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중요어업유산의 보전실태와 활용방안

        김준 남도민속학회 2022 남도민속연구 Vol.44 No.-

        국가중요어업유산은 2002년 FAO가 2002년 글로벌 환경자금(Global Environment Fund) 지원을 받아 진행한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e Heritage System) 프로젝트가 계기가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어떤 국가 또는 지역사회에서 환경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되어온 토지이용, 전통 농업기술, 농업과 함께 형성된 문화, 경관,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세계적으로 중요한 지역을 후세대에게 계승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리나라는 2012년에 도입하여 ‘국가중요어업유산’과 ‘국가중요농업유산’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되고 있다. 어촌과 어업은 ‘식량공급, 고유한 경관, 어업생태계 기능 보전, 전통어업과 문화’라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이를 계승하고 보전하여 어촌활성화에 기여할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전통적 어업활동 시스템과 그 결과로 나타난 해양경관, 어업문화 등 모든 산물’이라 정의한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2015년 제1호 제주해녀어업을 시작으로 2021년 흑산홍어잡이어업까지 모두 11개가 지정되었다. 그 유산 지역을 보면, 전라남도가 5개 유산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경상남도 3개, 경북․전북․제주가 각각 1개가 지정되었다. 이들 유산의 특징을 보면 대부분 마을어업이나 조간대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어업이며, 마을 주민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어업활동이다. 또 규모로는 소규모 어업이며, 어구도 오랜 경험 속에 전승되어온 것들로 주민들이 직접 제작하는 것이다. 이들 유산지역은 습지보호지역, 람사르습지,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곳도 많다. 최근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수온상승, 서식지 훼손, 수산자원 감소, 해양오염, 어업전승자 부재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수심이 낮은 조간대는 수온변화가 심하고 연안오염의 피해가 큰 바다다. 또 국가어업유산을 식량생산과 주민생계수단, 생태계보전, 전통지식체계 보전, 공동체 문화 형성, 현저한 경관 등 본래의 가치보다 관광활성화의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강해 보전을 위협하기도 한다. 하지만 국가중요어업유산을 활용한 프로그램은 제주해녀어업, 보성뻘배어업, 남해죽방렴어업, 신안갯벌천일염업 등 일부 유산에서 진행될 뿐이다. 그 내용도 단순한 체험에 그쳐 해당 어업활동 시스템을 지속하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의 활용은 유산의 가치에 기반해서 진행되어야 하며, 행정중심이 아니라 어촌공동체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귀어귀촌정책, 어촌뉴딜정책 등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과 연계한 후속정책이 필요하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살아 있는 유산이다. 전통적인 어업활동 시스템이 지속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파생되는 해양경관이나 어촌문화가 관광자원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미 시행되고 있는 수산물직불금도 우선 적용해야 하며, 유통방식도 일반 수산물과 달라야 한다. 이를 위해 유산의 가치를 인정하고 소비해주는 소비자가 필요하다. 즉 소비자가 공동생산자가 되어야 한다. 또 국가중요어업유산을 선정하고 지원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국가중요어업유산의 어업자원 범위도 음식, 노동요, 도구제작, 어촌공동체, 어촌문화 까지 확대되어야 한다. The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was introduced as part of the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e Heritage System (GIAHS) project, which was launched by FAO with support from the Global Environment Fund in 2002. This project aims “to pass on to future generations a globally important region rich in culture, landscape, and biodiversity formed along with land use, tradi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and agriculture that has been formed for a long time while adapting to the environment in a certain country or community.” It was introduced in Korea in 2012 and promoted under the banners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and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Fishing villages and fisheries are valued for “supply of food, unique landscapes, preservation of fishery ecosystem functions, and traditional fishery and culture.” The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was established with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fishing villages by inheriting and preserving them.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can be defined as “all products, such as the traditional fishery system and the resulting marine landscape and fishery culture.” Overall, 11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s have been designated, starting with the Jejuhaenyeo fishery in 2015 and the Heuksan skate fishery as recent as 2021. If you look at the heritage areas, Jeollanam-do has the most with five heritage sites, followed by Gyeongsangnam-do (three sites), Gyeongbuk, Jeonbuk, and Jeju with one each. A characteristic of these heritage sites is that most of them are village or traditional fisheries in the intertidal zones, and all residents of the fishing village are active participants. In addition, in terms of scale, it is a small-scale rather than a large-scale fishery, and fishery gear include simple tools that have been handed down through generations and developed by the residents themselves. Many heritage sites have been designated as wetlands protection areas, Ramsar wetlands, and World Natural Heritage sites. Recently, the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was under threat due to rising water temperature, habitat loss, reduction of marine resources, marine pollution, and the absence of fishermen. In particular, the intertidal zone with low water depth is an ocean with severe temperature change and damage from coastal pollution. Furthermore, there is a strong intention to utilize the national fishery heritage as a means of revitalizing tourism rather than its intrinsic values ​​such as food production, means of livelihood for residents, ecosystem conservation,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preservation, community culture formation, and exceptional scenery, which threatens conservation. However, programs utilizing the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have only been partially conducted in Jeju Haenyeo Fishery, Boseong Tidal Flats Fishery, Namhae Juk-bang-ryeom Fishery, and Sinan Tidal Flat Sea Salt Industry. The content is only a simple experience and does not help support the fishery system. Utilization of the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should be based on the value of the heritage, and the fishing village community should not remain just an administrative center. In addition, follow-up policies are needed in connection with the guidelines promoted by the government, such as the Urban-Rural Migration/Return to Fishing and the fishing village new deal policies. The National Important Fishery Heritage is a living heritage. The traditional fishery activity system should be sustained, and the marine landscape and fishing village culture derived from this process should be converted into tourism resources. The policies implemented for areas with unfavorable conditions for fishery products or the distribution method of fishery products produced in heritage areas must be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marine products. We need consumers who recognize its value. Specifically, consumers must be co-p...

