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형 기반 체육 수업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2004년-2018년 연구를 중심으로

        장경환,이기대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9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형 기반 체육 수업에 관한 최근 15년간의 국내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탐색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출판된 관련 논문 80편에 대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가장 많은 빈도수로 발표된 다섯 가지 수업 모형(스포츠교육 모형, 협동학습 모형, 하나로 수업 모형, 이해중심게임수업 모형, 책임감 모형)에 대한 각각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체육 수업 모형 연구 시사점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인성교육 사례로서 체육 수업 모형 적용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가 보다 실천적인 수준에서 필요하다. 둘째, 모형 기반 체육 수업은 교사의 모형 활용 지식을 필 요로 하며, 이와 같은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지역과 학교, 학생의 문화 적, 교육적 맥락을 고려한 수정, 변형 모형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모형 기반 체육 수업 에 관한 후속 연구 및 현장 적합성 제고를 위해 교육과정과 체육수업모형의 논리적 연결 노력, 학습자의 입 장 고려와 목소리 반영,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수업 모형에 관한 교육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 and issues of research on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80 related researche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KCI) from 2004 to 2018. As a result, five instruction models are analyzed and three implications were follow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ecessity of a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models for the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Second,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would enable teacher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and practical knowledge in model-based instruction need to be studied. Third, efforts were need to develop a modified models taking into account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context of each region and school, student, and the research needed to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began a specific model. Thus, further research on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suitability on school contexts. This study suggested the logical connection effort between curriculum and model-based instruction in physical education, consideration of learner's voice, and instruction of model-based instruction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모형기반 무용수업의 가능성과 과제: 체육교수모형 개념틀을 활용한 무용교수모형 분석과 시사점 탐색

        최의창(EuiChangChoi),권선영(SunYoungKwon),박성혜(SungHaePark)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6

        무용이 독립된 교과로서 인정받기 위해서 갖추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는 체계적 지도이다. 교수자의 개인적 경험이나 스타일에만 의존하지 않고, 검증된 절차에 따라 무용수업의 목표를 성취하는 객관적인 지도과정에 대한 신뢰가 확인되어야 한다. 체육교과는 지난 20년간 “모형기반수업”(model-based instruction)의 개념으로 체계적 지도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모형기반수업이란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측면에서 일관된 체계를 갖춘 교수모형에 근거해서 수업을 지도하는 접근이다. 본 연구는 무용에서도 모형기반수업의 아이디어가 적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 그러한 시도를 위한 초보적 탐색을 도모하였다. 체육분야에서 제안된 모형기반 체육수업의 개념과 특징을 분석한 후, 무용분야의 대표적인 세 가지 교수모형들(미드웨이 모형, 코너스톤 모형, 무용교수-학습 모형)을 검토하였으며, 각 무용교수모형들이 갖는 장점을 확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온전한 모형으로 인정받기에는 철학적ㆍ이론적 근거, 교수학습과정의 특징, 교수기법적 차원 등에서 완성도가 다소 미흡함을 파악하였다. 또한, 모형기반 무용수업의 논의를 발전시키고 보다 체계적인 현장실천을 위한 한 가지 대안으로서 하나로수업 모형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용의 교육적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모형기반 무용수업의 아이디어에 필요한 연구 및 실천적 노력들을 제안하였다. A systematic teaching method is a key element in order to be recognized dance as an official independent curriculum. This has to be established within reliability of the objective process in teaching, depending on a secured procedure not a teacher's personal experiences and styles. For the last 20 years, physical education has ensured high confidence in systematic teaching method by adopting the concept of "model-based instruction". Model-based practice in physical education has been advocated as a consistent teaching models in terms of connecting goals,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In this reg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ossibilities and tasks of model-based approach to dance education through exploring implication of model-based practice in physical education.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models. Second, three main dance instruction methods (Midway, Cornerstone, and Dance teaching-learning models) were examined. Although each method offers useful way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in dance classes,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of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basis, teaching and learning features, and implementation needs. In this sense, this study suggested Hanaro Teaching Model which provides crucial idea for model-based approach to dance education. Lastly, further research and efforts for an effective application of model-based dance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유아과학교육에 적합한 MBTL(Model Based Teaching & Learning) 수업절차 모형 개발 연구

        박호철 ( Ho Cheul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at MBTL(model-based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model which based on children`s cognitive modell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young children. To complete this purpose researcher developed effective skills and procedures to modelling of childerens and confirmed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mental model, model and representation through the using a results of experiment and reviews of previous studies. MBTL model for science was superior than two other instruction models(Inquiry and Direct instruction model) on inprovi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The main issu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How to achieve systematic procedure of teaching- learning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Application of systematic Instructional model will be one of the most powerful answer of that question. It is the researcher`s hope that studies on research, development and adoption of general Model Based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model for young children would be follow and it would be most effective method for guaranty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Kindergarten classes.

