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패러디 광고의 텍스트성 연구 -텔레비전 광고를 중심으로-

        윤재연 겨레어문학회 2009 겨레어문학 Vol.42 No.-

        이 글은 패러디가 사용된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의 패러디의 특성과 텍스트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글에서 논의 대상으로 삼은 광고는 2004년∼2009년 사이의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 150편이다. 제2장에서는 패러디 광고의 특성을 원전 텍스트의 유형과 차용된 요소의 성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제3장에서는 패러디 광고를 생산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본 조건들을 R. de BeaugrandeㆍW.Dressler(1981)의 일곱 가지 텍스트성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패러디 광고의 원전 텍스트는 기본적으로 ‘화제성’과 ‘대중성’을 가져야 한다. 화제성은 수용자의 주목을 끄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하고, 대중성은 수용자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패러디 광고에서는 영화, 드라마, 이야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CF, 역사문화 텍스트, 보편인식 텍스트 등을 패러디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 외에도 뮤직비디오, 시조, 게임, 명화(名畵) 등을 패러디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내용을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 [sum 1]과 같다. [sum 1] 원전 텍스트의 유형 (※ [표 4]를 재인용함.) 텍스트 유형 영화 드라마 이야기 TV 프로그램 CF 역사문화 텍스트 보편인식 텍스트 화젯거리 기타 계 해당 광고수 44 28 20 20 12 10 9 3 4 150 전체 비율 (%) 29.33 18.66 13.33 13.33 8.00 6.66 6.00 2.00 2.66 99.97 둘째, 원전 텍스트를 패러디할 때 원전 텍스트에서 차용되는 요소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원전 텍스트의 특정 장면, 원전 텍스트에 등장하는 캐릭터, 원전 텍스트의 구성 방식, 서사 구조, 플롯, 원전 텍스트와 관련된 상황, 원전 텍스트를 연상하도록 하는 소재, 언어 표현, 그림을 차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표로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 [sum2]와 같다. [sum 2] 원전 텍스트에서 차용되는 요소 (※ [표 5]를 재인용함.) 차용되는 요소 특정장면 캐릭터 구성방식 서사구조 플롯 상황 기타 계 해당 광고수 43 42 21 17 13 9 5 150 전체 비율 (%) 28.66 28.00 14.00 11.33 8.66 6.00 3.33 99.98 셋째, 패러디 광고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 요구되는 텍스트성은 다음과 같다. ⑴ 의도성: 광고 텍스트 생산자는 원전 텍스트의 친숙성(familiarity)이 수용자의 시선을 끌고, 광고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갖도록 하기 때문에 패러디를 사용한다. 원전 텍스트의 친숙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패러디된 원전 텍스트를 명시적으로 노출하도록 해야 한다. ⑵ 용인성: 패러디 광고를 생산하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와 목적이 효과적으로 달성되려면 수용자가 원전 텍스트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패러디 광고의 원전 텍스트 유형별 수용 가능성의 위계를 매겨보았다. 그 순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sum 3] 원전 텍스트의 수용 가능성 위계(Hierachy) (※ [표 6]을 재인용함.) 이야기 > 역사 문화 텍스트 / 문학, 미술 > 보편 인식 텍스트 > TV 프로 그램 / 드라마 > 영화 > CF / 화젯 거리 > 게임 > 뮤직 비디오 ⑶ 정보성: 패러디 광고의 본질은 ‘모방’과 ‘변용’에 있다. 따라서 패러디 광고를 생산하는 데 중요한 문제는 원전 텍스트를 얼마나 낯설게 만드느냐 하는 것에 있다. ⑷ 응집성과 응결성: ‘응집성’과 ‘응결성’은 패러디 광고가 텍스트다움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 요소이다. 한편 패러디 광고에서 ... The study is concerned with clarifying the parody characteristics and textuality of the TV advertising text for which parody was used. The advertising discussed in the study is 150 TV advertising texts between 2004 and 2009. The characteristics of parody advertising were surveyed on the basis of the types of original texts and the properties of borrowed factors in Chapter 2, and the basic conditions needed for producing the parody advertising wer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seven kinds of textuality of R. de BeaugrandeㆍW.Dressler(1981) in Chapter 3. First, the original text of parody advertising should basically have ‘Topicality’ and ‘Popularity’ because the topicality can play an effective role in attracting the attention of a receiver and the popularity can make the receiver feel friendly. It was shown that parody advertising parodies a movie, drama, story, TV program, C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ext, and the widely recognized text and a music video, Sijo, game, and masterpiece. [sum 1] shows the type of the original text of parody advertising in brief. [sum 1] The type of original text of parody advertising(※ this is a repeat of [Table 4]) The type of original text Movie Drama Story TV program C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ext The widely recognized text Talk The others total quantity 44 28 20 20 12 10 9 3 4 150 percent (%) 29.33 18.66 13.33 13.33 8.00 6.66 6.00 2.00 2.66 99.97 Second, the factors borrowed from an original text when parodying the original text are as follows in details. It was shown that the specific scene of the original text, character appearing on the original text, organization type of the original text, narration structure, plot, situ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text, subject associated with the original text, lingual representation, and picture are borrowed. [sum 2] shows the properties of borrowed factors in brief. [sum 2] The factors borrowed from an original text(※ this is a repeat of [Table 5]) The factors borrowed The specific scene Character Organization type Narration structure Plot Situation The others total quantity 43 42 21 17 13 9 5 150 percent (%) 28.66 28.00 14.00 11.33 8.66 6.00 3.33 99.98 Third, the textuality required in producing parody advertising is as follows. ⑴ Intention: The advertising text producer uses parody since the familiarity of an original text attracts the attention of a receiver and makes the receiver fond of advertising. A parodied original text should be explicitly exposed to effectively achieve the intention of the text producer trying to utilize the familiarity of the original text. ⑵ Acceptability: A receiver should know about the original text to have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a text producer producing parody advertising effectively accomplished. The study makes the acceptability hierarchy for each original text type of parody advertising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 The order is as follows. [sum 3] Acceptability Hierarchy of Original Texts(※ this is a repeat of [Table 6]) Story >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ext / Literature and Art > The Widely Recognized Text > TV Program / Drama > Movie > CF / Talk > Game > Music Video ⑶ Informativity: The essence of parody advertising is ‘Imitation’ and ‘Modification’. Therefore, the important issue in producing parody advertising is how strange an original text is made. ⑷ Coherence and Cohension: ‘Coherence’ and ‘Cohension’ are the basic factors needed to have parody advertising textual. By the way, organizing parody advertising with Coherence and Cohension is related to the issue of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why the original text was borrowed. The more easily and the more clearly the basis to understand the transfer process between two texts is shown, the more a receiver is impressed with parody advertising. ⑸ Situationality: The sociocultural communication background, existing objects and events, and their progress and context greatly aff...

