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국가 이미지에 관한 연구: 20~30대 한국 여성을 중심으로

        방교영 ( Gyo Young B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1 슬라브연구 Vol.27 No.4

        본 논문은 20~30대 한국 여성이 바라보는 러시아 국가, 국민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민족문화의 범주를 질적으로 규정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응답자가 국가의 이미지를 배타적으로 구별, 응답할 수 있는 범주를 찾았다. 브랜드 이론에 근거한 5범주(역사, 언어, 사회, 가족, 종교)와 호프슈테더의 문화적 토대인 5범주(우정, 순종성, 남성성, 강인성, 집단성)를 기준으로 했다. 연구결과, 한국 여성에게 러시아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다. 이들은 러시아의 역사가 전쟁과 공산주의로 점철되고 있었다고 판단하며, 러시아가 채택했던 공산주의 체제의 이미지를 강압과 냉혹함의 이미지와 함께 투영하고 있다. 러시아는 소련의 아류로서 냉소적이고, 차가우며, 공산주의의 지배력이 아직도 잔재한 사회로 한국 여성의 뇌리에 각인되어 있다. 접촉성 혹은 소통 가능성의 측면을 측정하는 러시아 국민에 대한 이미지 또한 부정적인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가족에 대한 이미지로서는 다양한 단어가 추출되었으며, 러시아 국민에 대한 긍정과 부정이 반반(48% vs 52%) 정도 우정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반면, 나머지 이미지로서 러시아의 과거 냉전 이미지로 러시아 국민들마저 판단하고 있다. 한국 20~30대 여성들에게 러시아는 ``경직``, ``강압``, ``폐쇄``, ``차가움``, ``냉혹``, ``무서움``의 이미지이다. 이와 같은 자유 민주사회 VS 폐쇄 공산사회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를 20~30대 한국 여성은 극복하지 못한다. 과거로부터 만들어진 이미지는 20~30대 한국 여성에게 순종적이지 못한 남성, 집단의 이미지로 러시아를 바라보게 한다. 이와 같이 피상적 소통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20~30대 한국 여성에게 부정적이지만, 이들에게 러시아는 확증하기는 어려운 불확실한 이미지로서 존재한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국가의 이미지는 고정적이지 않고 변화한다. 국가의 이미지는 국가 스스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남들에 의해 규정되는 ``남의 눈에 비친 이미지``다. 본 연구는 러시아를 모델로 삼아 한 국가가 특정 시장에 나아가 자신을 각인하는 데서 ``이미지로서의 정체성``을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는가를 탐구했다.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among the three-phased research on Russia`s national image, the image on the nation, its people and the government held in the minds of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o study the image on Russia, the theoretical grounds to qualitatively define ethnic culture were propos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categories of responses that enable respondents to differentiate a nation`s exclusive image: 5 categories based on brand theories (history, language, society, family and religion); another 5 categories based on Hofstede (friendship, submissiveness, masculinity, toughness and collectivism); 3 basic categories for the image of a government (foreign policy, government 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n general, Russia has negative national image. It is believed to have the history riddled with wars and socialism, and socialism projects oppressive and heartless cold image. The history of oppressiveness and coldness is overlapped with the outdated image of the traditional Russian society to make Russia be deeply engraved in the minds of Korean women as a society that is cynical and cold, and has the legacy of socialism. In the eyes of Korean women, the people of Russia are not submissive, but have a masculine and even collective image. The high rate of aggressiveness, adventurousness and toughness did not create the image of a strong and reliable man, but the one that is similar to men`s ruggedness. At this time when the Russian government celebrates its 2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it is still viewed by Korean women as a non-democratic, unequal and hierarchic government.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a government represents its people in a modern society, the Russian government represents 50% percent of the image of its people held by Korean women, but suspicion remains on the representativeness. A nation`s image is not defined by its people and government, but by the others. In other words, it is the image reflected in the eyes of the others. By studying Russia as a model, this paper explores how a country develops ``identity as its image`` to make itself known in a specific market. Russia`s national image, and the image of its people and the government have almost failed to communicate and promote the history, tradition, ideology, friendship, family and social values, democracy and equality that Russians have desired to guard and protect. They need to be better communicated for due recognition outside the nation.