      • KCI등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피드백 기반 실험수업 모형의 적용 효과

        양희선,김현섭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7 현장과학교육 Vol.11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 of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based on collaborative feedback by interaction among the students and guided feedback by teacher in science class. First of all, we hav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 based on the detailed feedback strategy by each step of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for the instructional application.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was applied to the instruction for 7 experimental topic of digestion, circulation, respiration, and excretion unit, which is science subject matter of middle school. For the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model,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using the traditional experiment method using experiment introduction and experimental report, while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using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based on feedback process. The evaluation of the model application effect was analyzed through pretest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inquiry ability prior to the instruction and postest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inquiry ability, and interview after the instr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inquiry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much more than these of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model showed much more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middle level student, while the model improved much more science inquiry ability in the high level students. The analysis of interview revealed that the middle level students improv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knowledge sharing process with the high level students and modification process by collaborative feedback to understand the learning content better. The high level students improved their science inquiry ability because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interested in experiment design and data 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means to be required the control of feedback process by learner level to much more improvement of al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inquiry ability. 본 연구는 학생 상호간의 협동적 피드백과 교사의 안내된 피드백을 기반으로 개발된 실험수업 모형이 과학 수업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업 적용을 위하여 실험수업 모형의 각 단계별로 구체적인 피드백 활동 내용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학교과의 소화, 순환, 호흡, 배설 단원의 실험주제를 7차시로 나누어 교수․학습 과정을 개발하였다. 실험수업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제집단은 실험안내서와 결과보고서를 활용한 전통적인 실험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실험집단은 피드백 기반 실험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효과 검증은 수업 전 사전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 검사와 수업 후 사후 학업성취도 및 과학탐구능력 검사, 인식 조사를 위한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이 더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학업성취도는 중수준의 학생들에서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과학탐구능력은 상수준의 학생들에서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중수준의 학생들에서 학업성취도가 크게 향상된 것은 피드백 기반 실험수업 모형 수업을 통하여 상수준의 학생들과 지식을 공유하고 피드백에 의한 수정과정을 통하여 학습내용을 좀 더 잘 이해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상수준의 학생들에서 과학탐구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은 이들이 선행지식을 바탕으로 실험 과정에 흥미를 갖고 주도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피드백 기반 실험수업 모형이 모든 수준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탐구능력을 좀 더 크게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 수준별로 적절한 피드백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초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설계 모형 개발

        이은영,최지연,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2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concrete and systematic lesson design model for practical problem-based learning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To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four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In the analysis stage,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practical-problem-based curriculum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were reviewed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the 2015 revision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was analyzed. In the design stag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stages and sub-elements of practical-problem-based learning in Practical Arts were determined, and a template of instructional design was constructed.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design model was drafted based on the stages and sub-elements determined at the design stage. In the evaluation stage, the drafted design model from the development stage was evaluated, modified, and enhanced through expert verification. Based on the suggestions from the experts, the 'practical problem setting’ stage was added to the original three-stage model, resulting in a model composed of the following four stages: practical problem setting, goal setting, evaluation planning, and learning activity planning. The experts appraised that the developed model of practical-problem-based instructional design in Practical Arts to be a systematic template that would serve as a concrete guideline for teachers who are trying to design classes based on practical problems. 본 연구는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할 때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설계하는데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단계를 거쳐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가 되는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에대한 문헌 고찰, 수업설계 모형에 대한 문헌 고찰,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단계의 문헌 고찰을 통해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단계와 하위요소 등의 내용을 선정하고, 템플릿을 구안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설계 단계에서 디자인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개발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의 초안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통해 모형을 수정⋅보완하고, 최종적으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을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은 ‘목표 설정하기, 평가 계획하기, 학습활동 계획하기’의 3단계로 구성된모형의 초안에서 전문가 검증을 거쳐 ‘실천적 문제 설정하기, 목표 설정하기, 평가 계획하기, 학습활동 계획하기’의 4단계로최종적으로 모형을 수정⋅보완하였다.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설계 모형은 전문가 검증을 통해 교사들이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하고자 할 때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체계적인 템플릿이라고 평가하였다.