      • KCI등재후보

        국어학 : 패러디 광고의 텍스트성 연구 -텔레비전 광고를 중심으로-

        윤재연 ( Jae Yeon Yoon ) 겨레어문학회 2009 겨레어문학 Vol.42 No.-

        이 글은 패러디가 사용된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의 패러디의 특성과 텍스트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글에서 논의 대상으로 삼은 광고는 2004년`2009년 사이의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 150편이다. 제2장에서는 패러디 광고의 특성을 원전 텍스트의 유형과 차용된 요소의 성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제3장에서는 패러디 광고를 생산함에 있어서 필요한 기본 조건들을 R. de Beaugrande·W.Dressler(1981)의 일곱 가지 텍스트성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패러디 광고의 원전 텍스트는 기본적으로 `화제성`과 `대중성`을 가져야 한다. 화제성은 수용자의 주목을 끄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하고, 대중성은 수용자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패러디 광고에서는 영화, 드라마, 이야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CF, 역사문화 텍스트, 보편인식 텍스트 등을 패러디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 외에도 뮤직비디오, 시조, 게임, 명화(名畵) 등을 패러디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내용을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 [sum 1]과 같다. 둘째, 원전 텍스트를 패러디할 때 원전 텍스트에서 차용되는 요소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원전 텍스트의 특정 장면, 원전 텍스트에 등장하는 캐릭터, 원전 텍스트의 구성 방식, 서사 구조, 플롯, 원전 텍스트와 관련된 상황, 원전 텍스트를 연상하도록 하는 소재, 언어 표현, 그림을 차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표로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 [sum2]와 같다. 셋째, 패러디 광고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 요구되는 텍스트성은 다음과 같다. ⑴ 의도성: 광고 텍스트 생산자는 원전 텍스트의 친숙성(familiarity)이 수용자의 시선을 끌고, 광고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갖도록 하기 때문에 패러디를 사용한다. 원전 텍스트의 친숙성을 이용하고자 하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패러디된 원전 텍스트를 명시적으로 노출하도록 해야 한다. ⑵ 용인성: 패러디 광고를 생산하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와 목적이 효과적으로 달성되려면 수용자가 원전 텍스트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패러디 광고의 원전 텍스트 유형별 수용 가능성의 위계를 매겨보았다. 그 순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⑶ 정보성: 패러디 광고의 본질은 `모방`과 `변용`에 있다. 따라서 패러디 광고를 생산하는 데 중요한 문제는 원전 텍스트를 얼마나 낯설게 만드느냐 하는 것에 있다. ⑷ 응집성과 응결성: `응집성`과 `응결성`은 패러디 광고가 텍스트다움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 요소이다. 한편 패러디 광고에서 응집성과 응결성을 갖추도록 구성하는 것은 원전 텍스트가 어떠한 이유로 차용되었는가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문제와 관련이 된다. 두 텍스트 사이의 전이 과정을 납득할 수 있는 근거가 쉽고 분명하게 드러날수록 패러디 광고는 수용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⑸ 상황성: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사회·문화적 배경 및 그 속에 존재하는 사물과 사건, 이들의 진행 상태와 맥락 등은 정보의 수위나 완급, 배열 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패러디 광고의 생산에 있어서 이러한 `상황성`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갖추어야 되는 요소는 원전 텍스트를 패러디하는 시점이 적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간단히 살펴본 바와 같이, 이 글에서는 패러디의 대상이 되는 원전 텍스트의 유형과 원전 텍스트에서 차용되는 요소의 성격을 중심으로 패러디 광고의 특성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패러디 광고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 요구되는 텍스트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광고 텍스트의 본질을 구명(究明)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텍스트의 유형화를 목적으로 하는 텍스트 언어학의 목적에도 부합하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The study is concerned with clarifying the parody characteristics and textuality of the TV advertising text for which parody was used. The advertising discussed in the study is 150 TV advertising texts between 2004 and 2009. The characteristics of parody advertising were surveyed on the basis of the types of original texts and the properties of borrowed factors in Chapter 2, and the basic conditions needed for producing the parody advertising wer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seven kinds of textuality of R. de Beaugrande·W.Dressler(1981) in Chapter 3. First, the original text of parody advertising should basically have `Topicality` and `Popularity` because the topicality can play an effective role in attracting the attention of a receiver and the popularity can make the receiver feel friendly. It was shown that parody advertising parodies a movie, drama, story, TV program, C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ext, and the widely recognized text and a music video, Sijo, game, and masterpiece. [sum 1] shows the type of the original text of parody advertising in brief. Second, the factors borrowed from an original text when parodying the original text are as follows in details. It was shown that the specific scene of the original text, character appearing on the original text, organization type of the original text, narration structure, plot, situ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text, subject associated with the original text, lingual representation, and picture are borrowed. [sum 2] shows the properties of borrowed factors in brief. Third, the textuality required in producing parody advertising is as follows. ⑴ Intention: The advertising text producer uses parody since the familiarity of an original text attracts the attention of a receiver and makes the receiver fond of advertising. A parodied original text should be explicitly exposed to effectively achieve the intention of the text producer trying to utilize the familiarity of the original text. ⑵ Acceptability: A receiver should know about the original text to have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a text producer producing parody advertising effectively accomplished. The study makes the acceptability hierarchy for each original text type of parody advertising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 The order is as follows. ⑶ Informativity: The essence of parody advertising is `Imitation` and `Modification`. Therefore, the important issue in producing parody advertising is how strange an original text is made. ⑷ Coherence and ohension: `Coherence` and `Cohension` are the basic factors needed to have parody advertising textual. By the way, organizing parody advertising with Coherence and Cohension is related to the issue of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why the original text was borrowed. The more easily and the more clearly the basis to understand the transfer process between two texts is shown, the more a receiver is impressed with parody advertising. ⑸ Situationality: The sociocultural communication background, existing objects and events, and their progress and context greatly affect the level, slowness and fastness, and array of information. The factor to be seriously considered in relation to `Situationality` when producing parody advertising is that the timing to parody an original text should be proper. As briefly shown above, the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parody advertising by focusing on the types of original texts and the properties of the factors borrowed in the original texts and discussed the textuality required to produce the parody advertising based on this. It is thought that it assists in finally clarifying the essence of advertising texts and corresponds with the purpose of text linguistics setting up the categorization of texts as an aim.

