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연구와 이민현상

        김혜순(KIM Hye Soon) 지역사회학회 2015 지역사회학 Vol.16 No.3

        이주/) 이민현상에1) 내재된 지역성은 쉽게 공감되지만 지역사회 연구에서 관련연구를 찾기 어렵다. 그 이유로 선행연구의 편향성, 이민자/집단 중심의 연구와 자료, 접근방안 문제를 제기한다. 학술정치적 대안은 중심부(서구와 서울) 지향적 학술활동이 아닌 지역에 '착종된' 연구며, 초기 이민현상 전개에 절대적 영향력을 가진 정책에 대한 학술적 개입이다. 대안과 결론의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자체 이민정책 내용분석과, 분석기준으로 정책과정에 작동하는 주요요인별 지역특성에 주목할 것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국내 선행연구를 '지역사회연구에서 이주/이민'과 '이주/이민연구에서 지역'으로 분류해보면서 후자에 만연된 국내 지역현실의 식민화 경향을 지적한다. 둘째, 현 단계 국내 '지역사회연구에서 이민'현상의 연구대상 및 분석 자료로 지자체 이민정책의 적실성과 자료로서 갖는 한계점을 설명한다. 정책체계와 과정을 문건분석 및 참여관찰 결과로 소개하면서 중앙과 지자체의 역학관계를 구조-행위성논의로 접근할 여지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지자체 이민정책의 분석과 평가에 '지역성 반영' 이라는 기준을 활용하되 지역성이 분석차원으로 구체화되지 못했음을 감안하여 정책과정에 작동하는 요인의 지역적 특성 확인, 이것이 정책내용에 반영된 정도 분석, 이들의 지차체간 비교분석을 제안했다. 지역 연구자에게 기대되는 학술정치적 개입을 강조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Locality that is inherent in migration phenomena is readily recognizable, but is a subject rarely discussed in local studies in Korea. This paper argues the paucity is related to the Western and Seoul-centric perspective, and lopsided focus on immigrants and immigrant groups only in the previous studies in Korea. A politico-academic alternative is called for: to adopt local-embeddness over metropole-centric orientation; and to intervene in the immigration polices which often lead the formation of immigration reality itself, especially during its initial, unfolding stage. To substantialize these suggestions, this research proposes content analyses of local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and evaluation of its local specificity that is expected to be reflected in the policy making processes.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discusses the prevalent colonial orientation towards the local periphery, which is particularly manifest in domestic literature on locality with Western migration research framework. Then, with document analyse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of the policy system and process, local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as the subject and data of analysis is introduced, and limitations as a data is discussed. Most noteworthy relevance of the data i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tructure-agency approach to the rel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astly, a proposal is made for 'locality check' i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s' immigration policy. Considering the difficulty in operationalizing "locality," conceptual schemes of locality are presented, based on which local policies can be evaluated and compared across local government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the call for politico-academic intervention of local studies researchers in policy making processes.

      • KCI등재

        The Effects of Local Variables on Economic Growth in Korea, 2010-2017

        김덕준(Duckjoon Kim) 한국비교정부학회 2021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local variables on local economic growth in Korea from 2010 to 2017. In accomplishing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takes two methodological steps. The first is to evaluate the relative effects of total local factors on economic growth compared with those of external factors such as national and regional conditions that are far beyond the control of local governments. As the effects of local factors are proved to be meaningful, we then proceed to the second step of evaluating the specific effects of some local variables on economic growth.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utilizes the GRDP of all 226 second-tier local governments as the index of their economic growth. In the first step of time series analysis, this study applies the variance components analysis methodology to estimat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total local factors on economic growth. In the second step, the simultaneous effects between key endogenous variables in the model compel this study to utilize a two-stage least-squares regression analysis. Limited to a one-shot cross sectional analysis, the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estimates the effects of each specific local variable on economic growth. (Findings)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the total effects of local factors are overwhelming the external conditions for economic growth. During the whole period of analysis, the local factors explain more than 85% of local economic growth. Among the effects of each variables, some variables representing the budgetary, demographic, industri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locality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e results of the variance components analysis propose that local governments need to take more active policy initiatives to promote economic growth. The results of the two-stage least-squares procedure, however, reveal that there are no practical and effective local policy options for economic growth in the short-run. Within the limits of weak policy effects and high stability among local governments in the competition for economic growth, some combined local policy options still may matter in the long-run.

