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운동 기술발달: 생애 신체활동을 위한 개념 모델

        고선숙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2

        As The use of different terminology for different age groups when describing human movement is a demonstration that movement development takes place throughout one's life. The reason wh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motor development that can be carried out throughout life is that motor development in childhood/childhood and adolescence is related to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roughout life until old ag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asic motor development model, which is the existing conceptual model of motor development, is expanded to examine the basic motor development model, which is a motor development model for the whole life. The importance of the basic movement skills stage is because it is the time to create the foundation for a wide range of motor skills throughout the life and to manifest the greatest potential for the next level of motor skills acquisition. Existing studies on motor development were expanded by broadening the classification of motor skills that are important fo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which are defined as basic motor skills, recognizing the potential cultural and geographical specificity of motor skills, and embodying properties such as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weight status, and psychological structure that affects lifelong motor development. The core of the motor development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ol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rough the interactio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the development of movement skills throughout life. Therefore, ongoing discussions on this topic will help advance the application of motor development principles within the field of health education. 인간 움직임을 설명할 때 연령대에 따라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움직임 발달이 전 생애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전 생애에 걸쳐 수행될 수 있는 운동발달의 이해가 중요한 이유는 유/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운동발달이 노년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건강 및 삶의 질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운동발달 개념 모델인 기본운동발달 모델을 확장하여 전 생애에 걸친 운동발달 모델인 기초운동발달 모델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본 움직임 기술 단계의 중요성은 전 생애를 통해 광범위한 운동기술 능력을 위한 토대를 생성하고 다음 단계의 운동기술 습득을 위한 가장 큰 잠재력을 발현하기 위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기초운동 기술로 정의되는 신체활동 참여에 중요한 운동기술의 분류 폭을 넓히고, 운동 기술의 잠재적인 문화적, 지리적 특수성을 인식하고, 건강관련 체력, 체중 상태, 생애 움직임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구조와 같은 속성을 내재함으로써 기존 운동발달 연구를 확장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운동발달 모델의 핵심은 전 생애 에 걸친 움직임 기술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요인과 심리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통한 신체 및 심리적 요인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주제에 관한 지속적인 논의는 건강 교육 분야 내에서 운동 발달 원리들의 응용을 진전 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운동발달 및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혜정,Kwon, Hye-Jeoung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01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IT) on sensory' motor development and adaptive behavior of cerebral palsy children.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quasi experiments with a non-equivalent pre- and post-test control design. Subjects of the study were arbitrarily chosen based on predetermined selection criteria among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ho were treated as out-patients at two rehabilitation hospitals one in Seoul, and the other in Kyunggi-do.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early April and late July in 2000. Fifteen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eleven in the control group. The allocation was done based on ease of experimental treatment. A five-step SIT program was devised from a combination of SIT programs suggested by Ayres(1985) and Finks(1989), and an author-designed SIT program for cerebral palsy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20 to 30 minutes of SIT per session. two sessions a week for ten -week period. The effects of SIT were measured with respect to 9 sub-areas that can be administered to cerebral palsy children out of a total of 17 sub-areas in the Southern California Sensory Integration Test (SCSIT) developed by Ayres (1980). In addition. the scale developed by Russell (1993) for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and Perception Motor Development Test developed by 中司利一 et al.(1987) were also applied. Adaptive behavior was analyzed using guidelines in two unpublished documents - School-Age Checklist for Occupational Therapy by the Wakefield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es, and the OTA-Watertown Clinical Assessment by the Watertow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es-, and an author-developed Adaptive Behavior Checklist.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PC for chi square test, Mann-Whitney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sensory developmen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a score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s in all. 9 sub-are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ly right-left discrimination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2. In gross motor develop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s in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ine motor developmen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sub-area analysis, figure synthesis showed positive change. 3. In adaptive behavior development, post-experimental adaptive behavior scores were higher compared to pre-experimental scor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urthermore, sub-areas emotional behavior, perception behavior, gross-fine motor function, oral-respiration function, motor behavior, motor planning, and adaptive response exhibited higher scores after SIT. In conclusion SIT was found to be partially effective in sensory and fine motor development, effective in all adaptive behavior areas, and not effective in gross motor development. Thus, this study has shown that SIT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sensory development, fine motor development, and adaptive behavior for cerebral palsy children. But, for the effectiveness of SIT on gross motor development, further studies employing longer-time experiments are recommended.

