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獨逸 行政法方法論의 發展과 變化 - 독일 행정법학의 성립부터 신행정법론의 등장까지 -

        정남철(Nam-Chul Chung)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81

        행정법학에서도 방법론에 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비교법적 연구를 통해 행정법방법론의 현주소와 새로운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독일의 행정법학은 초기에 일본을 거쳐 한국의 행정법학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독일 행정법방법론의 형성과정과 발전, 그리고 최근의 변화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전통적으로 독일의 행정법학은 실정법 위주의 해석론적 법학방법론에 바탕을 두고 발전하여 왔다. 초기에는 국가학적 방법론이 유행하였으나, 이후에는 오토 마이어(Otto Mayer), 플라이너(Fritz Fleiner) 및 발터 옐리네크(Walter Jellinek) 등이 법실증주의자들이 발전시킨 법학방법론이 주도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오토 마이어 이전에도 프리드리히 프란츠 마이어(Friedrich F. Mayer), 게오르크 마이어(Georg Mayer) 등의 고전학파 행정법학자들이 독일 행정법학의 형성에 기여한 점을 간과할 수는 없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국내 행정법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다. 20세기 후반에도 독일에서는 법실증주의자에 의한 법학방법론이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스 볼프(Hans J. Wolff), 오토 바호프(Otto Bachof) 등이 이러한 법학방법론을 계승하였다. 다만, 당시에 포르스트호프(E. Forsthoff)는 이러한 주류적 흐름과 거리를 두면서 급부국가와 생존배려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행정법이론을 발전시켰고, 사회학적 · 경제적 · 정책적 분석을 접목시키고 있었다. 21세기에 들어와서 독일에서는 행위학, 결정학, 조종학 등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행정법학의 흐름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행정법학(신행정법학)에서는 종전에 지배적이던 해석론 중심의 법학방법론을 지양하고, 학제적 연구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를 연결할 수 있는 핵심개념으로 협력이나 민영화, 조종(Steurung) 등을 강조하고 있다. 행정법학의 새로운 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론이 접목되어야 한다. 해석론적 법학방법론 외에 비교법적 법학방법론, 법제사적 법학방법론, 입법론적 법학방법론, 그리고 학제적 법학방법론이 접목되어야 한다. 국가는 현실을 도외시하고 규범으로만 파악되기 어렵다. 행정법학은 규범 없이 성립되기가 어렵지만, 현실을 배재한 행정법도 존립하기 어렵다. 전통적인 행정법방법론이 규범해석 중심의 학문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법학은 현실적인 학문이다. 미래세대의 법학은 알고르즘 기반의 인공지능(AI)과 제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할 것이다. 이러한 급속한 시대의 변화를 규범으로만 대응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차세대의 행정법학에서는 새로운 도그마틱(Dogmatik)과 다양한 학제적 연구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In administrative law, interest in methodology is gradually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find the current state of administrative law methodology and a new direction of development through comparative legal research. German administrative law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administrative law in Korea through Japan in the early days. It is meaningful to review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German administrative law methodology and its recent changes. Traditionally, administrative law in Germany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hermeneutic law methodology focused on actual law. In the early days, the political science methodology was in vogue, but later, Otto Mayer, Fritz Fleiner, and Walter Jellinek began to lead the legal methodology developed by legal positivists. However, even before Otto Meyer,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the classical administrative law scholars such as Friedrich F. Mayer and Georg Mayer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German administrative law. This is a fact that is not well known to the domestic administrative law academia. Even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legal positivist law methodology still had a great influence in Germany. Hans J. Wolff and Otto Bachof succeeded this methodology in law. However, at the time, E. Forsthoff developed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law theory centering on the benefit state (Leistungsstaat) and consideration for survival (Daseinsvorsorge) while keeping a distance from this mainstream trend, and incorporating sociological, economic, and policy analysis. In the 21st century, a new trend of administrative law, represented by behavior studies, decision-making science, and science of steering, emerged in Germany. In this new administrative law, the law methodology centered on interpretive theory that was dominant in the past is avoided,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emphasized. It also emphasizes cooperation, privatization, and steering as core concepts that can connect this. In order to obtain a new engine for administrative law, various methodologies must be applied. In addition to hermeneutic law methodology, comparative law methodology, legal history law methodology, legislative law methodology, and interdisciplinary law methodology must be combined. The state can hardly be understood only by norms, ignoring reality. It is difficult to think administrative law without norms, but administrative law that excludes reality cannot exist. It cannot be denied that traditional administrative law methodology is a discipline centered on normative interpretation. However, law is a realistic discipline. Laws of the future generation will face new challenges with the emergence of Algorithm-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may be situation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se rapid changes of the times only with norms. In the next generation of administrative law, new theory and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need to be attempted.