      • KCI우수등재

        헌법상 문화국가원리 실현을 위한 ‘국가유산’ 법제 체계화

        정상우(Chong, Sangwoo) 한국공법학회 2020 공법연구 Vol.48 No.3

        이 연구는 헌법상 문화국가원리를 실현하고 문화재보호법의 복잡화를 극복하며, 유네스코 협약에 따른 세계유산 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가유산 개념 정립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유산기본법 제정의 필요성을 헌법, 국제법, 문화재보호법, 문화재행정 현실의 차원에서 제기하고, 국가유산기본법이 제정될 경우 포함시켜야 할 과제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국가유산기본법의 하위 개별법제 체계를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와 관련하여 국가유산 행정의 원리와 분류체계를 고려한 법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국가유산 개념의 정립과 국가유산기본법 제정이 필요한 것은 헌법의 문화국가원리 실현 이외에도 국제법상 세계유산제도와 정합성 제고, 문화재보호법의 한계 극복, 방대해지고 복잡해진 문화재행정과 조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필요하다고 보았다. 가칭 국가유산기본법은 현행 문화재보호법을 대신하여 국가유산정책을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신법으로 제정하고, 하위 법체계가 국가유산 유형별 법체계, 국가유산 부속 법률, 국가유산 관계 법률, 국가유산 지원 법률로 성격을 갖도록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새로운 국가유산 법체계에서는 국가유산 정책의 통일성, 체계성, 효율성이 제고되고, 공동체 구성원의 문화유산에 대한 향유 보장, 국가유산을 통한 국격 제고가 기대된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national heritage as a way to realiz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the Cultural State, overcome the complexity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respond to the World Heritage System under the UNESCO Convention. To this end, the necessity of enacting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was raised in terms of the Constitution, the International Law,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and the reality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when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was enacted, the tasks and contents to be included were analyzed in detail. Further, a legal system considering the nature, functions and procedures of national heritage was proposed by reviewing how it was desirable to organize the lower legal system of a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national heritage and enact a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as well as to enhance the world heritage system and consistency, overcome limitations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 that have become vast and complicated. As a sub-law of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the legal system for each type of national heritage and various laws related to national heritage were specifically proposed. In the new national heritage legal system, the unity, systemicity and efficiency of national heritage policies are expected to increase, guarantee the enjoyment of cultural heritage of community members, and raise national prestige through national heritage.

