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리엔탈리즘인가, 오리엔탈인가 : 발레 『셰헤라자데』의 오리엔탈리즘에 관하여

        차지원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1 중소연구 Vol.45 No.1

        What was that created by Diaghlev and Bakst in the ballet Shecherazade? Was it oriental or orientalism? It might be called both oriental and orientalism because it was the thing of Russia which is apparently non-western Europe, the other of the western Europ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the thing incessantly imagined and conceptualized by Russia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its otherness. In this sense, the dual orientalism of Shecherazade could be understood as one phenomenon of oriental orientalism. It was the product of the paradoxical movement of Russia’s thoughts on its identity which, not being Asia nor Europe, or standing between Asia and Europe. has ceaseleesly projected itself to Europe and, at the same time, has imagined and internalized Asia. Bakst’s orientalism in Shecherazade gives the other meaning to orientalism. It could overcome Said’s orientalism which intends to exclude and make non-western Europe as the ‘other’. Bakst’s orientalism which has been composed by the cultural model of the Greek antiquity and the Hellenism was eager to actively embrace the other/Asia into the Russianness and to blur the boundary between the Russian and the oriental,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It throws the doubt to the perspective of the differentiation of Asia and Europe and deconstructs the discourse of said’s orientalism. Moreover, the orientalism constructed by Shecherazade distrust the discourse of ‘otherness’ which seems to desire to support the superiority of Russia to Europe through the idea of orientalism internalized in Russinness. This Russian discourse of ‘otherness’ which hopes to compose difference and superiority of Russia by putting up its spirituality and ethicality was the dangerous cultural project that was latent in orientalism of ‘the Russian idea’ of the 19th century in Russia. It is because its orientalism was none other than one thought of fundamentalism which intends to, on the contrary, absolutize Asia as the ‘other’ which has been exclueded and differentiated by Europe and to empower it, strengthening the fundamental discrimin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But Shecherazade’s orientalism implies orientalism that is the movement of inclusion of ‘otherness’ and extention of the boundary of the subject, the movement of search for ‘otherness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the subject, not the logic of exclusion from the subject and identification with it. It can be understood as orientalism for the new perspective of ’the Russian idea’ as the discourse of communication and intersection of East and West. Therefore, here orientalism, being the way of positive orientalism which sympathizes with the cultural pluralism’s desire of sharing the ‘other’ culture, could go further than one fundamental danger hiden in ‘the Russian idea’. 댜길레프와 박스트가 「셰헤라자데」에서 구현한 것은 오리엔탈인가, 오리엔탈리즘인가. 그것은 오리엔탈이며 동시에 오리엔탈리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서유럽에 대해 명백히 비(非)서유럽인 러시아, 서유럽의 타자인 러시아의 것이었기 때문에 오리엔탈(동양)이며, 동시에 그것은 러시아가 자신의 타자성을 구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오리엔탈(동양)을 상상하고 개념화한 것이기 때문에 오리엔탈리즘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셰헤라자데』의 두 겹의 오리엔탈리즘을 오리엔탈 오리엔탈리즘의 한 양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유럽도 아니고 아시아도 아니면서, 혹은 유럽과 아시아의 중간에 서서, 자신을 유럽을 향해 위치지우며 동시에 끊임없이 아시아를 상상하고 내면화하려는 러시아의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정체성 운동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박스트의 오리엔탈리즘은 오리엔탈리즘에 비(非)서유럽을 배제하고 타자화하려는 사이드적 함의를 극복하는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그리스 고전과 헬레니즘 문화 모델에 의해 구성된 그의 오리엔탈리즘은 동양/타자를 러시아성 안으로 적극적으로 포섭하며 이미 러시아적인 것과 동양의 것, 자(自)와 타(他)의 경계를 해체함으로써 오히려 동서양을 본질적으로 구분하는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의 담론조직을 해체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박스트의 『셰헤라자데』가 환기하는 오리엔탈리즘은 9세기 후반 구성된 러시아 이념의 오리엔탈리즘에 내재된 위험한 기획, 즉 러시아성 안으로 포섭된 오리엔탈리즘을 통해 서구에 대해 러시아의 우월성을 주장하려는 ‘타자주의’ 담론 구성의 기획에 의혹을 제기한다. 서구의 물질문명에 대해 정신성과 윤리성을 내세움으로써 서구에 대한 러시아의 차이와 우월성을 구성하려는 러시아 이념의 오리엔탈리즘은 유럽에 의해 배제되고 차별화된 타자로서의 동양을 절대화하여 그간 배제되었던 타자에게 권력을 부여하려 함으로써 동서양의 본질주의적 구분을 다시 강화하는 근본주의적 지향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셰헤라자데』에서 실현된 오리엔탈리즘은 주체로부터 배제하거나 동일화하려는 타자성의 논리가 아니라 오히려 자신을 구성하기 위한 타자성에 대한 모색 및 끊임없이 타자(성)을 포섭하면서 주체의 외연을 확장하려는 운동으로서의 함의를 보여준다. 그것은 동양의 절대화가 아니라 동서양의 교통과 교차로서 러시아 이념을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전망의 획득을 위한 오리엔탈리즘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오리엔탈리즘은 차라리 “문화적 다원주의가 고취하는 바 ‘다른 문화를 공유하려는 열망’에 흠뻑 공감하는 오리엔탈리즘의 길”이고자 함으로써 러시아 이념에 은폐된 또 하나의 보편주의적 위험이 되기를 넘어선다.

