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교 <국제법>의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상우 ( Sang Woo Chong ) 한국법교육학회 2015 법교육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과 중 심화과목에 해당하는 <국제법>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9개정 교육과정(2012수정고시)에서는 고등학교 교육과정 중 <법과 정치>와 <국제법>에서 국제법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제법>은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국제법 현실에 비추어 고등학생들에게 교육될 필요가 매우 높다. 그러나 <국제법>의 경우 국제고등학교 등의 일부 학교에서만 실제 수업에 채택되고 있어 학습사례가 적다. 이에 따라 관련 논의 및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아 제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현재까지 별다른 수정 없이 문제점을 내포한 채 유지되어 왔다. 현행 고등학교 <국제법> 교육과정에서는 국제법과 국제정치의 혼동, 체계의 중복(예: 국제기구), 국제법 주체로서 개인의 지나친 강조, 국제법이 아닌 국제사법의 교육,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소홀, 국제법 개별 영역에 대한 무관심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국제법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향상시키며 국제법 교육의 취지를 살릴 수 있는 성취기준의 개선안을 탐색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Law>, a specialized high school course in South Korea, and provide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Under the Amendment to the 2009 Curriculum (Modification Notice in 2012), education on international law is provided through two high school courses: <Law and Politics> and <International Law>. Given the reality of the international laws that South Korea faces, it is highly necessary to educate high school students on the subject of <International Law>. There are only a few actual cases of classrooms teaching <International Law>, however, as the course has only been adopted by a limited number of high schools, such as international high schools. Accordingly, since the start of the 7th Curriculum, the course has continuously been subject to problems, without any particular solutions being presented. The problems found under the current high school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Law> include: confusion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politics, redundancy of systems (e.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xcessive emphasis on individuals as the main agents of international law, education in private international law instead of international law, insufficient educa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municipal law, and indifference to individual areas of international law. This study provided exploratory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order to addres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llow students to become interested in international law and strengthen the purpose of international law education.

      • KCI등재

        공법 : 다문화가족 지원에 관한 법체계 개선 방안 연구

        정상우 ( Sang Woo Cho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법학논총 Vol.26 No.1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examine changes of the law system according to the growing Multi-cultural Families recently in the day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nd seek possible legal solutions to this social issue. Even though we have already entered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number of immigrants have increased, our related acts and the policies for the multi-culture only focus on the aliens` policy and barely stay around the assimilation policy or regulation of foreigners. Especially, some specific laws such as "the Fundamental Act on Foreign Residents in Korea", "the Management Act of Marriage Brokerage Business" and "the Supporting Act for Multi-cultural family" have been enacted to support the Aliens` policy and th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However, overall supporting policy for Multi-cultural families isn`t systemic and duplicated and also foreign residents in Korea are regarded as an objects of the policy so far. "The Supporting Act for Multi-cultural Family" is a very progressive and advanced law in the way of human-rights; however, their relationship with policies on foreign residents, redundancies in the legal system, and other problems still remain to be resolved.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legal solutions to improve the acts related to the issue, which ar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policy and foreign resident policy, define ideal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Korean society, introduce multicultural viewpoints in the related acts, and determine the division of authority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 KCI등재

        근현대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법정책학적 연구

        정상우(Sangwoo Chong),임초롱(Cho-long Lim)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1 No.1

        현행 「문화재보호법」 체계 하에서 근현대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등록문화재 제도가 2001년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한편 제도적 한계 및 법적 공백으로 인한 보완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대두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 근대건조물 또는 미래유산 관련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등도 제정되어 근현대문화유산을 보호하는 법체계가 발전되어 왔다. 이 연구는 근현대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법체계를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현대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철학적 기초로서 근현대문화유산 보호 원칙과 근현대문화유산의 유형을 새롭게 하고자 하였다. 보호 체계에 있어 시·도등록문화재 제도, 현대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예비문화재 제도, 근현대문화유산의 면 중심 보호를 위한 근현대문화유산지구 지정 제도 등을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등록문화재의 적극적 보호를 위해 행정명령, 수리 명령, 안전 기준 마련 등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 외 등록문화재의 활용 권장을 통한 지정문화재와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국민의 자발적 보호와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2001), a registra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protect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in Korea.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has been evaluated positively because it has laid the basis for preserving and utilizing modern and cultural heritage. Although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due to institutional limitations and legal vacancies has been continuously arising. In recent years laws and local government ordinances have been enacted, such as The Act on Promotion of Building Properties such as Hanok, in order to develop and protect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egal system in place to protect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In order to protect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breaks down protection principles and proposes the protection of buildings and property equally. This study further proposes a city cultural property registration system, a preliminary cultural property system for so-calle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and a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district designation system for protecting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To actively protect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gives specific examples of administrative orders, repair orders, and safety standards. It proposes differentiation of cultural properties through the use of a cultural heritage registration system, and recommends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people to voluntarily protect cultural properties.

