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초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방향 고찰

        이지연(Lee Ji Yeon),전병훈(Jeon Byung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OECD 학습 나침반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고, 기업가정신 교육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후,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향을 고찰하였다. OECD 학습 나침반 2030과 기업가정신 교육은 예측 불가능하고 불확실한 미래를 위한 준비라는 차원에서 공통점이 있으며, 특히 OECD에서 제시한 학생 주체성, 변혁적 역량, 예상-행동-성찰 주기는 기업가정신 교육과 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ECD 학습 나침반 2030을 바탕으로 제시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향은 첫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주체적 참여 유도, 둘째,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론의 활용, 셋째, 행동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기회 제공, 넷째, 성찰 실습을 통한 기업가정신의 내재화와 지속적 실천이다.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 지금, OECD 학습 나침반 2030은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을 위한 지침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looked at the components of the OECD Learning Compass 2030, analyzed their relevance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n considered the direction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OECD Learning Compass 2030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erms of preparing for an unpredictable and uncertain future, and in particular, the OECD’s proposed Student Agency, Transformative Competencies, and Anticipation-Action-Reflection Cycle are highly relevant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direction on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based on the OECD Learning Compass 2030 is, first, encouraging students’ independent participation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second, utilizing creative problem-solving methodology incorporating design thinking, third, providing opportunities to create new values through action, fourth, internalization of entrepreneurship and continuous practice through reflective practice. The OECD Learning Compass 2030 can serve as a guide for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now being evaluated for lack of a systematic program for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 KCI등재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은(Lee, Sang E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OECD가 ‘DeSeCo 2.0’이라고 불리는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역량교육의 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2015 개정 교육 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서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역량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의식, 역량의 의미와 구성 요소, 핵심역량의 하위범주와 성격, 역량을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원리 등의 네 가지 측면을 분석 준거로 삼았다. [연구결과] OECD Education 2030에 제시된 역량교육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해 보았을 때,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원리의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앞서 세 가지 분석 준거와 관련하여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는 다른 특징이 두드러졌다. [결론] OECD Education 2030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더 나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설계하는 데 주는 시사점을 역량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관점 변화, 역량 개념의 체계화ㆍ구체화 작업, 학교교육을 둘러싼 사회변화의 면밀한 분석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a new framework of competency education in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nd its implication to Korea’s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document analysis with focus on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OECD Education 2030 and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y education frameworks were examined based on four analysis criteria: 1) perspectives on necessity of competency education, 2) meanings of competency and its elements, 3) categories of key competencies and their nature, and 4) development direction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nclusion] Finally, Sever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order to redesign the Korea’s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better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후보

        OECD Education 2030 역량에 기초한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반영도 분석

        조의호(Jo Eui-ho)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OECD Education 2030 역량이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 초등학교급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는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총 5개 범주, 28개 세부 역량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OECD Education 2030 역량의 대부분이 교육과정에 반영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기초 소양’ 범주의 ‘문식성’과 ‘ICT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 ‘기능, 태도, 가치’ 범주의 ‘협동/협력’, ‘문제해결력’, ‘존중’, ‘변혁적 역량 및 역량 개발’ 범주의 ‘새로운 가치 창출’, ‘책임 의식’, ‘복합 소양’ 범주의 ‘기업가 정신’이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구체적이면서 높은 비율로 반영되어 있었다. 반면, OECD Education 2030 역량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변혁적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학습 전략적 차원의 ‘역량 개발’과 ‘복합 소양’ 범주의 세부 역량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구체적으로 반영된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수리력’, ‘끈기/회복력’, ‘학습에 대한 학습’, ‘컴퓨팅 사고력/프로그래밍/코딩’ 등과 같은 역량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영역별 특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리와 일반사회 영역의 역량 반영 비율이 역사 영역에 반영된 비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extent to which the OECD Education 2030 competency is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 total of 5 categories and 28 detailed competencies were presented to analyze the degree of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ccording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OECD Education 2030 competencies we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literacy’ in the ‘foundational literacy’ category, ‘ICT literacy/digital literacy’, ‘cooperation/collaboration’ in the ‘skills, attitudes & values constructs’ category, ‘problem-solving’, ‘respect’, ‘creating new value’ in the ‘transformational competency and development for 2030’ category and ‘entrepreneurship’ in the ‘complex competencies for 2030’ were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t a specific and high rate.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detailed competencies in the categories of ‘competence development for 2030’ as a learning strategy to enhance ‘transformative competence’,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OECD Education 2030 competency, and ‘compound competencies for 2030’ was specifically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competencies such as ‘numeracy’, ‘persistence/resilience’, ‘learning to learn’, and ‘computational thinking/programming/coding’ were not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relatively high ratio of competency reflection in the geography and civics domains was higher than the ratio reflected in the history domain.