      • KCI등재

        동아시아에서 본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론

        김재용 영주어문학회 2019 영주어문 Vol.42 No.-

        Orientalism, sparked by the E Said, has set the stage for an important shift in world humanity, but it has fallen short of clarifying the global level of Orientalism because it focuses onl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Arab and Islam and Europe. In particular, it has failed to distinguish between Oriental Renaissance and Euro-centric Orient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 and East Asia, which is the home of the Oriental Renaissance, a different perspective is possible. There is not Orientalism before the Opium War, but Oriental Renaissance. Voltaire's love of China and Goethe's comments on world literature after reading of Chinese novels are examples. After the formation of imperialism, Orientalism in Europe has become manifest, and Japanese version of orientalism followed it. The Japanese version of Orientalism which is discussed by Fukuzawa Yukichi, repeats the perception of Europeans looking at Asia in the Japanese empire's colonial regions. Given these considerations, it can be seen that Orientalism has been established on a global level since 1870 and that its variant, Japanese Orientalism, has dominated in East Asia. After 1945, this orientalism began to disintegrate and it would be fair to say that the remnants are having a certain effect to date. 사이드에 의해 촉발된 오리엔탈리즘론은 세계 인문학의 중요한 전환을 마련하였 지만 아랍과 이슬람 영역과 유럽 간의 문제에만 집중한 탓으로 지구적 차원의 오리 엔탈리즘의 규명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유럽중심주의가 들어선 이전의 오리 엔탈 르네상스와 유럽중심의 형성 이후의 오리엔탈리즘을 구분하는 데 실패함으로써 통시적으로도 오리엔탈리즘의 역사적 이해에 심각한 결손을 보이고 있다. 오리엔탈 르네상스의 본원지라고 할 수 있는 중국과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사이드의 오리엔탈 리즘론을 고찰하면 다른 시각이 가능하다. 아편 전쟁 이전의 동아시아와 유럽의 관 계를 고찰하면 오리엔탈리즘은 전혀 드러나지 않는 반면, 오리엔탈 르네상스가 지배 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볼테르가 중국을 선명한 것이라든가 괴테가 중국의 소설을 읽고 세계문학을 논한 것 등은 그 대표적인 것들이다. 제국주의 형성 이후 유럽의 오 리엔탈리즘은 완연한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데 그 파생물이 일본 제국의 오리엔탈리 즘론이다. 후쿠자와 유키치를 위시한 일본판 오리엔탈리즘론은 유럽중심주의의 기반 위에서 아시아를 보는 유럽인들의 인식을 일본 제국의 식민지 지역에 그대로 반복하 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들을 고려할 때 1870년 이후 오리엔탈리즘이 전 지구적 차원 에서 구축되었고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이것의 변형인 일본식 오리엔탈리즘이 지배했 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45년 이후 이 오리엔탈리즘론은 해체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잔재들은 현재까지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 KCI등재

