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봉덕사의 위치와 그 성격

        전덕재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5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

        본 논고는 신라의 사찰인 奉德寺의 위치와 그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성덕왕은 703년(성덕왕 2)에서 707(성덕왕 6) 사이에 재난을 극복하기 위하여 태종대왕의 명복을 비는 봉덕사를 창건하였다. 738년(효성왕 2)에 봉덕사를 완공 또는 중창하면서 그것은 태종대왕과 함께 성덕왕의 명복을 비는 願刹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750년대 후반 이래 잦은 이상기후와 天變으로 인하여 사회적 불안이 조성되었고, 이 무렵 安史의 난이 일어나 중국이 혼란에 빠졌을 뿐만 아니라 이 틈을 타서 일본에서 신라정토계획을 수립하고 실행에 옮기려고 하였다. 경덕왕은 대내외적인 위기를 수습하기 위하여 父王인 성덕왕을 顯彰하고, 성덕왕을 위하여 大鍾을 주조하는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때 대종의 주조사업은 奉德寺成典이 담당하였는데, 이러면서 봉덕사는 태종대왕과 성덕왕의 명복을 비는 원찰에서 점차 성덕왕의 명복만을 비는 원찰로 그 성격이 변화되었고, 771년(혜공왕 7) 12월 성덕대왕신종을 주조하여 거기에 안치하면서 그것은 성덕왕의 원찰로서의 위상을 한층 더 확고하게 정립한 것으로 이해된다. 성덕대왕신종을 안치한 봉덕사는 고려를 거쳐 조선 초기까지 경주시 성동동 경주세무서 북쪽의 북천 가에 존재하다가 1437년(세종 19) 7월의 홍수로 인해 북천이 범람하면서 수몰되었고, 그 후 성덕대왕신종은 한동안 하천의 초목 속에 버려져 있었다가 1460년(세조 5)에 경주부윤 金淡이 영묘사 곁으로 옮겨다 놓고 군대의 동원에 사용하였다. 1506년 1월과 1507년 12월 사이에 경주부윤 芮椿年, 즉 芮忠年은 경주읍성 남문 밖, 즉 현재 봉황대고분 옆에 종각을 짓고, 거기에다 봉덕사종을 옮겨 놓은 다음, 군사의 동원과 성문의 開閉시간을 알리는 용도로 활용하였다. 세 개의 상량문을 통하여 종각을 여러 번에 걸쳐 중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후 1916년 5월 12일에 경주 고적보존회에 의하여 동부동 옛 박물관 자리로 종과 종각을 옮겼으며, 1975년에 국립경주박물관을 인왕동으로 옮길 때에 신종도 함께 移置하여 현재까지 보관되고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Bong deogsa-Temple and its characteristic. The King Seongdeog had been constructed the Bongdeogsa-Temple for praying for rest of King Taejong-muyeol to overcome disasters from 703(2nd year of King Seongdeog) to 707(6th year of King Seongdeog). In 738(2nd year of King Hyoseong) with completing or rebuilding it obtained the feature of temple praying for condolence of King Taejong-muyeol and Seongdeog. From late 750 a social unrest was formed due to frequent abnormal climate and natural disasters, at this time China got into confusion because of the rebellion of An Lushan. Besides, Japan made the most of the chance and conspired an invasion to Silla and was about to carry it out. The King Kyeongdeog honored his father, King Seongdeog, and processed to build a great bell for him to resolve both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At this time the cast of the bell was in charge of the officials of the Bongdeogsa-Temple, from december 771(7th year of King Hyeogong) when they cast the Bell of King Seongdeog and located it there it is considered to establish the status of memorial temple of the King Seongdeog more unwaveringly. The Bongdeogsa-Temple locating the bell was located in side of Bukcheon north to tax office of Gyeongju in Seongdong-Dong early Chosun through Goryeo but was submerged by flood of Bukcheon in July 1437(19th year of King Seojong), after that the bell was left in woods of the river but in 1460(5th year of King Seojo) Kim Dam, the mayor of Gyeongju, found it, moved it near Yeongmyosa-Temple and used it to mobilize the army. Between January 1506 and December 1507, Ye Chunyeon(Chungyeon) built bell tower out of southern gate of Gyeongju castle where now next to the Bonghwang great-Tomb, moved it there, and used it to mobilize the army and alarming the opening and closing time of the gate of castle. By three records of history about construction it can be verified that the bell tower was renovated many times, on May 12 in 1916, the bell and bell tower was moved by the Kyeongju-gojeog-bojonhoe to old museum site in Dongbu-Dong, in 1975 when moving the Kyeongju National Museum to Inwang-Dong the bell was moved together and kept up to now.