      • KCI등재

        운동발달 평가도구의 고찰과 현장적용 사례

        한동욱,김민주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review motor development assessment tools, 2)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ols and 3) provide the application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researchers related motor development and physical education. MABC-2 is used to assess overall motor development including manual dexterity, gross motor skill, and balance. This assessment tool especially is suitable for screening motor delay. TGMD-2 is used to assess twelve gross motor skills and the result from TGMD-2 is applied to plan and evaluat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r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this study, these two assessment tools were reviewed and the application to apply into school setting was reported. [METHOD] The literatures related these tools were reviewed to introduce how to assess motor development with these tools and the appli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and research. [RESULT] MABC-2 was used to assess overall levels of motor development including manual dexterity, aiming and catching, and balance and was took about forty minutes per one person. The results from MABC-2 were interpreted that the score below 16% means motor delay sufficient and the score below 5% means motor delay, respectively. TGMD-2 was applied to assess gross motor skills, six locomotor skills and six object manipulation skills, and modified in order to assess the numbers of children in a shorter time slot than a original assessment setting. [CONCLUSION] MABC-2 and TGMD-2 were applied to assess the levels of motor development and to screen and devide participants into research group. Also, these tools can be utilized to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with respect to motor coordination for physical education or research. [목적] 본 연구는 운동발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도구를 비교하고,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과 그 목적에 따른 평가도구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 중 운동발달의 지연여부를 판별하여 연구 대상자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Movement Assessment of Battery for Children-2(MABC-2)와 체육교육 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12가지의 대근운동기술을 평가하여 운동프로그램의 계획 및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2(TGMD-2)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운동발달 평가도구와 이를 활용한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국내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제 간 연구와 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활용방안을 제언하기 위하여 S 대학교에서 진행하는 운동발달 프로그램과 체육영재센터에서 평가도구들이 활용되는 현장적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결과] MABC-2는 소근운동기술, 대근운동기술, 균형 등의 전반적인 운동발달 수준을 40분 이내에 평가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가 16% 미만일 경우 운동발달 지연의심, 5%이하일 경우 운동발달 지연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는 향후 운동능력에 따른 연구 대상자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TGMD-2는 6개의 이동운동기술과 6개의 물체조작기술의 발달 수준을 평가할 수 있으며, 중재 프로그램의 계획 및 진단 그리고 개인별 운동기술 수준을 평가할 수 있어 체육 또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활용이 가능하다. 일반 아동과 체육영재 아동 모두에게 사용이 가능한 이 평가도구는 기본운동기술과 스포츠기술이 발달해야 하는 초등학교 시기의 운동발달을 평가하기에 적합하며, 그 사용방법도 다른 평가도구에 비해 간편하여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MABC-2와 TGMD-2는 아동의 운동발달 수준을 평가할 뿐 아니라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연구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체육교육이나 신체활동 지도 시 보다 구체적인 운동협응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적장애 아동의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에 따른 대근운동숙련도와 대근운동발달의 관계