        “오리엔탈리즘”의 재해석으로 본 일제강점기 한국건축의 식민지 근대성 -제국주의 시대의 서구, 일본, 한국 건축에 대한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김소연,이동언 대한건축학회 200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colonial modernity of Korean architecture under Japanese rule through reinterpretation on “Orientalism”. As primary source of the reinterpretation on orientalism, Edward W. Said’s colonial critique “Orientalism”, which is called ‘macro-orientalism’ in this paper, demonstrates how Western traditional dualism shaped concepts of orientalism and how long-term strategy of orientalism alienated “Colonized Other”. As secondary source, Post-Colonialism after “Orientalism”, which is defined as ‘micro-orientalism’ in this paper, deconstructs the dualism and discovers counter-narrative that was sentenced to immobility and silence under orientalism. With two methods of macro-orientalism and micro-orientalism,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erial modernity of Western and Japanese, and the colonial modernity of Korean architecture under imperialism. As the result, this paper proposes that colonial modernity of Korean architecture be formed in the way of “Colonized Othernesss” through such steps as mimicry, disturbed identity, counter-hegemony and resistant effects.

      • KCI등재

        Pre-Orientalism in Costume and Textiles

        이금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8 패션 비즈니스 Vol.22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Pre-Orientalism in costumes and textiles by revealing examples of Oriental influences in Europe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mid-18th century through in-depth study. The research method used were the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research and visual data. The result were as follows; Pre-Orientalism had been influenced by Morocco, Thailand, and Persia as well as Turkey, India, and China. In this study, Pre-Orientalism refers to oriental influence and oriental taste in Western Europe through cultural exchanges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mid-18th century. The oriental costume was the most popular subspecies of fancy, luxury dress and was a way to show off wealth and intelligence. Textiles were used for decoration and luxury. The Embassy and the court in Versailles and Vienna led to a frenzy of oriental fashion. It appeared that European in the royal family and aristocracy of Europe had been accommodated without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Orient. Although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factors, and impacts of Pre-Orientalism have not been clarified, further study can be done. Recognizing a broad perspective on oriental influence in Europe before Orientalism, we can have a balanced view of future Orientalism and global fashion.

