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Al-NO<sub>3</sub> 또는 Mg-Al-NO<sub>3</sub> 계열 층상이중수산화물을 이용한 염소이온 제거

        김광덕 ( Gwang-deuk Kim ),오상화 ( Sanghwa Oh ),김홍태 ( Hong-tae Kim ) 한국수처리학회 2017 한국수처리학회지 Vol.25 No.4

        Effects of molar ratio (x) and pH on calcium- or magnesium-aluminum layered double hydroxides (LDHs) syntheses and Cl- removal by ion-exchange with NO<sub>3</sub><sup>-</sup> in synthesized LDHs were investigated. The LDHs were synthesized under two systems such as Ca/Al-NO<sub>3</sub> (CAN) and Mg/Al-NO<sub>3</sub> (MAN). The weights of LDHs synthesized were calculated from the change of the mole of NO<sub>3</sub><sup>-</sup> removed during synthesis and compared to obtain the optimum condition. For synthesis of LDHs intercalated with NO<sub>3</sub><sup>-</sup>, the optimum molar ratios for the CAN and MAN systems were 0.25 and 0.20, respectively. The optimum pH for CAN and MAN syntheses were 11 and 10, respectively. Ion-exchange reactions of Cl- with NO<sub>3</sub><sup>-</sup> in both LDHs were finished within 10 minutes at Cl-/LDHs ratio of 0.1 (mol/mol). Increasing LDH dose led to increase linearly NO<sub>3</sub><sup>-</sup> release. However, as the dose of LDHs increased over 0.5 g/L, the NO<sub>3</sub><sup>-</sup> release was getting dominated by the dissolution of LDHs instead of ion-exchange according to mass balance analysis.

      • KCI등재

        양액내 $\textrm{NO}_3^\;-$-N과 $\textrm{NH}_4^\;+$-N비가 잎파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박권우,이정훈,장매희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4 시설원예‧식물공장 Vol.3 No.2

        본 실험은 양액내 NO$_3$$^{-}$-N : NH$_4$$^{+}$-N 비율이 잎파(Allium fistulosum L.)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액내 pH는 NO$_3$$^{-}$-N : NH$_4$$^{+}$-N 비율이 9:1인 처리구에서는 상승하였고, NO$_3$$^{-}$-N : NH$_4$$^{+}$-N 비율이 1:1, 1:3인 처리구에서는 하강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3:1 처리구에서는 안정적인 PH를 유지하였다. 외관상 생육은 NO$_3$$^{-}$-N : NH$_4$$^{+}$-N 비율이 9:1인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NO$_3$$^{-}$-N : NH$_4$$^{+}$-N 비율이 1 :3인 처리구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식물체내의 NO$_3$$^{-}$-N의 함량은 양액내의 NO$_3$$^{-}$-N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Pyruvic acid 함량은 생육이 양호한 NO$_3$$^{-}$-N : NH$_4$$^{+}$-N 비율이 9:1, 3:1인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1:3처리구에서는 낮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elucidation of effects of the NO$_3$$^{[-10]}$ -N. NH$_4$$^{+}$-N ratio in the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welsh onion(Allium fistulosum L.). The pH of nutrient solution increased in NO$_3$$^{[-10]}$ -N : NH$_4$$^{+}$-N ratio of 9 : 1 treatment, decreased in 1 : 1, 1 : 3 treatment, but was stable in 3 : 1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The apparent growth of welsh onion was best in the treatment of 9 : 1(NO$_3$$^{[-10]}$ -N : NH$_4$$^{+}$-N ratio), however the treatment of 1 : 3 resulted in poor growth. The NO$_3$$^{[-10]}$ -N content of the plant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at content of nutrient solution. Pyruvic acid content of welsh onion was highest at 9 : 1, 3 : 1 treatment, and lowest at 1 : 3 treatment.tment.