      • KCI등재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 시기의 「조선민주주의임시정부 헌장안」에 관한 연구

        정상우(Chong Sang-woo) 한국헌법학회 2008 憲法學硏究 Vol.14 No.2

          According to the Moscow Declaration, on May 21, 1947, the U.S.-USSR Joint Commission reconvened in Seoul. When the Joint Commission agreed to limit its work to the adoption of a formula to create the provisional democratic government in Korea,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s applied for consultation. The “Proposed Charter of the Provisional Korean Democratic Government” had been prepared by Subcommission #2(Gen. Weckerling) in American Delegation of Joint Commission<BR>  This Draft contains not only organiz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t also the charter of human rights. The main contents of the Proposed Charter of the Provisional Korean Democratic Government are like the following:<BR>  First, the provisional government should be so constituted that its transition into the permanent government should be automatic and without dislocation of the orderly processes of government.<BR>  Second, the Joint Commission or other designated agency will delegate specific powers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this charter.<BR>  Third, there are detailed provisions about habeas corpus in bill of rights.<BR>  Fourth, in the form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following methods will be considered: (1) Separation of powers (2) National Assembly elected by general elections. A impeachment against the government. (3) Chief of State, Deputy Chief of State, 12Ministers, National Army and Coast Guard (4) Organization of Courts (5) Local self-government<BR>  But as the U.S.-USSR Joint Commission was broken off, “Proposed Charter of the Provisional Korean Democratic Government” could not practice its constitutional embodiment. So the draft had no effect on the Constitution of Korea in 1948.   일제 강점기 이후 한국은 미국과 소련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고, 모스크바 3상회의 결과에 따라 임시정부 수립 방법(신탁통치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미소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다. 1947년에 열린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에서는 한국의 정당? 사회단체들로부터 답신안을 받았고 미국과 소련 양측은 협상안을 마련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대표단 제2분과위원회의 웨커링을 중심으로 작성한 것이 「조선민주주의임시정부 헌장안」이다.<BR>  조선민주주의임시정부 헌장안은 임시정부의 수립 절차에 있어 시정국의 권한 위임과 유보, 권리장전에 관한 규정, 임시정부 수립의 구체적 방법과 통치구조에 관한 규정들을 두었다. 그 주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BR>  첫째, 임시정부는 남북한 통일된 형태로 구성되며 궁극적으로 정식 정부 수립으로 연결된다. 둘째, 미소공동위원회 또는 시정국들은 이 헌장에 따른 임시정부에 특정한 권한을 위임하거나 또는 유보한다. 셋째, 임시헌장안에는 권리장전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신체의 자유에 대한 상세한 규정이 있다. 넷째, 통치구조는 엄격한 삼권분립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정부 구성에 있어서는 미국이 원하는 바에 따라 인구비례에 따른 보통선거를 우선적인 방안으로 채택하였다. 입법부에는 주석에 대한 탄핵권, 법률안 거부권 등이 부여되었다. 사법부의 조직에 관한 규정을 두었다. 지방정부에 대한 규정도 별도의 장으로 하였다.<BR>  그러나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됨에 따라 미군정이 구상한 임시헌장안은 실행되지 못하였다. 다만 임시헌장안은 미군정이 남한에 수립하고자 하는 정부의 지향점을 담고 있었다. 따라서 한국에서의 헌법 제정 논의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더라도 우익 중심의 헌법 제정 과정을 묵인하게 되는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논문(論文) : 다문화교육을 위한 법체계 분석과 입법 대안 모색