      • KCI등재

        국가유산기본법의 제정과 향후 과제

        주강원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2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hereinafter "the Act"), which is promulgated on May 16, 2023, is enacted to reflect the changed cultural property policy environment since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in 1962, and to convert to a national heritage system that meets international standards of 1970 UNESCO Convention. The Act will substitute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and function as the highest law to govern the national heritage system from next year. The present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has been criticized for many different reasons; first, the term "cultural property" needs to be replaced to "cultural heritage" or "national heritage" because it is difficult to embrace various kinds of heritage due to its strong implication of property. Second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property should be amended to correspond to the types provid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Third, the basis for compensation for losses for individual special sacrifices caused by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provided. Finally the unsystematic organization of the chapters and articles and the lack of detailed regulation on the protection of world heritage were also pointed out. The newly enacted Act shows some positive aspects in that it has introduced the concept of the national heritage which focuses on the value of the community heritage rather than the property value, presents the objective to include the protection, the succession and also the enjoyment of the national heritage, and elaborates the principles of the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in more detailed way. Nevertheless the various problems i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still remain. First of all the lack of the compensation provision for the limitation on the private property right should be corrected. Also the problem of the composition and organization of the Act and the related laws needs to be systemiz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clarify in detail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protecting world heritage in the Act, the World Heritage Act, and the relevant enforcement decrees. 2023. 5. 16. 공포된 국가유산기본법은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래 변화된문화재 정책 환경을 반영하고 유네스코 등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국가유산체계로전환하기 위하여 제정된 것으로 기존의 문화재 관련 제도에 있어 기본법적 역할을하였던 문화재보호법을 대체하고 변화된 국가유산체제의 최상위 기본법의 역할을수행할 예정이다. 현행 문화재보호법은 1962. 1. 10. 제정된 이후로 여러 차례의개정을 거친바 있으나, 변화된 문화재 환경을 관장할 미래지향적인 법으로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문화재라는 용어가 재산이라는 물질적인의미가 강하여 다양한 성격의 유산을 포용하기 어려우므로 문화유산 또는 국가유산이라는 용어로 대체하여야 하고, 문화재의 분류 역시 세계 협약상의 분류에 부합하게 개정되어야 하다는 문제 제기가 있다. 또한 문화재 지정으로 인한 개인의 특별한희생에 대해 손실보상의 근거라 규정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으며, 문화재보호법의 비체계적인 편제와 구성방식의 문제 및 세계유산 보호와관련하여 구체적인 규정의 미흡 등도 함께 지적되어 왔다. 국가유산기본법은 재산적 가치에 초점을 둔 문화재에서 탈피해 공동체 유산으로서의 가치에 초점을 둔 국가유산의 개념을 도입하고, 법의 목적을 통하여 국가유산의 보호는 물론 창조적 계승과 국민의 문화향유까지 포괄하는 미래지향적 목표를제시하고 있으며, 국민의 국가유산향유권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국가유산 보호정책의 기본원칙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가유산기본법에는 그간 문화재보호법의문제점으로 지적되던 다양한 문제점에 대해 충분한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국가유산 지정으로 인한 사인의 재산권 행사에 대한 제약에 대하여손실보상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 점에 대해서는 추후 개정을 통해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가유산기본법은 국가유산 지정·등록제도의 근거만을 규정하고 각 국가유산 유형별로 구체절인 절차를 규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문화유산에관한 개별법으로 기능하게 될 문화재보호법에서 현재의 비체계적인 지정·등록 규정의 편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전면적인 개편과 보완이 요청된다. 마지막으로세계유산의 보호의 절차와 방법을 국가유산기본법과 세계유산법 및 동 시행령에서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 국가 및 시·도 무형문화재 제도 운영의 성과와 과제-지정 제도 및 지정 현황을 중심으로-

