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체 치수 측정기술 특허 동향 분석

        전영주,소지호,Jeon, Young-Ju,So, Ji-Ho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5

        인체의 체형정보 중 신체 치수 측정기술은 줄자나 영상 분석을 이용한 체형 측정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으나, 간편하면서도 측정 정확도나 재현성이 높은 방법에 대한 수요는 꾸준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신체 치수 측정기술과 관련한 국내외 특허 조사를 수행하여 관련 기술의 개발 동향을 파악하였다. WISDOMAIN DB를 이용하여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에 공개된 특허를 대상으로 검색하였으며, 대분류, 중분류 기술체계와 소분류의 기술범위를 정의하여 유효 특허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허에 대해 연도별 특허 동향, 국가별 주요 출원인과 기술 분야 현황을 분석하였다. 신체 치수 측정기술 분야는 한국의 특허출원 비중이 높아 이 분야에서 한국이 특허 출원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센서형 측정기술 분야의 특허 출원 건수 자체가 많지는 않았지만, 측정 간편성 부분에 장점이 있으므로 관련 기술개발은 체성분 분석 관련 측정 정확도 향상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For the human body shape information, body measurement techniques using a tape measure or image analysis are used. However,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with high measurement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while being simple. In this paper, domestic and foreign patent research related to body size measurement technolog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related technology. WISDOMAIN DB was used to search for patents published in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 and valid patents were derived by defining the technical scope of major and medium classifications and sub-categories. For the derived patents, patent trends by year, major applicants by country, and the status of technological fields were analyzed. In the field of body size measurement technology, the proportion of patent applications filed in Korea is high, indicating that Korea is leading the patent application in this field. Although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sensor-type measurement technology was not large, it has an advantage in measurement simplicity, so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easurement accuracy related to body composition analysis.

      • DRM의 저작권법적 보호

        임원선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05 Law & technology Vol.1 No.1

        In the digital network environment, the copyright holders are increasingly resorting to technological measures to protect their rights in their works or other subject matters, in lieu of legal protection and legal remedies with that copyright law provided. However, even though the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are becoming highly sophisticated, all the measures could be eventually defeated by technically sophisticated users or even the ordinary users with the aids of some circumvention devices or the skilled persons. Most of the delegations, gathered in Geneva, Switzerland in December 1996, recognized this problem and lastly agreed to introduce some protection to the technological measures for protecting copyright and neighbouring rights. There are two main issues with the protection of the technological measures. One is whether the access control measures are to be the subject matter of this protection, and another is how we can maintain the exceptions and limitations to the copyright intact, though the application and legal protection of the technological measures. On this issue of the needs of access control power, there seem to be and can be lots of pros and cons. Thus it is at present not proper to say that the introduction of access right or use right is appropriate or not. And, we can say clearly that we have never decided that kind of decision yet. That kind of control power must be given through the same way that the rights, authors already have, were given to them. It is clearly not through the back door, i.e. the provision of the protection of the technological measures. Technologies hear only the voice of their master and are blind to the purpose of using the works. Even though there is no legal protection, ordinary people cannot circumvent the technological measures for legitimate exploitation of a work. Using this situation, the right holders could extend their control over the boundaries of copyright. Without appropriate measures for preserving the room for the exceptions and limitations to the copyright, the liberty of users will be choked with the application and legal protection of the technological measures. If we want to preserve delicate balance on copyright regime, we have to review the impact of the application and legal protection of the technological measures, and take a appropriate measures for preserving the room for the exceptions and limitations to the copyright. If we are negligent to do so, we would fail to get the ultimate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e and economy.

      • 공정이용과 기술적 보호조치 우회에 관한 연구

        김경일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2 Law & technology Vol.8 No.3