      • KCI등재

        전략의 기표, 응전의 기의 - 김남천 창작방법론의 비평적 성격과 리얼리즘론의 의미 고찰 -

        김민정 ( Kim Min-jeong ) 반교어문학회 2017 泮橋語文硏究 Vol.0 No.45

        이 글은 김남천 창작방법론의 의미를 재조명한 글이다. 김남천의 창작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작방법론은 전향의 논리, 혹은 실패의 서사로 귀결되어 왔다. 여기에는 고발문학론에서 주장한 주체 정립의 문제가 관찰문학론에 이르러 `관찰`(묘사)로 수렴되면서 결국 주체 정립에 실패했다고 보는 관점이 자리한다. 또한 비평에 대응한 창작이 일제 말기에는 주춤해지게 된 것도 창작방법론의 전개가 실패했다고 보는 관점의 한 축을 차지한다. 하지만 창작방법론의 기획 의도와 전개 과정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보면 창작방법론은 주체 정립에 실패한 논의가 아님을 알 수 있다. 김남천은 창작방법론 전개 이전부터 `관찰`(묘사)을 염두에 두고, 객관현실의 묘사와 작가적 실천의 변증법적 통일을 이뤄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나간다. 먼저 마르크스주의에 기초한 사회주의 세계관을 유지한 채,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변용하고자 했다. 이에 리얼리즘의 역사를 소급해 18~19세기 발자크, 고리끼 등이 펼친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주체 정립의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이데올로기에 갇혀 있던 리얼리즘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자 했다. 또한 창작방법론을 단지 창작을 위한 방법론 마련으로만 활용한 것이 아니었다. 창작방법론 전개에 있어 비평과 창작의 병행이라는 형식 실험 안에서 김남천은 `비평`에 무게중심을 둔다. 그는 `비평` 우위의 관점을 통해 작가의 창작과정을 파헤치며 주체 정립의 방법을 모색해 나간다. 이는 창작방법론이라는 기표를 통해 조선적 현실에 맞는 리얼리즘론을 정립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창작방법론의 수사적 성격을 엿볼 수 있다. 이렇듯 비평을 우위에 둔 창작방법론 전개의 기저에는 `생활` 반영의 문제가 자리한다. 카프 해산 이후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자리에 `생활`이 놓이게 되면서 작가의 세계관(주체)과 이를 반영한 객관세계는 `생활`의 문제로 수렴된다. 김남천에게 있어 `생활`의 반영이 곧 리얼리즘으로 치환될 수 있는 상황에서 `장르`에 대한 인식은 `체험`과 `관찰`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장르를 형성하는 형식은 장르의 외피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세계관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이었다. 시공간에 따라 유동하는 장르의 성격, 작가의 세계관이 창작방법으로 형상화 된다는 로젠탈의 이론 등은 결과적으로 장르에 대한 인식이 `생활`의 인식과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체험`=`관찰`의 관계를 증명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김남천의 리얼리즘론은 창작방법론이라는 기표를 수사적(修辭的)으로 활용하여 `조선적 리얼리즘`을 성취하고자 했던 응전(應戰)의 서사였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the meanings of Kim Nam-cheon`s creation methodology. Kim Nam-cheon`s study on creation methodology is considerable. Nevertheless, it has come down to the logic of conversion or the narration of failure. Here lies the viewpoint that the matter of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claimed by the literary theory of accusation was converged to `observation` (description) claimed by the literary theory of observation, and ended up failing in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In addition, it holds one axis of the viewpoint of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reation methodology as a failure that creation corresponding to criticism slowed down at theory in the late colonial era. However, when the intention of the planning of creation methodology and its aspect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were examined,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creation methodology is not the discussion that has failed in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Kim Nam-cheon sought for the way to achieve of an objective-reality description and writer`s practical dialectic unification, keeping `observation` (description) in view before development. He tried to transform socialist realism appropriately for the reality of Joseon while maintaining a socialist world view based on Marxism. Accordingly, he intend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realism which had been restricted by ideologies of finding simultaneously the ground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ubject based on the realism developed by Balzac, Gorky and others in the 18th and the 19th century. The creation methodology is also that it was not prepared just for the methodology of creation. Kim Nam-cheon highlighted the role of `criticism` in a formal experiment combined of criticism and creation in the development of creation methodology. He found out to establish a subject with investigating writer`s process of creation through an omniscient viewpoint. At this point the signifier of creation methodology ultimately has rhetorical characteristics in that making use of methodology to set up realism fitting for the reality of Joseon. Like this, the matter of `saenghwal` reflections given priority to criticism is positioned the groundwork of creation methodology development. As `saenghwal` was put in the place of a socialist ideology after dissolving KAPF, the writer`s world view(subject) and the objective world reflecting this converged a matter of `saenghwal`. The recognition of `genre` mediates `experience` and `observation` under the situations where `saenghwal` reflections shifts into realism to him. The form that forms the genre is not a role of the crust of the genre but is formed from basing on writer`s world. The nature of the genre that flows according to time and space, Rosenthal`s theory that the world view of the writer`s is shaped by the creative method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genre is not different from the perception of `saenghwal`. Through the process of 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Observation` the realism theory of Kim Nam-cheon shows that it was the signified of accepting a challenge that wanted to accomplish `Joseon realism` by rhetorically using the signifier of creation methodology.