        이재필 국립무형유산원 2018 무형유산 Vol.- No.5

        Under a changing policy environment, with the ever increasing number of applications for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applications, changes to the national and city/do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systems due to the enactment of the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ct」, and the voices of concern that point out the uselessness of the national and city/dodesignation systems, this paper looks to review and seek ways to improve the current national and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s. Since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motion Act」 in 1962, there have been 140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569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rom 17 city/dolocalities that have been designated. The designation of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greatly increased after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early 1990s. Of the seven field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ditional performance·art, and traditionalskill fields takes up the lion’s share, with 69% (97 items) at the national level, and 71% (406 items)at the city/do level. However, traditional skills remain one of the least transmitted items, sincethere are only a few transmitters compared to the its high proportion. A single national intangiblecultural heritage are being designated as multiple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tending itbeyond its region. With weakening regionalities and increasing symbolism, there are items beingtransmitted in regional units that hold regional characteristics, mainly for group items. At national and city/do levels, a system of transmitting is being established, with the centralcarrier branching out to transmit education assistants, then to recipients. The transmissionsystem is pyramid shaped, with the recipients at the lowest level being the most numerous, andthe pyramid becoming narrower as it goes up to the transmitter. The city/do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lso has the same shape. The relation between national and city/do levels are more organic than exclusive in that theitems and transmitters can move from one to another to create more opportunities to transmit.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re is active movement between city/do transmitters (carriers,transmission education assistants) of national transmitters (transmission education assistant,recipient) indicates that fostering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nsmitters will improve thetransmission of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re are some inadequacies in the system that require urgent attention. First,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standards that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uniquelyfit the localities must be established. With this, the government must also move away from theexisting cubicle-styl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methods, and seek a way to operate the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on a grander scale, that included designation standards andpass down systems that encompass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are now faced with changing aspec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ompletediscontinuation of transmissions, and ‘post-management’ after designation is key. Thegovernment’s response is to enac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and establish the NationalIntangible Heritage Center. In the future, it should focus on communicating and cooperating with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To this end, the localities’s organization and financialconditions must be improved, while the government must be willing to work on policies, includingrevising related regulations. 이 글은 빈번해지고 있는 시·도무형문화재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신청, 「무형문화재법」 제정에 따른 국가와 시·도의 지정 체계 변화, 국가와 시·도 지정 체계의 무용론 제기 등 정책의 상황 변화에 대하여 국가와 시·도 무형문화재 제도를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지금까지 국가무형문화재 140건, 17개 지자체 시·도무형문화재 569건이 지정되었다. 시·도무형문화재는 1990년대 초 지방자치제의 시행에 따라 지정 건수가 대폭 확대되었다. 무형문화재 7개 범주 중에서 전통적 공연·예술, 전통기술 분야가 국가무형문화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69%(97건), 시·도무형문화재는 71%(406건)로 압도적으로 많다. 다만, 전통기술 분야는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매우 적은 전승자가 활동하고 있어 전승이 가장 취약한 분야에 머물고 있다. 하나의 국가 종목이여러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됨에 따라 지역을 넘는 확장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렇게 지역성이 약해지고 상징성만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단체종목 중심으로 지역적 특성을 간직한 채 지역단위에서 전승하고 있다. 국가와 시·도는 보유자를 중심으로 전수교육조교, 이수자로 이어지는 전승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기층의 이수자 수가 많고 보유자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피라미드형 전승 구조이며, 시·도무형문화재 역시 같은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가와 시·도는 배타적 영역이라기보다는 종목 및 전승자 간 이동을 통해 전승의 기회가 확대되는 유기적 관계에 가깝다. 특히 국가 전승자(전수교육조교, 이수자)의 시·도 전승자(보유자, 전수교육조교) 간 이동이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볼 때,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양성이 곧 시·도무형문화재 전승 활성화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미비한 부분에 대한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 우선 대부분의 지자체가 사용하고 있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기준 대신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지자체 고유의 무형문화재 지정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함께정부 역시 기존 칸막이형 보존관리 방식에 탈피하여, 시·도무형문화재를 포함하여 지정 기준 및 전승 체계등을 담은 거시적인 무형문화재 제도 운영 방향을 모색하여야 한다. 지금 무형문화재의 변화와 전승 단절의 우려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지정 이후의 ‘사후관리’에 주목해야 한다. 정부는 「무형문화재법」 제정과 국립무형유산원 설립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앞으로는지자체, 민간과의 협력과 소통에 주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조직 확충, 재정 여건 개선 등 지자체의 역량 강화는 물론 정부 차원의 관련 규정 개정 등 적극적인 정책 의지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국가유산법체계의 재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김형섭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0 No.3