      • KCI등재

        동양주체의 중국 재현: 타자, 전치, 셀프-오리엔탈리즘

        WUJUAN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5

        This article attempts to re-examine China's identity in the East and analyze the self-orientalism of the Orient through the discourse surrounding its ident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film <Joy Luck Club (1993)> by Chinese–American director Wayne Wang who is active in Hollywood, <Failan(2001)> by South Korean director Song Hae-sung, and <Raise the red lantern (1991)> by Chinese director Zhang Yi-Mou. In these three movies, China exists as three different types of the Other, which are the dual antagonistic one, the untargeted one, and the subordinate one. The three types of Other are recontextualized through displacement, but fail to be integral. The films use women to construct China’s otherness, the identity of women represents the identity of China, also the identity of the orient. The identity confusion, loss and morbidity experienced by women in the process of displacement constitute Eastern self-oriented discourse, and the conflicts surrounding this discourse are concealed by various means. The image of China in the film is actually a self-orientalising within the East by using Chinese ‘nationality-function’. The Eastern self-orientalism failed to counter Western orientalism. Therefore, the image of China is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st, or viewed as a foreign country within the East for free imagination. After all, Eastern self-orientalism is an mimicry of Western orientalism. The purpose of this kind of imitation is a way to gain recognition from the West so that to seek a world of mutual recognition. However, mimicry will no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identity. Finally, criticisms of orientalism should begin with criticisms of Eastern self-orientalism. For post-orientalism, we must first get rid of self-orientalism. 이 논문은 동양 속 중국의 정체성을 재조명하고, 그 정체성을 둘러싼 담론들을 통해 동양의 셀프-오리엔탈리즘을 분석하고자 한다. 할리우드에서 활동하고 있는 중국계 영화감독 웨인 왕의 영화 <조이 럭 클럽(1993)>, 한국 감독 송해성의 영화 <파이란(2001)>, 그리고 중국 감독 장이머우의 영화 <홍등(1991)>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세 영화에서 중국은 타자로 존재하며 이 논문에서는 세 가지 타자의 유형을 도출했다. 즉 이항대립적인 타자, 응시 받지 못한 타자, 서발턴화된 타자다. 세 유형의 타자는 전치를 통해 재맥락화되지만 정체성 형성에는 실패한다. 영화에서는 중국의 타자성을 구축함에 있어서 여성에 관심을 두며 여성의 정체성은 바로 중국의 정체성, 동양의 정체성을 대표한다. 전치되는 과정에서 여성들이 겪는 정체성 혼란, 상실, 병태(病態)는 동양 속 셀프-오리엔탈리즘의 담론을 구성하며, 이러한 담론을 둘러싼 갈등들은 다양한 장치를 통해 은폐된다. 영화에서의 중국 재현은 사실 중국의 ‘국적 기능(nationality-function)’을 사용한 동양 내부의 ‘셀프‐오리엔탈라이징(self-orientalising)’이다. 동양의 셀프-오리엔탈리즘은 서구 오리엔탈리즘과 대항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것을 도구 삼아 그 속에 깊이 편입하게 되었다. 서양의 관점을 인정해서 서술하거나 동양 속 다른 나라를 타자화하고, 스스로 상상하는 것이다. 결국 동양의 셀프-오리엔탈리즘은 서구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흉내 내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흉내 내기의 이면에 있는 의도는 서양의 인정을 바라는 것으로, ‘상호 인정의 세계’에 대한 모색이다. 하지만 흉내 내기는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지 못한다. 결국, 서양인들에 잠재된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비판은 동양인 안에 자리하고 있는 셀프-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비판부터 시작해야 하며, 탈오리엔탈리즘을 위해서는 먼저 셀프-오리엔탈리즘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 KCI등재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의 오리엔탈리즘 분석과 재현(representation)

        양재혁 수선사학회 2019 史林 Vol.0 No.69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problematic of Edward W. Said’s critical work on Orientalism by examining his analysis through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Analyzing Orientalism as a process of ‘formation’ or ‘transformation’ of representation, Said shows that the modern Europe produced various descriptions and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Orient in its proper style where the Orient could be constructed as an essential ‘Other’ in opposite characteristics to the European societies. Said’s analysis of Orientalism tries to focus on the fact that Orientalism is a discursive formation composed of various aspects rather than to make a criticism that Orientalist representations distorted a real Orient. It is true that Orientalism is more related to the Occident than to the Orient in that the Modern Europe establishes self identity called ‘modernity’ by constructing its proper Other named Orient. In this case, the Orient is essentially distinguished from itself in nature. This article examines Said’s analysis of Orientalism based on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confirming a historical fact that Orientalism discourse has actually established Modern European self-identity while observing, describing, defining, governing, and namely orientalizing the Orient in its interest.

      • KCI등재

        스포츠 오리엔탈리즘: 세계 속의 한국 스포츠를 탐구하기 위한 재현의 역사,문화적 주제

        서재철(JaeChulSeo),천영진(YoungJinChun)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3