      • KCI등재

        태안해역 출수 고려 목간의 서체적 특징- 마도 1·2·3호선 목간을 중심으로 -

        정현숙 한국목간학회 2017 목간과 문자 Vol.0 No.19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ic script of the Goryeo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Mado Shipwreck Nos. 1, 2, and 3 sunk at Taean Waters. Mado Shipwreck No. 1 that departed at Juksan-hyeon, Hoejin-hyeon, Sunyeong-hyeon, and Anro-hyeon, Jeollanam-do, and Mado Shipwreck No. 2 that departed at Musong-hyeon, Gobu-hyeon, Gochang-hyeon, and Jangsa-hyeon, Jeollanam-do, were dated to the early 13th century. Mado Shipwreck No. 3 that departed at Yeosu-hyeon, Jeollanam-do, were dated to the late 13th century. Accordingly, the writings of wooden tablets tell us the calligraphic standard of the Jeolla-do officials in 13th century. The wooden tablets of Mado Shipwreck No. 1 were mostly written in running script, and the standard script and draft script were somewhat used. The facts that the running script contains the composition and brush movement of draft script, and its calligraphic style is various inform us that they were written by many officials. Overall, there are expert ease and moderation similar to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Naju. Those in standard script tell us that the standard script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as transmitted to the Goryeo dynasty. Written in running script generally, the fact that the name of recipient was written in standard script informs us that the calligraphic script was chosen in accordance with use. Those of Mado Shipwreck No. 2 were mostly written in standard script. But the writing skill is like that of beginner and different from that of fluent running script of Mado Shipwreck No. 1. The writings show us the facts that one sender wrote the tag wooden tablets sending the same recipient, and the writing skill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lace the goods were packed. In addition, we can guess the characteristic of Mado Shipwreck No. 2 in regarding that they can be delivered only by the first name of someone who lives in Gaeseong, capital of the time. Unlike those of Mado Shipwreck Nos. 1 and 2 mostly delivered to individuals, the goods of Mado Shipwreck No. 3 were largely delivered to high officials as well as government offices. Compared to that of Mado Shipwreck No. 1 mostly in running script and Mado Shipwreck No 2 largely in stan-dard script, the calligraphic script of the wooden tablets of Mado Shipwreck No. 3 is of various styles of running script with the brush touch of draft script. The calligraphic script and style of both sides are both identical and different. The calligraphic standard of Mado Shipwreck No. 3, the latest of the three, is averagely higher than those of Mado Shipwreck Nos. 1 and 2. Most of the stone inscriptions of Goryeo were written in Ouyang Xun style of the early Tang. But the standard script of Mado Shipwreck No. 3 received special attention because a few were written in Yan Zhenqing style of the middle Tang. To sum up, by the wooden tablets in running script with brush touch of draft script, we can recognize that the local officials of Goryeo also practices draft script hard. It is because album calligraphy of the four master calligraphers was prevalent in Song, China, and their writings were spread during the middle Goryeo as well. Due to the influence, the running and draft scripts were widely studied by the local officials of Goryeo in the 13th century. The live and various writings of local officials on the wooden tablets of Mado Shipwreck Nos. 1, 2 and 3 provide us the opportunity to re-examine the calligraphy history of Jeolla-do in the late Goryeo. 본고는 주문받은 물품을 싣고 개경으로 향하던 중 충남 태안 해역에서 침몰된 세 척의 고려 선박에서 출수된 꼬리표목간의 서체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발송지가 죽산현, 회진현, 수녕현, 안로현인 마도 1호선과 무송현, 고부현, 고창현, 장사현인 마도 2호선은 13세기 전반, 여수현인 마도 4호선은 13세기 후반의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목간의 묵서를 통해 고려 말기 전라도 관리들의 서예 수준을 알 수 있다. 마도 1호선 목간에는 행서가 주를 이루고, 해서, 초서가 조금 사용되었다. 그 행서에는 초서의 결구와 운필이 많고 서풍이 다양하여 여러 관리가 꼬리표목간을 작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으로 백제 목간을 연상시키는 노련미와 절제미가 있는데, 특히 나주 복암리목간의 글씨와 분위기가 흡사하다. 드문 해서는 북위풍으로 쓰여 남북조풍 해서가 고려까지 전승되었음을 말해 준다. 초행서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수취인의 이름에는 오히려 해서의 필의가 많아 운송이 목적인 꼬리표의 용도에 맞는 서체를 선택했음을 알 수 있다. 마도 2호선은 대부분 해서로 쓰였는데, 그 솜씨가 초학자의 수준에 머물러 마도 1호선의 유창한 행서와 구별된다. 같은 수취인에게 보낸 꼬리표는 같은 발송인이 썼다는 사실, 지역에 따라 관리의 서사 솜씨가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개경에 사는 사람의 성만 적어도 운송이 된다는 점에서 마도 2호선의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주로 개인에게 발송한 마도 1, 2호선과는 달리 마도 3호선에는 고위직의 개인뿐만 아니라 무신정권 관청이나 기관들에 보내는 화물이 많다. 서체도 행서가 주를 이룬 마도 1호선, 해서가 주를 이룬 마도 2호선과는 달리 해서와 초서 필의가 짙은 다양한 서풍의 행서가 고루 사용되었고, 각 서체의 서풍도 다양하며, 양면의 서체나 서풍이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다. 시기가 가장 늦은 마도 3호선 목간의 글씨는 마도 1, 2호선의 목간 글씨보다 평균적으로 서사 수준도 높다. 특히 고려의 금석문에는 초당의 구양순풍이 많은 편인데, 3호선 목간의 해서에는 중당의 안진경풍도 쓰여 주목된다. 전체적으로 초서의 필의가 많은 행서 목간을 통해 고려에서는 향리들도 초서를 깊이 공부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중국에서 송 사대가의 글씨를 중심으로 첩이 성행했고 그들의 글씨가 고려 중기의 문인들을 중심으로 널리 유포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영향으로 고려 후기인 13세기에는 향리에 이르기까지 행초서가 널리 학습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마도 1, 2, 3호선 목간에 쓰인 관리들의 생생하고 다양한 육필은 고려 후기 전라도 서예사를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 KCI등재