      • KCI등재

        질적 방법론과 회계학연구

        김석웅(Kim Seok-wo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65

        최근에 우리 나라에서도 질적 방법론과 이를 이용한 질적 연구가 사회학, 간호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회계학계에도 일부가 발표되고 있지만, 질적 방법론의 분야에서 방법론, 이론, 연구방법, 자료조사방법, 자료해석방법 등에 관한 개념들이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고 혼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의 내용분석을 통해서 질적 방법론의 체계를 명확히 하고 연구현황을 살펴서 한국의 회계학계에 질적 방법론과 연구방법의 이해와 확산을 촉진하고자 한다. 질적 방법론은 비판적 방법론과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주로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한다. 해석적 방법론은 연구대상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자의 체험을 통해 경험현실을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질적 방법론인 해석적 방법론의 철학적 배경은 해석학과 현상학이고, 주로 이용하는 이론은 사회학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구조화이론, 일상생활방법론, 제도이론, 행위자연결망이론 등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민속지학, 실행연구, 사례연구, 근거이론 등이고, 자료수집방법은 면접, 참여관찰, 현장연구, 문헌조사 등이며, 자료분석방법은 해석학, 서사분석, 기호학(내용분석, 대화분석, 담론분석) 등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내용분석해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민속지학(ethnography)은 문화기술지, 민속기술지, 종족지학이라고도 하는데, 연구대상인 사람(회계담당자)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적 배경에 대해 연구자가 (비)공개적으로 그들의 삶에 일정한 기간동안 참여하여 직접 체험하면서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방법이다. 실행연구(action research)는 현실의 구체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실행연구에서는 연구로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해석적 방법론의 사례연구(case study)는 연구자가 구체적인 사례에 직접 참여하여 체험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례를 연구한다. 해석적 방법론에 의한 연구는 주관성, 일반성의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결합하는 Q방법론, 삼각측정(triangulation) 등의 혼합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Nowadays, Qualitative methodology has also been applied to various disciplines such as Sociology, Nursing, Education in Korea. In Accounting, Although some qualitative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their concepts such as methodology, research method, theory, data researching method and data interpreting method have not been clar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and expansion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method in the Korean accounting community through clarifying the framework of qualitative methodology by content analysis of prior accounting researches. The qualitative methodology means both the critical methodology and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owever it mean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in a narrow sense. It is the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view point of the researched and to interpretate and reconstruct the reality experiencing through lived experienc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re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y. Theories used in qualitative methodology are sociological theories such as symbolic interactionism, structuration theory, ethnomethodology, institutional theory, actor- network theory. The research methods are action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In this paper, the research methods of qualitative methodology are the research focus. The ethnography is the research method to collect data on the life style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researched people(accountants) through lived experience participating the phenomena and life of them during some periods. The action research is the process to pursue the knowledge to solve specific problems at the field. The case study of interpretive methodology is to research the case at which the researcher have participated during some period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as some problems such as subjectivity and lack of genera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Mixed methods such as Q methodology, triangulation have been used.

