, and the parents and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educating children on sexual abuse. For the desired content of the education, they included sex, sexual abuse, and parents' coping. This study contributed to prevent child sexual abuse through educating their parents and using class materials in kindergarten.

      • KCI등재

        학령전기 자녀를 둔 부모 성지식, 성태도,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의 융합적 비교

        이은미,오윤정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6

        본 학령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성지식, 성태도, 부모효능감 정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학령전기 아동을 자녀로 둔 부모 70쌍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chi-square test, t-test, ANOVA를 이 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녀 성교육에 대한 책임(p=.043), 자녀 성교육의 경험(p=.043), 자녀와 성에 대한 의사소통정도 (p=.019), 성과 관련된 정보제공(p=.024)에 있어 부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간 성지식 (p=.018), 성태도(p=.006)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p=.006)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바른 자녀 성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부모의 성지식, 성태도, 자녀 성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자녀 성교육을 위해 부모 간 차이점과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부모대상 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부모 모두에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parent efficacy among parents of preschool child. Participants were 70 couples, parents of preschool chil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t-test, ANOVA.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and attitude about sexuality education for children among parents, person in charge of sexuality education for children(p=.043), parents’ experience of sexualit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p=.043), the number of communication about sexuality with their children(p=.019),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sexuality(p=.02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exual knowledge(p=.018) and sexual attitude(p=.006)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onduct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s when teaching parents about sexuality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in preschool period,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 KCI등재

        영유아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그림책을 중심으로

        김연옥,홍경선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영유아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목적을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 52명과 부모 155명의 인식 및 실태, 영유아 성행동 및 성교육 프로그램에 관련된 선행연구,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를 통해 교육목표, 학습경험 선정, 학습경험 조직, 학습성과 평가를 구성하여 10인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영유아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의 목적은 ‘영유아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역량 증진’, 목표는 ‘영유아 발달과정 및 성행동 특성에 관해 설명하고, 성질문, 성일반행동, 성문제행동과 성행동 대처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으며, 성교육 내용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이다. 학습경험 선정은 성에 대한 이해, 성행동 대처법, 성교육 방법으로 구성하고 학습경험 조직은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 및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조직하였다. 학습성과는 부모와 교수자로 나누어 평가한다. 본 연구는 부모가 영유아자녀의 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성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남학생 엄마의 남아성폭력 관련 불안 (두려움)의 젠더적 특성에 대한 연구

        권인숙 ( Kwon Insook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5 여성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여아에 대한 아동성폭력 불안이 강화되고 있는 한국의 최근 상황에서 초등학생 남아를 둔 엄마들의 성폭력 피해나 가해에 대한 불안이 대체로 부재한 이유와 그 문제점을 분석해보려고 했다. 언론은 여아를 중심으로 성폭력 피해보도를 하고 있고 초등학생 남아 엄마들은 남아 성폭력 피해의 가능성을 현실의 문제로 인식하지 않고 있다. 가해에 대한 불안도 부재한데, 원인으로는 남아를 성적 존재로 보지 않고 있고,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여아가 남녀 간의 여러 관계에서 강자로 자리 잡은 특성들이 구체적으로 피해나 가해의 불안이 형성되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교 남아의 엄마들은 최대한 아이가 성적인 존재가 되는 것을 지연시키고 싶어 한다. 성교육, 혹은 성폭력 예방교육이 성적인 자극이 될 거라는 염려에 사춘기가 본격화되기 전까지 성에 관한 교육을 지연하고 그 이후에는 아빠가 담당해줄 것을 기대한다. 전반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 성폭력예방의 필요성을 부모들이 별로 공감하지 못하고 여아에만 집중된 불안은 기존의 여아의 옷차림 책임론, 남아성충동론을 더 강화시키고 있다.이런 불안의 젠더화의 부정적인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첫째, 여아에게 집중된 아동성폭력 보도방식이 바뀌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성폭력예방교육과 관련해서 초등학교 고학년 남아 여아의 관계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할 수 있는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셋째, 남아의 성과 관련해서 아빠의 역할이 크고 기대가 높아 이에 적합한 성폭력 통념 변화를 위한 예방교육이 절실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son why, in spite of Korea’s current hype concerning sexual violence against girls, mothers with sons in elementary school have for the most part very little fear regarding the possibility that their child may be the victim or aggressor of sexual violence, and why this tendency may be problematic. The media’s reports on sexual violence cases are centered on girl victims, and th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boys do not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sexual violence as their reality. Fear that their child may become an aggressor is also absent: this appears to be because they do not consider their child to be sexual, and because the fact that girls take the leading role in boy-girl relationships during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akes it difficult for parents be specifically anxious of their son becoming a sexual violence aggressor or victim. Overall, parents to not fully sympathize with the need to teach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bout sexual subjects, and the fact that sexual violence fear is exclusively focused on girls is strengthening the tendency to blame girls for their attire and the myth of boys’ unstoppable sexual urg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