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 존재의 생과 소멸에 관한 사유 ― 오정희의 「옛우물」을 중심으로

        엄숙희 ( Eom Suk-hu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1

        이 연구는 존재 이해의 지평으로서 시간에 주목해 오정희의 「옛우물」이 보여주고 있는 생과 소멸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 것이다. 1990년대의 세계사적 변화 속에서 발표한 「옛우물」은 그동안 오정희가 작품 속에서 치열하게 고민했던 문제들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을 보여준다. 「옛우물」에서 오정희가 먼저 주목하고 있는 것은 예속적 삶 속에서 본질을 망각하고 사는 현대인들의 모습이다. 「옛우물」은 농경시대 여성의 존재 의미와 현대 여성의 존재 의미가 달라졌듯이 인간은 각자가 처해 있는 환경 속에서 그 시대가 요구하는 존재의 의미에 맞춰 삶을 살아간다는 인식을 보여준다. 그러면서 오정희는 「옛우물」에서 현대의 인간이 이런 비본질적인 삶에 무감각하게 빠져 있게 된 직접적인 원인으로 죽음과 멀어진 삶을 얘기한다. 일상에서 사라진 죽음으로 현대인은 유한성을 망각한 채 살아간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옛우물」은 인간 존재의 삶과 죽음을 이해하는 지평으로서 시간에 주목한다. 오정희는 「옛우물」에서 인간은 거대한 시간의 흐름 속에 놓인 존재라는 인식을 통해 비로소 자신의 존재 의미를 이해하게 되는 존재임을 보여준다. 그 결과 「옛우물」의 여성 인물은 이전 오정희 소설의 여성 인물들이 보여준 불안과 갈등 속에 남겨지는 여성이 아닌 남녀의 차원을 넘어 인간 존재의 차원에서 자신의 본질적인 삶을 이해하고 세계와의 화해 가능성을 열어두는 인물로 나타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life and extinction shown in Oh Jeong-hee's 「The Old Well」by paying attention to time as a horizon of understanding existence. 「The Old Well」, published amid the world historical changes in the 1990s, shows a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issues that Oh Jeong-hee has been agonizing over in her works. In 「The Old Well」, Oh Jeong-hee first focuses on the appearance of modern people living in a subservient life, forgetting their essence. Just as the meaning of existence of women in the agricultural era and the meaning of existence of modern women have changed, 「The Old Well」shows the perception that human beings live their lives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of existence required by the times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located. At the same time, Oh Jeong-hee talks about a life far away from death as a direct cause of modern humans' insensibility to this non-essential life in 「The Old Well」. With death that disappeared from everyday life, modern people live while forgetting their finiteness. Lastly, 「The Old Well」focuses on time as a horizon for understanding the life and death of human beings. In 「The Old Well」, Oh Jeong-hee shows that humans are beings who can on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recognition that they are beings placed in a huge flow of time. As a result, it appears that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Old Well」are not women left behind in the anxiety and conflicts shown by the female characters in Oh Jeong-hee's previous novels. In this work, the female character appears as a character who understands her essential life in the dimension of human existence beyond male and female dimensions and opens up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with the world.