      • KCI등재

        한국 국민의 러시아 인식과 루소포비아 현상 - 연령대별 인식 차이 -

        최우익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2 슬라브연구 Vol.38 No.4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capitalism and socialism formed a Russophobia in the Korean people toward the Soviet Union as the suzerain of socialism. Russophobia seemed to disappear with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nd market reforms in Russia in the 1990s, but Russophobia intensified with Putin’s “strong Russia” motto in the 2000s and the annexation of Crimea in 2014.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Russia by the Korean people by age group. Younger age groups have less negative views of Russia, but are less interested in Russia and feel less need to cooperate with Russia. Older age groups have more negative views of Russia, but are more interested in Russia and feel the need to cooperate with Russia more. The older age group thinks that Korea needs to cooperate with Russia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interest, considering Russia’s international status and natural resources. Since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allies, South Koreans believe there are limits to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However, if the foreig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runs counter to the national interest of Korea, Koreans may perceive the United States more negatively than Russia. In addition, interviews confirmed that a trip to Russia or education on Russia can be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Korean public’s perception of Russia. 남북분단, 그리고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체제 대립은 사회주의 종주국 소련에 대한 루소포비아를 한국 국민에게 형성시켰다. 소련이 해체되고 1990년대 러시아가 시장개혁을 하면서 루소포비아는 사라질듯했으나, 2000년대 푸틴의 ‘강한 러시아’ 모토와 2014년 크림 병합으로 루소포비아는 확대되었다. 하지만 한국 국민의 러시아 인식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다. 낮은 연령대는 러시아에 대해 덜부정적으로 여기지만, 러시아에 대한 관심도 덜하고 러시아와의 협력 필요성도 덜 느낀다. 높은 연령대는 러시아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여기지만, 러시아에 대한 관심도 더 크고, 러시아와의 협력 필요성도 더 느낀다. 높은 연령대는 러시아가 지닌 국제적 위상, 천연자원 등을 고려할 때 국익의 관점에서 한국이 러시아와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과 미국이 동맹 관계이기 때문에 한국이 미국과 적대적인 러시아와 협력하는 데에는 한계가있다고 한국 국민은 여긴다. 하지만 미국의 대외정책이 한국 국익에 반하면 한국 국민은 러시아보다미국을 더 부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러시아에 대한 한국 국민의 인식을 개선하는 데에는러시아 여행이나 러시아에 대한 교육이 계기가 될 수 있음이 인터뷰 조사에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현대 러시아어 곡용체계에서 변화 양상 - 곡용 체계에서 분석적 추이 -

        표상용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2 슬라브연구 Vol.38 No.4

        본 논문은 곡용 체계에서 작동하고 있는 다수의 분석적 요소 가운데 명사의 격 체계에 집중해서살펴보고 있다. ① 러시아어에서 사격(косвенный падеж)의 직격(прямой падеж)으로의 대체 현상은 문장의 통사적 관계가 격 형태(падежная форма)가 아니라 다른 통사적 요인에 의해 실현된다는 것을 뜻한다. 격 표지 소멸로 오는 통사적 관계의 약화를 동어 반복과 어순으로 보완하는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② 명사의 격 체계는 원조인구어로부터 공통슬라브어로 전개되면서 점차 간소화되었다. 러시아어는 통시적으로 격 융합 추세에 보수적이다. 이 항목에서 러시아어의 경우 역사적 전개 과정을과거, 현재, 미래의 큰 틀에서 조망하면 고대러시아어 7격에서 시작하여 현재 표준러시아어에서 6격, 구어에서는 2격 체계로의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③ 격 형식 변화의 주요 항목으로 ⓐ 격 패러다임의 단순화, ⓑ 격 패러다임의 소멸, ⓒ 격 패러다임의 부재, ⓓ 사격의 주격으로의 대용, ⓔ 음운적인 요인으로 격 융합, ⓕ 격 용법의 전치사로의 대체 등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④ 격 체계와 관련되어 분석적 경향은 구어에서 훨씬 강하다. ⑤ 격 기능의 전치사로의 대체는 형태론과 통사론에 걸쳐 있다. 강지배, 약지배, 직접지배, 간접지배 등의 새로운 용어에 맞추어 분석적 구조에 대한 예시를 제시하고 있다. ⑥ 격 융합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격의 위계(hierarchy)를 들고 있으며 이는 보편성을 띠는 것으로 보고 있다. 러시아어의 경우 위계를 설정할 수 있으나 역사적 전개 과정이 판이하고 그 결과 현재 격 융합 추세가 다르므로 각 언어의 위계가 보편성을 띤다는 이론에 비켜나있다. ⑦ 성 범주의 변화를 분석적 추이에 맞추어 진단하고 있다. 기존 3성 체제가 약화되고 신조어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가 주류를 이룸으로서 남성 명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여성지칭명사는 남성지칭명사의 형태로 발현, 남성 명사는 통성 명사로 기능하며 여성지칭접미사는 비칭접미사로 발현한다. ⑧ 본 논문은, 용어 “격 융합”은 두 경우로 분리해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각각에 대해 새로운 용어를 제시하고 있다. 격 어미가 음운적인 원인, 외래어의 영향으로 다른 격과 합치는 현상을 “격 합치” (㉮), 격의 대용, 대체 현상으로 발단하여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격 전체가 대용되는 격 표지를 가지는 현상을 “격 이동”(㉯)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는 고대러시아어에서 ŏ어간형과 ŭ어간형이 혼합하여 ŭ어간형 소멸, 현대러시아어 구어 비강세 어미에서 발현하는 음운작용에 의한 격 어미의 합치 및 불변명사 등이 주요 항목이고 ㉯는 주격이 사격을대용하는, 구어에서의 주격 확장이 주요 항목이다: 격 융합(case syncretism)= ㉮ 격 합치(case unification) + ㉯ 격 이동 (case devolution).