      • KCI등재
      • KCI등재

        『三國史記』 高句麗本紀의 原典과 完成 –광개토왕대 이전 기록을 중심으로–

        전덕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6 東洋學 Vol.64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basic original texts and the compilation process of the Goguryeobongi records before the reign of King Gwanggaeto. The Yugi, which was compiled under the reign of king Sosurim, was a basic source material of “Goguryeobongi” regarding the records before the king Sosurim’s enthronement. Lee Munjin wrote five volumeset of the Sinjib by abstracting 100 volumes of the Yugi,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revised the records of the Yugi during that process. The editor of the Gusamgugsa composed its Goguryeo records by referencing the Sinjib or a certain document compiled based on the Sinjib, as its original text, and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editor of Samgugsagi generally quoted the records in this book. The editors of Samgugsagi adopted the Gusamgugsa as a basic framework for their work, and newly added records quoted from the Chinese documents and “Silla·Baekjebongi” to the “Goguryeobongi”. They also additionally narrated some original contents, and presented different opinions about King’s name or presented the parts among the Goguryeobongi’s records that they found questionable or incomplete as supplementary references. They completed the records of “Goguryeobongi” before the reign of King Gwanggaeto by additionally inserting their criticism based on the editor’s view of history. 본고는 광개토왕대 이전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기록의 原典과 그것의 編纂過程을 살펴본 것이다. 소수림왕대에 편찬한 『留記』가 소수림왕대 이전 고구려본기 기록의 기본원전이었다. 李文眞은 『留記』 100권을 縮約 하여 『新集』 5권을 찬술하였는데, 이때 『유기』의 기록을 改修하였음이 확인된다. 『구삼국사』 찬자는 『신집』 또는 이것을 底本으로 하여 편찬된 어떤 史書를 전거자료로 삼아 『구삼국사』 고구려 기록을 찬술하였고, 『삼국사기』 찬자는 여기에 전하는 기록을 대체로 인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찬자는 『구삼국사』의기록을 기본 골격으로 삼고, 여기에 중국 사서와 신라·백제본기에서 인용한 기록을 고구려본기에 새로 添入 한 다음, 일부 새로운 내용을 추가로 기술하거나 王名과 王諱에 관한 異說 및 고구려본기의 기록 가운데 보충설명이 필요하거나 의문이 드는 사항 등을 補注로 제시하고, 자신들의 역사관에 입각하여 褒貶한 史論을 고구려본기에 揭載하여 광개토왕대 이전 고구려본기의 기록을 완성하였다.