        NFT재배에서 $\textrm{CO}_2$ 시용과 배양액의 $\textrm{NO}_3$:$\textrm{NH}_4$비율이 결구상추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원선이,조영렬,이용범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5 No.2

        본 실험은 NFT재배에서 배양액내 NO$_3$-N과 NH$_4$-N의 비율과 $CO_2$ 시용이 결구상추의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양액의 pH와 EC를 보정하지 않았을 경우, NO$_3$-N:NH$_4$-N이 100:0인 구에서의 pH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였고, NH$_4$-N의 비율이 높을수록 급격히 저하하여 pH4.0까지 낮아졌다. 2. 배양액을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NO$_3$-N 및 NH$_4$-N의 일 변화를 측정하여 본 결과, NO$_3$-N의 흡수율은 NO$_3$-N:NH$_4$-N이 75:25, 50:50 처리구에서 각각 27.7%, 26.1% 였으나 NH$_4$-N의 흡수율은 87.9%, 71.2%로 결구상추는 NH$_4$-N을 우선적으로 흡수하였다. 3. 엽내 무기성분 함량에서 T-N는 NO$_3$-N과 NH$_4$-N 비율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_2$O$_{5}$, $K_2$O, CaO, MgO는 생육이 가장 좋았던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에서 높게 나타났다. 4. $CO_2$ 시용에 의한 각 처리별 $CO_2$ 동화율도 수량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배양액의 NH$_4$-N비율이 높아질수록 현저히 떨어졌다. 5. 결구상추의 생육은 $CO_2$ 1500ppm 시용과 NO$_3$-N:NH$_4$-N이 100:0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CO_2$ 무처리구에 비하여 $CO_2$ 1500ppm 처리구에서 대체로 양호하였으나, NO$_3$-N:NH$_4$-N이 75:25, 50:50인 처리에서는 $CO_2$ 시용에 의한 수량의 증가가 경미하여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엽중 nitrate함량은 배양액의 NO$_3$-N함량과 비례하여 NO$_3$-N:NH$_4$-N 이 100:0에서 가장 높았고, vitamin C 함량은 NO$_3$-N:NH$_4$-N이 100:0인 처리에서 가장 낮고, NH$_4$-N의 비율이 많을수록 높아졌다. $CO_2$ 시용에 의하여 엽중 질산염함량은 경감할 수는 있었으나 그 효과는 경미하였다.다. Crisphead lettuce(Lactuca sativa L.) was grown in NF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_3$-N and NH$_4$-N ratio in nutrient solution and elevated $CO_2$ treatment in the crisphead lettuce growth. This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under three different ratios of NO$_3$-N:NH$_4$-N(100:0, 75:25, 50:50) with two $CO_2$ concentration (control, 1500ppm ).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not controlling pH and EC in nutrient solution, pH was gradually increased in NO$_3$-N:NH$_4$-N=100:0 treatment but rapidly decreased in the nutrient solution 2. Daily changes of NO$_3$-N and NH$_4$-N were observed without controlling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treatments of NO$_3$-N:NH$_4$-N ratios were 75:25 and 50:50, NO$_3$-N absorption rates were 27.7% and 26.1%, while NH$_4$-N absorption rates were 87.9% and 71.2%, respectively. 3. There was little differences in total nitrogen of leaves. However phosphorus,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s were highly shown in the treatment of $CO_2$ 1500ppm and 100:0 ratio of NO$_3$-N:NH$_4$-N. 4. Higher $CO_2$ assimilation rate was shown in plants grown under $CO_2$ 1500ppm and 100:0 ratio of NO$_3$-N:NH$_4$-N. It dropp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NH$_4$- N rates in nutrient solution. 5. Fresh weight, leaf number, root length and root weight of crisphead lettuce were far better in the treatment of $CO_2$ 1500ppm and 100:0 ratio of NO$_3$-N:NH$_4$-N. Growth differences by $CO_2$ elevation were not shown in other NO$_3$-N:NH$_4$-N treatments. 6. The highest nitrate contents of leaves were shown in NO$_3$-N single treatment but shown the lowest vitamin C contents. Nitrate contents of leaves were decreased by $CO_2$ but the effect was slight treatment.