      • KCI등재

        캅카스 지역의 압하스어 상황 연구

        정경택 ( Kyung Taek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7 슬라브연구 Vol.33 No.1

        1991년 소련 해체로 독립한 조지아는 단일민족국가건설이라는 목표를 내세웠지만 이런 목표의 설정과 추진은 다민족국가인 조지아의 대내외적 상황을 어렵게 만들었다. 특히 국내의 압하지야(조지아 독립 당시 압하지야자치공화국의 지위)와 남오세티야(자치주의 지위)는 조지아의 독립선언과 조지아어발전국어프로그램에 대한 반발로 무장저항을 벌였고 결국 이 두 지역은 독립을 선언하면서 사실상 독립국이 되었다. 이중에서 압하지야에서는 압하스어가 국어로 규정되어있지만 여전히 러시아어가 가장 확장된 언어로서 소련 당시와 마찬가지로 다민족국가인 압하지야의 민족 간 의사소통어, 즉 링구아프랑카이다 1994년 압하지야공화국헌법에서의 공식적인 국어지위부여에도 불구하고 현재 압하스어는 심각한 위험에 처해있다. 비록 압하스어 유치원, 학교, 대학교 강좌, 압하스어 라디오, TV, 신문 등이 나오고 있지만 압하스어사용인구수 부족 외에 친 러시아적 상황에서 러시아어가 절대적인 사용언어이자 링구아프랑카란 사실이 압하스어가 가진 중요한 문제이다. 압하스어에 대한 러시아어의 영향은 지대하여, 러시아어가 일반적인 의사소통에서 지배적이고 러시아어가 공공업무, 관료, 행정부(통치), 의회, 학교, 비즈니스의 언어이자, 도시 대부분의 압하스인 가정의 언어이다. 적극적인 압하스어-러시아어 이중언어사용이 대안이 될 수 있지만 현재 압하스 사회는 자신들의 의사소통에서 사용성이 그리 크지 않은 압하스어의 소멸에 큰 관심을 두지 않으면서 러시아어 단일언어사용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압하스어는 위기에 처해있고, 압하스인 공동체에서 압하스어의 적합한 지위 확립과 사용영역확대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몇 세대 이후에는 압하스어가 소멸될 수도 있다. 압하스인들은 러시아제국과 소련시기의 조지아 내 자치공화국의 한 구성원으로 독립적인 지위를 갖지 못했고 조지아민족으로의 동화과정을 겪으면서 압하스어의 지위도 하락되고 그 사용도 축소되었다. 조지아의 민족-언어정책에 반발하여 독립국을 이루었지만 지정학적 여러 요인들에 의해 러시아연방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있음을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Georgia established a goal of building a mono-ethnic nation, becoming a sovereign country through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in 1991. Howeve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goal made it difficult for this multinational state to deal with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In particular, Abkhazia (an autonomous republic at the time of the independence of Georgia) and South Ossetia (an autonomous province) led armed resistance against the Georg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development of Georgian language programs. Both Abkhazia and South Ossetia were recognized as de-facto autonomous states thereafter. Abkhaz is the state language in Abkhazia, but Russian is the most extensively used language and lingua franca which functions for communication between ethnic groups in the multinational country. Abkhaz is an official state language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of Abkhazia in 1994, even though its current status is in serious danger. Although there exist Abkhazian kindergartens, schools, lectures in universities, and media outlets, Russian is the most commonly spoken language due to their pro-Russian attitudes as well as underpopulation. The influence of Russian in Abkhazia is enormous and dominant in the streets and markets. And Russian is the language of the bureaucrats, administrations, parliament, schools, business, and in many cases Abkhazian urban families. The bilingualism of Abkhaz and Russian would be ideal, but it is clear that Abkhazia is steadily moving toward a society where Russian is mainly spoken. In other words, if the Abkhazian government does not take a decisive and appropriate position for Abkhaz, the language must be endangered after several generations. The Abkhazians did not have an independent status in Georgia during the Russian Empire and Soviet era. In addition, they underwent the process of assimilation into Georgia. The status of Abkhaz also declined and its use also decreased. Although Abkhazia achieved the independence from Georgia, it needs to be dependent on Russian Federation due to geopolitical factors. This study shows that Abkhazia is devoid of the great influence of Georgian people and language, but it is entirely under the influence of Russian people and language.