      • KCI등재

        『석보상절』 권제3의 저경과 번역

        김성주 국어사학회 2014 국어사연구 Vol.0 No.18

        본고는 『석보상절』 권제3의 언해문에 대응하는 한문 원문을 밝히고, 제시된 한문 원문을 토대로 『석보상절』 권제3의 언해문과 한문 원문의 대응 양상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석보상절』의 저경에 대해서는 여러 선학들의 논의에 이어 김기종(2010)의 체계적인 논의가 있다. 이 글은 김기종(2010)에서 밝히지 못한 부분을 보완하여 『석보상절』 권제3의 저경을 보다 충실하게 밝히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글에서도 협주를 포함하여 『석보상절』 권제3의 저경을 밝히지 못한 부분도 있다. 『석보상절』 권제3의 저경은 『석가보』와 『석가씨보』를 비롯하여 『주석가여래성도기』, 『불본행집경』, 『잡보장경』 등의 문헌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주석가여래성도기』는 기존 연구에서 『석보상절』의 저경으로 거론하지 않았던 문헌이다. 『석보상절』의 편찬자들은 주요 저경인 『석가보』에도 제시되어 있지 않는 부분을 다시 『석가보』의 저경으로부터 인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석보상절』 편찬자들은 저경의 문장 순서를 바꾸기도 하고, 여러 가지 저경에서 교차 인용하기도 하였으며, 저경의 내용을 요약하여 번역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석보상절』은 간경도감 언해본과 성격이 다른 문헌이라기보다는 기본적으로 간경도감 언해본과 같이 한문을 한글로 옮긴 문헌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original Chinese text of Seokbosangjeol(here after, SS) vol. 3. which is composed of 24 volumes, from various Buddhist sutra and to investigate how to be translated into the Hangeul text of SS on the basis of its newly found-out original Chinese text.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understand its editors' intention, its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and the aspect of between its original Chinese text and translated Hangul text. We can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Chinese text of SS, as follows;Firstly, the original Chinese text of SS is quoted from Seokgabo and Seokgassibo as the main source and Juseokgayeoraeseongdogi, Pulbonhaengjipkyeong and Japbojangkyeong, etc. Secondly, the newly found-out original Chinese text are the part 5, part 8, part 16, part 21, part 27, part 28 and part 40. Among them, the entire paragraph of the part 21 and part 27 is quoted from the Juseokgayeoraeseongdogi. Thirdly, we do not have found out its original Chinese text of the part 16, part 28, part 31, part 32 and part 40 yet. We summarized the aspect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its translated Hangeul text of SS, as follows;Firstly, there is a direct quotation for some parts of Hangeul text from not its main source literature Seokgabo but other Buddhist sutra, as (47). Secondly, there is a case for the order of the original Chinese text to be changed in order to express the natural Hangeul style, as (48) and (49). Thirdly, some paragraphs of Hangeul text in SS are quoted from the several Buddhist sutra not from only one sutra, as (50). Fourthly, there is a case of the change a sentence-type of the original Chinese text into other sentence-type for the natural expression of its Hangeul text, as (51). Fifthly, some parts of Hangeul text in SS vol. 3. is not direct translation of its original Chinese text but the summary of it, as (53). This conclusion above is not from the entire text in SS. However, SS vol. 3. is a very special one among the entire 24 volumes of SS, because the text of vol. 3. of SS is quoted from the more various Buddhist sutra than others. There is a tendency for SS to be treated as a more special one than other 15th-century Hangeul literatures from the viewpoint of its style. But SS is also basically normal 15th-century Hangeul literature which are normally translated from Chinese literature, mainly from Buddhist sutra, only except for no original Chinese text on the literature. We need continuously to find out the original Chinese text of SS in order to investigate its philological characteristic, its editors' intention and its style, etc.

      • KCI등재

        『三國史記』 職官志 武官條의 原典과 撰述에 대한 考察: 諸軍官·凡軍號 기록을 중심으로

        전덕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한국문화 Vol.0 No.86

        This paper examines the editing process of the Jegungwan․Beomgunho records of Mugwan section in Samguksagi Jikgwanji(ha) and the nature of two original text of it. This thesis further looks into the compilation process and timing of the two original text. The editor of the original text of Beomgunho records reproduced some transmitted materials in this original text. These materials listed each name of 23-Gunho that existed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Furthermore, he completed the original text by arranging the details of each corps listed there by referring to several transmitted materials. The editor of the original text of Jegungwan records established the basic framework of this original text by arranging several transmitted materials which contained contents about corps between the 3rd year of King Seondeog and the period of King Heondeog. He completed the original text by adding some contents such as officer rank system of soldiers and whether soldiers could wear neckband of military uniform. The editor of Jikgwanji also reprinted the contents from the original text in Beomgunho records of Mugwan section but he wrote some contents by himself and completed it by introducing other names of some corps as footnote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ditors of Jikgwanji compiled Jegungwan records of Mugwan section by reprinting some contents from the original text and adding some contents by themselves.

      • KCI등재

        ‘패러디’, 원 텍스트에 대한 ‘다시 읽기’와 ‘다시 쓰기’: - 王蒙의 ‘成語新編’을 중심으로

        장윤선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08 中國現代文學 Vol.0 No.45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ways of communication of ‘parody’ through a textual analysis of Wang Meng’s Chengyu xinbian. Parody in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a writer’s critical and creative attitude toward the original text. The writer attempts to re-read the original text based on his or her own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and semiotically creates a parodic text. Hence, in reading a parodic text, the readers should find out the ways in which the writer critically re-interprets the original text. The meanings of the parodic text become complete when the readers grasp the intentions and messages of the writer. The original texts of Chengyu xinbian comprise of old fables and idiomatic phrases. Based on the contemporary contexts of the 1990s, Wang Meng twists and subverts the conventional ideologies and fixed ideas inherent in the original fables and idiomatic phrases. In addition, through an innovative revision of the original fables and phrases, Wang Meng induces the readers to have open mind and to carry out a critical analysis. By introducing a shrewd and materialistic swordsman, “Kezhouqiujian” overturns our usual feelings when we used to laugh at and ridicule the swordsman for being simple-minded and stubborn. By focusing on the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of contemporary society, “Shishizhinei, biyouzhongxin” subverts the romanticism and optimism built into the traditional values of ‘loyalty’ and ‘trust.’ Highlighting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artists and enterprises as their patrons, “Gaoshanliushui” destabilizes the highly aesthesized and idealized ‘zhiyin 知音’myth. Through the secularization and depravation of the frog after he has freed himself from the well, “Zuojingguantian” makes us rethink the conventional dichotom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well. By describing the changes in the attitude of the monkeys towards shrewdness and materialism under lucrative circumstances, “Zaosanmusi” overturns the message of the original text, which had emphasized that the monkeys can be easily fooled and ridiculed. In sum, Wang Meng subverts the conventional and unquestioned ways of understanding original texts and, through satires and critical analyses, expands his criticism to contemporary reality. In addition, he leads the readers to view and interpret the world with open-mindedness and new perspectives and also induces us to critically examine the snobbish world in which we are living. This is the reason for his writing Chengyu xinbian and the intention of his parody.