      • KCI등재

        NBI(narrative based instruction) 모형 개발 연구

        고요한(Goh, Yo Han)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9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기반 일반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육과정의 핵심은 수업이다. 따라서 광범위한 교육학 연구 분야 중에서 수업방법에 대한 내용이 상대적으로 많다. 이러한 교육학 연구는 관점의 다양성, 방법의 복수주의에 기인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특성인 다양성과 복수주의 원칙에 따라 새로운 수업모형을 구안하게 되었다. 새롭게 구안된 내러티브기반 수업(NBI)모형은 다음의 절차와 내용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첫째, 기존 수업모델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둘째, 연구주제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아이디어 마이닝, 셋째, 연구주제 관련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한 텍스트 마이닝, 넷째, 학생 대상의 양적/질적 자료수집 분석을 통한 데이터 마이닝, 다섯째, 모형개발을 위한 근거모델들에 대한 검토, 여섯째, 연구주제 관련 심리학, 철학이론 등에 대한 검토 등이다. 이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종의 시안(試案)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비판적 검토결과의 핵심은 ‘리더십, 어프로치, 모델, 내러티브’ 등의 개념들을 교수학적으로 유용하게 차용하는 방법이다. 이를 감안하여 수행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수업모형은 각각 나름대로 특장(特長)이 있으나 메타-이론적 성격의 모형이 부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NBI모형은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새로운 모형개발의 또 다른 근거모델로서 의미가 있다. 둘째, 향후 지속될 수업모형 개선 혹은 개발과정에서 내러티브 적용의 필요성과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내러티브기반 수업모형이 내포하는 강점·약점 등에 대한 비판적 검토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제시한 모형의 현장적합도 및 교수학적 의미가 향상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ation for developing narrative based instruction module. As all knowing, a core of curriculum is instruction(or teaching & learning). So, investigative survey on instructional contents, article on method are more than any other fields in educational research. In general, educational research conducted on the base of diversity, methodological pluralism. By this principle,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veloping new model on instruction. Making the NBI(narrative based instruction) module which is projected as a renewal model was conducted as followings. Firstly, critical review on existing instructional model, secondly, idea mining by interviewing with education experts for getting their thinking, thirdly, data mining for analysing quantitative/qualitative sources which collected by surveying for school student and academic journal, fourthly, critical review on ground theory/model for developing new module, fifthly, consideration on psychology and philosophy concerned with this study. Through above process, researcher suggests an draft model. The result of critical review on concerned multi resources is the method of borrowing the idea(leadership, approach, model, narrative) for developing new model by effect, A drawn result performed by this consideration is as followings. Firstly, existing instructional models have a merit and uniqueness respectively, nevertheless, there are not meta model on general instruction, so this study purposed the solution on that problem, going forward in educational research. Secondly, the necessity and potentiality on progressing instruction theory or developing narrative concerned instruction model is verified by this study.