      • KCI등재

        중원역사문화권의 범위와 신라의 중원지역 영역화 과정 고찰

        전덕재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8

        본 논고는 中原의 개념과 중원지역의 범위, 신라의 중원지역 영역화 과정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신라에서 中原은 오늘날 충주지역을 가리키는 地名으로서의 의미를 지녔지만, 그러나 중원역사문화권의 범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충북을 중심으로 경기도·강원도 남부, 경북 북부지역까지 망라하여 이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원역사문화권의 범위를 이해할 수 있는 합리적인 논거와 관련하여 고려 성종 14년(995)에 설치한 中原道(忠原道)의 범위가 주목된다. 중원도에 속한 13州 42縣의 위치를 고증한 결과, 그것은 충북 일원과 강원도·경기도 남부, 충남 동부·세종특별자치시 일부와 경북 북부지역을 망라하였음을 살필 수 있고, 고려 전기에 中原은 충주시를 포함한 국토의 중심에 위치한 廣域의 범위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라는 5세기 후반에 고구려의 南進에 대비하여 소백산맥 일원에 산성을 축조하고, 그들 지역을 行政村 또는 行政城으로 편제하기 시작하여 671년에 당나라의 통치를 받던 충남의 여러 지역 및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전의면을 신라의 군·현으로 편제하기까지 단계적으로 중원지역을 영역화하는 작업을 전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the Jungwon(中原), the scope of the Jungwon Area, and the process of Silla’s territorialization of the Jungwon Area. In Silla, Jungwon had the meaning of a local name referring to today’s Chungju region, but the scope of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sphere is generally understood to encompass Chungcheongbuk-do, as well as southern Gyeonggi-do and Gangwon-do, and northern Gyeongsangbuk-do. As such, the scope of the Jungwon-do(Chungwon-do) established in 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 of Goryeo(995) is drawing attention in relation to the reasonable argument for understanding the scope of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spher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location of 13Ju(州) 42Hyeon(縣) belonging to Jungwon-d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Jungwon historical and cultural sphere covered Chungcheonbuk-do, southern Gyeonggi-do and Gangwon-do, eastern Chungcheongnam-do, and parts of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and northern Gyeongsangbuk-do, and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concept of the Jungwon was changed to refer to the scope of the wide area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untry, including Chungju. In the late 5th century, Silla built mountain fortresses in the Sobaek Mountains in preparation for Goguryeo’s southward advance, and began to organize these regions into administrative villages(行政村) and administrative fortress(行政城). Furthermore, the work of territorialization of the Jungwon Area was carried out step by step until various regions of Chungcheongnam-do, Yeongi-myeon and Jeonui-myeon of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which were ruled by the Tang Dynasty, were organized into Gun(郡) and Hyeon of Silla in 671.

      • KCI등재

        충주고구려비를 통해 본 5세기 중반 고구려와 신라와의 관계

        전덕재 고구려발해학회 2019 고구려발해연구 Vol.65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Chungju-Goguryeo Stele, the covenant between King Jangsu of Goguryeo and King Nulji of Silla in May of 449, and the timing of Goguryeo's advancement into the Chungju area. Goguryeo advanced into the Chungju area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middle of the fifth century through the Yeongseo area of Gangwon-do and called it Mieulseong. In between the late 430s and the mid-440s, Goguryeo then crossed the Sobaek Mountains, occupied the northern part of Gyeongbuk Province, and reorganized it into its territory. Furthermore, Goguryeo reorganized the East Sea Coastal Area from Cheongha-Myeon, Buk-gu, Pohang-si, Gyeongbuk to Gangneung into its territory in around 400. But sometime before May 449, Silla occupied these areas by driving out Goguryeo Military which made the King Jangsu of Goguryeo to show off his military power with his soldiers in May 449 in Chungju area. The King Nulji of Silla apologized and pledged his continued loyalty to the King of Goguryeo. In July 450, Goguryeo invaded Silla’s western territories in retaliation for killing one of its generals and retreated only after Silla sent its envoys and apologized. Furthermore, Silla and Goguryeo held grudges against each other after Silla drove Goguryeo’s military troops out of its country, which made Silla to strenghen its bond with Baekje to actively deal with Goguryeo’s southward expansion. 본 논고는 충주고구려비의 판독과 해석, 449년 5월에 고구려 장수왕과 신라 눌지왕이 회맹한 사실, 고구려의 충주지역 진출 시기 등에 대해 살핀 것이다. 고구려는 강원도 영서지역을 통해 5세기 전반에서 중반 사이에 충주지역으로 진출하여, 그곳을 未乙城이라고 불렀다. 이어 고구려는 430년대 후반에서 440년대 중반 사이에 소백산맥을 넘어 경북 북부지역을 차지하고 영역으로 편제하였다. 한편 고구려는 400년 무렵에 오늘날경북 포항시 북구 청하면에서 강릉까지의 동해안지역을 고구려의 영역으로 편제하였다. 그런데 신라가 449 년 5월 이전 어느 시기에 고구려군을 구축하고 경북 포항시 청하면에서 강원도 강릉시에 이르는 동해안지역을 차지하자, 고구려 장수왕이 449년 5월에 군사를 이끌고 충주지역에 나아가 무력시위를 벌였으며, 이에 신라 눌지왕이 충주지역에 직접 나아가 동해안지역을 차지한 것에 대해 사죄하고, 앞으로 고구려왕에게 계속해서 충성하겠다고 誓約하였다. 450년 7월에 신라가 고구려의 邊將을 살해한 것에 대해 고구려가 군사를 일으켜 신라의 西邊을 침략하자, 이에 신라가 고구려에 사신을 파견하여 사과하매, 고구려군이 물러났다. 신라가 450년대 전반에 자국 내에 주둔한 고구려군을 몰아내면서 고구려와 신라 사이에 원한이 생겼고, 이때부터 신라는 백제와의 연대를 한층 강화하고 고구려의 남진에 적극 대처하였다.