      • KCI등재

        장식(張栻)의 「태극해의(太極解義)」 정본(定本) 연구(硏究)

        蘇鉉盛 ( So Hyunsung ) 한국중국학회 2019 중국학보 Vol.90 No.-

        이 글은 남송 시대 사상가 南軒 張栻의 「태극해의」정본의 대한 연구이다. 수 백 년에 걸쳐 일실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던 장식의 「태극해의」는 근래 연구자들에 의해 두 가지 텍스트가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宋本 『元公周先生濂溪集』에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는 「태극해의」초본은 2002년 필자가 발굴 정리하고 그 내용과 사상을 연구하여 박사학위 논문을 통해 학계에 보고되었다. 그 후 2010년, 粟品孝 교수는 宋刻 殘本 『濂溪先生集』(중국 국가도서관 소장본)과 日本 名古屋市 蓬左文庫所藏本 『濂溪周元公全集』에서 또 하나의 「태극해의」를 발견하여 이를 정리 후 학계에 보고하였다. 필자를 이를 「태극해의」 정본이라고 이름 한다. 장식의 「태극해의」 초본과 정본은 서술과 내용상의 큰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부 문장의 중복, 사상과 내용의 일치성을 확인할 수 있다. 장식의 「태극해의」는 초본에서 정본으로 수정 보완된 것이며, 남헌 당시 혹은 後儒들에게 인용되고 있는 「태극해의」는 모두 정본이다. 초본은 남헌의 문집이나 주자의 문집, 『주자어류』, 당시 유자들의 기록에 인용된 것이 없지만, 정본은 남헌문집, 『주자어류』, 眞德秀의 『西山讀書記』 등에 인용되고 있음을 볼 때, 추후 「태극도설」에 대한 남헌의 이해와 해석은 정본을 텍스트로 삼아야 한다. 하지만 남헌의 철학 사상을 논할 때는 초본에서 정본으로의 사상의 추이와 변화를 동태적이고 종합적으로 감안해야 한다. 왜냐하면 초본은 생성과 전파, 남헌 사상에서의 입지 등을 비판적으로 고려한다 할지라도 남헌 사상의 원형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태극해의」 초본은 정본처럼 주희의 사상에 크게 영향 받기 이전의 장식 사상의 색깔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의미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비해 정본은 주희, 여조겸 그리고 호상 제유들과의 토론을 거치면서 다소 주자화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헌의 핵심적 사유와 사상은 여전히 견지되고 있다. 장식에게 있어서 태극에 관한 철학적 논의는 태극이 “경험되는 사물들 밖에 또는 이전에 그 존재를 갖는 것인가 아니면 절대적으로 그 사물들 자체 내에 갖는가”라는 질문으로 환원할 수 있다. 그는 후자를 강조한다. 이는 육구연의 태극론과 상통하는 점이고, 주희의 태극론과도 일맥상통하는 지점이다. 그는 動이나 靜, 有나 無, 體나 用 중 어느 하나의 요소만으로는 우주와 만물을 유기적이고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현상계와 그것의 원인이자 근원인 세계를 유기적으로 인식하고 정합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유와 무를 겸하는 사유만이 유효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태극의 동정에 관하여 그는 相感에 기반한 변증법적 운동과 변화야말로 태극의 본래적 속성임을 주장한다. 음양오행의 변화 역시 시간적 선후에 기반한 인과관계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변화가 아님을 강조한다. 뿐만 아니라 음양오행의 변화란 초월적인 어떤 존재의 힘이나 외재하는 어떤 별개의 원리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음양이 갖고 있는 본래의 속성에서 말미암은 것, 즉 내재하는 법칙이고 마음대로 주재할 수 없는 어떤 힘에 의해 그렇게 되는 것임을 설파한다. 인간에 대한 견해에 있어서 장식은 주돈이의 새로운 인간관을 수용하여 인간이 여타 사물과 구별되는 것은 그가 도덕적 존재이고 반성을 통해 부여받은 본성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수양에 있어서 장식은 주돈이가 제시한 적이 없는 敬을 수양의 핵심으로 제시하고, 미발과 이발의 竝進을 강조한다는 점을 그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authentic text of Taijijieyi (太極解義) by Nanxian Zhangshi (南軒 張栻), a thinker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Zhangshi's Taijijieyi, which has been said to have been renovated for hundreds of years, was recently discovered to have been transmitted in two kind of texts by researchers. I discovered the original text of Taijijieyi, which was published in the Collected Works of Master Zhou Lianxi (元公周先生濂溪集), and edited in Song Dynasty, which I reported in 2002 to the academic society through my doctoral thesis after compilation and studies of its contents and ideas. Then in 2010, Professor Su Pinxiao (粟品孝) presented an incomplete edition (殘本), which was engraved during the Song Dynasty (宋刻), in the Collected Works of Zhou Lianxi (濂溪先生集) belonging to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with another edition of Taijijieyi in the Complete Works of Master Zhou Lianxi (濂溪周元公全集), belonging to the collection of Hosa Library located in Nagoya, Japan. He compiled them and reported to the academic society. This is what I call the authentic text of Taijijieyi. In spite of the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narrative and the content, the original text and the authentic text of Zhangshi’s Taijijieyi can be confirmed