      • KCI등재

        해양경계획정에 적용할 수 있는 ‘3단계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소고

        이기범(Lee Kibeom) 대한국제법학회 2020 國際法學會論叢 Vol.65 No.2

        2009년 ICJ의 Black Sea (Romania v. Ukraine) 사건이 소위 ‘3단계 방법론’을 확립한 이후 3단계 방법론은 해양경계획정을 수행하는 국제재판소의 표준적 방법론으로 자리를 잡았다. 배타적 경제수역 또는 대륙붕의 경계획정을 규율하는 법적 구속력 있는 규칙은 유엔해양법협약 제74조 제1항 또는 제83조 제1항에 규정되어 있는 것처럼 그리고 국제관습법상으로도 ‘형평한 해결의 도달’이다. 이와 같이 모호한 법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 국제재판소가 확립한 3단계 방법론은 객관성 또는 예측가능성을 담보한다는 차원에서 찬사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3단계 방법론은 내재적으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제1단계에서는 잠정적인 등거리선을 설정할 때 필요한 기점들이 주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이는 등거리 방법 자체가 객관적이라 해도 등거리 방법의 ‘적용’은 주관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 사정들이 제2단계에서만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문제라 지적할 수 있다. 하지만 제1단계에서 관련 사정들의 존재 때문에 잠정적인 등거리선이 아닌 잠정적인 이등분선이 설정될 수도 있는 것처럼 관련 사정들이 반드시 제2단계에서만 고려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불균형성 점검’, 즉 제3단계는 그 존재 의의부터 의심받고 있다. 오늘 현재까지 그 어떤 국제재판소 판례도 제3단계에서 제1단계와 제2단계를 통해 그려진 경계선을 이동시킨 적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내재적 한계를 고려했을 때 3단계 방법론은 ‘방법론’으로서의 의의만 가질뿐 3단계 방법론이 그 이상의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즉, 3단계 방법론이 적용되어 투명성과 해양경계획정 과정의 예측가능성이 확보되거나 제고된다 하여 해양경계획정의 궁극적 목표인 형평한 해결의 도달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만약 3단계 방법론이 아닌 다른 방법론을 원용하여 해양경계획정의 목표인 형평한 해결의 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이는 3단계 방법론을 맹목적으로 고수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여전히 해양경계획정을 지배하는 개념은 각 해양경계획정 사건마다 제각각인 ‘관련 사정들’이다. 따라서 3단계 방법론이라는 단계적 방법론의 고수가 형평한 해결의 도달을 어렵게 한다면 해당 해양경계획정 사건만의 관련 사정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다른 방법론을 원용하는 것이 국제재판소가 취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태도가 될 것이다. Since the 2009 Black Sea (Romania v. Ukraine) case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 the so-called ‘three-stage methodology’ has been employed as the ‘standard’ methodology by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dealing with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The binding rule governing the delimitation of the exclusive economic zone or the continental shelf is the ‘achievement of an equitable solution’, as stipulated in Article 74(1) or 83(1)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and recognized as part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by the ICJ. The three-stage methodology has been established to apply this open-textured rule in a given delimitation case, and the methodology is often complimented because it seems to assure not only objectivity but also predictability in applying the rule. Nevertheless, the three-stage methodology has its limitations. Firstly, it is, at the first stage, possible to subjectively select base points necessary to construct a provisional equidistance line. This mean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equidistance method would be subjective although the method in itself is objective. Secondl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hree-stage methodology, relevant circumstances seem to take up their position only at the second stage. However, because of the existence of relevant circumstances, a provisional bisector line could be drawn at the ‘first’ stage, instead of a provisional equidistance line. Thirdly, it is questionable whether or not the third stage conducting the disproportionality test is a necessary step i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ny delimitation lines constru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tages have not been adjusted at the third stage since the Black Sea (Romania v. Ukraine) case. Taking into account the limitations of the three-stage methodology described above, the methodology has to be regarded as a ‘just’ methodology. Moreover, transparency and the predictability of the delimitation process as a whole enhanced through the three-stage methodology do not automatically lead to the achievement of an equitable solution. If another methodology produces an equitable solution in a specific delimitation case, it could be employed, instead of the three-stage methodology. In fact, the concept of ‘relevant circumstances’ predominates the process of delimiting maritime boundaries for the achievement of an equitable solution. It is, therefore, desirable for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to adopt an appropriate methodology taking into consideration relevant circumstances in a given delimitation case, without the need to only adhere to the employment of the three-stage methodology.