      • KCI등재

        러시아와 포스트소비에트 신생독립국의 기념비 전쟁과 타자인식

        송준서 ( Joonseo Song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1 슬라브연구 Vol.37 No.1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를 ‘우리’에서 ‘남’으로 타자화한 포스트소비에트 신생독립국들은 국가정체성 정립 과정에서 2차 세계대전의 기억을 놓고 러시아와 충돌하면서 더 적극적으로 러시아 타자화 정책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정책이 해당 국가 국민의 러시아에 대한 타자인식을 동일한 정도로 강화시킨 것은 아니었다. 각국의 지정학적, 지경학적 특성에 따라 타자인식 정도는 상이했다. 반면 러시아의 경우 대조국전쟁의 기억은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에 이르러 러시아 국민들 사이에 가장 신성한 집단기억으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러시아는 국가정체성의 근간인 그 기억을 모욕하는 국가에 대해 좌시하지 않고 기억 전쟁을 수행하였으며 러시아 국민들 사이에서는 해당 국가에 대한 타자의식이 높게 표출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that Russia and the post-soviet independent nations conducted memory wars over the Soviet monuments of World War II in Estonia and Georgia,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ir post-soveit national identities. In doing so, this study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the policy of otherization in Estonia and Georgia affected the development of sense of otherness among citizens; 2) how Russian government and citizens reacted to the war of memory that those two former Soviet republics initiated. This study implies that the policy of otherization by the newly independent countries did not always yield a universal extent of popular support.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Russia as “other”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Reacting to the denial of the Soviet war memory in Estonia and Georgia, Russia, which firmly had established the Soviet victory of World War II as the most sacred collective memory, conducted memory wars either by sending warnings of breaking diplomatic relations off or by restoring a demolished Soviet war monument in Moscow while the citizens of Russia expressed high sense of otherness toward those two former Soviet republics.

      • KCI등재

        러시아의 동북아 가스정책과 극동, 동시베리아 가스의 공급 안정성

        엄구호 ( Gu Ho Eom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3 슬라브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러시아 동북아 가스정책의 내용을 동시베리아·극동 가스의 공급 충족성의 견지에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은 것을 목표로 한다. 러시아 동북아 가스공급의 공급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러시아 동시베리아·극동 가스의 잠재적 수요, 생산능력, 운송능력, 재정능력 등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첫째, 동시베리아와 극동에 석유 가스전 개발에 필요한 투자 규모는 거대하고 러시아는 이 투자를 자신만으로 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동북아 가스협력의 선순환을 위해서는 러시아의 부족한 재정능력을 감안하여 가스전 개발과 운송망 건설에 동북아 국가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셋째, 러시아의 동북아 가스 공급 능력의 불확실성은 순수한 재정적 문제이며, 따라서 동북아 국가에서 러시아 가스의 공급 충족성은 가격 적정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넷째, 공급능력 및 개발 속도와 재정 능력을 고려해 보면 동시베리아·극동의 본격적인 가스 생산은 2017년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시진핑 정부의 중러 전략적 관계의 지속·확대 정책과 아베 정부의 신에너지 정책과 에너지를 매개로 하는 북방영토 정책은 러시아 동시베리아·극동의 가스 공급 안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동시베리아·극동 가스의 동북아 공급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러시아는 동북아 국가들과의 원만한 가스 가격협상과 운송 인프라 및 가스전 개발에 동북아 국가들의 투자를 허용·유인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을 통해 재정능력을 갖춤과 아울러 충분한 공급 물량 확보를 위해 서시베리아 가스와의 연계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동북아 가스정책에서 러시아의 이러한 전향적 자세 변화 없이는 동시베리아·극동 가스의 동북아 공급 안정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Russia`s gas policy toward the Northeast Asia from a perspective of supply satisfaction of the East Siberian and Far Eastern gas and to get our implications. The stability of Russian gas supply to the Northeast Asia needs to be assessed from the following four aspects; potential demand, production capacity, transport capacity, and financial capacity of the East Siberian and Far Eastern gas. First of all, it has been known, the investment size for the development of oil and gas fields in the East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region is so enormous that Russia alone cannot afford the investment. Second, for a virtuous circle of the gas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 we need to induce participation of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development of gas fields and construction of transportation network, taking into account Russia`s insufficient financial capacity. Third, the uncertainty of Russia`s capability for gas supply to the Northeast Asia is definitely a financial matter, because the Russian gas supply satisfaction in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is closely related to the appropriateness of its price. Fourth, if taking into account of Russia`s gas supply capacity, the rate of development, and financial capacity, a full-scale production of the East Siberian and Far Eastern gas will be able to begin after 2017. Fifth, both policy of the Xi Jinping government to maintain and expand the China-Russia strategic relationship and policy of the Abe government on Northern Territories will have positive influences upon the stability of gas supply from Russia`s East Siberia and Far East. To secure stability of the East Siberian and Far Eastern gas supply to the Northeast Asia, Russia should make a great effort not only to smoothen the price negotiation process with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but also to build up her financial capacity through preparing a system to allow and induce investment from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development of gas fields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Without this fundamental change in Russia`s gas policy toward the Northeast Asia, it is hard to make a positive evaluation on the stability in supply of the East Siberian and Far Eastern gas to the Northeast Asia.