        기술적 보호조치 무력화 금지에 공정이용이 예외로 적용될 수 있는지, 달리 말해 기술적 보호조치 무력화 금지에 공정이용의 항변이 인용될 수 있는지 문제된다. 이에 대한 검토를 위해 구체적인 경우를 상정하여 보면, 교수나 학생 또는 그 외의 사람이 DVD를 학교에서 상영, 복제하는 것이 저작권법상 공정이용에 해당하는지, 만약 공정이용에 해당한다고 하다라도 그 DVD에 기술적 보호조치가 있는 경우,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금지 규정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보호조치를 우회해서 상영, 복제를 할 수 있는지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첫째, 수업 목적으로 교수가 DVD를 상영하거나 복제하는 경우와 학생이 DVD를 복제하는 경우는 제25조(학교교육목적 등에의 이용)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DVD를 학교에서 상영, 복제하는 것은 제28조(공표된 저작물의 인용)의“인용”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으므로, 제28조가 적용될 수는 없을 것이다. 셋째, 제35조의 3(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이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는 그 이용목적 및 성격, 저작물의 종류 및 용도, 이용된 부분이 저작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그 중요성, 저작물의 이용이 저작물의 현재 또는 장래의 시장이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현행법상으로는 공정이용의 경우에도 기술적 보호조치 무력화 금지 규정 때문에 기술적 보호조치를 우회할 수는 없다고 해석된다. 따라서 교수나 학생 또는 그 외의 사람이 DVD를 학교에서 상영, 복제하는 것이 저작권법상 공정이용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그 DVD에 기술적 보호조치가 있다면, 기술적 보호조치 무력화 금지 규정에 때문에 기술적보호조치를우회해서상영, 복제할수없을것이다. 생각건대 위와 같은 현행법은 타당하지 않으며, 공정이용의 경우 기술적 보호조치 무력화 금지 규정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보호조치를 우회할 수 있도록 명문의 규정을 두어야 할 것이다. Whether Fair Use can be applied to prohibition of incapacitation of the Technological ProtectionMeasures by way of exception is at issue. In other words, whether Fair Use can provide usersimmunity in regard to prohibition of incapacitation of the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isbecoming an issue. For reviewing this matter, the particular case can be considered as below.When professors, students or other peoples show or copy DVDs, can Fair Use be applied in thiscase? If so, Can they circumvent the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in spite of the regulation ofprohibition of incapacitation of the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First, §25(Using for pedagogical goals) of the Copyright Act can be applied in case thatprofessors show or copy DVDs for the purpose of lecture and students only copy DVDs. Second,§28(Quotation of copyrighted works which is published) can’t be applied in this case, becauseshowing or copying is not the quotation. Thir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35-3(Fair Use ofcopyrighted works) can be applied in this case, the purpose and character of the use, the nature ofthe copyrighted work, the amount and substantiality of the portion used in relation to thecopyrighted work as a whole, and the effect of the use upon the current or potential market for orvalue of the copyrighted work should be considered. Under the current Copyright Act, it is understood that even Fair Use can’t circumvent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because of legal protection of the Technological measures. Asa result, even though Fair Use can be applied in case that professors, students or other peoplesshow or copy DVDs, if the DVDs have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they can’t circumventthe Protection Measures to show or copy DVDs because of the regulation of prohibition ofincapacitation of the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This paper conclude that current law is inappropriate and legislation is needed to enable FairUse to circumvent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in spite of the regulation of prohibition ofincapacitation of the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 KCI등재

        국가첨단전략산업법 입법의 함의 및 개선 방향: 산업기술보호법과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수현,이정훈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24 한국산업보안연구 Vol.14 No.1

        최근 세계 주요국은 첨단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이른바 ‘경제안보’ 체계를 공고히 하고 있다. 이에주요국들은 이미 첨단기술의 해외유출 등 침해행위를 국가안보 위협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우리나라도 「국가첨단전략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호에 관한 특별조치법」을제정하여 국가첨단전략기술에 대한 보호조치 및 침해에 대한 강력한 벌칙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입법은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동법에 대한 개정의 필요성 역시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첨단전략산업 경쟁력 강화 및 보호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 도출 및 개정 소요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회 개정 발의안을 중심으로 개정 논의를 i)전략기술 침해행위, ii)벌칙, iii)보호조치및 보호의무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전략기술 침해행위는 개정 논의들과 같이 보다 다양한 침해행위 태양을 포섭할 수있도록 개정하고 향후 다양한 형태의 침해행위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해외사업장에 대한 전략기술 보호조치 의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국회 보고의무 등은 적극적으로 고려해봄직하다. 다만 벌칙 규정 강화에 관하여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바, 이는 최근개정된 양형기준을 적용한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하며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한편, 동법상 침해행위의 예비 ‧ 음모 및 미수범 규정이 부재하다는 점은 법체계상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관련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firmly establishing the so-called 'economic security' system centered around advanced technology. major countries already perceive overseas leakage of advanced technology and similar infringements as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In line with this trend, our country has enacted the 「Act on Special Measure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and Protecting National High-tech Strategic Industries」 to implement protective measures and impose strong penalties for infringements on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While this legislation is commendable, there is also a need for revisions.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Act on Special Measure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and Protecting National High-tech Strategic Industries」and the「Act on Prevention of Divulgence and Protection of Industrial Technology」deriving implications and identifying the need for amendments to the former law. To achieve this, the paper focuses on legislative proposals in the National Assembly, analyzing i) acts of infringement on strategic technology, ii) penalties, and iii) protective measures and obligations separately. Regarding acts of infringement on strategic technology, it is imperative to amend the law to encompass a wider range of infringement behaviors, as discussed in the revision proposals. Additionally, it should be improved to address various forms of infringement in the future. Particularly, obligations for protecting strategic technology in overseas facilities and the obligation for the Minister of Industry, Trade, and Resources to report to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However, regarding the strengthening of penalty provisions, doubts have been raised about its effectiveness, necessitating careful consideration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of cases applying recently revised sentencing criteria. Furthermore, the absence of provisions for attempts, conspiracies, and incomplete offenses of infringement under this law is undesirable in the legal framework, hence the need for relevant provisions.