      • KCI등재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OECD 역량교육의 틀 변화 동향 분석: ‘Education 2030’을 중심으로

        이상은,소경희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1

        Recently many attempts for curriculum redesign have been made to prepare for future learning. The concept of competency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concepts of curriculum reform. OEC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urriculum redesign by introducing it in the context of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DeSeCo project(1997-2003). After approximately 20 years, OECD has carried out a new project named “Education 2030” in order to redefine and provide concrete principl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is project is referred to as “DeSeCo 2.0” in respect of its goal of improving the previous competencies framework in DeSeC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trends for OECD’s competencies frameworks for curriculum redesign towards future learning, especially with a focus on Education 2030. The content of this paper was organized as follows. Firstly, the background of OECD’s provision of a new framework of competencies in Education 2030 was examined. Secondly, in comparison with DeSeCo,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a new competency education in Education 2030 were analyzed. Thirdly, design principles for a new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Education 2030 were explored in detail. Lastly, significant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these change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in Korea. 최근 미래 교육에 발맞추어 전통적인 틀에서 벗어나 교육과정을 재설계해 보고자 하는 시도들이 세계 도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여전히 주목받는 개념 중 하나가 ‘역량’이다. OECD는 1990년대 말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역량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제기함으로써 교육과정 변화에 새로운 화두를 던졌다. 이로부터 약 20년 후 최근 OECD는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통해 역량의 의미를 새롭게재규명하고, 더 나아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있다. 이 작업은 학교교육에 적용되는 역량교육의 틀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라는 점에서 DeSeCo 2.0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본 연구는 미래지향적 교육과정의 재설계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OECD의 새로운 역량교육의 틀에 주목할필요가 있다고 보고, 역량교육의 변화 동향을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OECD에서 역량교육의 틀을 새롭게 제시하게 된 맥락을 살펴보고, 이 새로운 틀에서 제시하고 있는 역량교육의 특징과 의미, 그리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설계 방향을 검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OECD의 새로운 역량교육의 틀이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 교육내용에서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 분석 -교육과정의 내용 맵핑(CCM)을 중심으로-