        최범권 ( Bum Kwon Choi ),노형규 ( Hyoung Kyu Ro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의 장애 판별 준거인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에 따른 대근운동숙련도 및 대근운동발달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7세~10세의 지적장애 남자아동 113명으로 연령대별 분포를 고려하여 유목적적 표집방법을 통해 선정하였다. 이어 각각의 대상자들에게 국립특수교육원 한국형 개인 지능검사(Korea Intelligence Test for Children Kit; KISE-KIT), 국립특수교육원 적응행동발달검사(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Scales of Adaptive Behavior; KISE-SAB), 대근운동숙련도검사(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MP) 및 대근운동발달검사(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Second Edition; TGMD-2)를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에 대한 계량적 자료를 확보하였다. 각각의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분석목적에 따라 사례별로 분리하여 입력하였으며, 본 연구의 핵심 연구문제인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에 따른 대근운동숙련도와 대근운동발달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동작성 인지능력은 대근운동숙련도의 하위요인인 균형능력을 제외한 속도, 협응, 힘능력과 대근운동발달에 해당하는 조작 및 이동운동기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성 인지능력은 대근운동숙련도의 속도 및 균형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념적, 사회적 적응행동은 대근운동발달의 조작 및 이동운동기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제적 적응행동은 대근운동숙련도와 대근운동발달의 모든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능력은 대근운동숙련도에, 적응행동은 대근운동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적장애 아동들의 인지능력 및 적응행동 발달이 대근운동숙련도 및 대근운동발달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gnitive ability and adaptive behavior development on the gross motor proficiency and gross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For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137 children(age from 7 to 10) with ID, in the Seoul and Kyung-gi province. Several different instruments included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korea intelligence test for children(KISE-KIT) for cognitive ability,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scale of adaptive behavior(KISE-SAB) for adaptive behavior, bruininks-osere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MP) for gross motor proficiency, and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second edition(TGMD-2) for gross motor development were utilized. With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 ver 15.0.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cognitive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peed, coordination, and power ability. Second, verbal cognitive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peed and balance ability. Third, conceptual and social adaptive behavior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object control skill and locomotor skill. Fourth, practical adaptive behavior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factors sub-scale of gross motor development. Finally, cognitive ability more influence on gross motor proficiency than to adaptive behavior ability, however, adaptive behavior ability more influence on gross motor development than to cognitive ability.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gnitive abilities and adaptive behavior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losely related gross motor proficiency and gross motor development.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 was shown.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Its Relevance for Infants’ Mental Ability: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s of Fine Motor Development

        정미라(Mi Ra Chung),이순행(Soon Hang Lee),김종훈(Jong Hoo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영아기의 언어발달을 인지발달 및 소근육운동발달과의 관계에서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이들 발달영역 간 관련성이 12개월의 영아기 지능(MDI)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14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6개월과 9개월에는 K-ASQ를 통해 영아의 언어, 인지, 소근육운동발달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12개월에는 한국형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 제2판(K-BSID-II)을 통해 영아기 지능(MDI)을 측정하였다. 6개월과 9개월의 측정치들 간의 자기회귀와 교차지연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이들 측정치로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을 예측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통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검증하였다. 결과: 6개월의 언어와 인지발달은 각각 9개월의 언어와 인지발달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며 시간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6개월의 인지발달은 9개월의 소근육운동발달을 매개로 하여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매개모형을 지지하였다. 6개월의 언어발달은 9개월의 소근육운동발달을 매개로 하여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매개모형을 지지하였다. 또한, 언어발달이 모형에 투입되자 9개월의 인지기술과 12개월의 영아기 지능 간의 관련성은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12개월의 영아기 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기 언어의 역할을 논의하였으며, 특별히 소근육운동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두어 체화된 인지 관점에서 언어와 소근육운동발달 간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Objectives: Based on both prior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this paper tested the proposition that fine motor development longitudinally mediates the effect of infants’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on later mental ability. Methods: Three data sets from 6 months to 12 months of 114 infants were analyzed with the cross-lagged panel model. The participants’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were assessed through K-ASQ at 6 months and 9 months, and their mental ability (MDI) was assessed by K-BSID-II at 12 months. Results: The cross-lagged panel model using PATH analysis indicated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nd cognitive ability was stable over 6 months. Fine motor development at 9 months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cognitive development at 6 months on MDI at 12 months. Fine motor development at 9 months ha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language development at 6 months on MDI at 12 months. When language development was included in the predictor of MDI, cognition was no longer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ater MDI, suggesting that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gnition-MDI link. Conclusion: Because fine motor developmen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language development on MDI, early intervention efforts should target both language and fine motor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유아의 출생순위, 형제유무와 운동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재우(Kim Jae Woo),손경환(Shon Gyoung Hoa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출생순위, 형제유무와 운동발달과의 관계를 지금까지 연구되어 왔던 기존의 유관학문 분야의 연구결과와 사실적 모형을 기초로 하여 분석하고 유아기 출생순위, 형제유무와 운동발달과의 인과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유아기 출생순위, 형제유무, 운동발달의 변인을 중심으로 가설적 관계모형을 설정한 다음 각 변인 간에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출생순위와 형제 유․무와 운동발달과 관련하여 출생순위는 소근육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형제 유무는 대근육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생순위와 소근육 발달과의 관계에서 첫째, 둘째, 셋째 순으로 순위가 우위일수록 운동발달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make an empirical identification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irth order,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iblings and motor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ased on realistic models and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in related fields. In order to achieve such aim, we have established a hypothetical model that show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uch as birth order, existence of sibling and motor development during infancy. We have then, tes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birth order and existence of sibling) and dependent variable(motor development.) What we have found is as follows:Birth order is shown to ha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fine motor skill development; Existence of sibling during infancy is shown to have impact on gross motor skill development. More specific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order and fine motor skill development, it is shown that the birth order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otor skill development, i.e. the higher the birth order, the better the fine motor skills.