as having the consistency of thought and content in the duplication of certain sentences. Zhangshi’s Taijijieyi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in the authentic text from the original text. And it is only the authentic text of Taijijieyi which is quoted by Confucian scholars of the Nanxian era or later epochs. Whereas the original text is not quoted either by the Anthology of Nanxian, or by the Anthology of Zhu Xi, or by the Zhuziyulei, or by Confucian scholars' archives of that time, the authentic text is quoted by the Anthology of Nanxian, the Zhuziyulei and the Xishan dushuji (西山讀書記) of Zhen Dexiu (眞德秀). Given this fact,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aiji Tushuo by Nanxian should in the future be based on the authentic text. However, when discussing Nanxian's philosophical ideas, the transition and change of ideas from original text to authentic text should be considered dynamically and synthetically. Because the original text, even though its creation, propagation and status in Nanxian's thought are consider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retains the original form of Nanxian’s ideas. The most significant point of Taijijieyi 's original text is that, compared to the authentic text, it shows the color of Zhangshi's ideas before being heavily influenced by Zhu Xi's ideas. In comparison, the authentic text becomes something of Zhu Xi by going through discussions with Zhu Xi, Lu Zuqian and the Confucianists of Hu-xiang. Nevertheless, Nanxian's core thoughts and ideas are still held. For Zhangshi,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f Taiji can be reverted to the question: "Does Taiji has an existence outside of, or before, experienced objects, or absolutely within those objects?" He emphasizes the latter position. This is the point of coherence with Lu JiuYuan's theory of Taiji and also with Zhu Xi's theory of Taiji. He thought that the universe and all the creations could not be explained in an organic and coherent way with a single element: the movement (動) or the stillness (靜), the existence (有) or the non existence (無), the substance (體) or the use (用). In order to recognize organically and coherently explain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world that is the cause and source of it, he thought that only the method of reasoning that combines both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is valid. As for Taiji's movements and stillness, he argues that dialectical movements and changes based on mutual response (相感) are the original attributes of Taiji. He emphasizes that the changes in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are not changes caused by a causality based on time. Furthermore, he preaches that the changes in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are not caused by the forces of a transcendent being or by any other external principle, but by the inherent nature of yin and yang that cannot be presided at will by other force. In other words, it is an inherent principle that exerts a force that cannot be presided at will. On his opinion of the human being, Zhangshi accepted Zhou Dunyi's new opinion on the human being by saying that the reason why human beings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objects is because they are moral beings and can restore their nature through reflection. In self-cultivation, Zhangshi’s suggestion can be characterized by emphasizing respect (敬) as the key of self-cultivation, something that Zhou Dunyi has never suggested, as well as the parallel advance between wei-fa and yi-fa (not yet stirring and stirring).