        배화순 ( Bae¸ Hwasoo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4

        이 연구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1단계 연구로 수행된 교육과정 내용 맵핑(CCM)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 양상을 분석하고, 국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CCM 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은 일부 역량을 제외하고,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제시하는 28가지 역량을 포괄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공통 부분인 성격이나 목표 외에도 성취기준 수준에서 비교적 상세히 반영하고 있었다.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CCM 분석에 참여한 국가(지역)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학생 주도성이나 협력적 주도성, 문제해결력, 미디어 리터러시 등 일부 역량은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많이 반영하고 있으나, 학습에 대한 학습이나 자기 관리 등 일부 역량은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반영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국제적인 동향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하며, 향후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mpetency reflection of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curriculum content mapping (CCM) conducted as the first stage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international data. The CCM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in Korea comprehensively reflects the 28 competencies suggested by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excluding some competencies, and is relatively detailed in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to the character and goals of the curriculum. Compared to data from other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he CCM analysis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Korea reflects more competencies such as “student agency,” “co-agency,” “problem solving,” and “media literacy” than the OECD average. However, some competencies such as “learning to learn” and “self-regulation/self-control” were found to have a lower reflection rate than the average of OECD participating countries/jurisdiction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international trend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in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지연(Ji Yeon Lee),전병훈(Byung Hoon J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서 제시하는 미래 교육의 방향과 학생들이 함양해야 하는 역량을 고려하여 진로수업 또는 자유학기제에 적용될 수 있는 청소년 대상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프로그램 기획 및 설계를 위해 첫째, OECD 학습 나침반 2030, 기업가정신, 기업가정신 교육, 디자인 씽킹, 린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 학습자 중심 교육, 자기조절학습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기존 청소년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과 목적, 프로세스, 주요 내용, 효과성 검증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과 청소년이라는 대상에 적합한 기업가정신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의 방향을 도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목적과 ‘발견하기’, ‘상상하기’, ‘행동하기’, ‘성찰하기’의 프로그램 프로세스를 제시하였고, 프로그램 주요 내용과 효과성 평가 계획을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 차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청소년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창업에 초점을 맞춰진 기존의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맥락에서 적용될 수 있는 기업가적 방법을 강조하였으며, 청소년이 지녀야 하는 역량을 제시한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역량 함양을 강조하는 2022 개정교육과정과도 방향이 일치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본 연구는 기획 및 설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한계를 지니기 때문에 현장 적용 및 평가를 통한 프로그램의 타당성 확보가 요구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teenagers that can be applied to career classes or free semester system, taking into account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and the competencies students should cultivate presented by the OECD Learning Compass 2030. Methods For program planning and design, first, the theoretical basis for program development was prepared by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on OECD learning compass 2030,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ducation, Design thinking, Lean Startup, business model,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case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youth education program. Thir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purpose, process, main contents,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method of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presented. Results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suitable for teenagers was derived, and the program's purpose and program processes such as ‘discover’, ‘imagine’, ‘act’, and ‘reflect’ were presented, and the program's main contents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plan were discussed in detail.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 youth entrepreneurship program that can be applied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It is believed to be in lin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emphasizes competency development because it is based on the OECD Learning Compass 2030,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tartups, emphasizes entrepreneurship in various contexts. However, since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focus on planning and design, it is requir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program through field application and evaluation.

      • KCI등재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 분석: '기술의 세계' 분야의 교육과정 내용 맵핑