      • KCI등재

        오정희의 『새』에 나타난 폭력의 양상과 구원의 징후

        조회경(Cho Hoei-kyung) 우리문학회 2009 우리文學硏究 Vol.0 No.27

        This study examined the tragic reality in life and a problem about its recovery shown in Oh Jeong-hee' s literature targeting Oh Jeong-hee' s first feature-length novel 『Bird』. In 『Bird』is revealed the exhausting life in young brother and sister who were abandoned by parents. Oh Jeong-hee shows serious self-reflection on powerful force of helping a human being's spiritual maturity, as well as exploring the origin of violence, which is prevalent in this world through 'juvenile's sight.' As the juvenile character in 『Bird』is a meaning available for concentratedly reproducing devastation in the world, it stands for a human being's elemental situation that can solve a worry about existence oneself even in any situation. In a sense that a father's impulsive violence, which was mirrored in T eyes as a young girl, accidentally occurs, it is essentially same as property in birth, old age, illness, and death. This piece of work is shown that the origin of violence relies on a human being's 'foolishness,' thereby being emphasized that it is not a problem that will be solved by social condition. It belongs to the more elemental anguish. At the same time, 'I,' who am young, stare at the inside of 'fake mothers' who give a help. As a result, even 'fake mothers' are suffering uneasiness unavailable for knowing the origin, thereby realizing that they cannot be expected perfect love.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Bird』 depends on 'voice that is heard to the inside of 'me.' 'I' cure tired soul while remembering 'voice' that is heard faintly with dividing a wasted curtain in the world. A writer suggests that 'invisible powerful force' exists that functions in 'an abyss of life.' The folklore, which is transmitted by grandmothers, is substance of 'invisible powerful force' as well. Oh Jeong-hee aims to seek for a clue that will cure and rescue the impoverished reality through this tradition, That is seen to be related to group unconsciousness. However, Oh Jeong-hee doesn't present easy solution anymore. Aphorism is just transmitted with saying that even one small piece in truth cannot be obtained unless presenting self as an offering of sacrifice, while persistently exploring a dark abyss of life. 오정희는 소설을 통해 부단한 자기성찰과 사색의 서계를 구축해가는 작가이다. 본고에서는 오정희의 첫 장편 소설 『새』에 드러난 세계의 비극적 실상 중 하나인 폭력의 양상과 인간 회복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텍스트로 삼은 『새』에는 ‘보이지 않는 아버지들’과 ‘가짜 어머니들’에 둘러싸인 어린 남매의 고단한 삶이 펼쳐져있다. 오정희는 ‘아이들의 낯선 눈’을 통해 이 세계에 만연된 폭력의 근원을 탐색하는 동시에 그 해결책으로 인간의 의식세계 바깥에서 생겨나 인간의 영적 성숙을 돕는 강력한 힘의 존재를 희미하게나마 보여주고자 한다. 『새』의 유년 인물은 세계의 황폐함을 응축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의미체로서, 어떤 상황에서도 존재의 불안을 스스로 해소할 수 없는 인간의 근원적 상황에 대한 제유이다. 유년 주체의 눈에 비친 아버지의 충동적인 폭력성은 생노병사에 내재한 우발성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작품에서는 폭력의 근원이 인간의 ‘어리석음’이라는 치유할 수 없는 영역에 잠복해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그것이 인간 실존의 본원적 고통에 맞닿아 있음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동시에 버려진 ‘나’와 동생에게 도움을 베푸는 가짜 엄마들의 내면에 대한 응시는 이들이 모두 근원을 알 수 없는 불안에 내몰리고 있어 또 다른 폭력의 양상을 띠고 있음을 세밀하고 생생하게 묘파해낸다. 그러나 『새』의 바탕에는 세미하지만 견고하게 자리 잡으 ‘목소리’가 존재한다. 그것은 아주 오래전부터 불모에 가까운 세계의 황폐함을 치유해왔다. 그 목소리의 주인은 오정희 소설이 보여주는 구원의 단초가 되는 ‘생성적 타자’들이라 할 수 있다. 작가는 ‘삶의 심연’에 작용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강력한 힘’이 존재함을 암시하며, 이를 통해 구원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그러나 오정희는 더 이상 섣부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다. 삶의 어두운 심연을 집요하게 탐색하며 ‘자신을 희생 제물로 내어주지 않으면 진실의 작은 조각 하나도 얻을 수 없다’는 경구를 전해줄 뿐이다.

      • KCI등재

        80년 광주 이후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남편-아내’ 인물형 변주의 의미 - 자전적 공간과 작가 정체성 모색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서은혜 ( Seo¸ Eun-hy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9