      • KCI등재

        <규중칠우쟁론기>의 선본(善本) 문제에 대한 고찰

        박은진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versions of <GyujungchilUjangronji>, select the authentic texts with all the content paragraphs, and derive the most consistent texts in terms of content and expression. As two versions of the <GyujungchilUjangronji> were discovered, disagreements over the original manuscript were suggested,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 discussion about whether or not it was a manuscript by thoroughly examining all the excavated manuscrip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select the original text with all content paragraphs by examining all five versions. There are five versions of the <GyujungchilUjangronji> that have been revealed so far. Among them, with the exception of the Nason Kim Dong-wook, which shows a distinctly different aspect in terms of content, all other texts have been claimed to be original manuscripts. In this study, the stage of derivation of the original text is divided into two stages, and the original texts are selected as texts that contain all the content elements close to the original in the bibliographical aspect and the content aspect, and then the selected authentic texts are targeted. We tried to derive the original text with the most coherence between the content and the expression by conducting a double comparison again and revealing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As a result, ‘MangroKaksugi script’, ‘Yonsei University Script’, and ‘Yeongnam Script’ were selected as authentic texts, and among them, ‘MangroKaksugi script’, own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s Gyujanggak, which has the most consistency in content and expression, was derived as the original text. 이 연구는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을 비교·분석하여 내용 단락을 모두 갖춘 정본(正本) 텍스트를 선별하고, 그 중 가장 내용과 표현이 정합성을 갖춘 선본(善本) 텍스트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들이 발굴되면서 어느 것이 선본인가에 대한 이견이 제시되었으나 발굴된 이본들을 모두 면밀하게 검토하여 선본 여부를 판별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 이본을 모두 검토하여 교육제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대표성을 가진 선본 텍스트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규중칠우쟁론기>의 이본은 ’망루각수기본‘, ’나손 김동욱본’, ‘고려대 도서관 소장본’, ‘연세대본’, ‘영남대본’으로 모두 다섯 가지이다. 이 중 내용적 측면에서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나손 김동욱본을 제외하고 나머지 텍스트들이 모두 선본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상태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본 텍스트 도출의 단계를 크게 두 단계로 구분하여 서지학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 원본에 가까운 텍스트로서 정본(定本) 텍스트들을 선별한 후, 이렇게 선별한 정본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다시 이본 비교를 실시하여 텍스트의 미묘한 표현적 차이를 밝혀내고, 내용과 표현의 정합성을 총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선본 텍스트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망루각수기본‘, ‘연세대본’, ‘영남대본’을 정본 텍스트로 선별하였으며, 그 중 갈등 형상화와 주제 구현을 위한 표현에 있어 가장 정합성을 가지고 있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망로각수기본’이 선본 텍스트임을 밝혀내었다.