      • KCI등재

        시설재배지의 재배방법 및 입지적 조건이 지하수 NO<sub>3</sub>-N 함량에 미치는 영향

        고지연,이재생,김민태,김춘송,강위금,강항원,Ko, Jee-Yeon,Lee, Jae-Sang,Kim, Min-Tae,Kim, Choon-Song,Kang, Ui-Gum,Kang, Hang-Won 한국환경농학회 2005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4 No.3

        농업활동 및 지하수의 입지적 조건이 시설재배지 지하수의 $NO_3-N$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영남지역 10개 시군의 주요 시설재배단지에서 지하수 1370 지점의 $NO_3-N$ 함량을 조사하고, 재배조건으로서 시설재배지의 경작년수, 퇴비시용량, 제염방법 및 입지적 조건으로서 지하수깊이, 점토함량, 배수등급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지점 중 천층지하수의 19.7%, 암반지하수의 1.3%가 우리나라 음용수 수질기준인 $10mg/{\ell}$를 초과하였고,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20mg/{\ell}$를 초과하는 지점은 천층수 6.3%, 암반수 0.4%로 나타났다. 지하수 $NO_3-N$함량과 가장 상관이 높은 것은 점토함량 및 지하수깊이로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점토함량 $r=-0.241^{**}$, 지하수깊이 $r=-0.228^{**}$). 재배조건에 따라서는 경작년수와 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경작년수 $r=0.104^*$), 퇴비시용량 등과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아 재배조건과 같은 농업활동보다는 토성과 깊이 등의 입지적 조건이 지하수 $NO_3-N$함량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천층수의 $NO_3-N$과 암반수의 $NO_3-N$ 함량 사이의 상관을 조사한 결과 양자 사이에는 고도의 정(正)의 상관$(r=0.532^{**})$이 인정되어 천층수의 수질이 암반수 $NO_3-N$함량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To investigate effects of fanning practice and $NO_3-N$ contents of groundwater in intensive horticultural greenhouse area of Yeongnam province, the groundwater samples from 1,370 si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cultivation year, crops, desalinization methods, amounts of manure application, tube well depth and soil texture with clay contents were observed. Of the investigated sites, 19.7% of shallow groundwater and 1.3% of confined groundwater were exceeded over $10mg/{\ell}$ as the $NO_3-N$ drinking limit value, respectively. $NO_3-N$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was highly significantly correlative with clay content $(r=-0.241^{**})$, well depth $(r=-0.228^{**})$ and cultivation duration $(r=0.104^*)$, respectively. In case of desalting crop method being executed for desalinization of greenhouse soil, the $NO_3-N$ value of groundwater was lower than any other desalinization method. The fact that $NO_3-N$ contents of confined groundwater was affected by shallow groundwater was clarified by that $NO_3-N$ contents in shallow were significantly correlative with the confined groundwater $(r=0.532^{**})$.