        이 글은 오정희의 80년대 소설 중 남편의 사회적 갈등 모티프가 드러난 소설인 「야회」 (1981), 「그림자 밟기」(1987), 「파로호」(1989)에서 드러난 자전적 공간을 80년대 이후 작가적 정체성의 균열과 모색 과정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필립 르죈(Philippe Lejeune)은 텍스트들의 연쇄 속에서 독자에게 복합적이고 모호한 총체적 작가의 상을 형성시키는 효과를 보이는 앙드레 지드의 소설적 사례를 ‘자전적 공간’이라 명명한다. 이 자전적 공간은 복합적 텍스트들의 유희를 통한 작가의 자기 정화와 해방이라는 효과를 낳는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은 이 글의 대상 작품들이 보이는 ‘남편-아내’ 형상의 허구적 변주의 의미와도 긴밀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오정희의 산문, 대담에서 보이는 전기적 사실에 대한 회고와 대상 작품을 비교하여 자전적 공간의 양상과 의미를 추론하였다. 80년 여름 서명운동에 참여한 남편이 당국의 감시를 받던 상황에서 얼마 지나지 않아 발표한 「야회」에서 비판적 지식인으로 그려지는 명혜의 남편 길모와 그 동료인 송 교수는 작가의 실제 남편상과도 연결된다. 또 주인공 명혜는 소설쓰기에 대한 고민에 가득했던 오정희 자신의 모습을 일부 투영하고 있다. 오정희는 화려한 파티 이면에 감춰진 사람들의 속물성과 가벼움을 한 축으로, 그리고 그 파티와 어울리지 않는 길모나 송 교수 같은 사람들과 명혜를 ‘소외감’이라는 동질성으로 엮음으로써 ‘실존성’이라는 범주에 이들을 위치 짓고자 한다. 이는 작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현실적인 부와 명예를 추구하는 이들과 구분 짓는 자리에 두고 있는 오정희의 지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왜 광주에 대해 말하지 않느냐는 내·외적 물음에 갈등하다 미국을 다녀온 이후 발표한 「그림자 밟기」와 「파로호」에서는 지식인으로서의 남편의 허위의식이 여성 주인공의 시각에서 비판되며, 이러한 서술을 통해 외적 요구에 대한 자기 정당화를 하고 작가로서의 진정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 진정성은 경옥의 민수에 대한 친근감의 표현이나 혜순의 글쓰기 욕망의 동기에 대한 분열적 서술로부터 찾을 수 있다. 이처럼, 남편의 사회적 갈등을 허구적으로 변주한 이들 작품은 오정희의 균열된 작가 정체성의 모색 과정과 자기 성찰, 자기 정당화의 추구라는 자전적 언술행위의 한 사례로 읽을 수 있다. 이러한 독법은 오정희 소설의 자전적 성격을 드러내는 텍스트의 범주를 좀 더 확장시키려는 연구사적 맥락을 보완한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autobiographical space of Oh Jeong-hee's three short stories in 80s, through exploring recurrent fictionization of husband-wife characters in "Yahoe" (A Night Garden Party, 1981) , "Gurimja babki"(Shadow treading, 1987) and "Paroho" (The Lake Paro, 1989). To speak in Lejeune's term, autobiographical space is the effect which reader can find author's figure in the process of reading his/her several texts together, not possible for reading just independent text. The author of the texts in this space performs certain role in his/her texts through free fictionization and he/she pursues to gain self purification or self liberation. In the light of this, I attempt to examine the meaning of fictionization of husband-wife characters through the comparison Oh's stories with her essays. Gilmo and his colleague professor Song in "Yahoe" is much of Oh's husband, in that they are both critical intellectual against military dictatorship in 80s. The main heroin Myunghye is also much of Oh herself, in that she reveals the difficulty of writing and the doubt of its effectiveness. Oh establishes the binary opposition of 'snobbism/existence', attributing Myunghye, Gilmo and professor Song to the latter and the others in the party to the former. It reveals Oh's thought that writer should be original himself/herself, watching being normal snob. We can notice Oh was criticized for not writing about Kwang Ju in 1980 through her several essays and it seems she had huge burden for that. She had gone to the United States from 1984 to 1986, with her husband who was a exchange professor at that time. After returning to Korea, she published "Gurimja babki" and "Paroho". Both works has in common in that Oh describes husband characters who have false consciousness. They really had the eager for comfortable life or reputation although they wanted to be a critical intellectuals. This characterization was possible from the view of their wives, who were much of Oh herself. The closeness Kyungok felt to Minsu in "Yahoe" and multi layered narrative in "Paroho" are the result of Oh's autobiographical act. It seems Oh sought for self liberation through negative fictionization of husband character, representing people who demand her for writing the works which testify social irrationality. Thus Oh's autobiographical space in 80s is closely related to the demand for changing her writing style adjusting to social demand. She pursued new writer's identity by establishing recurrent fictionization of husband-wife characters in several works.