      • KCI등재

        Motor and Cognitive Developmental Profiles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김효인,김성우,김지영,전하라,정다와 대한재활의학회 2017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41 No.1

        Objective To investigate motor and cognitive developmental profiles an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wo developmental areas and asses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DS).Methods Seventy-eight children with 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dical history was taken and motoric milestone achievements recorded. The Korean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K-WPPSI) and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 (BSID-II) were administer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severe motor delay group (severe group) and typical motor delay group (typical group).Results Children with DS follow the same sequence of motor development and generally displayed double times of acquisition of developmental milestones compared with healthy children. Furthermore, having surgery for associated complications showed negative influence to the motor development. Almost of all children with DS showed moderate degree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motor and cognitive development do not seem to correlate one another. Conclusion Surgery of associated complications can be negatively related to motor development. However, early motor development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achievement of later cognitive functioning.

      • KCI등재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운동발달적 근거 및 향후 과제 탐색

        박혜연,유제광,김동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4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변화에 운동발달적 관점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다는 것에 주목하여, 변화의 지점과 학술적 근거를 살펴보고, 움직임중심 교육과정의 실천적 기반 마련을 위한 향후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및 운동발달 관련 자료에 대한 문헌분석(litera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시안개발 연구 자료, 교육과정문서, 공청회자료집, 그리고 국내·외 학술지논문 등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운동발달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체계는 움직임의 형식 분류, 발달적 계열성, 기본움직임기술 강조 측면에서 운동발달적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둘째,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움직임중심 체계는 운동발달 이론으로 지지될 수 있으나, 더 많은 연구를 통한 경험적 증거의 확보가 필요하다. 셋째,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기반을 견고히 하기 위해서는 움직임기술 학습 및 발달의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근거기반연구의 시행, 운동발달이론을 반영한 교수학습전략 및 평가도구 개발 등의 향후 과제가 시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운동발달전문가들의 학교체육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공헌이 증진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스포츠교육학과 스포츠심리학의 융합연구 활성화, 현장교사연구자와 이론연구자의 협업을 통한 교수학습 실행 및 사례 연구 등 다양한 경험적 연구가 증진되어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심층적 이해와 정상적인 안착을 위한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ontent system of 2022 revised curriculum actively reflected the motor developmental perspective, examines the change points and theoretical evidences of the curriculum from the motor developmental perspective, and future plans for prepari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movement-orient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is,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data related to curriculum and motor development. The 2022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raft, curriculum documents, and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 paper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and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athletic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system of revised curriculum reflects the motor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terms of movement type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al sequence. Second, the movement-centered system of the revised curriculum can be supported as a motor development theory, but it is necessary to secure empirical evidence through research. Third, in order to solidify the foundation of the revised curriculum, future tasks such as evidence-base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motor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tools reflecting motor development theory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ed sports psychologists' academic interest in and contribution to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ation of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sports education and sports psychology, and collaboration between field teacher researchers and theory researchers.