        이 연구는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이라는 하나의 역사ㆍ철학ㆍ사회ㆍ문화적 담론 혹은 사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문제의식의 가치를 역설하고, 나아가 스포츠와 연관지어 탐구하는 학술적 실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언하는것이다. 이러한 목적 아래, 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세 가지 사항을 다룬다. 첫째, 오리엔탈리즘이 무엇이며, 왜 우리에게 문제가 되는 것인지를 재현의 국제관계 및 역사ㆍ문화적 관점에서 요약/정리한다. 둘째, 미국 오리엔탈리즘의 구체적 내용과 성격을 두 가지 차원, 하나는 백인 중심의 ‘미국적’ 국가관이라는 일종의 공간적 차원, 다른 하나는 미국과 아시아가 역사적으로 관계해 온 제국주의/식민주의적 권력관계라는 시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어떠한 종류의 인식, 상징, 이미지, 편견, 고정관념 등이 창안, 재현, 유포되어 왔는지를 상술한다. 셋째, (동북)아시아계 선수들 및 (동북)아시아계 국가들의 스포츠를 다룬 일련의 연구들을 요약/정리하고, 그 속에서 오리엔탈리즘적 단면과 양상들을 추출하여 해석한다. 결론에서는, 오리엔탈리즘과 스포츠를 연관지어 사유하고 탐구하는 작업이 우리에게도 필요하고 또 중요한 것임을 제언하고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idea of orientalism as a critical topic for Korean academic communities for sport studies. To be more specific, this paper deals with main four points: 1) to summarize and discuss what is orientalism from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in connection with considering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2) to explain why orientalism is at stake not only for Korean sports scholars but also for Korean academies, communities, and societies, 3) to detail what American orientalism is about and what images, symbols, prejudices, stereotypes account for it, focusing on both contexts of the link between race and nation and the imperial history of the US-Asia relations, and 4) to review literatures on the studies of Asians and Asian Americans’ sporting experience, voices, and identity issues, and further draw on an geographically imaginative discourse of the so-called ‘sporting orientalism.’In the conclusion, I summarize the above four points and suggest an critical point that highlights why academic attention on orientalism is an urgent mission closely connected to Korean current sport development discourses which aim to step up toward the so-called sport developed country.

      • KCI등재

        16~18세기 유럽선교사 동아시아학의 형성 -유교경전에 대한 적응주의의 문화 양분적 해석-

        전홍석 ( Hong Seok Jeon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79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은 서양의 ‘타자 형상’에 대한 담론 분석인 점에서 비교문화 ‘형상학(Imagologie)’ 범주와 겹친다. 그러나 종래 사이드(Edward W. Said)식 동양의 이미지는 서양이 자신의 부정적인 내면을 투사시켜 만들어낸 정체적이고 자신을대변할 수도 없는 열등한 타자에 국한된다. 본고는 16~18세기 내화來華 선교사 연구를 통해 이러한 사이드의 ‘부정적(negative) 오리엔탈리즘’에 조응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긍정적(positive) 오리엔탈리즘’의 발굴을 목표로 기획되었다. 