      • KCI등재

        누스바움의 감정철학으로 바라본 오정희의 「유년의 뜰」 - 혐오, 수치심, 연민을 중심으로 -

        김민옥 ( Kim Min-ok )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40 No.-

        본고의 목적은 누스바움의 감정 철학을 연구 방법으로 삼아 오정희 소설 「유년의 뜰」에 나타난 혐오, 수치심, 연민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기존 연구가 강박, 불안, 히스테리, 퇴행, 집착, 분노, 부끄러움, 슬픔 등과 같은 키워드를 통해 오정희 소설 속인물들의 감정을 해석한 것에서 더 나아가, 혐오와 수치심, 연민이 오정희의 초기 소설의 핵심 감정이라는 점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누스바움은 그의 감정철학을 통해 감정이 슬픔, 두려움, 기쁨, 희망, 분노, 감사, 미움, 질투, 질시, 동정, 죄의식 등을 종으로 삼는 유개념이며 욕구나 기분, 동기 등과 구분된다는 논리를 펼치면서, 이를 바탕으로 혐오와 수치심, 그리고 연민을 다루는 독특한 시각을 제시하였다. 그가 제시한 혐오와 수치심, 연민의 감정 이론은 오정희 소설에 펼쳐져 있는 수많은 인물의 감정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틀이 될 수 있기에 본고에서는 이를 원용해 「유년의 뜰」에 나타난 혐오, 수치심, 연민의 감정을 분석하였다. 혐오의 감정은 여성인물을 혐오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남성인물의 폭력과 처벌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누스바움은 혐오가 인간 집단 내부에서 지배와 피지배의 위계질서를 유지하고 이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는데, 그 이유는 지배집단이 피지배집단의 고유한 속성을 불결하거나 동물적인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혐오를 받아 마땅한 대상으로 전락시키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작품에는 여성적 신체에 대한 은유들이 혐오의 대상으로 드러나며, 밤늦도록 귀가하지 않은 어머니와, 오빠의 감시를 피해 읍내로 향하는 언니의 모습을 통해 오빠의 투사적 혐오가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투사적 혐오는 바람이 난 딸을 감금하는 목수의 모습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부네를 방에 가두고 문을 잠근 뒤 도덕성의 물리적 연장물로서 기능하는 자물쇠를 채우는 목수의 행위는 도덕성을 어긴, 불결한 몸에 대한 투사적 혐오의 극단적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수치심은 부도덕한 모습으로 제시된 여성인물을 바라보는 노랑눈이의 의식과 관련된다. 노랑눈이는 어머니, 언니, 부네 등 부도덕한 몸을 지닌 인물을 통해 여성 존재에 대해 자각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각은 부끄러움에서 시작되어 수치심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띤다. 뚱뚱하고 노란색의 머리칼을 지니고 있는 자신의 육체, 도둑질, 부도덕한 어머니와 언니의 모습 등은 불완전성과 완벽성이 결여된 상태이기에 노랑눈이의 원초적 수치심을 유발한다. 또 완벽함과 완전무결성이라는 기준을 벗어난 가족들의 행태, 즉 아버지의 부재, 부도덕한 어머니, 폭력적인 오빠, 가족의 공모아래 이루어지는 닭 도둑질 등은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범주에서 벗어나 있기에 사회적 성격을 지닌 수치심을 유발하고 있다. 이 작품의 핵심 감정인 연민은 자기연민과 연민의 확장으로 드러난다. 여성 존재들의 모습에서 미래의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 결과 노랑눈이는 자기연민에 이르는데, 여기에는 누스바움이 이야기하는 연민의 세 가지 인지적 요소 중 크기에 대한 판단, 그런 일을 당해서는 안 된다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연민은 거울을 마주하고 선 노랑눈이가 눈물을 흘리는 모습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때 노랑눈이가 느끼는 감정은 앞으로 펼쳐질 자신의 삶이 어머니나 언니의 삶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 내재되어 있는 자기연민이라 할 수 있다. 노랑눈이는 자신의 삶역시 그들과 비슷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자기연민은 연민의 확장으로 이어지는데, 노랑눈이는 부네를 자기 관심권의 일부로 포함시키면서 상상을 통해 부네의 고통에 공감하고 슬퍼한다. 노랑눈이가 부네라는 인물에 대해 상상하면서 고통을 느끼는 것은 자기연민이 타자에 대한 연민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띤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elings like disgust, shame, and compassion shown in a novel, 「The Garden of Childhood」 by Oh Jeong-Hee by applying Nussbaum’s philosophy of feelings.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arches aiming to interpret the feelings of the characters in Oh Jeong-Hee’s novel as sorrow, shame, and anger through the key words such as compulsion, anxiety, hysteria, regression, and obsession,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at the disgust, shame, and compassion are the core feelings of initial novels by Oh Jeong-Hee. Based on the logic that feelings would be separated from desire, mood, and motive, Nussbaum suggested his own characteristic philosophy of feelings of disgust, shame, and compassion. This philosophy of feelings, suggested by Nussbaum could be a frame to more closely analyze feelings of numerous characters in Oh Jeong-Hee's novels. The feeling of disgust is materialized as violence and punishment of male characters cognizing female characters as the objects of disgust. Nussbaum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isgust was playing a role in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the hierarchy of ruling and being ruled inside of human groups because the ruling group degraded the ruled into objects that would deserve disgust, by perceiving the characteristic attributes of theirs as something unclean or brutal. Under this context, in this work, the metaphors of feminine body is revealed as an object of disgust, and especially, through the look of a mother who does not come back home late at night or the look of an elder sister going to downtown to avoid her elder brother’s surveillance, the elder brother’s projective disgust is dominantly shown. Moreover, this projective disgust is also shown in the look of a carpenter who puts her daughter having a love affair in hold. The carpenter’s behavior of locking up Bune in a room, which is working as a physical tool of morality, could be an extreme expression of projective disgust against unclean and immoral body. The feeling of shame is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the yellow-eyed viewing female characters suggested as immoral looks. Through the characters with immoral body such as mother, elder sister, and Bune, the yellow-eyed initially realizes beings of women, and this realization is expanded from shyness to shame. All the looks like her own fat body with yellow hair, theft, and immoral mother and elder sister are lacking in perfection, which arouses the basic shame in the yellow-eyed. The family members' behaviors getting out of the standard of absolute perfection, such as absence of father, immoral mother, violent elder brother, and chicken theft in family's conspiracy are not in the category judged as normal, so that the shame of social nature is aroused. As a core feeling of this work, the compassion is revealed as self-compassion and the expansion of compassion. In the results of projecting her future look onto the looks of female beings, the yellow-eyed reaches self-compassion, and here, out of the three cognitive elements of compassion mentioned by Nussbaum, the judgment of size and the judgment that it should not happen are applied. This self-compassion is clearly shown in the look of the yellow-eyed with tears, standing in front of a mirror. At this time, the feeling felt by the yellow-eyed would be the self-compassion including the judgment that her own future life might not be much different from the lives of her mother, elder sister, and Bu-Ne. The yellow-eyed realizes that her life could be similar to theirs. This self-compassion is led to the expansion of compassion. The yellow-eyed empathizes with and feels sad about Bune’s pain through the imagination by including Bu-Ne in a part of her interest. When the yellow-eyed imagines the character of Bu-Ne and feels pain, the self-compassion is expanded to compassion for others.