      • KCI등재

        유라시아 지역의 고려인 문화연구 - 초기 정착지 포시에트에 나타나는 문화교차를 중심으로 -

        권기배 ( Kwon Ki Bae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0 슬라브연구 Vol.36 No.1

        이 논문의 목적은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초기 정착지인 러시아 극동 지역 연해주(포시에트)에 만들어진 고려인 공동체내에 형성된 문화교차의 과정과 내용을 고찰하는 것이다. 포시에트를 포함한 초기 정착지의 생존을 위한 최대 과업인 ‘러시아 국적 획득’과 ‘토지 무상 수령’을 실현하기 위한 전제 조건인 ‘러시아 정교로의 개종’과 ‘러시아어 습득’의 과정을 거치면서 고려인은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러시아인들과 문화교차를 이루면서 서서히 러시아 문화에 동화되어 갔는데, 세부적인 내용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고려인 정착촌의 러시아 공립학교에서 이루어진 러시아식 교육(특히 러시아어)은 비교적 성공적으로 자리 잡았다. 비록 고려인들이 서툴게 러시아어를 구사했지만 러시아어로 러시아인들과 대화를 하는 사람이 많아졌는데, 그 러시아인들과 소통하는 고려인들은 음식문화와 의복문화 분야에서 문화교차를 선도하였다. 둘째, 선교사를 포함한 러시아 정교회 사제들은 디아스포라 고려인의 러시아 문화 교차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제들은 적극적으로 초기 고려인 정착촌에 수도원과 교회를 건설하고 고려인의 러시아 국적 취득을 위한 정교 세례를 받는 과정에서 정착지의 러시아 관리보다도 더 비중 있게 고려인들의 삶에 영향을 끼쳤다. 셋째, 포시에트의 고려인은 샤머니즘을 계속 신봉하고 있었는데, 고려인은 병의 치료, 망자에 대한 기도, 운세 등의 일상생활의 대부분의 일들에서 맹인 샤먼 없이는 어떠한 행위도 할 수가 없었다. 넷째, 포시에트의 고려인은 자신의 집 벽면에 부처를 그린 종이를 모셔두고 불상 앞에서 기도하면서 불교를 계속 믿고 있었다. 그러나 러시아 정교로의 개종이 초기 정착촌에 보편적인 현상이 된 이후, 고려인 가정에서 러시아 정교를 믿는 고려인 남편과 불교를 믿는 고려인 아내의 어색한 조합을 보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다섯째, 초기 정착지인 포시에트에서 한동안 존속된 양반과 노비로 엄격하게 구분되었던 비합리적인 신분제도는 러시아 정교 교리와 러시아의 법 적용에 따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여섯째, 조선에서처럼 초기 정착지 포시에트에서도 전통 결혼식이 행해졌지만 어린 미성년자들 사이에서 행해졌던 조혼관습은 러시아 정교 세례를 받는 미성년 고려인의 숫자가 많아지면서 사라졌다. 대신 러시아 정교를 받아들이면서 결혼 당사자 중 어느 한쪽이라도 러시아 정교로 개종 후, 성년이 되면 러시아 정교의식으로 결혼할 수 있는 문화교차가 포시에트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and content of cultural crosses formed in the Koryoin community built in the Far East of Russia (Posyye), the earliest settlement of Goryeo Diaspora.The biggest tasks for the survival of Koreans in early settlements, including the Foursiettes, are “Russian citizenship” and “Free land acquisi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Koryoin must convert to Russian Orthodoxy and speak Russian well. First, Russian-style education (especially Russian) in the Russian public schools of the early Goryeo settlement of Posayette has been relatively successful. In addition, the Koreans who communicated with Russians and Russians led the acquisition of culture in food and clothing culture. Second, Russian Orthodox priest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diaspora Koryoin’s cross-cultural culture. Priests actively built monasteries and churches in the early Goryeo settlements. In the process of being baptized into Russia’s Orthodox Baptism, the lives of Koreans were greatly influenced. Third, Posiette’s Koryoin continued to believe in shamanism. Koryoin could not do anything without the blind shaman in most of his daily life. Fourth, Posiette’s Koryoin had a paper with Buddha on the wall of his house. He prayed in front of the Buddha and continued to believe in Buddhism. However, since the conversion to Russian Orthodox became a common phenomenon in early settlements, it was not difficult to see a strange combination of a husband who is Russian Orthodox and a wife who is Buddhist in Buddhism in a Koryo family. Fifth, the strict status system divided into unreasonable aristocrats and serfs of Joseon, which had existed for some time in Posayette, disappeared into history. Sixth, traditional weddings were held in the early settlement of Posiette, as in Chosun. But the custom of marriage at a young age has disappeared. Instead, a belief in Russian Orthodox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settlements of Koryo in the Pociyev region, where either of the parties to the marriage was converted to Russian Orthodox, and then, at adulthood, married in Russian Orthodox.