      • KCI등재후보

        메타텍스트의 인지적 의미 해석 과정 ―패러디 광고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인지책략과 관련하여

        임지원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연구 Vol.36 No.2

        This document is to discuss how the receivers, of parody advertisement texts, which is one type of meta-text, interpret the meanings the most successfully by their own recognition strategies. This issue has been mainly discussed with the group of other concrete solutions for text recognition process. The author proceeded with sample group question investigation on the hypothesis, which states that there is a major relation between the first stage in the theory of Interpretational Process on the recognition of meanings, and the receivers’recognition strategies, in other words, memorization. Furthermore, he/she carried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the outputs of question investigation and the recent parody advertisement tex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cess, validated, that advertisement contexts using meta-text as main frame, were in a great account of persuading messages by application of the receivers’ memorization devices. What follows are the summary of the discussion on this subject. In the theory of Interpretational Process on the recognition of meanings (Jiwon Lim, 2008), as analyzed the parody advertisement texts using scale of 4 steps of ‘verification -> search -> comprehension -> derivation of meanings’, we could find receivers’ efforts on the correction of the discordance with original texts at the 1st stage of verification. For the further research, we performed the question investigation again to clarify where the receivers’ verification of homogeneity, on the meta-texts and original texts, occurs. As an output of this investigation, we were able to spot the plots and fragments that the receivers remember from the original texts of literary works. Here, receivers’ recognition strategies related to their own memorization processes, are distributed very subjectively and autonomously. Only, it was conjectured that the receivers’ recognition strategies on parody advertisement texts are in a great account of the concrete solutions of issues in perception of original texts and that it’s possible to enhance the possibilities in achieving the final goals of parody advertisement text production conversely us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Eventually, it was more common that the parody text receivers remember the fragment scenes and stories rather than the main plot line. Ultimately, recognition strategies are the receivers’ abilities in collecting the fragments of the scenes and stories and inferring the overall plot of the text by doing it.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verification process on the subsets of original texts in the parody advertisement texts, is the actual given device for the receivers to extract the main plot line.

      • 原典回歸와 文獻硏究 方法論

        朴英綠(Park Young-rok)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0 동아한학연구 Vol.- No.6

        중국과 한국에서 통용되는 한자 어휘인 ‘原典’은 흔히 영어로 ‘original text’로 번역된다. 그러나 한자 단어 ‘原典’에는 ‘scriptures’, ‘sacred book’, ‘an authoritative book on one subject’ 등에 해당하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본고는 현재 사용하는 ‘原典’이라는 용어에 ‘중의성(ambiguity)이 있다’는 점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근래 한국과 중국의 학계에서는 ‘回歸原典(Return to the 'yuandian')’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 용어의 정확한 개념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가 되지 않고 있다. 앞서 말한 ‘原典’의 두 가지 지칭 대상은 사실 서로 성격이 완전히 다른 것인데 이 점에 대해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原典’의 지칭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原典’이 주로 ‘original text’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 경우 ‘原典’이란 학술적으로 부적절한 용어가 될 수도 있다. ‘原典’은 ‘an authoritative book’이라는 의미의 간섭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문헌 연구의 범위를 축소시키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한자 어휘이지만 ‘原典’이 한국과 중국에서 화용론적 쓰임이 다르며, 따라서 양국의 학자들 사이에 오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도 주의해야 한다. 한편 ‘original text’라 할 때 ‘original’이란 과연 어떤 형식을 지칭하는 것인지, 현대의 과학기술과 어떻게 관계를 갖게 할 것인지에 대한 정의(definition)가 필요하다. ‘原典’의 개념에 대한 논의 외에 ‘回歸(to return)’의 방법론 역시 검토가 필요하다. 이것은 크게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는 고문헌의 ‘原書’는 대개 귀중한 문화유산인데, 이것의 보존과 보급 사이의 모순에 관한 문제이다. 둘째는 ‘原典’에 대한 ‘파악’작업이다. 중국의 학계에서는 전문 주석서가 아닌 일반 연구서에서는 인용 텍스트에 대해 주석, 번역 등의 보충 설명이 거의 첨부되지 않고 있다. 1차 자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지 않는다면 ‘回歸原典’란 실천되기 어려울 것이다. The term of ‘yuandian(原典)’ is usually translated into ‘original text’ in English. However, the original meaning of yuandian includes ‘scriptures’, ‘sacred book’, ‘an authoritative book on one subject’, and so on. This paper discusses the matter of defining the meaning of yuandian. There are debates about ‘Return to the yuandian’ in Korea and China recently. However, there are lack of discussions defining the exact meaning of the term. As the change of objects leads the change of meaning, we need to distinguish differences. Because the way to practice shifts according to the object. This paper regards the term yuandian as the original text in spite of that may cause academic controversy. It may reduce the range of studying literature. And even it is same in Korean and Chinese, the term of yuandian have different usage within the framework of pragmatics. Therefore we need to make a definition of its usage. I als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o return’. This includes following two parts. First is about the contradiction between preservation and dissemination. Second is about grasping the original text. In Chinese academia, we can't find supplementary explanation such like footnotes, translation about the original text. If we do not try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xt, we can't fulfill returning to the original text.