      • KCI등재

        저작권법상 기술적 보호조치와 공정이용에 관한 연구

        박주현(Park, Ju Hyeon)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40 No.4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developing rapidly as time goes by, and the digital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digital technology and network technology are combined is changing the environment in which copyrighted works are used. In addition, to protect ‘rights of authors, etc.’, the current Copyright Act in Korea has a policy purpose of promoting ‘fair use of works’ to ultimately promot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In order to ‘promote fair use of works’, the rights of authors, etc. must be partially restricted and access to the works must be guarante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ree use of works. In other words, in spite of the exclusive rights of the copyright holder, the fair use act as a copyright restriction is required so that the copyrighted work can be reasonably used without the consent of the copyright holder in certain cases. In the old Korean copyright act, the reasons for copyright restrictions were individually stipulated, and there were no regulations on ‘fair use’ in the form of general provisions. Prior to the introduction of the fair use clause, restrictions on copyrights protected the interests of users of copyrighted works.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completely protecting the interests of users of copyrighted works only through the restrictions on copyright rights. In 2011, while revising the old copyright act, general provisions on fair use were introduced,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 use regulations and individual restrictions on copyrights was unclear. In addition, by applying the existing copyright restrictions first, and narrowly interpreting and applying fair use in other cases, the legislative purpose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for using copyrighted works is not being utilized. In the current copyright act in Korea,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are classified into access control measures and infringement control measures. Access control measures indirectly protect copyright by controlling access to works, and infringement control measures directly protect copyright by controlling copyright infringement behavior. However, this classification method does not have a significant technical significance, and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 both access control measures and infringement control measures may be applied to a certain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Problems with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under the current copyright act are cases in which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are disabled and preliminary acts to disable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are performed. The copyright act directly regulates copyright infringement by stipulating regulations for copyright infringement, and legally protects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by prohibiting the act of disabling access control measures and the preliminary act of disabling. However, legal protection of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was introduced not to protect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themselves, but to supplement copyright protection for works in the digital age. Therefore,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rovisions related to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in the current copyright act hinder the fair use of works, thereby hindering the ultimate purpose of the copyright act, ‘improving and developing 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Accordingly, the following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for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that protect the rights of authors, and the act of fair use that represents the privileges of users of works. Firs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for prohibiting disabling technological protection measures by reducing the definition of access control measures.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정보통신기술은 시간이 흐를수록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이 결합한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은 이전의 저작물 이용환경을 다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우리나라 현행 저작권법은 ‘저작자 등의 권리보호’와 더불어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 하여 궁극적으로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이라는 정책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도모’를 위해서는 저작자 등의 권리를 일정 부분 제한하고 저작물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여 저작물의 자유로운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즉, 저작권자의 배타적 독점권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경우에 한하여 저작권자의 동의없이 합리적으로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저작권 제한으로서의 공정이용법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구 저작권법에서는 저작권의 제한사유를 개별적으로 규정하고 있었으며, 포괄적인 일반조항 형태의 ‘공정이용’에 관한 규정은 두고 있지 않았다. 공정이용 조항이 도입되기 전에는 저작재산권의 제한 규정이 저작물 이용자의 이익을 보호하였으나, 저작재산권 제한 규정만으로는 저작물 이용자의 이익을 완전히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2011년에 구 저작권법을 개정하면서 공정이용에 관한 일반조항을 도입하였지만, 공정이용 규정과 저작권에 대한 개별적 제한 규정과의 관계가 불분명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저작재산권 제한 규정을 우선 적용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 한정하여 공정이용을 좁게 해석하여 적용함으로써 저작물 이용 환경의 개선이라는 입법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현행 저작권법에서는 기술적 보호조치를 접근통제조치와 침해통제조치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접근통제조치는 저작물에 대한 접근을 통제함으로써 저작권을 간접적으로 보호하고 침해통제조치는 저작권 침해 행위를 통제함으로써 저작권을 직접적으로 보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방식은 기술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고,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할수록 특정의 기술적 보호조치가 접근통제조치나 침해통제조치 모두에 해당될 수도 있다. 현행 저작권법상 기술적 보호조치에 관하여 문제가 되는 것은, 기술적 보호조치를 무력화한 경우와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를 하기 위한 예비행위를 하는 경우이다. 저작권법에서는 저작권 침해의 구제 수단을 규정하여 저작권의 침해 행위를 직접 규제하고 있으며, 접근통제조치를 무력화하는 행위와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예비행위를 금지함으로써 기술적 보호조치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 보호조치를 법적으로 보호하는 것은 기술적 보호조치 자체를 보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디지털 시대에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따라서 현행 저작권법의 기술적 보호조치 관련규정은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방해함으로써 저작권법의 궁극적인 목적인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저작자 등의 권리를 보호하는 기술적 보호조치와 저작물 이용자의 특권을 대변하는 공정이용의 법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접근통제조치의 개념범위를 축소하여 기술적 보호조치 무력화 금지규정의 적용범위를 가급적 줄여야 한다. 둘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기술수준을 반영하기 위하여 기술적 보호조치 무력화 금지의 예외를 확대해야 한다. 셋째, 저작권법상 공정이용의 일반규정으로서의 위상 강화 및 적용을 확대해야 한다. 이와 같은 기술적 보호조치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반영되고 공정이용의 적용이 활성화된다면 다가오는 미래사회를 대비하고, 저작권법의 궁극적인 목적인 문화 및 관련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Standards Harmonization and Asymmetric Compliance Technology