      • KCI등재

        현대 러시아어 형태론의 변화 양상 - 활용 체계에서 분석성 -

        표상용 ( Sangyong Pyo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1 슬라브연구 Vol.37 No.3

        동사에서 발생하는 분석적 구조의 한 단면으로 본 논문은 상 중립 동사, 돌발형 동사, 동사 미정형, 동사 미래시제, 동사의 [대동사 + 추상명사]구문으로의 전이 등을 다루고 있다. 러시아어 동사에서 분석적 구조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던 만큼 의미 있는 연구이다. ① 동사 자립미정형 사용은 점차 활발해지고 있으며 활용체계의 굴절어미가 발현하지 않는 점에서 분석적 경향의 취지에 부합한다. 명사 대용에서는 문법표지가 없지만 성, 수 범주는 내재하며 활용형의 대용에서는 양상적 의미, 뉘앙스 등이 발현하지 않는다. ② 미래시제는 분석적 구조와 종합적 구조가 경쟁관계이다. 남슬라브어에서 종합적 구조는 소멸, 연사 быть를 통한 분석적구조로만 발현하지만 러시아어에서는 종합적 구조의 발현 빈도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즉, 미래시제에서 분석적 경향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종합적 구조(완료상 미래)와 분석적 구조(불완료상 미래)가 지시하는 시간대 차이로 인해 분석적 구조로의 전이가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③ 양상(двувидовые)동사는 신조 동사의 30% - 40%를 차지할 정도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현대 러시아어에서 상 기능이 약화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학계는 이러한 견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신조 동사만 분석 대상으로 하면 러시아어 상 체계는 완료상, 불완료상의 2원 체제가 아니라 완료상, 불완료상, 양상의 3원 체계이다. 양상동사의 양적 증가는 분석적 경향에 합치한다: 문법범주의 약화, 소멸은 그 대체 수단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한 언어 전체적으로 보면 분석적 구조로 나가는 것이다. ④ 돌발형 동사는 시제, 성, 인칭 등이 문법 표지로 전혀 발현하지 않는 특이한 형태이다. 굴절어미가 발현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분석적 구조로의 전이에 해당되며 향후 범위를 넓힐 경우 다른 유럽어, 이를테면 영어나 독일어보다 이 형태에서만은 가장 분석적인 형태이다. ⑤ 하나의 동사를 [동사 + 명사]구로 표현하는 분석적 구조는 단일 동사와 동의관계이다. 구어와 대중매체에서 [동사+명사]의 분석적 구문이 더 선호되고 있으며 양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매스미디어 언어에서 자동사의 대동사로 идти(혹은 пройти), 타동사의 대동사로 вести(혹은 провести)의 분석적 구문이 아무런 제약 없이 발현하고 있으며 러시아어의 분석적 경향에 중요한 항목으로 간주된다. It was recognized that analytic properties in the conjugation system rarely occur compared to the inflection system, but the analytic structures expressed in verbs are in the verb future tense (буду писать), in the subjunctive [бы+ verb past tense], and in the imperative form [пусть (пускай, пускай, пущай)+ 3rd person singular/plural], [давай(давайте)+ infinitive(or 1st person plural)], passive verbs past/future tense (построен, был построен, будет построен). This paper deals with bi-aspectual verbs, interjection-verb words, verbs bare infinitive forms, verb future tenses, and transitions of verbs to the [verb+ abstract noun] construction as a cross section of the analytic structure that occurs in verbs. It is a meaningful study a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analytical structure of verbs in Russian, regardless of synchronic or diachronic morphology. ① In the past, the verbal infinitive expressed command, justification, condition, question, resentment, etc. but now it appears on the same level as the noun or instead of the verb conjugation rather than the use to express these modal meanings. ② In the future tense, the analytic structure and the synthetic structure are in competition. In Russian, the analytic structure is insignificant and the frequency of expression of the synthetic structure is overwhelmingly dominant. In other words, there is no analytical trend in the future tense, and it is judged that the transition to the analytical structure is not easy due to the time difference indicated by the synthetic structure (perfect future) and the analytical structure (imperfect future). ③ Bi-aspect (двувидовые) verbs are increasing rapidly, accounting for 30%-40% of new verbs. This can be seen as a weakening of the aspectual meaning in modern Russian, but the academic community does not accept this view. When only the neologism verbs were analyzed, the Russian Aspect category changed to a ternary system of perfect, imperfect, and bi-aspect rather than a binary system of perfect and imperfect. Also, if there is no lack of expression of grammatical meaning in dialogue even in the absence of a counterpart, th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bi-aspectual verbs is consistent with the analytical trend: the weakening and disappearance of the grammatical category is the analytic tendency of the language as a whole, even if the alternative means does not appear at all. ④ Interjection-verb words are a unique form in which tense, gender, and person do not appear as grammatical markers at all. Previously they focused on the expressive meaning, but now they are being coined without any restrictions and without any expressive meaning. In the sense that inflectional endings are not expressed, it corresponds to a transition to an analytic structure, and when expanding the scope in the future, it is the most analytical form (without any inflectional endings) in this form than in other European languages. ⑤ The analytic construction of [verb+noun] is rather preferred in spoken language and mass media, and the quantity is rapidly increasing. In mass media languages, the analytic construction of идти (or пройти) as an intransitive verb and вести (or провести) as a transitive verb is expressed without any restrictions, and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item in the analytical trend of Russian.