        “Korean Cultural Property (Heritage) Protection Law” is a fundamental right of all laws on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protection, but according to this law, there is no definition of natural heritage. However, the concept of cultural goods includes artificial culture and natural factors. That the term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generally refers to all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other cultural assets from damage, destruction, theft and loss. But the concept of cultural goods in applicable laws is inappropriate for embracing artificial culture and natural factor, and consequently it neglects the factor of natural inheritance. As far as the international agreements are concerned, therefore, there are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and frequent accidents increase the need for protection of national heritage from destruction. Therefore, we should recognize the independence of the concept of natural heritage and prepare special protection rules for it. Consequently, through the definition of heritage,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this study presents the basics and objectives of conservation and cultural protection, and harmonizes conservation and cultural protection aspects through practical cases to establish a normative system for the purpos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국가적 유산에 관한 문화재행정이 이제까지 불균형하고 불완전한 규범체계로 인해 유형적 문화재에 지나치게 편중된 채 운영되어 왔다. 이에 대응하여 국제규범과 외국법제의 전반적 환경을 고려하여 ‘국가적·민족적 유산을 보다 실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규율체계’(이른바 ‘국가유산법체계’)의 새로운 구축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이에 따라 현행법상 문화재라는 이름으로 정의된 기존 개념에 대한 의구심에서 출발하여 편향된 법제도적 체계를 재편하고 국제규범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규범체계의 구상과 그 타당성에 대한 검토를 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유산’의 의미가 ‘가치개념’으로 이해됨에 따라 유무형의 문화가치와 자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까지 포함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문화재의 개념은 세계유산협약에서 세계유산과 같이 ‘국가유산’이라는 개념으로 확정함이 바람직할 것이고 이에 따라 문화유산, 자연유산의 개념확정은 국가유산법의 새로운 재구조화에 있어서 시발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국가유산법체계의 구조화방안으로, 문화유산에 관해서는 현행 문화재보호법을 전면적으로 재편하여 ‘문화유산에 관한 기본법‘으로 재구성함으로써 건축물 또는 유적, 유물 중심으로 문화유산에 관한 기본적 사항을 규율하도록 하고, 개별적 사항에 규범체계는 무형문화재의 특별한 보호를 위한 ‘무형문화재보호법(현행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포함하여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과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 등의 기존의 법률을 최대한 활용토록 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써 문화재보호법을 세계유산협약에 부응할 수 있는 규범으로 재편하고 개념적 오류의 수정을 통해 국가유산에 관한 명확한 범주화를 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으로 보인다. 이와 별도로 자연유산에 대한 법제에 있어서는 포괄적 요소(가령 ‘자연유산보호법’) 또는 개별적 요소(가령 ‘명승 및 천연기념물의 보호에 관한 법’)를 대상으로 독자적 법제를 제정함이 필요할 것이다. 나아가 장기적으로는 시민의식과 발전과 함께 자연적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규범구조의 확산을 통해 영역별로 완전히 이원화시키거나, 세계유산협약과의 일체성을 강화시키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가유산 체계전환 및 전통조경 법제화의 함의