      • KCI등재

        오정희의 「별사」에 나타난 여성주체성 연구

        노희호 한국언어문화학회 2023 한국언어문화 Vol.- No.81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sensitive reading of female subjectivity in Oh Jeong-hee’s short story “Words of Farewell”.“Words of Farewell” is a text that can be read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s much as any other short story by Oh Jeong-hee. However, it can be argued that “Words of Farewell” is rarely analyzed from a feminist perspective compared to other novels by Oh Jeong-hee. This has a lot to do with the way it is narrated. The death of the husband and the ambiguity surrounding it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text, making it easy for the reader to focus on the husband and the solution to the mystery.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Words of Farewell”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previous one. First, This study focus on th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voice and speech patterns.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s not accidental, but encompasses the social context of the time. The writer wants to show that women were the ones who showed a willingness to take control and actively aspired to it. Compared to these women, men are seen as passive and non-subjective. Based on the above perspectives, we can see the limitations of a study that simply focuses on the death of the husband. We can also understand why the female protagonists needed to imagine and reminisce about death. 본 논문은 오정희의 단편소설 「별사」에서 나타나는 여성 주체성의 모습을 섬세하게 독해하고자 한다. 「별사」는 오정희의 다른 단편소설 못지않게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읽을 수 있는 여지가 많은 텍스트이다. 그러나 「별사」는 다른 오정희의 소설들에 비해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된 바가 거의 없다. 이것은 「별사」의 서술 방식과 연관이 깊다. 남편의 죽음과 이에 관한 애매한 내용이 텍스트 전반에 산재해있어 자칫 남편을 좇아가는 독해와 수수께끼에 대한 해명이 텍스트를 바라보는 주안점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 본고는 기존과는 다른 방향에서 「별사」를 해석하고자 한다. 먼저 목소리 및 발화 양상의 차원에서 남성과 여성이 보여주는 뚜렷한 차이에 주목하였다. 여기서 발생하는 남,녀의 차이는 우연한 것이 아니며 당시의 사회적 맥락을 포괄한다. 이때 여성은 주체성을 향한 의지를 보이며 적극적으로 이를 열망했던 주체임을 밝히고자 한다. 남성은 이러한 여성에 비해서 오히려 수동적이며 비주체적인 모습을 띤다. 상기의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살펴보았을 때, 단순히 남편의 죽음에 치중된 연구의 한계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여성 주인공에게 왜 죽음에 관한 상상과 회상이 필요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설과 영화, 매체 변이에 따른 텍스트 해석의 비교 연구 - 오정희 「저녁의 게임」과 최위완 감독의 「저녁의 게임」대비를 통해-

        정재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o implement text meaning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media through the comparison of novel text and movie text among various modern media. Also, in the process, many scholars tried to confirm the intertextuality. This is because even if the same material expresses the same subject,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way the meaning is realiz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medium. This study approached the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and metatext.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see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d differences between texts in three dimensions. As the research text, I chose Oh Jeong-hee's novel「The Evening Game」 and Choi Wi-wan's film「The Evening Game」. This is because the two texts deal with the same story, but they can be viewed as different texts that can be compared with different media. It wa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termine how Oh Jeong-hee's narrative method using the stream of consciousness as the main narrative technique can be filmed. For this, it was a meaningful work to prepare for the two texts and pursue their respective meanings. By comparing the two texts in terms of characters, plots, and metatext with a specific methodology, I read how the narrative develops and interprets newly between the text language and the video languag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texts are texts that can be newly read as much as the difference of the changed medium. In addition, it was also possible to confirm the intertextuality according to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ve text and video text. 본 연구는 현대의 다양한 매체 가운데 소설 텍스트와 영화 텍스트의 비교를 통해 매체의 차이에 따른 텍스트 의미 구현 방식을 밝혀보고자 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상호텍스트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동일한 소재, 동일한 주제를 표현하더라도 매체의 속성에 따라 그 의미구현 방식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그 해석의 차이성을 서사론과 메타텍스트의 관점에서 접근했다. 이에 텍스트 상호간의 영향관계 및 차이성을 입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 연구 텍스트로 오정희의 소설 「저녁의 게임」과 최위완 감독의 영화 「저녁의 게임」을 택했다. 두 텍스트는 동일안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매체를 달리하며 새롭게 비교될 수 있는 다른 텍스트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식의 흐름 기법을 주된 서사 기법으로 사용하는 오정희의 서술방식이 어떻게 영화화 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도 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두 텍스트를 대비해 그 각각의 의미를 추구해 본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었다. 구체적 방법론으로 인물과 플롯 그리고 메타텍스트의 측면에서 두 텍스트를 비교해봄으로써 문자 언어와 영상 언어의 사이에서 서사가 전개되는 방식과 새롭게 해석되는 방식을 읽어냈다. 그 결과 두 텍스트는 변화된 매체의 차이만큼 각각 새롭게 읽힐 수 있는 텍스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술 텍스트와 영상텍스트 간의 영향 관계에 따른 상호텍스트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오정희의 「옛우물」에 구현된 연민의 감정