        Han-Eol Ryu 한국무역학회 2021 Journal of Korea trade Vol.25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elfare effects of standards harmonization between technologically asymmetric countries, and to determine optimal harmonization strategies for a country with mid-level technological advancement. Design/methodology - Following Salop’s circular city model (Salop, 1979), this study constructs a simple, horizontally-differentiated oligopoly model in which three firms and three countries exist. Each country adopts different compatibility standards and each firm incurs conversion costs for foreign market access due to differences in standards. The conversion costs are related to technology; standards harmonization removes these costs between participating countries. The paper considers three cases: i) no harmonization; ii) harmonization with the more technologically-advanced country and iii) harmonization with the less technologically-advanced country. Findings - The paper first considers a scenario in which all three firms occupy some share of the market in each country. It shows that standards harmonization with both the technologically more-or less-advanced country always increases consumer surplus and social welfare. In addition, the producer surplus will increase if the harmonization partner has a higher technology level, whereas it may decrease if the partner has a lower technology level. It also shows that if most domestic export goods are in sectors with conversion costs above a certain level, harmonizing standards with a technologically more-advanced country should be prioritized. Such strategies, moreover, should be emphasized when there exists a large technology gap among countries. Lastly, the paper considers another scenario, in which harmonization leads to the foreclosure of the non-member firm from the member countries’ markets. It shows that harmonization improves the social welfare of a mid-level technology country regardless of its partner’s technology. It also shows that the country should prioritize harmonization with the technologically less-advanced country. Originality/value - Though some of the existing studies consider the welfare effects of harmonization, their main assumption is that firms have the same conversion technology. Since complying with standards often requires substantial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technical expertise, harmonization of compatibility standards between countries with gaps in technological ability carries different implication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elfare effects of this harmonization and determines an optimal harmonization strategy while considering technological asymmetry among countries in standards compliance.