      • KCI등재

        페도토프와 페로프: 러시아 풍속화의 1840년대와 1860년대

        권정임 ( Jyoung Im Kwon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3 슬라브연구 Vol.29 No.2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 러시아 풍속화의 대표자인 페도토프(П. Федотов)와 페로프(В. Перов)의 작품세계를 그들이 활동한 시대인 1840년대와 1860년대의 시대적 특성 속에서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러시아 문학계에서 푸시킨의 예브게니, 혹은 고골의 아카키 아카키예비치와 같은 ‘작은 인간’ 부류들이 19세기 초반에 일찍부터 등장했다면, 러시아 미술계에서 이같은 부류의 인간의 출현은 상당히 늦게 이루어졌다. 페도토프와 페로프는 러시아 문학에서 시작되었던 이러한 ‘작은 인간’의 전형들을 화폭으로 옮겨오면서 러시아 풍속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1840년대를 자신의 주요 활동무대로 삼은 페도토프는 자유주의자로서의 면모를 띠며 자신의 화폭에서 당대의 구태와 악습을 실컷 조롱했다. 그는 자신의 많은 그림들에서 시대의 모습을 풍자한 것에 머물지 않고, 자기 자신을 희화화하며 희극배우의 기질을 여지없이 발휘하였다. 그는 시대의 미묘한 변화와 변화의 방향에 대한 도덕적 벡터를 제시하였던 것이다. 반동적 시대의 희생양이 되어 자신의 재능을 끝내 다 펼치지 못한 불운의 풍속화가였지만, 러시아의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기초를 닦은 화가로서의 그의 묵직한 존재감은 러시아 미술사에 여전하다. 1860년대를 자신의 주요 활동무대로 삼은 페로프는 바자로프주의자 ? 혁명주의자로의 면모를 띠며 병든 시대를 세밀히 진단하고 그 환부를 도려내고자 메스와 채찍을 들었다. 페도토프식의 단순한 조롱과 풍자에만 머물지 않고, 한 발자국 더 앞으로 나가 거친 비판과 독설적인 폭로를 추구했다. 혼외자로 태어나 평생 예술적 반골의 삶을 추구한 페로프는 사회적 억압자들과 피억 압자들을 주시하며, 시대의 악에 대한 분노와 시대의 고통에 대한 슬픔을 화폭에 담아내었다. 그 가 추구한 러시아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부정의 시선은 곧이어 도래한 이동전람회파의 회화적 근간이 되어주었다. 시대의 병적인 징후를 포착하고 변화의 희망을 키워낸 페도토프와 페로프의 풍속화를 통해 러시아 미술은 시대의 도저한 흐름인 리얼리즘의 물꼬를 트게 되었다. 시대는 그들의 그림을 통해 새로운 눈과 의식을 얻게 되었다. This article is devoted to the representatives of the Russian genre painting of the mid 19th century - P. Fedotov and V. Perov. At that time, while in the circles of Russian literature appeared ``little man`` as Pushkin`s Evgenii or Gogol`s Akakii Akakievich, in the circles of Russian art of painting has appeared much later such a ``little man``. Fedotov and Perov, who have started to portray such people, belonging to the types of ``little man``, opened a new era of Russian genre painting. Fedotov had liberal character and laughed at old and bad customs of the his times. Fedotov, who had the temperament of the comic artist and liked self-caricature in his many paintings, was regarded as Russian Hogarth and offered moral vector in connection with delicate changes of times and direction of these changes. Although he was a victim of a reactionary times of Nikolai I and couldn`t deploy his outstanding artistic talent, he left the big trace in the history of Russian realistic genre painting. Perov had radical nature and took the whip and the lancet to make the diagnosis of social disease and cut the sick places. He not only focused on a simple mockery and satire, but also went further, seeking sharp criticism and exposure of social injustice and evil. Perov, who was born as a illegitimate son, and has lived all his life of a nihilist, watched social types of ``the oppressors`` and ``the oppressed`` and portrayed the anger against evil, sadness and suffering of times. His fundamental negative viewpoints on the Russian societ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uture of the russian fine art school ``the Wanderers``. Genre painting of Fedotov and Perov showed not so much the sweetness and fragrance of his times, as the bitterness and the symptoms of the times and the hope of change for a better world. Thanks to them, the pictures of Russian genre painting was able to take part in the world realistic art.