      • KCI등재

        산업디자인 방법론에 반영된 독일 공학설계방법론의 영향

        김성준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1

        A systematic methodology is needed in designing andengineering technological products since most of them aredeveloped for industrial production. Such methodology isalso essential i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The systematicmethodology used for design processes is largely influencedby engineering design methodology. For this reason, the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he engineering designmethodology was developed, which played an importantrole in establishment of the systematic design methodologyfor technological product development. Previouslyconducted researches and various documents were studiedwith a focus on the development of methodologies inGerman-speaking countries in particular, since they areconsidered to be role model countries for technological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This study found thatthe concept and structural flow of the engineering designmethodology developed before 1990’s and the industrialdesign methodology are almost identical because the twodesign methodologies were fulfilling the role that the societydemanded in a mutually-supporting way within the largerframework of product design. The consecutive structureof linearity, in particular, was a structure typical amongthe methodologies used at that time, which seems to bein response to the demand of the industrialization era. However, the typicality and scope of a product changedas the society shifted toward a more diversified one after1990’s. The arena of product development also shows anew trend such as the MVM model in the engineeringindustry or the Design Thinking in the design industry. This illustrates how the development of a methodologyreflects the changes of the time and the demands of thecontemporary society, and the future study will need tofocus the development of a design-oriented integratedmethodology in addition to highlighting the post-90’smethodologies. 대부분의 기술적 제품들은 산업적 생산을 전제로 개발되기 때문에 그것의 디자인 및 기구 설계과정에는 체계적인 방법론이필요하다. 디자인과정을 위한 체계적 방법론은 공학적 설계방법론에서 받은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적 제품개발을 위한 체계적 디자인 방법론 형성에 중요한기인으로 작용한 공학적 설계방법론의 발전 과정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1950년대 이후 기술적 제품의 개발및 디자인에 있어 모범적 전형을 형성한 독일의 방법론의 발전과 그것이 산업디자인 방법론에 미친 영향에 중심을 두어,선행된 연구 및 문헌조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1990년대 이전까지 개발된 공학적 설계 방법론이나산업디자인 방법론을 비교해보면 그 개념적 내용이나 구조적흐름이 거의 동일한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결국 제품개발이라는 큰 틀 아래에서 공학적 설계와 디자인의 개발이사회가 요구하는 역할을 서로 상보적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선형성의 순차적 구조는 이 시기 방법론의 전형적인구조이며, 이는 산업화 시대의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진행된 다변적 사회로의변화는 제품의 전형성 및 범주까지도 변화시켰으며, 제품 개발에 있어서도 공학계의 MVM 모델이나 디자인계의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 등 이전과는 다른 전형으로 발전되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방법론의 발전은 시대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사항의 반영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향후 과제는 1990년대 이후의 방법론들에 대한 조명과 아울러 디자인중심의 통합적 방법론의 개발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어야 할것이다.

      • KCI등재

        구조적 방법론과 정보공학 방법론을 통합하는 프로그램 개발 과정 가이드와 사례

        조민호(Min-Ho Cho) 한국전자통신학회 202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9 No.2

        Ⅰ. 방법론의 발전 Ⅱ. 구조적 방법론의 적용 방향 Ⅲ. 정보공학 방법론의 적용 방향 Ⅳ. 통합 적용을 위한 가이드 Ⅴ.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References 소프트웨어의 개발 방법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발전되었다. 구조적 방법론, 정보공학 방법론 그리고 객체지향 방법론이 이런 변화의 큰 흐름이다. 각 방법론은 특징과 장점이 있고, 적용되는 분야가 다르다. 실무를 수행하는 엔지니어들은 각 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은 익숙하지만, 구조적 방법론이나 정보공학 방법론을 통합하여 적용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다. 그래서 방법론이 가지는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없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각 방법론의 적용 대상에 대해 구조적 방법론, 정보공학 방법론을 통합하여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것을 정리하고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의 연구사적 검토와 방향성 탐색