        정상우 ( Sangwoo Chong ),박지인 ( Jiin Park ) 대한교육법학회 2015 敎育 法學 硏究 Vol.27 No.2

        한국 사회는 이주민의 지속적인 증가로 다문화사회에 대비한 다양한 법령이 제정되거나 정비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정책 중의 일부이기도 하지만, 다문화교육의 개념 속에 차별금지, 사회적응 지원, 교육개혁 등 교육법적 관점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이 글에서는 다문화교육이 관련 법령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특히 다문화교육의 의의와 취지를 잘 구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의 의의를 소개하고 다문화교육의 내용요소를 제시하였으며, 미국의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대표적인 입법례에서 시사점을 얻은 후, 이들을 기초로 다문화교육 관련 법령에서 다문화교육이 구현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의 내용요소를 이주민에 대한 차별 금지, 사회적응을 위한 교육 지원, 학습권의 실질적 보장, 모든 학생 및 사회구성원 일반에 대한 다문화이해교육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다문화교육이 이주민에게 한정되어 강조되고 있었고 복지 차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띠고 있었다. 그리고 이주나 국적 이외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 대한 다문화교육, 모든 학생과 시민을 위한 다문화이해교육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의 대상 및 범위 확대, 이주민에 대한 이중언어교육과 적극적 우대조치, 다문화이해교육의 강화, 독립된 다문화교육지원법의 제정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In Korean Society, a variety of statutes have been enacted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stressed in preparation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the sustained increase in migrants. Even i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a part of the multi-cultural policy, as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mplies the point of view from the law of education such as non-discrimination, support of social adaptation, education reforms etc., it is necessary to examine it on its ow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anted to examine how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the relevant legislation, in particular whether the significance and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well. In order to achieve them,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how this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critically on the basis of extracting the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obtaining the implications of the representative cases of legislation in the U.S.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possible to organize the content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o the non-discrimination, ensuring the right of education along with the educational support, training support for social adaptation, and educating all students and general members i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However, this country appeared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limited only to the migrant people and showed a tendency to recognize it only at the level of welfar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on more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han that of migrants and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of all students and citizens were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expanding the target and scope of multi-cultural education, bilingual education and the affirmative action for migrants, strengthening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and the legislation of the independent multi-cultural education acts as the measures of improvement.

      • KCI등재

        1948년헌법 제정과 국가공동체의 통합

        정상우(Chong Sang woo) 한국헌법학회 2015 憲法學硏究 Vol.21 No.3

        이 글은 헌법과 국가공동체 통합의 관계를 우리나라 제헌사를 통해 탐색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사실 1948년헌법은 남북분단과 남한 내에서도 일부 정치세력들이 배제되어 가는 과정을 통해 제정되었다. 1948년헌법이 헌법제정으로서 정당성을 갖고 국가공동체 통합에 기여했음은 물론이지만, 이러한 점에서 일정한 한계와 과제도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헌법 제정 과정에서 국가적 통합을 위한 합의는 어떠한 절차를 통해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고, 헌법의 구체적 내용들은 국가공동체를 어떻게 통합시키고자 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1948년헌법 제정 절차와 관련해서는 미군정 하에서의 헌법 제정 논의, 헌법제정기구의 정당성, 남북 분단과 헌법 제정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헌법 제정 내용과 관련해서는 민주공화국, 인권, 권력구조, 경제질서, 식민지 청산 등을 중심으로 헌법 제정 논의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했거나 헌법 제정 참여자 간에 다양한 시각과 해석의 여지를 두었던 점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로써 1948년헌법이 제정 당시부터 국가공동체의 통합에 대해 어떠한 과제를 갖고 어떻게 기능하였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of enactment of constitution and national community integration in process of creating the korean constitution. In fact, the 1948 Constitution had been enacted in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even in the elimination of the part of the political forces. The 1948 constitution had the legitimacy as Constitution and was to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of the national community of course, but also has certain limitations and challenges in these respects. Therefore, we reviewed what progress had been for the agreement for national integration in the course of the enactment of Constitution, and how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Constitution integrate the national community. In relation to procedures of the enactment of korean constitution, we look through the discussion under the US military, the validity of constitutional assemb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south divide and the Constitution. In connec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Constitution, Democratic Republic, human rights, power structure, economic order, and colonial liquidation were examined how these worked for the integration of the national community. As a result, we tried to understand whether the 1948 Constitution had any such problems for the integration of the country community.

      • KCI등재

        1987년 헌법개정안 형성과정 연구

        정상우(Chong Sang woo)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6 世界憲法硏究 Vol.22 No.1