      • KCI등재

        디베이트 소그룹 지도 사례 연구

        강원화,장혜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7 사고와표현 Vol.10 No.2

        우리사회에서 소통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토론교육의 필요성 또한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 수업 환경의 현실적인 제약과 어려움으로 인해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토론 교육이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학교 안과 밖에서 소그룹 단위의 디베이트 교육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거의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5개의 디베이트 소그룹 교육 현장을 대상으로 디베이트 지도 방식과효과를 연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베이트 소그룹 지도는 토론교육의 본질적인 목표에 부합하고 있다. 둘째, 디베이트 소그룹 지도 방식은 일대일 관리, 토론 전 준비단계의 충실한 지도, 구체적인 분석과 피드백 제공, 수업중 다양한 특별활동, 토론대회의 적극적인 활용 등이 공통적인 지도전략으로 드러났다. 셋째, 디베이트 소그룹 지도의 효과로 학생들은 자신의 토론능력과 토론단계별 효능감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넷째, 디베이트 소그룹을지도하는 코치들은 자신들의 역할을 학생들의 조력자, 촉진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같이 공교육 현장의 토론교육이 채워주지 못하는 부분들을 채워주는 디베이트 소그룹 활동은 다양한 필요성을 충족시켜 주며 어느 정도 만족할만한 결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론교육이 소그룹 지도의 형태로 사교육 영역에서 더 활성화되고 있는 것은 토론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공교육에서 충족시켜주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런 현실을 볼 때 공교육 현장에서도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과 학교 밖 디베이트 소그룹 지도현장의 개선을 통해 토론 교육의 질적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As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grows, the importance of debate education is also getting emphasized. Difficulties in school education prevent sufficient debate education from being realized. Thus small-group-based instruction model is now taking places. It is time to do academical studies with such methodology. This thesis deals with the analysis on five small group cases. Followings are the systemic analysis on the concept and method of the small-group-based instruction model. First, small-group-based instruction model complies with the essensial purpose of debate education. Second, small-group-based instruction model is characterized by man-to-man guidance, detailed instructions on pre-debate research, sufficient feedback and after-action review, diversion of class activities and vitalizations of school level debate competitions. Third, students have found confidence by the step-by-step instructions and detailed feedback. Lastly, the instructors found themselves standing as a facilitator, not a tutorer of the class. Which means the instruction model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students could actively and independently participate. Throughout the analysis, small-group-based instruction model seems to be compensating the defects of traditional debate education method, and the overall evaluation is quite satisfactory. Traditional debate education has failed to meet the social needs of debate education. And the unmet needs have detoured to private ‘hakwon’ education. Systemic development of debate education is required on the status quo, and small-group-based instruction model could work as a fine alternative.

      • KCI등재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 개발

        최지은,성은모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ctional model for flipped learning process based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PjBL). To address these goals,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were used, and the research process was conducted as follows. In the first phase, the prototype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In the second phase, the first expert validation of the prototype model’s internal validation was conducted. In the third phase, the second expert validation on the modified prototype mode was conducted. In the final phase, the instructor’s usability evaluation as external validation was conducted with the second modified model, and the final model was derived by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evaluation. As a result, the online PjBL of the two models, i.e., the procedure model and the detailed procedur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The instructional model for a flipped learning process based on online PjBL expressed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each project learning process consisting of project preparation, topic selection and problem analysis, data and problem-solving exploration, completion, presentation and evaluation. Next, a detailed procedure model of flipped learning process based online PjBL. describes the instructor’s activities, the learner’s activities, and examples of online tools that can be used in each process. The model considers dividing the learner’s activities into individual activities and team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n online PjBL model by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and presented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이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프로젝트학습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플립러닝의 과정 요소를 반영하여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의 프로젝트학습 절차와 세부 활동,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도구를 제시하였다. 먼저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플립러닝, 플립러닝형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교수학습 절차, 절차별 세부 활동 내용, 활용 가능한 온라인 도구 등을 도출하여 원형모형(prototype model)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원형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내적 타당화(전문가 타당화 2회)와 외적 타당화(교수자 사용성 평가 2회) 검증을 거쳐 수정․보완되었다. 최종 도출된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은 전체적인 절차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절차모형, 세부적인 교수학습 활동과 각 단계별 활동의 세부내용, 그리고 각 단계별 활동 특색에 맞게 지원해 주는 온라인 테크놀로지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은 프로젝트 준비, 주제 선정 및 문제 분석, 자료 및 문제 해결안 탐색, 결과물 완성(프로토타입개발, 결과물 개발), 발표 및 평가로 이루어진 프로젝트학습 절차에 따라서 플립러닝이 이루어지는 학습과정의 요소(수업 전-수업 중-수업 후 활동)로 구성되었다. 세부 활동모형은 각 단계마다 교수자 활동과 학습자 활동(P=개별활동, T=집단활동)을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각 단계의 활동 특색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테크놀로지를 상호작용 도구, 자료공유 도구, 협력 도구, 평가 도구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 개발 연구의 의의와 향후 추진되어야 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중국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과 실천적 대안으로서의 내용 중심 수업 활용 방안 연구