      • KCI등재

        백제의 율령 반포 시기와 그 변천

        전덕재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백제문화 Vol.1 No.47

        본 논고는 백제의 율령 반포 시기 및 그 변천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백제는 5세기 후반 개로왕대에 16관등제와 衣冠制를 정비하고, 왕의 子弟와 宗族을 지방의 籤魯에 파견하여 지방의 지배층을 국왕 중심의 일원적인 관등체계에 편제하였다. 아울러 당대(當代)에 개별 가호 단위로 부세를 부과하는 수취체계를 정비하였다. 백제가 개로 왕대에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를 정비하였으므로 이때에 율령을 반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인다. 6세기전반 무령왕대에 한성함락의 후유증을 극복하고 지배체제를 재정비하면서 율령을 개정하였다고 추정되나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다. 이후 사비시대 의관제(衣冠制)와 연령등급제도(年齡等級制度)의 운영을 통하여 북제(北齊)와 북주(北周)를 비롯한 북조(北朝)의 율령을 수용하여 다시 한번 율령을 개정하고, 630~640년에 무왕(武王)이 당의 6부제(部制)를 참조하여 6좌평제(佐平制)를 새로 제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형율 규정 가운데 일부를 개정하였음이 확인된다. この論考は, 百濟の律令頒布時期とその變遷について調べたもの. 百濟は5世紀後半, 蓋鹵王代に16官等制と衣冠制を整備し, 王の子弟と宗族を地方の籤魯に派遣して地方の支配層を國王中心の一元的な官等體系に編制した. また堂代に個ガの家戶の單位で賦稅を課す收取體系を整備した. 百濟が蓋鹵王代に中央集權的な國家體制を整備しましたので, この時期に律令を頒布した可能性が高いと思われる. 6世紀前半, 武寧王代に漢城陷落の後遺症を克服し, 支配體制を再整備し, 律令制を改正したと推定されるが, 具體的な內容はわからない. その後泗備時代の衣冠制と年齡等級制度の運營を通じて北濟と北周をはじめとする北朝の律令を受け入れて, もう一度、律令を改正し, 630 640年に武王が唐の6部制を參照して6佐平制を新たに制定しただけでなく, 機存の刑律規定の一部を改正したことが確認される.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삼국 및 통일신라 정치사 서술의 특징과 변천 -제3차~제7차 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전덕재 역사교육학회 2009 역사교육논집 Vol.43 No.-

        This thesis is written to discuss the theories, and problems in the theories, of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Ancient state and the Authoritarian Royal Power narrated in the government-designated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of previous and current editions, and propose a new opinion that can replace them. Since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began to be developed and compiled under the government designation in 1974, the 3rd and the 3rd revision editions accepted the theory of Tribal State - Tribal confederation - Ancient state, the 4th edition the theory of State (Chiefdom?) - Ancient Kingdom, the 5th and the 6th editions the theory of Chiefdom (Statelet) - Allied Kingdom - Centralized Ancient state and, finally, the 7th edition accepted the theory of the Bu system which is currently widely accepted in the academic circles along with the concept of Allied Kingdom. The authors of the 7th edition textbooks, however, caused problems in the description of the Bu system in their textbook largely because of their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scribe the Bu system correctly in the textbooks by reflecting the views generally accepted among the academic circles. As for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Unified Silla, the authors of the 3rd to 4th edition textbooks described it by focusing on the consolidation of royal power and the improvement of political systems while those of the 5th edition textbooks chose to adopt the theory of Authoritarian Royal Power as it was raised by Lee ki-baek. In the textbooks of 7th edition, however, the authors stated that the Authoritarian Royal Power collapsed during the Late Silla Period, paving ways to the emergence of the Aristocratic coalition’s political system. Considering that there have been recently a lot of criticisms against the theory of Authoritarian Royal Power, textbook authors need to be careful when they deal with related subjects in the their textbook. By the same token, they need to be prepared to make a total revision if there appears a new theory that offers a systematic description on the process of significant politic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