        문대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2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3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OECD education 2030 competencies on the ‘world of technology’ part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main results of curriculum content mapping were as follows: First, the reflectivity of OECD education 2030 competencies categories were ‘key concepts(100%)’, ‘transformative competencies and competency development(83%)’, ‘compound competencies(47%)’, ‘skills, attitudes & values constructs(37%)’, and ‘foundational literacies(27%)’. Second, ‘physical/health literacy(100%)’ and ‘ICT literacy/digital literacy(33%)’ were reflected as the ‘foundational literacies’ category in the ‘world of technology’ part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ird, ‘cooperation/collaboration(100%)’, ‘critical thinking(100%)’, ‘problem solving(100%),’ ‘empathy(17%)’, and ‘respect(17%)’ were reflected as the ‘skills, attitudes & values constructs’ category in the ‘world of technology’ part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Fourth, ‘student agency(100%)’ and ‘co-agency’ were reflected as the ‘key concepts’ category in the ‘world of technology’ part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Fifth, ‘creating new value(100%)’, ‘taking responsibility(100%)’, ‘anticipation(100%)’, ‘action(100%)’, and ‘reflection(100%)’ were reflected as th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and competency development’ category in the ‘world of technology’ part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Sixth, ‘media literacy(100%)’, ‘litera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100%)’, ‘computational thinking/programming/ coding(33%)’, ‘entrepreneurship/enterprising(33%)’, ‘financial literacy(17%)’ were reflected as the ‘compound competencies’ category in the ‘world of technology’ part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이 연구는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기술의 세계’ 분야에 OECD Education 2030 역량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교육과정 내용 맵핑을 통해 도출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내용 맵핑을 통해 확인한 OECD Education 2030 역량 범주의 반영도는 ‘주요 개념(100%)’, ‘변혁적 역량 및 역량 개발(83%)’, ‘복합 소양(47%)’, ‘기능, 태도, 가치 구인(37%)’, ‘기초 소양(27%)’의 순이다. 둘째, 실과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 분야에는 OECD Education 2030 역량의 ‘기초 소양’ 범주 중에서 ‘체육/건강 소양(100%)’과 ‘ICT/디지털 소양(33%)’이 반영되었다. 셋째, 실과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 분야에는 OECD Education 2030 역량의 ‘기능, 태도, 가치 구인’ 범주 중에서 ‘협동/협력(100%)’, ‘비판적 사고(100%)’, ‘문제 해결(100%),’ ‘공감(17%)’, ‘존중(17%)’이 반영되었다. 넷째, 실과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 분야에는 OECD Education 2030 역량의 ‘주요 개념’ 범주의 하위 요소인 ‘학생 주도성(100%)’과 ‘협력적 주도성(100%)’이 모두 반영되었다. 다섯째, 실과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 분야에는 OECD Education 2030 역량의 ‘변혁적 역량 및 역량 개발’ 범주 중에서 ‘새로운 가치 창출(100%)’, ‘책임 감수(100%)’, ‘예측(100%)’, ‘실행(100%)’, ‘반성(100%)’이 반영되었다. 여섯째, 실과 교육과정 ‘기술의 세계’ 분야에는 OECD Education 2030 역량의 ‘복합 소양’ 범주 중에서 ‘미디어 소양(100%)’, ‘지속가능발전 소양(100%)’, ‘컴퓨팅 사고/프로그래밍/코딩(33%)’, ‘기업가 정신(33%)’, ‘금융 소양(17%)’이 반영되었다.

      • 고등교육에서의 ‘OECD 교육 2030’에 토대한 인성 역량 강화 방안의 시론적 탐색

        김필성 ( Kim Pil-seo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9 인성교육연구 Vol.4 No.2

        21세기 지식기반사회 및 4차 산업혁명 시대 등 급속한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교육은 2003년 OECD DeSeCo 프로젝트의 역량개념에 근거하여 창의성, 의사소통, 배려심, 협력능력 등 다양한 학생역량을 강화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에 기초하여 인성역량을 포함한 핵심역량의 내실화 방안을 시론적으로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OECD 교육 2030’는 DeSeCo 프로젝트는 역량개념이 모호하고 교육의 과정을 소홀히 했다고 비판하면서 역량은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의 학습을 통해서 개발됨을 강조했다. 따라서, ‘OECD 교육 2030’은 무엇보다도 역량개발이 지식교육과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교육을 통해 가능함을 명확히 하면서 수업 설계 및 운영의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한국대학이 겪었던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혼란과 구성원 간 갈등을 어느 정도 해소해줄 수 있을 거라고 보며, 학생의 인성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In response to rapid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ch as the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21st Century, Korean Education tried to reinforce various student competencies such as creativity, communication,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based on the competence concept of the OECD DeSeCo project in 2003. Based o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examine how to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including humanity competencies. OECD Education 2030 criticized the DeSeCo project for vague concepts of competence and neglected the process of education, emphasizing that competence is developed through learning of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ed a learning framework that includes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society, transformational capacity, and student conduct.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discussions on how to enhance the general core competencies are needed first in order to reinforce personality competencies. Therefore, based on the OECD Education 2030, the researcher intends to examine the ways to strengthen student competencies.