        황권순 한국전통조경학회 202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1 No.3

        우리나라의 문화재보호법이 도입된 지 60년 만에 재화 개념의 문화재 체제에서 무형유산과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을 비롯한 유산(遺産), 즉 국제적 기준의 Heritage 개념이 적용된 국가유산 체계를 기구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유산기본법이 제정되었고, 하위 분류에 맞춰 ‘문화유산법’, ‘자연유산법’, ‘무형유산법’이 제정 또는 개정되었다. 신규 제정된 ‘자연유산법’에서는 자연유산의 정의를 자연물 또는 사람과 자연의 상호작용으로 조성된 문화유산으로 정의하고, 그 세부 분류를 기존 동물, 식물, 지질, 천연보호구역, 자연경관, 역사문화경관, 복합경관으로 구분한다. 더불어, 인위적 경관을 조성하는 행위를 전통조경으로 정의하고 새로운 활성화 정책을 담아냈다. 새롭게 정립된 전통조경의 개념으로 기존 업무와 관행의 변경도 요구되고 있으며, 가치 보존 중심의 행정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데 있어 전통조경이 가지는 기여도와 위상은 더욱 높아지리라 짐작된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들이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식을탈피하여 정부와 전통조경 전문가 및 소유주가 협업하는 적극적 방식의 도입을 통한 전통조경의 가치 보존을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After 60 years since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Korea’s national system of protecting what has been valued has been transformed into a ‘National Heritage System’. To meet the new system, the classification of national heritage has been re-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s cultural heritage, natural heritage, and intangible heritage. In accordance with the sub-classification, acts for cultural heritage act and intangible heritage has been amended and act for natural heritage has been enacted. Act for natural heritage defines natural heritage as natural objects or cultural heritage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al environment. The sub-classification are categorized as follows; animal, plant, geological and natural reserves, natural landscapes, historical-cultural landscapes, and mixed landscapes. It also allows creating traditional landscapes so that traditional way of landscaping can be encouraged and integrated with modern life within historic environment. In line with the new concept of traditional landscaping, existing practices will be also needed to be changed. Traditional landscaping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setting out the new administrative paradigm which focuses on more value preservation. This paper recommends that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experts of traditional landscaping, and owners should be established to integrate the new policy in practice.

      • KCI등재

        북한의 문화재 보호관리기관 연구―‘민족유산보호국’의 변천과 최근 변화를 중심으로―

        남보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4 No.-

        This study summarized the process of which the central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organization is being established by concentrating on the transition of the ‘National Authority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a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institution.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North Korea organized a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institution, and established the central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institution through the forming ‘The Department of Conserv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1970s after passing through a transition period. Although the name of the management institution was frequently changed, its major tasks showed a tendency of being embodied and institutionalized. Moreover, basic tasks such as collecting, evaluating, registering, and managing cultural heritage were also supported by the laws. Meanwhile, North Korea has exerted to register the cultural heritage to the UNESCO heritage from around 2000 to the latest and conducted the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s well as a project called ‘Introduction & Propaganda’ of North Korean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exchanges between two Koreas and those with European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Germany, which continued to immediately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In this process, it was an opportunity to accept ‘advanced technologies that meet global trends.’ 한반도의 문화재는 남과 북이 같은 역사를 공유했다는 실증의 산물로, 북한이 펼치는 문화재 보호관리정책은 북한만의 것이 아니라 한반도의 문화재를 함께 향유하기 위해 우리 모두의 지속적인 관심과 이해가 꼭 필요하다. 본 논문은 북한의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인 ‘민족유산보호국’의 변천에 집중하여 중앙 문화재 보호관리조직이 확립되어 가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북한은 해방 직후부터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을 조직하였고, 과도기를 거쳐 1970년대 ‘문화보존총국’을 수립하여 중앙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을 확립하였다. 관리 기관 명칭이 자주 변경되었지만 그 업무는 구체화되고 제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문화재 보호 대상뿐만 아니라 문화재 수집 및 평가와 등록, 보호 관리 등과 같은 기본 업무 역시 법으로 뒷받침하였다. 한편 북한은 2000년 전후부터 최근까지 유네스코 등록유산 등재를 위한 활동과 코로나-19 발생 전까지 이어진 프랑스와 독일 등과 같은 유럽국가와의 교류 및 남북 교류를 통한 북한 문화재 ‘소개선전’사업뿐만 아니라 인적⋅물적 교류를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세계적인 추세에 맞는 선진기술’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대북제재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1980년대부터 꾸준하게 이어져 온 문화재 국제교류라는 외부동인이 제한된 상황이지만, 북한은 문화재 교류를 위해 ‘민족유산보호국’을 필두로 ‘조선민족유산보호기금’을 설립하고 ‘조선민족유산보존사’의 기능을 강화하였으며 최근까지 유네스코 등록유산에 대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국립무형유산원의 역할 증대방안 모색- 시·도무형문화재 기록화 사업을중심으로-