        1987년헌법은 우리나라 헌정사에서 민주항쟁의 결과로 여야 합의로 개정되고 국민투표를 거쳐 확정되었으며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는 최장수 헌법이다. 현행 헌법은 1987년 민주화 과정을 통해 탄생하였는데 특히 1986년 각 정당 헌법개정안이 나온 이후 당시 대통령의 호헌 발언, 6월 민주화항쟁과 6ㆍ29선언, 대통령직선제 합의 등 정치적 격동의 과정에서 국민적 헌법개정의사가 적극적으로 표출되는 과정을 통해 탄생하게 된 것이다. 1987년헌법 개정안이 구체화되는 절차는 8인 정치회담과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에서였다. 8인 정치회담에서 대통령 직선제 등 주요한 쟁점사항은 사실상 국민적 요구를 수용하기로 하였기 때문에 약 1개월이라는 비교적 길지 않은 시간에 헌법개정안 협상을 진행하였다. 정치적인 쟁점의 타협과 합의는 8인 정치회담에서 이루어졌지만 헌법개정안 조문화는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졌다. 정부형태에 있어서는 민주정의당안에서는 대통령 직선, 임기 6년의 중임 금지, 부통령이 없었던 반면 통일민주당안과 신한민주당안은 대통령과 부통령의 직선 단일투표제, 4년 1차 중임, 부통령 신설, 국무총리 존치라는 특징을 띠고 있었다. 사법부에 있어서 통일민주당안과 신한민주당안은 법관추천회의를 신설하였고, 민주정의당안에는 헌법재판소를 신설한 것이 특징이었다. 1987년헌법 개정이 우리나라 헌법개정사에 있어 민주항쟁과 여야합의에 기초한 민주적 헌법개정이라는 평가가 많지만, 개헌안 형성과정에서 일반국민과 충분한 의사소통절차를 거치지 않았다고 보는 비판적 견해도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당시 헌법개정에 참여했던 국회의원들은 대체로 6월민주항쟁으로 국민들의 의사가 충분히 표출되었고 정치권은 이를 충실히 반영했다는 입장이다. 1987년헌법개정안 형성과정을 살펴보았을 때, 헌법개정안 마련을 위한 국회의 특별위원회 또는 자문위원회 등의 구성은 헌법개정의 담당자를 정하거나 헌법개정의 방향성을 정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정당성을 최대한 높인 방식을 채택하여야 한다. The present Korean Constitu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democratizing process in 1987 and was revised and reformed according to people’s active expression of intention for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t was made by an elite-driven proposal of constitutional reform such as the talk of eight. The bill fo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87 was finalized at the talk of eight and the special commission fo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the National Assembly. Because the people’s voice on major issues including a direct presidential election system was heard at the talk of eight (8), the revised bill of the Constitution was negotiated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bout one month. At that time, there was some resistance to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by the people, but it seemed hard to deny that the actual establishment of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was made by the decision of some politicians and an elite negotiation. In terms of the form of government, there was negotiation between the direct election system of a single six-year term suggested by the Democratic Justice Party, and the president and vice president system of two four-year terms suggested by the opposite party. Also, the form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proposed by the Democratic Party was adopted, but a judicial nominating commission proposed by the opposite party was not adopted.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a system of constitutional appeal was added.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n 1987 is the most democratic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onstitutional reform, but there is an another view that the bill for Constitutional Reform did not include adequate communication with people, which was a problem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bill for the Constitutional Reform. However,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ho were involved in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have said that people’s opinions were adequately expressed through the June Democracy Movement in 1987 and the political circles adequately reflected such people’s opinions. The formation of a special commission for the bill for Constitutional Reform at the National Assembly may affect the Constitutional Reform process. Therefore, it should adopt the system which maximizes its legitimacy.

      • KCI등재

        국제협약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문화유산 보호 법제도의 과제

        정상우 ( Sang Woo Chong ),정필운 ( Pil Woon Jung ) 한국법정책학회 2011 법과 정책연구 Vol.11 No.3

        최근 문화재보호는 국제적 기구와 국제적 규범들을 통하여 국제화되고 있다. 특히 유네스코를 비롯하여 세계유산위원회, 문화재반환촉진정부간위원회, 국제문화재보존복원센터 등 국제기구와 다자간 협의체, 민간기구가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 문화재의 보호 및 불법반출입된 문화재의 반환을 둘러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국제협약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국제기구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면서 문화재보호법이 국제적 규범 수준에서 집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문화재보호법은 국제적 규범과 다소 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고 문화재 보호의 법정책이 보다 발전할 수 있도록 국제적 규범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문화재보호법의 실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Recently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becomes a globalized issue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regula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ESCO, WHC(World Heritage Committee), ICPRCP(Intergovernmental Committee for Promoting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CCROM(International Centre for the Study of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y), multilateral consultative bod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working in various fields. Furthermore, many international are made for resolving issues o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nd restitution of cultural treasures. Korean government tries to implement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regulation, and to take an active role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owever, the current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of Korea differs a little from international regulation. This thesis suggests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s aims to achiev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polices and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