        김민옥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a feeling of compassion shown in Oh, Jeong-Hee’s <The Old Well> has been represented to complete the internal meanings. The reason why the compassion is important in Oh, Jeong-Hee’s novels is that this feeling is working as an element that drives the work in such close correlations with shame and hatred. In order to examine this, this thesis analyzed the work based on the methodology of Nussbaum’s Philosophy of Feelings that would regard compassion as the core of its practical philosophy. The first process of operating the feeling of compassion shown in <The Old Well> is shame and self-hatred. The main character who unconsciously feels a shame of imperfection and finitude of human since childhood, reveals hatred against something contaminated reminding of death. In the look of the main character who commits adultery, the shame and self-hatred are more strengthened, which is expressed in a disease called ‘tinnitus’. The feelings of shame and self-hatred make the main character gaze the pain of loss and then reach self-compassion after going through the internal punishment. The main character with the gaze of ‘a sensible observer’ gazes the house of Yeondang and an idiot in the place for self-punishment(a space for confinement). Through this gaze, the main character realizes that the disappearance of the house of Yeondang and the idiot’s pain are her own pain feeling about ‘his death’. After feeling the seriousness of the idiot’s pain, cognizing that his injustice is not the reason for what has happened, finally acknowledging ‘his death’, and completing self-punishment, she gives a gaze of compassion to herself. Self-compassion is led to the expansion of compassion through the imagination recovery of light. Just as the main character acquires the eternity through the circulation of well, star, tree, and flower finally after restoring the imagination of glittering light of old well and golden fish, the human beings complete the expansion of compassion longing for the acquisition of eternity(eudemonistic judgment) by repeating the extinction and formation. 이 연구는 오정희의 「옛우물」을 대상으로 하여 작품 속에 나타난 연민의 감정이 어떤 방식으로 형상화되면서 그 내적 의미를 완성시키는지를 고찰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오정희 소설에서 연민이 중요한 이유는 이 감정이 수치심, 혐오 긴밀한 상관관계를 이루며 작품을 추동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살피기 위해 본고에서는 연민을 실천 철학의 핵심으로 삼는 누스바움의 감정 철학을 방법론으로 삼아 작품을 분석하였다. 「옛우물」에 나타난 연민의 감정은 수치심과 자기 혐오로부터 출발한다. 주인공은 어린 시절부터 무의식적으로 인간의 불완전성과 유한성을 드러내는 것들에서 수치심을 느끼고, 죽음을 연상시키는 오염된 것들에 대해 혐오를 드러낸다. 불륜을 저지르는 주인공의 모습에서 자기 혐오는 더욱 강화되며 이는 ‘귀울음’이라는 질병으로 표출된다. 수치심과 자기 혐오의 감정은 내면적 처벌을 거쳐 주인공이 상실의 고통을 응시하고 자기 연민에 이르게 만든다. ‘분별 있는 관찰자’의 시선을 간직한 주인공은 자기 처벌의 장소(유폐의 공간)에서 연당집과 바보의 행위를 응시하는데, 이 응시를 통해 주인공은 연당집의 상실을 바라보며 느끼는 바보의 고통과, ‘그의 죽음’을 대하는 자신의 고통이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한다. 바보가 느끼는 고통의 심각성에 대한 판단과, 그 고통이 부당함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는 인식을 통해 ‘그의 죽음’을 인정하고 자기에게도 연민의 시선을 드리운다. 자기 연민은 빛의 상상력 복원을 통해 연민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주인공은 수치심과 혐오, 상실의 고통과 자기 연민의 감정을 흰빛으로 응축시켜 확산하고 잊혔던 금빛을 소환하여, 존재의 불완전성과 유한성을 극복하면서 연민을 확장한다. 이처럼 연민의 감정은 오정희 소설의 심층에 흐르는 핵심으로서, 인간 존재에 대한 근원적 수치심과 혐오를 극복하고 존재에 대해 긍정적 시선을 담아 내는 중요한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오정희가 그의 소설을 통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작가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돌봄과 돌봄관계의 의미