      • KCI등재후보

        NaCl 스트레스를 받은 토마토의 생육 향상을 위한 Ca(NO3)2 및 CaCl2 처리 효과

        이한철,강경희,최영하,권기범,김희태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1 No.3

        Enhanced supply of Ca2+ as well as NO3- is known to restrict the uptake of the Na+ and Cl- ion andameliorate growth under saline conditions. This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melioratingeffects of Ca(NO3)2 or CaCl2 on the growth and yield of NaCl-stressed tomato plants grown in plasticpot filled with soil. All treatments except for the control were supplied with 80 mM NaCl for twoweeks after transporting. The saline solutions with nutrient were supplemented with either 0, 10 or 20mM Ca(NO3)2 and either 0, 10 or 20 mM CaCl2 during harvesting time from two weeks after trans-porting. Ca(NO3)2 or CaCl2 application enhanced the growth such as plant height, fresh weight, dryweight, fruit number, and fruit weight, and yield of NaCl-stressed tomato, and also their effectsincreased greater as concentration of supplemented Ca(NO3)2 or CaCl2 increased. Yield increased in20 mM Ca(NO3)2 compared with the others except for the control. Photosynthetic rate in Ca treat-men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but higher than that of NaCl treatment. Leaf chlorophyllcontent was higher in Ca treatments compared with the others, especially in younger leaf, while thatwas not affected by concentration of supplemented Ca. Ca(NO3)2 or CaCl2 supply increased the K+and Ca2+ concentration of tomato plants, whereas the Na+ transport to the leaves was inhibited. Therewas a strong increase in the K+/Na+ ratio in plants treated Ca(NO3)2 or CaCl2. Cl- content of plantswas decreased by supplemental Ca(NO3)2 but Cl- was increased in plants with CaCl2 compared withCa(NO3)2. N concentration in plants of tomato increased with enhanced Ca(NO3)2 or CaCl2 supply. Inconclusion, our study confirms the potential of Ca(NO3)2 or CaCl2 to alleviate NaCl-induced growthreductions in tomato.

      • KCI등재

        차광정도(遮光程度) 및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배추 수량(收量)과 가식부위(可食部位)의 NO<sub>3</sub><sup>-</sup> 집적량(集積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손상목,오경석,이장석,Soh, Sang Mok,Oh, Kyung Seok,Lee, Jang Seok 한국토양비료학회 1995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8 No.2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s of shading and nitrogen fertilizer on $NO_3^-$ accumulation in the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Cutivar, "Seoul", was cultivated in the pots under glasshouse condition with different rates of shading(0, 15, 30, 50, 75%) and nitrogen fertilization(recommended level, and double rate of recommended level). Leaf length, leaf width, yield (leaf weight), root width and root weight in the 15% shading rate showed the highest value, but decreased in the over 30% shading rates. The highest yield showed in the plot of the 15% shading rate with double rate application of recommended N level. High rate of shading increased the $NO_3^-$ accumulation, especially in midrib and outer leaf compared to leaf blade and inner leaf, respectively. The average $NO_3^-$ accumulation of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are $4,872mg\;kg^{-1}$(outer midrib), $2,363mg\;kg^{-1}$(inner midrib), $1,405mg\;kg^{-1}$(outer leaf blade) and $727mg\;kg^{-1}$(inner leaf blade). $NO_3^-$ accumulation of outer midrib in the plots of double application of recommended N level were no difference between shading rate containing $5,000{\sim}6,000mg\;kg^{-1}$ $NO_3^-$, while in the plots of recommended N level it was increased by elevating shading rate. It was concluded that overuse of nitrogen fertiliration for chinese cabbage in glasshouse condition might lead to increase $NO_3^-$ accumulation. It could be advisable to cut out both the out leaf blade and outer midrib which might accumulate the high concentration of $NO_3^-$ before consumption. 차광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비닐 하우스내에서의 질소다비재배시 일조부속으로 인한 배추의 가식부위내 $NO_3^-$ 집적량의 변화를 밝히고자 차광정도를 달리한 하우스내에서의 질소수순별 처리를 두어 배추 수량과 가식부위내의 $NO_3^-$ 함량을 분석한 결과, 보비구, 배비구 모두 전일광 조건에 비해 15% 차광조건에서 엽장 엽폭, 엽수, 근장, 근폭 근중 및 수량이 최고에 달했으나 30% 이상의 차광조건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배추의 최고 수량은 452g으로서 배비구+차광 15% 처리구에서 나타났다. 전일광조건에서 $NO_3^-$ 집적량이 $4,373mg\;kg^{-1}$으로 높았던 외부중록은 차광처리에 따른 $NO_3^-$ 집적량의 증가폭이 적었으나, $NO_3^-$ 집적량이 $1,159mg\;kg^{-1}$, $212mg\;kg^{-1}$으로 낮았던 내부엽중륵 및 내부엽신은 $3,492mg\;kg^{-1}$, $2,435mg\;kg^{-1}$으로 3배, 11.5배로 상승하였다. 차광조건의 경우 엽신보다는 중륵이 내부보다는 외부 가식부위의 $NO_3^-$ 집적량이 많았으며 외부중륵($4,872mg\;kg^{-1}$) >내부중륵($2363mg\;kg^{-1}$) >외부엽신($1.405mg\;kg^{-1}$) >내부엽신($727mg\;kg^{-1}$)의 순으로 낮았다. 15% 까지의 차광에서 보비구의 가식부위별 $NO_3^-$ 집적량은 지상부 지하부 생육 및 수량과 비례적인 증가를 나타냈으나. 배비구의 경우 가식부위인 지상부, 지하부 및 수량의 증가폭 보다 $NO_3^-$ 집적량 증가가 더 컸고, 30%이상의 차광조건에서는 지상부, 지하부 생육 및 수량은 감소하나 오히려 $NO_3^-$ 집적량은 더욱 급격히 증가하였다. 외부엽 중륵의 경우 배비구는 차광정도에 관계없이 $5,000-6,000mg\;kg^{-1}$ 내외에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보비구는 차광정도가 증가할수록 $NO_3^-$ 집적량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비닐하우스내에서의 과다한 질소시비는 바람직 하지 않으며 중륵이 얇은 신품종 배추의 개발보급과 배추이용시 가식부위중 $NO_3^-$ 집적량이 가장 높은 외부엽 엽신과 중륵 부위의 제거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