그 내용은 사이드가 주장하는 ‘근대오리엔탈리즘’이 본격화되기 이전 16세기부터 중국에 진출한 유럽선교사의 ‘유교 한문漢文 작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그럼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중동의 무슬림오리엔트와 구별되는 동아시아의 ‘중화(유교)오리엔트’ 영역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를테면 ‘중화오리엔탈리즘’의 탄생과 전개 양상을 문화적응주의 제수이트(Jesuit, 예수회원)의 일련의 ‘타자 형상’에 투영된 화문華文 텍스트의 유교 본체 범주, 즉 그들의 유럽 중세 신학체계에 입각한 ‘문화 양분적 해석’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다각적으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문명 외부담론 차원에서 긍정적 오리엔탈리즘 범주의 ‘호혜적 교류 형상 . 진유 고교眞儒古敎’와 부정적 오리엔탈리즘 범주의 ‘배타적 억압 형상 . 속유 이학俗儒理學’으로 집약할 수 있다. 이 ‘양가적 타자 형상’은 다양한 문화적 스펙트럼을 구성하면서 중화오리엔트에서의 ‘천학天學’이 생산되는 하나의 준거틀로 작동했다. 요컨대 이 제반 논증 과정에서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유럽선교사 동아시아학(천학)’의 형성과 그에 따른 동아시아의 다채로운 문화 창신創新의 간-문명(inter-civilization)적 요인들을 규명했다. 아울러 사이드로 대변되는 기존 타자담론의 ‘부정적 형상’ 일면성을 수정ㆍ보완하고 그 반대편에 존재하는 ‘긍정적 의미’를 활성화하여 긍정과 부정을 아우르는 오리엔탈리즘의 보다 폭넓은 지평을 타개하고자 했다. Orientalism overlaps with category of Imagologie of comparative culture in that it is analysis of discourse regarding others image of West. Image of East argued by Edward W. Said is limited to others who are inferior and stagnant and are unable to represent themselves and West created by projecting its negative inner worl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positive orientalism which has been neglected until now by studying missionary who conducted mission work in China in 16~18th centuries. This thesis focused on analyzing confucianism Chinese classics works written by European missionary who entered China prior to 16th century which modern orientalism argued by Edward W. Said did not appear. This thesis is to secure area of sino centered(confucianism) orient of East Asia that is distinguished from muslim orient of Middle East. Birth and development of sino centered orientalism consisted in correlation with cultural oppositive interpretation based on theology system of Middle Ages projected in a series of images of others of Jesuit of accommodationism. This can be integrated as mutual benefit exchange image . Jinyugogyo which belongs to positive orientalism and exclusive exchange image . Sokyuihak which belongs to positive orientalism in terms of civilization external discourse. Above mentioned images of others acted as frame of reference which organizes various cultural spectrum and produces Cheonhak in sino centered orient. This thesis investigated formation of East Asia Studies(Cheonhak) of European missionary and various inter-civilization elements of East Asia. This thesis was to resolve wider prospect of orientalism that embraces affirmation and negation b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negative image of existing others discourse represented by Edward W. Said and activating positive meaning.