        홍태한 국립무형유산원 2018 무형유산 Vol.-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increase the roles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Center. This author insists that after we examine the directivity of the documentation projectfor each of the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shouldplay initiative roles. First of all, this researcher has looked into the result of the documentationproject for each of the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though several metropolitancities and provinces have attempted it, none has completed the documentation on all kindsof events entir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outcome of the project, thisresearcher sugges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rectivity of the documentation project for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each of th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build up roles forthe members of divisions in charge, develop guidebooks desirably, and also secure a precisesystem for consultation with academic experts or such. However, as it is not easy to build upthe proper identity of the project in each of th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t is neededto increase the roles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1) toform an organic group with civil servants in charge of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to increase organs 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also National Intangible HeritageCenter, 3) to develop and distribute a variety of manuals, and 4) to provide all the organizationsthat establish archives with central role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fact that Jeonju where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is located is a city equipped with cultural redundancy, thisauthor suggests that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should be the core of researchinginto, safeguarding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heritages. 이 글은 국립무형유산원의 역할 증대 방안을 모색한 글이다. 각 시·도무형문화재 기록화 사업을 중심으로 방향성을 검토한 후 국립무형유산원이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먼저 각 시·도무형문화재기록화 사업 성과를 살폈다. 여러 시·도에서 수행하였지만 온전하게 모든 종목을 기록화한 시·도는 아직 없다. 이러한 사업 성과를 검토한 결과 각 시·도무형문화재 기록화 사업의 방향성 정립이 필요하다는 점, 주무부서 구성원들의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는 점, 제대로 된 가이드북이 필요하다는 점, 학술전문가의 자문등 구체적인 시스템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각 시·도에서 사업의 정체성을 제대로 확립하기가 쉽지 않아 국립무형유산원의 역할이 증대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리하여 1) 시·도무형문화재 담당공무원과의 유기적인 조직 결성이 필요하다. 2) 문화재청 및 국립무형유산원의 조직 확대가 필요하다. 3) 다양한 매뉴얼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4)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모든 조직의 중심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국립무형유산원이 자리잡은 전주가 문화 중첩성을 가진 도시임에 주목하여 국립무형유산원이 무형유산 연구 및 보전, 전승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 신법(新法) 체제에 따른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의방향성 검토

        홍태한 국립무형유산원 2016 무형유산 Vol.-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vity of a national research project onintangible heritages (Comprehensive Survey of the Korean Intangible Heritage) according tothe new law system (Act on Safeguarding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has taken effect in 2016.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not all areas included in it but mainlyshamanistic rituals and Buddhist rituals. This author suggests how to improve it as follows:first, it is necessary to set its direc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national, and municipal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ore examination should be done to figure outwhich needs to receive more attention between regionality and nationality. Second, thenew law has extended the subjects that can b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cause “usual” intangible heritage elements can also b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heritage, we should consider how to deal with the “usualness.” Third, the subjects oftransmissions are diversified; hence, how to establish identity is important. Fourth, thearea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extended, so we should consider how to setup the center of transmit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ifth, intangible heritage existsin a complex way.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how to harmonize partiality with totality. Sixth, it is neede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research paying attention to the original andthe model, one of the recently arising issues. These six points suggested here are aboutthe directivity of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the new law system. Also, based on that, thisresearcher suggests the case of Seoul Gutdang and proposes the directivity of research onintangible heritage. Concerning Buddhism, this author suggests everyday life and seasonalcustoms in each year to examine the directivity in detail.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consider seriously who should be in charge of the national research project on intangibleheritage to be launched from next year: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or anotherexternal institution. We are highly expecting the initiation of the national research project onintangible heritage. We all hope that the will be conducted as desired. 이 글은 2016년 새로 발효된 신법 체제를 바탕으로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의 방향성을 검토한 글이다. 무속의례와 불교의례를 대상으로, 이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를 제시했다. 첫째, 국가 및 시·도무형문화재 현황을 바탕으로 한 조사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지역성과 전국성 중에서 어느 쪽에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인지 검토가 있어야 한다. 둘째 신법에 따라 무형문화재 지정 대상이 확대되었다. 따라서 일상적인 무형유산도 무형문화재 지정대상이 되어 일상성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를 궁리해야 한다. 셋째 전승주체가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정체성을 어떻게 확립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넷째 무형문화재 영역이 확대되었다. 따라서 무형문화재 전승의 중심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고려해야 한다. 무형유산은 복합적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부분성과 총체성을 어떻게 조화시켜야 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 다섯째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원형(原型)과 전형(典型)을 염두에 둔 조사 방향성을 고민해야 한다. 이러한 다섯 가지로 제시한 것은 모두 신법 체제를 염두에 둔 조사 방향성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의 굿당 사례를 제시하여 무형유산조사의 방향성을 제시했고, 불교의 경우는 일상생활과 일 년 세시풍속을 모두 제시하여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살폈다. 아울러 내년부터 시작되는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을 국립무형유산원이 맡을 것인가, 외부기관에 맡길 것인지에 대해서도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앞으로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사업에 거는 기대가 크다. 바람직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후보