      • KCI등재

        국가 연구개발 투자 성과 측정 연구 : 다측면 빅데이터 연계

        임정선,박진한,김상국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1 專門經營人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국가 주도 연구개발 투자의 성과가 기술-산업-제품으로 파급되어 확산하는 과정에서 해당 연구개발 기술들이 미래에 유발 가능한 경제적 효과를 다측면 빅데이터를 연계하여 분석하는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미국 및 유럽연합이 제시한 연구개발 투자 성과확산 분석모델을 참조하고, 논문, 특허, 기업정보와 관련하여 국내 검증된 기관들이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함께 연계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적 체계를 제시한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연구개발 투자 및 평가를 위한 플랫폼인 R&D PIE(Platform for Investment and Evaluation)를 비롯하여, 특허청의 특허 데이터베이스, 통계청의 국제특허 분류체계와 한국표준산업 분류체계간 연계표,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 그리고 기업 재무 데이터 등 다측의 빅데이터를 동시에 연계하는 체계를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개발 기술 수준별 미래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체계를 제시하고, 국내 미세먼지 분야와 관련 연구개발 투자 사례를 적용 하여 제안한 연구 방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는 미국 및 유럽연합의 기술 혁신 성과확산 모형을 개선하여 빅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였으며, 다측면 빅데이 터를 연계하여 연구개발 기술 수준별 잠재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체계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특히 하향식 연구개발 기획 방법을 활용할 때 전문가 견해를 적용하는 데서 발생하는 편의(bias)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연구개발 투자 의사결정 시 객관성을 담보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무 측면에서는 국가 주도 연구개발 사업 관련 정책 입안 및 기획 시 제안한 분석모형을 통해 국가 기술혁신을 추적 조사할 수 있으며, 연구개발 결과로서의 유망기술이 산업 및 기업으로 확산하는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관리상 장점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국가 연구개발사업 기획 및 평가 체계를 보다 견고하게 만드는 데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업 입장에서는 사업화에 성공한 기술을 확인하거나, 기술의 수명 및 기술과 매출의 관계를 파악하는 등 기술 투자에 관한 의사결정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to link multi-sided big data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R&D technologies in the future as state-led R&D investment spreads to technologies-industries-products. To this end, we refer to the analytical models presented by the U.S. and the European Union to track and investigate the spread of R&D investment performance, and propose new research methods to analyze economic ripple effects by linking big data provided by domestic proven institutions in relation to thesis, patents, and industrial information. In particular, we formed a system to link multiple big data simultaneously, including the R&D PIE - a platform for R&D investment and evaluation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s well as the patent database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 linkage table between the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Korean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and domestic industrial market information. Based on this, a new system for analyzing potential future economic ripple effects by R&D technology level was proposed, and a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research method was attempted by applying examples of domestic Fine Dust fields and related R&D investment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availability of big data by improving the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diffusion model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and quantify the potential economic ripple effects by R&D technology level by linking various types of multi-faceted big data.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nsure objectivity in R&D investment decision-making due to economic ripple effects, as it is possible to exclude bias that is applied unilaterally by a few experts' opinions commonly pointed out in top-down R&D planning. In addition, from the practical aspect, it is possible to track and investigate national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the analysis model proposed during policy-making and planning related to state-led R&D projects. Furthermore, there is a management advantage that can track the spread of promising technologies to industries and companie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more robust national R&D project planning and evaluation system. In the case of a company, it also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making decisions about technology investment, such as confirming the technology that has been successfully commercialized,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sales, and the life-cycle of technology.

      • KCI우수등재

        과학기술 PR 효과 측정 방안으로서 조직-공중 관계성 연구

        김찬석(Chan-Souk Kim),이재록(Jaerock Lee) 한국언론학회 2008 한국언론학보 Vol.5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as one of measurement tools of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 relations activities. Three factors of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such as reput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zation, trust on science articles, and WOM(word of mouth) intention on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 message were established and then their measurement index was developed. Based on this, the survey targeting on 350 people who were living in Seoul and Cheongju was conducted from April 1, 2006 to April 30. The result showed three measurement factors-reputation, trust, and WOM intention-had feasibility. The science and technology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was ranked 3.14 in scale of 5. It is over average in 5 and shows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OPR) in science and technology is in the middle level. Also this OPR has difference in terms of demographics data.