        백제 전실묘의 구조와 축조 배경 재검토

        윤한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1 No.-

        This study looked into Baekje brick-chamber tombs, such as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omb No. 6 in Songsan-ri, Gongju and Tomb No. 3 in Gyochon-ri, and bricks for the construction of each brick-chamber tomb in close relation with the structure of the brick-chamber tomb. Next, it looked into each of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rick-chamber tombs and the aspect of the masonry of bricks and re-examined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6 in Songsan-ri. After this work, the author presented opinions about the order of Baekje’s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and the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a foreign tomb burial system during the Baekje Ungjin Period. First, it was assumed that Tomb No. 3 in Gyochon-ri might be the first brick-chamber tomb built for the first time in the Baekje region, and judging from its structure and the bricks for construction, there is no sign of a direct impact of the brick-chamber tomb construction technology of Southern Dynasties, so accordingly, Tomb No. 3 in Gyochon-ri was judged to be an unfinished brick-chamber tomb originating from Baekje’s unskillfulness of the brick-chamber tomb construction technology. It was deemed that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2 in Gyochon-ri were built later with the direct introduction of the brick making technology of the Liang Dynasty, at the point of time around the year of Imjin (512) rather than Southern Dynasties brick-chamber tomb construction technology. In the meantime, it was judged that Tomb No. 6 in Songsan-ri was later transformed partially into Baekje style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the walls of the brick-chamber tomb and the placement of murals, later than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rough this, the order of construction was presented as follows: ‘Tomb No. 3 in Gyochon-ri → Tomb No. 2 in Gyochon-ri and Royal Tomb of King Muryeong → Tomb No. 6 in Songsan-ri.’Along with the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of Tomb No. 3 in Gyochon-ri, if the exchange relationship with all regimes of Southern Dynasties continued since the Baekje Hanseong Period is considered, Baekje people already recognized the brick-chamber tomb, a tomb burial system of China, and it was assumed that the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like Tomb No. 3 in Gyochon-ri were attempted by the local technology with a justification that necessitated the construction of brick-chamber tombs like those in Southern Dynasties during the Baekje Ungjin Period. However, as the construction of Tomb No. 3 in Gyochon-ri failed due to unskillfulness of the technology, it seems that at the point of time around 512, Baekje introduced the brick making technology of the Liang Dynasty and built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No. 6 in Songsan-ri. 본고는 백제 전실묘인 무령왕릉과 공주 송산리 6호분, 교촌리 3호분을 중심으로 전실묘의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실묘 축조용 전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실묘의 각 세부 구조에서 보이는 전 체축(砌築)양상을 확인하여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분의 구조적 차이를 새롭게 검토하였다. 이러한 작업 이후, 필자는 백제 전실묘의 축조 선후관계와 백제 웅진기에 외래 묘제인 전실묘가 축조된 배경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먼저 백제에서 처음 축조된 전실묘는 교촌리 3호분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그 구조와 축조용 전으로 보아 중국 남조 전실묘 축조 기술의 직접적인 영향이 간취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자는 교촌리 3호분을 백제의 전실묘 축조 기술의 미숙에서 비롯된 미완성 전실묘로 판단하였다. 이후 중국 남조의 전실묘 축조 기술(造墓技術)보다는 남조 梁의 전 제작 기술(造塼技術)의 직접적인 도입에 의하여 壬辰年(512)을 전후한 시점에 무령왕릉과 교촌리 2호분이 축조된 것으로 보았다. 한편 송산리 6호분은 무령왕릉 축조 이후, 전실묘의 벽체 두께와 벽화 배치 등을 고려하여 일부 백제적 變容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통해‘교촌리 3호분 → 교촌리 2호분․무령왕릉 → 송산리 6호분’의 축조 선후관계를 제시하였다. 교촌리 3호분의 축조 상황과 더불어, 백제 한성기부터 지속된 중국 남조 제정권과의 교류 관계를 고려한다면 백제인들은 이미 중국의 묘제인 전실묘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백제 웅진기에 중국 남조와 같은 전실묘를 축조해야만 하는 어떠한 당위성에 의해 재지 기술로써 교촌리 3호분과 같은 전실묘를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전실묘 축조 기술의 미숙으로 교촌리 3호분의 축조가 실패함에 따라 백제는 壬辰年을 전후한 시점에 梁의 造塼 기술을 도입하여 무령왕릉과 송산리 6호분을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해인사 소장 사간판 <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 재검토