      • KCI등재후보

        아동의 성장 배경과 아동기 운동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손경환(Shon Gyoung-Hoa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1

          아동들에게 있어서 체계적인 체육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공감하고 있으며, 실제로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유아들에게 제한적이나마 체육교육을 적용하고 있지만, 유아체육프로그램을 적용함에 있어서 아동들에게 운동발달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그 외 다른 변수들에 의해 아동이기 운동발달에 미치는지는 아직 명확치 않다. 그러한 이유로 이 연구는 아동의 성장배경과 운동발달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설정하였다.<B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아동기 성장배경, 운동발달 변인을 중심으로 가설적 관계모형을 설정한 다음 각 변인들 간에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였다.<BR>  첫째,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소근육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부모의 스포츠 참여는 소근육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셋째, 아동의 스포츠 참여는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nyone would respond to the necessity of systematical physical education for infants, and in the actual infant education grounds, physical education that is restrictive is applied. However, it is still not clear whether the infant physical education program directly influences the enhancement of motor development and prosocial behavior in infants, or if other variables effects the motor development and prosocial behavior of infants.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the infants’ growth backgrounds on their motor development and prosocial behavior.<BR>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hypothetical relation patterns focusing on the variables of infanthood birth background, growth background, motor development and prosocial behavior were set, the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investigated.<BR>  Four children’s home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nd eighty kindergarten children, aged six and a half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The data of 146 children was analyzed and use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BR>  Firs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parent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fine muscles.<BR>  Second, th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fine muscles.<BR>  Third, the sports participation of the infants did influence the motor development.<BR>  In other words, in can be concluded that the growth background of infants influences the motor development.

      • KCI등재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이윤경(Yoonk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을 비교하고, 이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그리고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초기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33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 33명, 총 66명의 영유아였다. 모든 영유아들에게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와 「한국판 MacArthnr-Bates 의사소통발달검사(MB CDI-K)」를 이용하여 언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척도(CSBS)' 절차를 이용하여 의사소통행동을 측정하였다. 또한 「한국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Ⅱ(K-BSID-Ⅱ)」의 동작척도 및 인지척도를 사용하여 운동 및 인지기능을 측정하였으며, 「영유아선별.교육진단검사(DEP)」의 사회.정서 척도를 이용하여 사회.정서 발달을 측정하였다. 두 집단 아동들의 언어, 의사소통, 인지, 운동 및 사회.정서적 측정치는 대응표본 t-검정과 x2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각 집단별로 측정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1)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언어 및 의사소통에서는 물론 운동, 인지, 그리고 사회.정서적 발달에서 일반 영유아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언어발달지체 집단은 베일리 검사의 운동발달연령과 DEP의 사회.정서 측정치가 언어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일반 영유아는 K-BSID-Ⅱ의 인지 및 운동발달연령이 언어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의사소통능력에서는 일반 영유아만 행동통제 기능과 '제스처', '제스처+발성' 수단이 K-BSID-Ⅱ의 인지 또는 운동발달연령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행동 특성은 물론 인지, 운동기능, 사회성 발달 특성을 일반 영유아와 비교하여 설명하고, 이들의 언어 및 의사소통 행동을 인지, 운동기능, 사회성 발달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of toddlers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anguage, communicative 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motor, and social skills in these children. Methods: Sixty-six children (aged 19 to 34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33 toddlers with language delays (LD) and 33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TD). The toddlers in the two groups were individually age-matched (±2 months). SELSI and MB CDI-K were used to measure language abilities, and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CSBS procedure. The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s were measured using K-BSID-II, and the subtest of DEP was used to measure socio-emotional development. Total score and subtests scores of the SELSI, MB CDI-K, K-BSID-II and the DEP percentile were measured. Communicative behavior sampled using the CSBS procedure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ies of communicative behaviors, communicative functions (behavioral regulation, social interaction, joint attention), and mean uses (gesture, vocalization, vocalization with gesture, word with gesture, word). Results: (1) The LD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poor performances in motor,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for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2)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and cognitive and motor development in both groups, and a correlation with development of socio-emotion was observed only in the LD group.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LD were experienced delayed development of cognition, motor, and socio-emotion skills, as well as language and communication abilities. Their language and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se different developments, especially socio-e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