        최정순 ( Choe-jeong Soo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국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 개선의 한 방편으로서 교육방법론적 제안을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중국의 한국어과 전공생들은 중국 현지에서 한국어를 배우기 때문에 한국어에 노출되는 시간과 기회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교육과정 특성상 3, 4학년이 되면 내용학 교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중국 한국어과의 이러한 특수성에 주목한 본 연구는 내용학 교과목을 한국어 교육으로 포괄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한국어학 전공생들이 한국 관련 전문 배경지식을 쌓으면서 동시에 한국어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으로 언어 교수 방법론 중 하나인 ‘내용 중심 수업(CBI, Content-based Instruction)’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내용 중심 수업의 개념과 주요 원리를 살펴보았다. 특정한 과목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수업하면서 그 과정에서 목표 언어의 학습을 도모하는 내용 중심 수업 방식은 내용과 언어의 통합 정도에 따라 크게 네 가지 모형으로 분류된다. 몰입 수업 모형, 내용 보호 수업 모형,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 주제 중심 수업 모형이 그것인데, 3장에서는 이들 모형 각각의 특징과 중국의 한국어과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내용 중심 수업을 중국 한국어과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학년별, 교과목별로 모색하였다. 1, 2학년 때는 한국어 수업 시간에 주제 중심 모형을 적용하고, 3, 4학년 때는 내용학 수업 시간에 내용 보호 수업 모형과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내용학 교과목 중 한국 관련 전반적인 배경 지식을 쌓는 과목에는 내용 보호 수업 모형을, 그리고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보다 전문적 지식을 가르치는 과목에는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내용 중심 수업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나,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 관심을 두지 않았던 중국 한국어학과의 내용학 교과목에 초점을 맞추고, 내용 중심 수업이라는 언어 교육의 방법론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suggestion regarding teaching methodology as a way of curricular improvemen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in China.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in China cannot but have limited time and chances to be exposed to Korean Language because they learn Korean in China and are required to take the subjects of contents when they are juniors and seniors, as needed by the curriculum. Paying attention to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this study aimed to indicate the need to include the subjects of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which is a type of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as a way of providing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with more chances to accumulate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Korea as well as to be exposed to Korean. To do this, Chapter 2 reviewed the concept and major principles of CBI. The method of CBI to help learn a target language while giving instruction based on a specific subject or topic can largely be presented in four models: Immersion Model, Sheltered Instruction Model, Adjunct Model, and Theme-Based Model. Chapter 3 tried to find out how to apply CBI to the curriculum for each year and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l and the situation of the department in China. It would be possible to apply the Theme-Based Model during Korean classes for freshmen and sophomores and the Sheltered-Instruction Model and Adjunct Models during contents classes for juniors and seniors. Of the subjects of contents, it would be desirable to introduce the Sheltered-Instruction Model for the subjects to accumulate general background knowledge about Korea and the Adjunct Model for the subjects to get expertise based on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s. Although this study failed to present a specific way of implementing CBI,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subjects of cont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which had not been the foc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 that the approach was made to the methodology of language education: CBI.

      • KCI등재

        전공 지식을 활용한 과정 중심 글쓰기 수업 모델 및 사례 연구

        배혜진,권동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5

        Current general writing classes of colleges aim at process-based writing, but in reality, they are result-oriented, based on sequential writing. This causes a doubt about writing and the writing process among learners. In order to promote sequential writing, which is the essential purpose of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in the general writing class, a consideration for a specific teaching model, its design and a practical alternative should be carried. As part of this consideration, this study suggests a process-based writing instruction using the Writing Across of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use of knowledge of majors among learners for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makes it possible to attend classes actively and ultimately facilitates a sequential writing instruction, which is oriented in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suggests a process-based writing teaching model using the Writing Across of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which is a basic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in the ISD model. Moreover,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teaching model using the Writing Across of Curriculum in general writing classes of colleges can lead to sequential process-based writing by showing real application cases in classes. 현재 대학의 교양 글쓰기 강좌는 과정 중심 글쓰기를 지향하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순차적 글쓰기를 통한 결과중심주의의 경향을 띈다. 이는 글쓰기 학습자들에게 글쓰기와 글쓰기 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을 낳게 한다. 따라서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의 본래 목적인 순환적 글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수업 모델과 그에 따른 설계는 물론, 현실적인 대안에 대한 고민이 뒤따라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고민의 일환으로 전공 지식을 활용한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을 제안한다. 본고는 학문적 담화 공동체로 구성된 학습자들의 전공 지식 활용이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에서 지향하는 순환적 글쓰기 교육이 가능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SD 모델 중 교수 설계의 기본 모형인 ADDIE 모형에 따라 전공 지식을 활용한 과정 중심 글쓰기 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 전공 지식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 모델이 순환적 과정 중심 글쓰기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실제 수업 적용 사례를 통해 입증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