      • KCI등재

        19세기 후반 타슈켄트의 근대화 과정 -러시아식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일고찰-

        박태성 ( Tae Sung Park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2 슬라브연구 Vol.28 No.4

        본 논문의 목적은 19세기 후반 타슈켄트의 근대화 과정을 통해 러시아식 오리엔탈리즘이 얼마나 효율적이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이 당시 러시아 사회에 만연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는 도처에 나타난다. 하지만 러시아의 경우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일반화의 오류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특이성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러시아의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살펴본 뒤, 1865~1890년대 초 타슈켄트에서 이루어진 러시아의 근대화 작업을 구체적으로 규명한다. 그 후 1892년 발생한 콜레라 폭동에 의해 도시의 경계가 허물 어지고 동서 문화의 혼재 속에 러시아 제국이 어떻게 대처했는가를 고찰해볼 것이다.러시아 정복자들은 전통적 오리엔탈리즘의 관점에서 타슈켄트를 유럽적으로 만들기 위해 식민지 공동체를 관리했다고 하겠다. 하지만 불안정한 통치 시스템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은 강압적·약탈적이 아닌 유화적·점진적 노선을 취할 수밖에 없었다. 종교적 간극을 극복하지 못한 러시아 지배층은 교육과 문화적 수단을 동원하여 러시아화 정책을 추구했지만,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했다. 전통적인 오리엔탈리스트였던 러시아 지배층이 콜레라 폭동사건을 맞아 겪은 정신적 충격은 그들의 오리엔탈리즘을 변모시켰다. 무시해왔던 무슬림의 전통과 기술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러시아인의 식민정책은 이율배반적임이 드러났다. 하지만 사회적 안정이 회복되자 ``타자``에 대한 인위적 이미지가 되살아나면서 정복자로서의 권위를 복구하려는 모습이 나타났다. 타슈켄트에서 보여준 러시아의 오리엔탈리즘은 대체로 ``문화적``이고 ``소극적``이었다. 지식과 인간성, 보편성과 협력을 통해 제국을 건설하려 했던 오리엔탈리스트는 점진적인 방법을 선택했던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궁극적인 성공은 유럽과 아시아의 벽을 허물고 진정한 동화를 이루어야 했으나, 러시아는 그렇게 할 수 있는 능력도 의지도 없었다. 타슈켄트를 양분하여 다스렸던 그들의 시스템은 여전히 동방민족에 대한 멸시와 공포가 혼재했음을 보여준다. 결국 러시아의 문화적-소극적 정책은 타슈켄트의 근대화에 크게 효율적이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larifying the effectiveness of Russian Orientalism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ashken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Orientalism of E. W. Said -Orientalism as a Western style of dominating, restructuring, and having authority over the Orient- was prevalent in Russian society at that time, showing that the evidence is everywhere. But it must be noted that should not fall into the trap of generalization of Orientalism in the case of Russia for specificity. We first look the theories of Russian Orientalism, and then the civilizing work of the Russians in Tashkent from 1865 to the early 1890s. Finally, will be investigated what the boundaries of the city was destroyed by cholera riots that occurred in 1892, and how the Russian Empire reacted in the confusion of the East-West culture. Russian conquerors managed to Tashkent colonial community to make Europ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Orientalism. But the methods for stabilizing unstable governing system were forced to take not coercive-predatory route but appeasement-gradual policy. Russian ruling class did not overcome the gap between religious conflict and pursued a policy of Russification through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means, but was not so effective. Traditional Orientalists transformed their Orientalism by the cholera riots. Because of admitting the reality of Muslims` ignored tradition and technology, the colonial policy of the Russians became contradictory. However, as soon as restoring of the social stability, artificial image for ``other`` was appeared and Russian settlers tried to recover authorities as the conqueror.Russian Orientalism shown in Tashkent was generally ``cultural`` and ``passive``. While Orientalists were trying to build an empire through knowledge and humanity, universality and cooperation, they had chosen a gradual method. Even so, the ultimate success is to knock down the walls of Europe and Asia and must assimilate truly, but Russia did not have the ability to do so. Their system ruled by bisecting Tashkent still showed Eastern nationalities with contempt and fear. Eventually, it seems that Russia`s cultural-passive policy would not be greatly effective to the modernization of Tashkent.

      • KCI등재

        플로베르의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고찰: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1978)을 중심으로

        이채영 ( Lee Chae-young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9 프랑스문화연구 Vol.41 No.1

        La ‘renaissance orientale’, terme d’Edgar Quinet nous suggère très bien l’interet et le goût popuraires sur l’Orient au 19ème siècle comme une sorte de mode culturelle. A ce temps-là, en particulier, le mot d’orientalisme signifie reellement le gout et l’engoument des artiestes ou des intelligents sur l’Orient avec la mode du voyage en Orient. Cependant, depuis 1978 où Edward Said a publie son livre L’Orientalisme, le mot d’orientalisme arrive à obtenir un autre sens : c’est l’Orientalisme imperialiste. C’est du fait que Said s’approche de l’orientalisme du point de vue imperialiste à l’ère de l’imperialisme. Dans ce livre, Said analyse les oeuvres de quelques ecrivains occidentaux influences par l’orientalisme au 19ème siècle. Selon lui, Gustave Flaubert est un de ces ecrivains qui montrent bien une vision imperialiste sur l’Orient en tant qu’Occidentaux. En lisant de nouveau L’Orientalisme de Said en 2018, 40 ans après la publication de ce livre, la seule question que on se pose sur l’Orientalisme flaubertien, c’est bien qu’on pourra trouver la tendacne imperialiste chez Flaubert. Cette etude donc, a pour but de reconsiderer la tendance de l’orientalisme flaubertien ainsi que son visage en tant qu’orientalite. Pour cela, tout d’abord, on traite des tendances imprerialistes que Said a decouvertes en Orient represente par Flaubert. Ensuite, on considère les definitions variees sur l’Orient à l’epoque romantique et les caracteristiques de l’Orient chez Flaubert. A travers cette etude, on arrive à comprendre ce que Flaubert a vu dans l’Orient ainsi que son visage comme l’orientaliste ide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