        이국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5 東洋學 Vol.60 No.-

        From 1975 to the mid-1990s when Korea Chinese literature study was boosted, Korea Chinese poetry study had established its academic status and strengthened the position of study focusing on historicist method and excavation of materials and writers. However, due to repetition of the same study method and following, etc. problems were raised together earlier on. From the late 1990s to the mid-2000, study methodology of Korea Chinese poetry has been actively and productively sought. In the course, the fever of historicist methodology went cold because of reflective criticism of academic community and loss of timeliness, and depletion of limited topics, etc. On the other hand, efforts to explore internal quality and aesthetic quality of the work actively took place. Since late 2000, Korea Chinese poetry study methodology seems to be in a sort of stagnant period or individual exploration period compared to the last period. The reasons include many existing important study methodologies suggested already, lowering of overall social interest in the genre of humanities and poetry, difficulties in adjusting academic issues into the speed of rapid social change and expandability of boundary, and so on. Therefore, researcher’s effort to pioneer new study methodology is required. For this, most of all researchers should make efforts on cultivating translation skills and connoisseurship that are required to Chinese poetry study and critically reviewing study methodology, and actively applying new study methodology. More specific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breadth of Chinese poetry study methodology needs to be expanded accepting research achievements of other countries or other major areas. Second, literature study methodology crossing genre boundaries should be more actively implemented. Third, study methodology that can communicate with issues of modern society and modern people should be sought. Lastly, the academic community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hat Chinese poetry researchers can boldly test their study methodologies. 한국 한문학 연구가 본격화 되었던 1975년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한국 한시 연구는 역사주의적 방법과함께 자료 및 작가 발굴을 중심으로 하여, 그 학문적 위상을 정립하고 연구의 입지를 다져나갔다. 이러한 방법론은 시대적 사명감과 진지한 학문정신에 기반하여 높은 수준의 연구 성과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동일한 연구 방법의 반복과 추종 등으로 인해 일찍부터 그 개선점도 제기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의 모색은 상당히 활발하고 생산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역사주의적 방법론은 학계의 반성적 비판과 시의성의 상실, 그리고 제한된 제재의 고갈등으로 인해 그 열기가 식어갔다. 반면에 작품의 내질과 미학적 특질을 탐색하려는 노력이 풍격론, 분석주의적방법론, 의상론 등을 통해 활발하게 이뤄졌다. 200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은 지난 시기에 비해 일종의 정체기 또는 개별적 탐색기로 보인다. 그 원인으로는 기존에 중요한 연구 방법론이 많이 제시된 점, 인문학 및 시가 장르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관심이 저하된 점, 급변하는 사회의 변화 속도와 경계의 확장성에 학문적 논점을 맞추기가 어려워진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원인은 진취적이고 참신한 연구 방법론 모색이 부족한연구자에게 있으며, 따라서 그 돌파구의 마련도 이 시대 연구자를 통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현 시점에서 한국 한시 연구 방법론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면, 우선 한시 연구를 위해 필요한 번역 능력과감식안을 기르는데 충실하면서 기존의 연구 방법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적극적으로모색하고 과감히 적용해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음 세 가지의 한시 연구 방법론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째, 해외의 연구 성과나 현대시및 고전 문학의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한시 연구 방법론의 외연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르 경계를 넘나드는 문학 연구 방법이 더욱 활성화되고 다양화 될 필요가 있다. 셋째, 현대 사회의 여러 현상및 현대인들의 고민과 교감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의 모색이 필요하다. 끝으로 현재 개별적인 상태로 부유하고 있는 한시 연구 성과들을 아우르는 담론체계를 더욱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한시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연구방법론을 과감하게 시험하고 적용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려는 학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한문교육 연구 방법론의 止揚과 指向