      • KCI등재

        교사 자격증 표시과목 ‘기술’의 기본 이수과목 또는 분야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이상봉(Yi, Sangbong),김규원(Kim, Kyuwon) 표준인증안전학회 2020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적용되고 있는 교원 자격증 표시과목 ‘기술’의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표시과목 ‘기술’의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의 변천 내용을확인하고,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 가운데 표시과목 ‘기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현재 적용되고있는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과 ‘기술의 세계’ 분야의 교육과정의 내용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교사 자격증 표시과목 ‘기술’의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기술 분야 교육과정과 관련이 없거나 종래의 공업 교육에 속하는 과목으로 다수 존재하였다. 둘째로, 현행 ‘기술·가정’과 기술 분야 교육과정 내용과 관련이 없고 미래에 활용되기 어려운 내용을 다루는과목이 존재하였다. 셋째, 현행 ‘기술·가정’과 기술 분야의 기술 활용 영역과 관련된 기본이수분야 또는 과목이 존재하지 않는다는문제점을 발견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 교사 자격종별·표시과목별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에 대한 대안으로 7개의 기본이수분야로 이루어진 개선안을 개발하였다. 앞으로 개선된 ‘기술’ 교사 자격종별·표시과목별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를 통하여 직전 교사들이 현행화된 교육과정에 따라 기술 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능력 함양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basic courses or fields of the currently applied teacher certificate labeling subject “technology” and to derive improvement plans. To this end, the change of the basic courses (or fields) of the marked subject ‘technology’ was checked, and the relevance to the marked subject ‘technology’ among the basic courses (or fields) was analyzed. In addition,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in the field of ‘Technology World’ and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currently applie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basic courses (or fields) of the “technology” subject to indicate teacher qualifica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subjects that were not related to the current 2015 revised “Technologyㆍ Home” and technical curriculum or belong to the conventional industrial education. Second, there were subjects dealing with contents that were not related to the current “technology/family” and technical curriculum contents and were difficult to use in the future. Third, we found the problem that there is no basic completion field or subject related to the current “technology/home” and technology application areas in the technology field.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n improvement plan consisting of seven basic courses was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o the basic courses (or fields) for each ‘technical’ teacher qualification type and mark. Developing the ability to conduct classes that can effectively achieve the goal of technic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curriculum through the improved ‘technical’ teacher qualification type and basic courses (or fields) for each marked subjec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 필요성의 인식에 대한 연구

        신형덕(Hyung-Deok Shin),정태영(Taeyoung Chung),류춘호(Choonho Ryu),이정호(Joungho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0 기술혁신학회지 Vol.13 No.4

        본 논문은 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해 파악하는 연구이다. 기업의 영역(governance mode) 결정을 설명하는 거래비용이론, 성과측정관점, 그리고 지식기반관점에 바탕을 둔 가설을 설정한 후, 과학기술 분야의 관련 전문가들로부터 설문서를 받아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특정 기술의 세계시장에서의 중요도가 클수록 그 기술에 대한 국제협력의 필요성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정 기술의 기술 선도국과 비교한 상대적 수준이 높을수록 그 기술에 대한 국제협력의 필요성이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중요도와 기술수준은 국제협력의 필요성에 대하여 상호적으로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기술수준이 높을수록 기술중요도가 국제협력 필요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더 커지며, 기술중요도가 클수록 기술수준이 국제협력 필요성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더 커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문성이 높은 경우 기술중요도와 기술수준의 교차항이 강력히 작용하여 기술중요도의 단순작용에서 오히려 부(-)의 영향력이 감지되었다. 기술중요도는 기술수준이 높을 때 기술협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술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기술중요도가 기술협력 필요성을 그다지 높이지(+) 아니하거나 거꾸로 좌절을 느껴 기술협력의 필요성을 못 느끼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성이 낮은 분야에서는 기술수준 차이가 있어도 기술이 중요하면 기술협력이 필요하다고 답변한 반면, 전문분야에서는 기술수준이 낮으면 기술중요도가 높아도 협력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설문 대상이 해당 기술에 대한 전문가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is growing more and more, but we do not know much about what criteria could be used to choose a science or a technology that needs international cooperation first and foremost among many kinds of competing sciences and technologies. Moreover, this selection process is affected by evaluators' or science/technology experts' perception, but we do not quite know what they actually see when they evaluate the need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ditions that inter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is encouraged by scholars and researchers in various areas. Based on theoretical arguments of Transaction Cost Economics, Measurement View, and Knowledge-Based View, we drew hypotheses on when experts perceive greater need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Using the classification categories of 10 major sciences and technologies, we collected data from 151 respondents from scientists in research institutions and colleges. As a result, we found that experts in science and technology areas perceive strong need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when the importance of focal science or technology is high and the relative national level of focal science or technology is low. Also, we found that the importance and relative level of focal science and technology hav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each other. Lastly, we found that when experts evaluate their own major areas, the strength of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need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dimin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