        정미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2 No.-

        이 글은 돌봄과 돌봄관계를 중심으로 오정희 소설을 읽고 그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정희의 소설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돌봄과 돌봄을 중심으로 한 관계가 강조되며, 이는 각각의 소설을 이해하는데 단서를 제공한다. 돌봄노동에 대한 무가치함을 출산이라는 방식으로 대체하려는 인물을 통해서는 돌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살필 수 있었으며, 돌봄관계 자체를 상징적으로 활용하여 소설적 의도를 드러내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었다. 돌봄의 비대칭적 권력관계뿐만 아니라 돌봄의 상호성이 드러나기도 하는데 이는 의존적이고 관계적인 존재로서 인간을 전제하는 돌봄윤리의 측면에서 가장 취약한 삶을 살고 있는 존재들이 서로를 보살피게 하는 상호 돌봄의 가능성과 연결된다. 이는 장편소설 새 에 이르러서 돌봄의 중요성과 함께 보편적인 돌봄의 필요에 대한 인식으로 나아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ad Oh Jeong-hee's novel and examine its meaning, focusing on care and caring relationships. In Oh Jeong-hee's novels, car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relationships centered on care are emphasized, which provides clues to understanding each novel. We were able to examine the negative perception of care through a character who tried to replace the worthlessness of care work with childbirth, and we were also able to see cases where the novel's intention was revealed by using the care relationship itself symbolically. In addition, not only the asymmetrical power relationship of care, but also the mutuality of care is revealed, which is the possibility of mutual care that allows beings living the most vulnerable lives to take care of each other in terms of care ethics, which presupposes humans as dependent and relational beings. connected. This leads to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are and the need for universal care in the full-length novel Bird .

      • KCI등재후보

        오정희 소설 「완구점 여인」에 구현된 토포포비아

        김민옥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topophobia in Oh Jeong hee’s novel, "The Toy Store Woman,"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topophobia is embodied in the novel. 'House (room)' is depicted as a place where the grave is transformed, where the death of the younger brother forms a trauma for the protagonist, and where death is represented through narratives such as 'dark, sullen, dying'. The setting that the sunlight, which symbolizes life, stays only on the veranda, the room that is blocked from the sunlight despite being on the second floor, the black piano that has lost its function, and the fact that all the children born die before they turn to stone reveal that the space of the house (room) is a place of topophobia. The empty classroom, a place of straight lines and order, and the vertically ordered desks emphasize the static silence. This creates topophobia by evoking the image of a tomb, and the protagonist's theft, which takes place in this space, is depicted in a way that maximizes anxiety and fear. Furthermore, in the hallway,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classroom, the protagonist exhibits bodily changes such as "lying down, excreting, spitting, making sounds, enlarging, and smelling," which is a manifestation of topophobia through the physical senses. The toy store, a place of disfigurement and lifelessness, is represented through the descriptions of ashen, severed, dark, pale, and lean. The woman with the legless stump and the legless body reinforces the protagonist's topophobia by implying the image of lifelessness and disability. The toy store functions as a place of topophobia that reveals the protagonist's self-loathing and tragic perception of existence because of its similarity to the dark room where the crippled brother stays, a house where life is disappearing, a place of lifelessness filled with things that cannot move, and a place where the crippled character stays. Through the topophobia of the place where the protagonist stays in the novel, Oh Jeong hee’s reveals the theme of tragic perception of existence, which becomes the source of broadening the spectrum of hers novels. 본고의 목적은 오정희의 소설 「완구점 여인」에 구현된 토포포비아의 양상이 어떤 방식으로 드러났는지 그 특성을 살펴 오정희 소설의 작가 의식을 파악하는 데 있다. ‘집(방)’은 무덤이 변주된 장소로, 남동생의 죽음이 주인공에게 트라우마를 형성하고, ‘어둡고, 침침하고, 죽어 가고’와 같은 서술을 통해 죽음을 형상화하는 장소로 그려진다. 생명성을 상징하는 햇빛이 베란다에만 머문다는 설정, 이층임에도 불구하고 햇빛이 차단된 방안, 제 기능을 상실한 검은색 피아노, 태어나는 아이들이 모두 돌이 되기도 전에 죽는다는 것은 집(방)의 공간이 토포포비아의 장소임을 드러낸다. 직선과 질서의 장소인 텅 빈 교실, 세로로 질서정연하게 놓인 책상은 정적인 고요함을 강조한다. 이는 무덤 이미지를 연상시키면서 토포포비아를 형성하고, 이 장소에서 펼쳐지는 주인공의 도둑질은 불안과 공포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또한 교실의 연장선상에 놓인 복도에서 주인공은 ‘눕고, 배설하고, 뱉고, 소리를 내고, 비대해지고, 냄새를 풍기는’ 등 신체적 변화를 나타내는데, 이는 토포포비아의 양상이 신체적 감각을 통해 드러난 것이다. 불구와 무생명성의 장소인 완구점은 ‘잿빛, 잘린, 어둠, 창백한, 여윈’이라는 언술과 연결되어 형상화되고 있다. 다리가 없는 오뚝이, 다리가 없는 몸뚱이를 지닌 여인은 무생명성, 불구의 이미지를 내포하면서 주인공의 토포포비아를 강화한다. 완구점은 불구의 몸을 지닌 동생이 머물던 어두운 방, 생명들이 사라져 가는 집과 유사성을 내포하고 있다는점, 움직이지 못하는 것들로 가득 찬 무생명성의 장소이자 불구의 몸으로 살아가는 인물이머무는 곳이라는 점에서 주인공의 자기 혐오와 비극적 존재 인식을 드러내는 토포포비아의 장소로 기능함을 알 수 있다. 오정희는 소설 속 주인공이 머무는 장소에 대한 토포포비아를 통해 존재에 대한 비극적 인식이라는 주제 의식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는 이후 오정희 소설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근원이 된다.