        진재교 한국한문교육학회 2010 한문교육논집 Vol.34 No.-

        It has been frequently pointed that weakness of teaching methods of classical Chinese comes from its short history as an academic discipline. This argument is no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ether teaching classical Chinese constitutes a viable discipline, just as the criticism that it lacks methodology. This kind of argument not only denies the possibility of teaching classical Chinese to stand as an independent field of study, but also dismisses what has been achieved by many researchers in the field. Highly desirable at this status is the reflection that the progress in teaching classical Chinese has been hindered by the lack of interest in its methodology as well as the skepticism about its being a viable discipline. In order to achieve a progress in teaching methodology of classical Chinese, researchers need to develop the methods that helps gain its viability and also need to be aware of the problems and perspectives different from those in studying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Such perspectives and efforts are much in need to achieve teaching classical Chinese as a field of discipline. 한문교육에서 연구 방법론이 허약한 이유로 한문교육의 학문적 연륜이 짧다는 것을 든다. 이는 ‘방법론이 부재한 학문’이라는 비판과 하나의 ‘학문’으로 성립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은 아니다. 한문교육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태도이자, 그간 노력을 무화시키는 논리다. 무엇보다 현 시점에서는 한문 교육 연구자들이 한문교육 연구방법론에 대한 인식과 한문교육을 하나의 학으로 선명하게 자각하지 않았다는 점을 반성해야 한다. 이 시점에서 한문교육에 대한 학문적 정체성을 분명한 인식을 할 필요가 있다. ‘한문학’과 ‘한문교육’은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당연히 그 층위가 다르다. 인문학으로서의 한문학 연구와 달리, 한문교육은 그 귀속 여부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등에 두루 걸친다. 이러한 점을 십분 이해하고 한문교육의 연구방법론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문교육의 연구자는 한문교육 연구 방법론을 통한 학문적 정립을 추구하며, 한편으로는 한문학 연구 방법론과 달리 어떠한 문제의식과 시각을 통해 연구방법론을 모색해야 할 것인가를 근본적으로 재인식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각과 노력이야말로 ‘한문교육학’의 정립을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또한 새로운 연구방법론 역시 학교 현장(교실)과 정치하게 결합되어야 연구방법론으로 기능하고 학문적으로 성립할 수 있다. 지금부터라도 한문교육 현실에 맞는 연구방법론을 창신하여 한문교육학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경영현상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의 재고

        김효근(Hyo Gun Kym),이현주(Hyun Ju Lee),문윤지(Yun Ji Moon) 한국경영학회 2003 Korea Business Review Vol.6 No.2

        한국에 경영학이 도입된 지 50여 년이 지난 지금 경영학은 양적으로 급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그 기간동안의 경영학 연구가 인식론과 연구방법론 차원에서의 실증주의 양적방법론으로 많이 진행되어 옴으로써 상대적으로 해석주의 질적연구방법론이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한국 경영학 연구방법론의 연구동향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다차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며, 이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약했던 질적 연구방법론을 재고함으로써 경험의 의미나 어떤 특정 한 상황 하에서의 인간행위에 대한 목적, 동기와 같은 조직행위자의 관심 등에 관한 보다 깊은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또한 그 동안 도외시되었던 질적 연구방법론에 관심을 갖고, 다차원적 프레임워크에 기초한 질적 연구방법론의 개념과 특징을 재정의함으로써 질적 연구방법론이 경영현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특히 본질적인 왜의 문제에 대한 선행적 관심을 중심으로 프로세스와 변혁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에서 그리고 총체적 관련성 및 상황적 관점에서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인식론적 차원에 입각한 질적방법론의 보완적 발전으로 향후 한국 경영학 연구방법론 연구의 균형적인 방향을 제언한다. This paper presents multi-dimensional methodology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management research trends in Korea and some altern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o complement both the level of academic inquiry and that of practical usefulness. Proposed are the multi-dimensional methodology framework originated from (1) the epistemological, (2) methodological and (3) time dimension. Whil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growth in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for more than 50 years, the research community is critically influenced by both dominant perspective of positivism and dominant quantitative-oriented research methodology. Although conventional quantitative studies have contributed to the logical verification and generalization of managerial theories, there still exist research needs exploring the profound meaning of experiential phenomena or human behaviors in the managerial context. It is, therefore, essential to suggest some complementary research methodologies that would grasp the holistic approach to business organizations for balanced academic or practical development. The redefined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are illustrated in terms of the multi-dimensional methodology framework. Finally, the benefits that qualitative methodology can provide are discussed.