        북한의 전통음악관련 무형유산의 전승과 남북한 협력 방안

        배인교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7

        This article examined the North Korean leaders' perceptions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toseek future directions of the transmission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and perspectives forcooperation or mutual complement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uring the reign of Kim Il-sung , North Korea generally concentrated on the socialist or (north)Korean style succession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s. That is, North Korea did not leave themusic of the past as a thing of the past, but critically inherited it so that the music of the pastcould continue living in real life, and demanded the music of the past to melt modern senseson it. During the reign of Kim Jong Il , North Korea tended to emphasize national cultural heritagesmore than the reign of Kim Il-sung , but North Korean perceptions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especial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hanged at the beginning of the 2000s. That is, alongwith modern succession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North Korea began to be interested inthe preservation of the 'archetypes'. In the reign of Kim Jeong-eun , which began in December 2011, North Korea enactedthe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Act」 (2015)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and it becamethe foundation for the registration of North Korean music as cultural heritages as UNESCO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f Humanity and the designation of those as national nonmaterialcultural heritages and local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s. However, in contrastto the emphasi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t the national level, it can be seen that theperformance and creation of national music in the field of music were not as active as inprevious periods. Therefore, in order to inherit the national common musical heritages in the times of SouthKorea-North Korea reconciliation, the efforts to identify and match the statuses of eachcountry's music culture while referring to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or culturalheritages based on the archetypes of region-based musical heritages should be made first.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widely educate tha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common musical heritages. Based on the basic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usicalheritage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ce to confirm the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music as cultural heritages,and furthermore, the national homogeneity. 이 글은 북한 지도자들의 음악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남북의 음악문화유산 전승의방향과 협력, 혹은 상호 보완의 관점을 모색한 글이다. 김일성이 집권하던 시기에는 대체로 민족문화유산의 사회주의적, 혹은 (북)조선적 계승에 집중되어 있었다. 즉 과거의 음악을 과거의 것으로 남겨두지 않고 현실 생활에서 계속해서 살아 움직일 수 있도록 비판적계승을 하며, 그 위에 현대적인 감각을 녹여 낼 것을 요구하였다. 김정일 집권기에는 김일성 시대보다 더욱 민족문화유산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족문화유산, 특히 무형유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다. 즉 음악문화유산의 현대적 계승과 함께 ‘원형’의 보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2011년 12월에 시작된 김정은시대에는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민족유산보호법」(2015)을 제정하였으며, 이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와 국가비물질문화유산 및 지방비물질문화유산의 지정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 차원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강조와 달리 음악현장에서는 민족음악 연주와 창작이 이전 시기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남북한 화해의 시대에 민족 공동의 음악유산을 전승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한 음악유산의 원형성을 기준으로 문화재, 혹은 문화유산 지정을 참고하면서 각국 음악문화의 상태를 확인하고 맞춰가는 노력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남북한이 공동의 음악유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널리 교육할 필요도있다. 이러한 남북의 음악유산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남북한 음악문화유산의 계승과발전, 나아가 민족적 동질성을 확인하는 자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