      • KCI등재

        The Effect of Local Universities on the Local Economy : Based on Industry Linkage Analysis

        박성현,김기범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4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 Vol.16 No.1

        We analyzed the effect of local college students' economic activities on the local economy. The analysis method was an industry-related analysi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a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ocal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be sensitive to price when consuming due to insufficient living infrastructure around local universiti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local college students' consumption expenditures on the local economy, especially local income, using a regional industry correlation table, the total income generated was KRW 130.6 billion (direct and indirect income effects KRW 90.9 billion, induced income effects KRW 39.6 billion), and the number of people induced to be employed was KRW 130.6 billion. It was estimated that there were 2,145 people per year. We examined the effect of local college students’ economic activities on the local economy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is is a contribution point of the study as evidence supporting the maintenance and necessity of local universities, and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take active interest and efforts in fostering local universities.

      • KCI등재

        지역 언론에 내재한 연구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연구

        권장원(Jang-Won Kw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3 No.-

        본 연구는 지역 언론에 내재한 연고 네트워크 구조를 밀도와 지형상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지역 언론에 내재한 연고 네트워크 구조의 지역별 비교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지역 언론사들에 내재한 연고에 따른 밀도 특성, 둘째, 지역 방송사 내의 언론조직과 신문사 조직 간의 연고에 입각한 밀도 비교, 세 번째, 지역 언론사 조직 구성원들의 연고에 따른 지형적 특성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문민정부와 국민정부 시기에 지역의 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주요 일간지와 지역 방송사의 뉴스 조직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밀도 분석과 교차 분석, 그리고 대응 분석 방법을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언론사 내부 조직 구성원의 집중 경향을 교차분석과 밀도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해당 신문사의 지역적 기반과 근접한 지역 출신 인사들을 중심으로 신문사와 방송사 공히 조밀한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특히, 신문사가 방송사 내부의 뉴스 조직에 비해 집중 경향이 더욱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대응 분석을 통해 지역 언론사의 위치상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출신 지역에 있어서는 직위에 관계없이 위치상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출신 대학의 경우 이사진과 실무진 간의 위치적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This paper present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raits of personal network structure shaping in local press organizations of Korea. For this analysis,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ree topics. First, the density traits of personal network structure in the whole of local press organization. Second. the comparison of density trait shaping in personal network structure between press section of local broadcasting stations and local newspaper companies. Third, the positional trait in each local press organization. To answer the questions. the data concerning commissioners and executive members in local daily newspapers and local broadcasting organizations from the Civic Government to the People's Government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The interconnections of regional(birthplace) and educational(university graduated) aspect were analyzed via methods of cross analysis, density analysi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In brief.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As a result of analyzing cross analysis and density analysis of the personal network based of regional and educational aspect, the numerical value of density was too high on the whole of local press organizations. Bur, especially local newspaper companies has been showed that was higher density compared with press section of local broadcasting stations. And, positional distance between local press organizations were showed obviously in the case of regional(birthplace) aspect. But, in case of educational aspect, positional distance were showed obviously between commissioners and executive members.

      • KCI등재

        지역 설화의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 퍼스의 3항성 범주 모델을 활용한 <곰나루 설화> 분석과 개발