      • KCI등재

        코메니우스의 교수방법론에 관한 연구

        신현광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8

        코메니우스는 17세기의 위대한 교육자로 ‘세계의 교사’로 불리고 있는 인물이다. 우리는 코메니우스의 교육신학사상과 방법론에서 현대 실천신학과 기독교교육에 시사하는 점이 지대하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그의 교수방법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우선 인물 코메니우스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그의 교수방법론의 기초로서의 범교육, 범교육의 원리에 입각한 일반적 교수방법론을 다루고, 계속하여 지식, 덕성, 경건의 교수방법론에 대하여 다루었다. 특히 지식의 교수방법론에서는 사물의 교수방법론, 기술의 교수방법론, 언어의 교수방법론에 대하여 다루었다. 코메니우스의 범교육의 철학적 원리는 세상의 모든 사람들에게, 세상의 모든 것을, 모든 방법으로 철저하게 배우도록 하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세상의 모든 것을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철저히 배우게 하는 교육방법은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지식의 올바른 사용을 위한 것이다. 코메니우스의 교육목적은 지성을 통한 사고와 언어 및 행동의 성숙, 덕성을 통한 생명체와의 조화, 그리고 경건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건설이었다. 그의 범교육의 원리는 자발성을 강조한다. 그는 외부의 강제가 아니라 자발적인 자연을 모방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잘 알려진 대로 그의 교수원리는 자연을 따르는 합자연의 원리라고 말할 수 있다. 인간의 독특한 기능들은 이성, 언어표현력, 그리고 행동이기 때문에, 학교의 목적은 인간 속에 있는 이 기능들을 계발하는 일, 다시 말하면 인간에게 ‘아는 것’, ‘행동하는 것’, ‘말하는 것’의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합자연의 원리와 이에 근거한 자발성의 원리 및 훈육의 원리, 그리고 감각적 직관에 의한 원리는 코메니우스의 교수방법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요소들이다. 특히 지성의 교수방법론으로 자연과학적 원리를, 덕성의 교수방법으로 모범, 훈련, 훈육의 원리를, 경건의 교수방법으로 묵상과 기도와 연단을 통한 영성교육, 믿음, 사랑, 소망의 실제적인 교육, 그리고 조기습관화의 교육을 제시하였다. 전체적으로 그의 교수방법은 그의 전반적인 교수원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This paper examines Comenius’ teaching methodology. While Comenius is known as an influential educationist, theologian, philosopher, and sense realist to the field of education, he is most well-known as a renowned master of modern pedagogy. First of all, I take a general review on Comenius, then look into ‘pampaedia,’ as his basic teaching methodology, general teaching methodology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pampaedia. Lastly, I examine the teaching methodology of knowledge, virtue, and piety. The philosophical principle of pampaedia is to let all people(omnes) on the earth throughly learn all things(omia) through all means(omnino). The principle is not only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but also for the right usage(chresis) of knowledge. Comenius reveals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o draw out the maturity of thoughts, languages, and behaviors through mind, and then the harmony with organisms through virtue, and also the establishment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piety. Especially, the three intrinsic abilities of man—reasoning(ratio), expression of languages(oratio), and behaviors(operatio)—enable everyone to realize the essence of knowledge and the truth of all objects, and eventually to manage a rational, ethical, and godly life. Comenius' principle of pampaedia stresses spontaneity. Comenius thinks that education needs no external press but imitations of spontaneous nature. Because man's unique functions are reasoning, expression of language, and behavior, the goal of school, in Comenius' view, is to develop these functions of man—teaching a person to think wisely, work honestly, and speak sagaciously. The very essential elements of Comenius' teaching method are the principle of accordance with nature(God's creation order), the principle of spontaneousness, the principle of discipline, and the principle of sense intuition.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virtue, and piety, Comenius introduces various principles. For knowledge, Comenius suggests the principle of natural science. Likewise, Comenius suggests the principle of example, training, and discipline for virtue, and the principle of spiritual activity, good practical life, and early habituation for piety. Overall, Comenius' teaching methodology is related to his pedagogical princi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