      • KCI등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 양상 분석

        김종윤,옥현진,조재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rough curriculum content mapping (CCM)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which is later compared with the international curricular of the national languages. The CCM framework consists of a “competency code” that presents OECD competencies and a “content code” that contains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degree of the competencie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international curricular in terms of the OECD perspective. The result is analyzed as follows. First, foundational literacies of Korean were similar to the international national language curricular. Second, in the competencies of skills, attitudes and values, “problem-solving” and “learning about learning” were higher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an the OECD average, “critic thinking” was similar to, and “persistence” wa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Third, in terms of key concepts, both “student agency” and “co-agency” were higher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urth, “creating values” and “solving dilemmas” in terms of the degree of reflection of CCM framework competency related to transformational competencies, the Korean Language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OECD member countries in terms of “creating new values” and “resolving tensions and dilemmas” were higher but “taking responsibilities” were lower than the OECD countries. Fifth, the competencies in the compound literacies were also compared. These comparison results provide as reference materials that describes the suita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contributes to future revision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in 2030s. Key 본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OECD가 새롭게 제안한 Education 2030 역량틀을 비교하는 교육과정 매핑(curriculum mapping)을 통해 우리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분석하고,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로부터 향후 국어과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교육과정 내용 매핑(CCM) 프레임워크에 반영된 국어과와 OECD 참여국의 자국어 교과의 역량 반영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소양은 국어과와 OECD 2030 역량 반영 정도가 유사하였다. 둘째, 기능, 태도, 가치 중 국어과는 ‘문제해결력’과 ‘학습에 대한 학습’에서는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으나, ‘비판적 사고’는 유사하게, ‘끈기/회복력’은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주요 개념 측면에서 국어과는 ‘학생 주도성’과 ‘협력적 주도성’에서 모두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았다. 넷째, 변혁적 역량에서 국어과는 ‘새로운 가치 창조하기’와 ‘긴장과 딜레마 해소하기’에서는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으나 ‘책임감 가지기’는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복합 소양 반영 정도에서 국어과는 ‘미디어 리터러시, 컴퓨팅 사고력/프로그래밍/코딩’에서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기업가 정신, 금융 소양, 글로벌 역량,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소양’은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낮았다. 이러한 비교는 추후 국어과 적용(활용)의 적합성과 정합성을 검토할 근거 자료, 현장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타당성 근거, 타 교과와의 융합 교육을 실시할 때의 근거,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추구하는 인재상, 핵심역량, 목표와 내용(성취기준) 등을 구체화하여 문서화하는 참고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 KCI우수등재

        OECD 교육 2030의 역량 설계 원리에 대한 고찰: IBDP 설계 원리를 중심으로

        조현영(Cho, Hyunyoung)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5

        최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에서 OECD의 교육 2030 프로젝트는 새로운 학습의 틀과 원리를 함께 제시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교육의 방향성으로 개념적으로 다소 생소한 측면이 있다. 그렇지만 교육과정의 설계 원리의 경우 역량 개념을 분절화된 요소들로 제시하거나 범주화 함에 따라 이전까지의 학습 설계의 원리와 차이가 분명하지도 구체화되지도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ECD 교육 2030의 교육 설계의 원리에 대한 의미와 관계성을 탐색하고 학습 설계의 원리를 역량의 관점에서 구체화하기 위하여 IBDP의 사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는 학습자가 학습의 맥락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는 설계로 집약된다. 특히 지식의 적용과 그에 대한 활용 전략을 분리시키지 않는 방식은 기존의 지식 중심의 학습 설계의 선형적 학습 설계와는 분명히 다른 접근 방식이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지금까지의 역량 설계에 관한 개념적 수준의 논의에서 나아가 구체화된 설계 논리를 실천적 차원에서 풍부하게 이해하도록 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recent discussion of the curriculum for capacity building, the OECD s Education 2030 project presents a new learning framework and principle. This is a new direction of education, and it is conceptually somewhat unfamiliar. However, in the case of curriculum design principles, as it is presented as segmented elements,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learning design principles is not clea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IBDP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and relationship of the principles of education design in OECD Education 2030 and to materialize the principles of learning design in terms of competence.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design for competency development is condensed into a design that prevents learners from being alienated from the context of learning. In particular, a method that does not separate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its utilization strategy is considered to be an approach that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linear learning design of the existing knowledge-centered learning design. 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will go beyond the discussion at the conceptual level on competency design so far, and contribute to a rich understanding of concrete design logic at the practical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