      • KCI등재

        석재 서병오의 불교적 성향과 불교 관련 서예 연구

        이인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6 민족문화논총 Vol.62 No.-

        Seokjae Seo Byeong-oh is a calligraphic painter who was active in early modern Daegu. Seo Byeong-oh, who was considered as an confucian intellectual, it is found that his overall attitude towards Buddhism was far from rejection and even showed his favorable impression on Buddhism. Seo Byeong-oh often visited Buddhist temples and became close, beyon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clergy and the laity, with monk Whankyeong in Haeinsa temple and monk Kyeongbong in Tongdosa temple. Seo Byeong-oh left Buddhism-related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s. He left some temple tablets which are called <Samsogul(三笑窟)>, being a place where monk Kyeongbong resided for over 55 years, and some verses carved on planks. He also left some calligraphic works which are related to Buddhism such as <Whankyeong>, the buddhist name of monk Whankyeong. Several reasons why Seo Byeong-oh liked Buddhism so much have been researched as follows; he studied at a temple house to pass the state examination during his childhood, the buddhist poet from Tang Dynasty, Wangyou, whom Seo Byeong-oh respected, Sosik, the great writer from Song Dynasty, Chusa Kim Jeong-hee from Joseon Dynasty, they all had Buddha in their minds, and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For Seo Byeong-oh, as a confucian intellectual, the 'emptiness(空)' of Buddhism has had a greater influence on his view of life and his view of the world than Confucianism itself. His artistic pathos, incubated in the trace of wheels of pompous life, was tied down nowhere, and so the natural straightforward inexorable works could come out through the accidental willingness. 석재(石齋) 서병오(徐丙五, 1862~1936)는 근대기 대구에서 활동한 시서화 삼절의 서화가이다. 서병오는 사찰을 자주 찾았고 해인사 환경(幻鏡), 통도사 경봉(鏡峰) 등 선사들과 유불(儒佛)과 승속(僧俗)을 넘어 교류하였다. 스스로 ‘아고호불(我固好佛)’이라고 하였듯 진사과에 급제한 유가 지식인 서병오의 행적에서는 불교적 성향이 많이 발견된다. 서병오가 불교적 성향을 갖게 된 원인을 절집에 살며 과거 공부를 한 어린 시절, 그가 존경한 시불(詩佛) 왕유(王維), 동파(東坡) 소식(蘇軾), 추사(秋史) 김정희 등이 모두 불교를 좋아했다는 점, 유학과 불교의 상보적 관계 등으로 살펴보았다. 서병오는 불교 관련 시서화 작품을 많이 남겼다. 불교와 연관되는 시를 지었고, 불교적 상징을 갖는 연꽃, 파초 등도 즐겨 그렸다. 서예로는 경봉스님이 거처한 <삼소굴(三笑窟)>편액을 비롯한 사찰 현판을 남겼으며, 불경의 문구를 쓰기도 했고, 환경스님께 증여한 <환경> 등 승려와 관련된 작품도 남겼다. 서병오는 시서화를 즐기며 유유자적한 풍류적 삶을 살았다. 불교의 ‘공(空)’은 유가 지식인이면서도 경세와 도덕에 몰입하지 않았던 서병오의 삶을 이끈 진원으로서 그의 인생관, 세계관에 유학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서병오와 불교의 관련성을 논한 최초의 논문으로 서병오의 불교적 성향을 알려주는 흔적이자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는 불교 관련 서예 작품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