      • KCI등재

        필사본 고소설의 특성과 가치-한글필사본의 유통 및 존재 양상을 중심으로-

        양승민 국어사학회 2015 국어사연구 Vol.0 No.20

        이 논문은 한글필사본 소설의 유통 및 존재 양상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이로써 필사본 고소설의 특성과 가치 를 논의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주요 내용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는 소설책에 대해서도 ‘古典籍’을 다루듯 접근할 필요가 있는데, 필사본 소설은 몇몇 ‘층위’로 나누 어 살필 수 있다. 우선 필사본 소설을 原本(원고본)과 轉寫本으로 나눌 경우, 그 대다수는 원본과의 거리를 알 수 없는 전사본들이다. 원본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둘째, 전사본도 다 같은 성격이 아니라 특별한 것들이 있다. 비록 원본은 아니더라도 원본과의 거리 측정이 가 능한 전사본이 있는데, ‘원본 직계승본’이 그것이다. 셋째, 원본과의 거리 측정이 불가능한 전사본이라 하더라도, 일반적인 전사본과는 성격이 다른 또 한 부류의 특별한 전사본으로 ‘폐쇄적 전승본’이 있다. 넷째, 필사본 소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류는 민간 유통 ‘일반 전사본’이다. 우리가 가장 흔히 접하게 되는 일반 전사본들은 이를테면 그 원시성(전래 상황 및 과정)을 상실하여 족보가 없거나 막연한 책이다. 때문 에 이들을 국어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책에 나타난 여러 문헌적 특징, 저작 시기, 유통 과정 등을 두루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글필사본 소설 중에는 한문소설 또는 중국소설을 한글로 옮긴 번역본들이 많다. 이들 번역본들을 연구하거나 국어사 자료로 활용할 경우에도 원본과 전사본의 층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별히 중국소설 한 글번역본도 엄연한 ‘한글소설’이라는 점에서 창작소설과 동등한 가치를 지니며, 외국문학이 아니라 국문학이 라는 생각에서 다루어야 마땅하다. 여섯째, 우리나라 소설은 ‘필사본’ 중심으로 유통되었고, 그로 인해 오히려 그 전승력이 더 강했으며, 각 필사 본에는 독자(필사자)의 魂이 살아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필사본 중심의 소설사 속에서 상당히 독특한 문화적 양상들이 나타났으며, 인쇄본이 아니기 때문에 그것을 만든 사람의 정신이 깊이 배어 있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distribution and existence patterns of Hangul manuscript novels under the goal of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old novels in manuscript. First, we need to take an approach toward novels as if we were treating them as “classical”. Manuscript novels can be examined according to some “layers”. They are first divided into the original texts (manuscript form) and transcription texts. A majority of them are transcription texts whose distance from their original texts cannot be figured out. We can be confident that one is an original text only in an extremely small number of cases. Second, the transcription texts do not have the same nature with some of them featuring special characteristics. We can estimate and measure a distance between some transcription texts and their original texts, and they are called “texts in direct line of the original texts”. Third, some transcription texts have different qualities from common ones even though it is impossible to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m and their original texts. They are called “closed transmission texts”. Fourth, the biggest portion of manuscript novels are “common transcription texts” circulated among the public. The common transcription texts we encounter most commonly have lost their origin(the transmission situation and process) and thus come with no or vague genealogy. It is thus needed to consider many literature characteristics, time of crea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in the books before using them as materials in the Korean history. Fifth, many of Hangul manuscript novels are novels in Chinese characters or Chinese novels translated into Hangul. It is also needed to consider the layers of the original texts and their transcription ones before investigating them or using them as materials in the Korean history. The translated Hangul versions of Chinese novels are undeniably “Hangul novels”, which means that they hold the same values as creative novels and should be dealt with as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foreign literature. Finally, the novels have been circulated with a focus on “manuscript versions” and thus reinforced their transmission power further in the country, keeping the spirit of reader(transcriber) alive in them. Very unique cultural patterns have emerged in the manuscript versions-centric history of novels, and the manuscript versions are deeply steeped in the spirit of their makers since they are not printed ver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