      • KCI등재

        Between East Asia and Russia: Il`ya Levitov`s Conception of “Yellow Russia” (Zheltaya Rossiya)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 Jeong Sook Hahn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5 슬라브연구 Vol.31 No.4

        일리야 레비토프(1850~1918)는 러시아의 민속지학자이자 동아시아 전문가였다. 그는 ‘황인종’, ‘황러시아’, ‘황색 보스포루스’, ‘완충 식민지로서의 황러시아’ 등의 책자들을 집필하였다. ‘황색’은 동아시아인들과 관련된 말이다. 그는 1896~97년, 동청 철도 건설 이후 수많은 중국 노동자들이 동시베리아(우수리 강 유역, 아무르 강 유역, 바이칼 호수 이동지역)로 이동해 오는 것을 목격했다. 그가 보기에 이들은 낮은 임금만으로도 만족하는 탁월한 노동력이었으므로 러시아 노동자들에게 위협적인 존재였다. 동아시아인들의 큰 이주물결은 ‘황화’(黃禍)를 뜻하는 것으로 보였다. 동아시아인들의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되 이들이 유럽 러시아인들에게 악영향을 미치지는않게끔 하기 위해 레비토프는 시베리아를 자연경계에 따라 분할할 것을 제안하였다. 우수리 강에서 바이칼 호수에 이르는 동시베리아는 ‘황러시아’로서 동아시아인들의 노동력을 이용하는 자유경제지역이 되어야 하며 그 대신 동아시아인들은 바이칼 호수 서쪽으로는 이주할 수 없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제안이었다. 러일전쟁 후 레비토프는 황인종이 러시아를 공격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완충지대로서의 황러시아’를 건설해야 한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그의 제안은 동시베리아라는 변경지대를 무대로 삼아 인종주의에 바탕을 두고 러시아 제국주의와 동아시아 주민이주의 물결 사이에서 타협점을 발견하고자 하는 제국주의적, 인종주의적 시도였다. Il`ya Levitov(1850~1918) was a Russian ethnographer and East Asia specialist. He wrote pamphlets with the titles Yellow Race, Yellow Russia, Yellow Bosporus and Yellow Russia as a Buffer Colony. ‘Yellow’ refers to the skin color of East Asian peoples. Levitov watched in Eastern Siberia (the regions of the Amur Basin and Ussuri Basin) countless Chinese workers immigrating since 1896-97,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East Chinese Railroad as the extension of Trans-Siberian Railroad. For Levitov they were excellent labor force demanding low wages, and thus a threat to Russian workers. The great tide of East Asians seemed to be "yellow peril". Wanting to use the cheap labor force of East Asians but to prevent their influence on European Russians, he proposed to divide Siberia along natural borderlines. The Eastern Siberia from Ussuri Region to the Lake Baikal would become "Yellow Russia", a Free Economic Zone using the labor force of East Asians. Instead their immigration into the regions west of Baikal would be blocked up. After the Russo-Japanese War, Levitov developed the idea of ‘Yellow Russia as a buffer zone’ including Manchuria to restraint the attack of the yellow people against Russia. He thought that Yellow Russia would serve Russian imperialist, racist and industrialist dreams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