        박은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6 石堂論叢 Vol.0 No.65

        The three kinds of Woodblock Illustration of Yu-xie-shi-wang-Sheng-qi-Jing (Buddha's Utterance on Rituals to be Performed While Living in Preparation for Judgment by the Ten Kings of Hell, 預修十王生七經變相圖) in Temple-published Edition(Sagan-Woodblock, 寺刊板)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No.206-1 and Treasure No.No.734-3, 734-4 are housed in Haeinsa Temple. One of these woodblocks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No.206-1 has been known as CHong-An(鄭晏)'s work, made in 1246. The woodblock illustration designated as Treasure No.734-3 is presumed that it was reproduced the woodblock illustration designated as Treasure No.734-4. In other words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the Treasure No.734-3 was made later than the Treasure No.734-4 and it was re-encarved using the Treasure No.734-4 as an original. In this essay author goes 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hree Woodblock Illustration of Yu-xie-shi-wang-Sheng-qi-Jing and examines the chronological sequence between Treasures No. 734-3 and No. 734-4. According to optative mood of Woodblock Illustration of Yu-xie-shi-wang-Sheng-qi-Jing 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No.206-10 has been known that it was made by CHong-An, in 1246. There are differences in ornaments depending on the hierarchical aspects. Comparing with the sacred images standing in the front row, the image of Grim Reaper from the last scene on this woodblock illustration heads for the other side. Besides, there's no ten sacred images Shi-Wang(the Ten Kings of Hell, 十王), only names of these ten sacred Shi-Wang and phrases of praise to them are following after the image of Grim Reaper. Therefore, adding the images of Shi-Wang from the Woodblock Illustration of Yu-xie-shi-wang-Sheng-qi-Jing 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No.206-10, the Woodblock Illustration designated as a Treasure No.734-3 seems to be made again. Sacred images of Shi-Wang on the Woodblock Illustrations designated as Treasures No.No.734-3, 734-4 are the almost same, partially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head and face shape, position, various motifs, margin size etc.. Hereby author reaches the conclusion the Woodblock Illustration designated as Treasure No.734-4 is not an absolute original copy of the Woodblock Illustration designated as Treasure No.734-3 and supposes it was made in the end of Koryu dynasty period, 14th century. In addition author of this essay supposes the existence of real original copy of the Woodblock Illustrations designated as Treasures No.No.734-3, 734-4. 해인사 소장 사간판 <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는 3종(국보 206-1호, 보물 734-3호, 보물 734-4호)이 있다. 그 중 국보 206-1호는 1246년에 鄭晏이 조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보물 734-3호 시왕변상도는 보물 734-4호 시왕변상도를 복각한 것으로 보고 있다. 즉, 보물 제734-3호본이 보물 734-4호본 보다 이후에 만들어졌고, 보물 734-4호본을 저본으로 복각하였을 것으로 보는 것이 주류이다. 이 글은 해인사 소장 사간판 <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 3종의 특징과 보물 734-3호, 734-4호본의 원형과 선후관계를 재검토한 것이다. 국보 206-10호 <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는 발원 기문에 의해 鄭晏이 1246년에 조성한 것이다. 변상도는 위계에 따라 문양장식에 차이를 두고 있다. 또한 변상도의 마지막 장면에 등장하는 명부사자는 앞열 도상과는 달리 반대방향을 향해 있고, 그 뒤를 이어 제1대왕에서 제10대왕에 이르는 존상명과 찬문들이 적힌 경문이 이어지고 있으나, 시왕도상은 생략되어 있다. 이에 국보 206-10호 <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에 생략된 시왕변상을 이후 추가로 제작한 것이 보물 734-3호본일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보물 734-3호, 734-4호본 양자 간에 시왕변상 도상이 거의 흡사하나, 부분적으로 두부 및 안면 묘사, 자세, 각종 모티프, 광곽의 크기 등에서 차이가 보여, 반드시 양자 간에 직접적인 복각판으로 작용하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보물 734-4호본은 보물 734-3호본과 동일계 본이나 직접적인 원형 모본은 아닌 것으로 보았고, 제작시기는 고려후기 14세기 경으로 추정하였다. 더욱이 보물 734-3호본과 보물 734-4호본에 관한 원형본은 별도로 존재하였을 것으로 본다.

      • SCOPUSKCI등재

        양액내 NO3--N과 NH4+-N의 비율이 체리 세이지와 파인애플 세이지의 생육 및 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효훈,이영현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07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0 No.4

        체리 세이지(Salvia coccinea L.)와 파인애플 세이지(Salvia officinalis L.)을 수경재배 할 때, 양액내 NO3--N : NH4+-N의 비율이 두 품종 허브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질산태질소와 암모늄태 질소의 비를 100:0, 75:25, 50:50, 25:75, 0:100의 다섯 개의 처리구를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리 세이지와 파인애플 세이지의 생육에서는 NO3--N : NH4+-N의 비가 50:50과 75:25인 처리구의 생장이 21.9cm, 23.4cm로 NH4+-N 단용 처리구보다 생장율이 높았다. NH4+-N 의 함유량은 체리세이지의 shoot의 25:75 혼용구에서 38mg/g DW로 가장 낮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75:25의 혼용구에서 44mg/g DW를 보였고, 파인애플 세이지는 45mg/g DW의 가장 높은 함유량과 38mg/g DW의 가장 낮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50:50의 비에서 40mg/g DW의 함유량을 보였다. NRA의 함유량은 시간이 지나면서 shoot에서 많은 활성을 보였고 체리세이지는 NO3--N : NH4+-N비가 50:50인 혼용 처리구에서 0.81nmole/g FW ․ h-1의 함유량을 보였고 파인애플 세이지는 50:50 혼용구에서 최대 0.86nmole/g FW ․ h-1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GSA(glutamine synthtase activity)의 활성에서 12주후, 체리 세이지는 질산태 질소 단용구에서 9.2umole/g FW ․ h-1의 함량을 파인애플 세이지는 11umole/g FW ․ h-1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NO3-의 단용구 또는 NH4+의 단용구보다는 NO3--N : NH4+-N의 혼용구에서 생육의 증가를 보였고, NRA의 함량과 생장 또한 단용구보다는 혼용구에서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NO3--N : NH4+-N의 처리비가 75:25 에서의 혼용 처리구에서 다른 혼용구보다 생육의 높은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75:25의 혼용비가 두 종의 세이지 생육에 적합한 비라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ive different NO3--N : NH4+-N ratio (100:0, 75:25, 50:50, 25:75, 0:100)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responses of cherry sage(Salvia coccinea L.) and pineapple sage(Salvia officinalis L.). Cherry sage and pineapple sage were grown under the condition of those treatments for twelve weeks. Cherry sage was showed that shoot length remarkably increased was grown the greatest when NO3--N : NH4+-N treatment was 75:25, but pineapple sage was 50:50. However, when NO3--N : NH4+-N ratio was 100:0 or 0:100, those shoot length was showed the poorest. NRA(nitrate reductase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condition of those treatments for twelve weeks. In the shoot case, NRA of cherry sage was the highest when NO3--N : NH4+-N treatment was 50:50, and pineapple sage was 75:25. At 25:75 or 50:50 ratio, those of soluble protein, total nitrogen, free amino acid and nitrate contents were increased, but was not showed significant. At 0:100 ratio, those contents was showed more lower. After 12 weeks, GSA(glutamine synthetase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shoot of both cherry sage and pineapple sage, and NO3--N : NH4+-N treatment was 75:25 ratio that was appearanced the highest in those GSA content. So, the growth responses of cherry sage and pineapple sage were suitable at NO3--N : NH4+-N ratio(75: 2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