        오세정 ( Oh Se-jeong ),윤인선 ( Yoon In-sun ) 한국기호학회 2022 기호학연구 Vol.70 No.-

        오늘날 지역 설화, 즉 전설은 지역민의 삶·사유·문화·역사가 응축된, 지역의 정체성을 담지한 주요 문화 자산으로 인정받고 있다. 지역의 문화 산업과 관련된 각종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 전설은 스토리텔링의 원천 자료이자 모티프나 배경이 되며, 개발의 논리를 제공하는 주요 근거가 되고 있다. 지역 설화를 토대로 한 콘텐츠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개발 방안이나 방향에 대한 심화되고 체계적인 논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개발의 원천인 설화에 대한 분석 방법과 설화를 토대로 콘텐츠의 개발 방법이 상호 유기적이며 통합된 체계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본 논의에서는 지역 설화 텍스트의 분석과 설화의 콘텐츠 개발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모델을 구상하기 위해 퍼스의 3항성 범주 모델을 활용하였다. 3항성 범주를 활용한 서사 분석 틀을 충청도의 대표적 지역 설화라 할 수 있는 <곰나루 설화>에 적용하여 분석하고, 분석 틀을 연계·확장하여 콘텐츠 개발 방안을 기획하였다. 퍼스의 3항성 범주 모델은 세계와 인간 사고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보편 범주로 어떤 대상의 존재 자체, 관계성, 법칙성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도구가 된다. 1차 분석은 전설 서사의 형식적 특성을 파악하고, 2차 분석은 전설 서사와 지시 대상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3차 분석은 1차 분석과 2차 분석을 결합하여 종합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전설의 서사 텍스트 분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개발의 체계적 방안으로 확장될 수 있다. 즉 1차성 분석을 토대로 설화의 스토리텔링 차원에서의 개발 방안을 탐색하고, 2차성 분석을 토대로 전설의 지시 대상 차원에서의 개발 방안을 탐색하고, 3차성 분석을 토대로 전설의 의미와 해석 차원에서의 개발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같은 설화 분석과 개발의 통합적 방법은 개별 사례 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인 개발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oday, local folktales, legends are recognized as major cultural assets that hold the identity of the region, condensing the lives, thoughts, culture, and history of the local people.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related to the local cultural industry, legends are the source of storytelling, motifs and backgrounds, and are the main basis for providing the logic of development. Although contents development based on local folktales are being promoted, in-depth and systematic discussions on important development plans or directions are not being properly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method of the folktale, which is the source of development, and the content development method should form a mutually organic and integrated system. In this paper, Peirce’s triadic category model was used to devise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model for analysis of local folktale text and content development of folktale. The narrative analysis framework using the triadic category was applied and analyzed to < folktale of Gomnaru >, a representative regional story of Chungcheong-do, and a content development plan was planned by linking and expanding the analysis framework. Peirce’s triadic category model is a universal category for understanding the world and human way of thinking, and it is a good tool to understand the existence, relationship, and law of an object. The first analysis is to identifie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legend narrative, the second analysis is to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end narrative and the referent, and the third analysis is to identifies the comprehensive meaning by combining the first analysis and the second analysis. This analysis is not limited to analyzing the narrative text of the legend, but can be extended to a systematic method of content development.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plan at the storytelling level of the legend is explored based on the primary analysis, the development plan at the referent level of the legend is explored based on the secondary analysis, and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level of the legend is explored based on the tertiary analysis. This integrated method of narrative analysis and development is expected to be a practical development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cases beyond the limitations of individual case studies.

      • KCI등재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공적개발원조(ODA) 규모 결정 요인 분석: 중앙정부와의 관계 모델을 중심으로

        박지연 국제개발협력학회 2022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4 No.2

        Purpose: Recently,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have emerged one of main actors for aid giving for international communities as South Kore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volume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aid determinants of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Originality: Previous studies only have focused on ODA determinants of each donor country Previous studies only have focused on ODA determinants of each donor country. It could not explain what would be real ODA determinants of local governments. However, we need to consider that local governments could approve ODA by their own decision making. In this sense, we should discover local’s decision making itself. Methodology: I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of 165 episodes for 15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It would be applied based on following three frameworks; inclusive model, overlapping model, and separate model. Result: This study reveals that ODA volume from a central government could not affect to ODA volume from a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would increase ODA volume with a leader from a conservative party and more foreigners in their places. Conclusions and Implication: Abov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ODA as an area where the meaning of self-governing activities can be actively utilized in a situation where Korean local governments have been criticized for their limitations on autonomy and independence. In addition, active and proactive contributions from local governments can be expected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ased on their own choice.

      • KCI등재

        지방정부 ODA 결정요인 분석

        김석우(Seokwoo Kim),안소라(Sora Ahn) 한국정치정보학회 2017 정치정보연구 Vol.20 No.1

        이 글은 스페인 지방정부 ODA 결정요인을 이론적으로 논의하고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방정부의 ODA 공여 목적은 중앙정부의 ODA 공여 목적과 다른 점도 있고, 유사한 점도 있다. 중앙정부가 추구하는 목적 중 안보, 정치적 관계, 전 식민지 국가와의 연대, 민주주의 제도의 확산 등의 목적은 지방정부가 추구하는 목적이라고 할 수 없다. 반면에 지방정부가 ODA 공여를 통하여 추구하는 목적인 경제적 이익과 국내정치적 이익 등은 중앙정부의 목적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우리는 지방정부가 ODA 공여를 통하여 네 가지의 다른 목적을 추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 목적들은 ‘정책의 확산과 개발’, ‘경제적 이익’, ‘이미지와 평판’, 그리고 ‘정치적 목적’이다. 지방정부가 추구하는 각각의 목적에 관하여 네 가지의 가설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수립된 가설들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통계분석을 시도하였다. 통계분석의 결과 스페인 지방정부는 ‘정책의 확산과 개발’, ‘경제적 이익’, 그리고 ‘정치적 목적’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ODA 정책을 수립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페인 지방정부가 OECD 개발원조 회원국 중 가장 높은 비율의 ODA를 공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다른 국가들의 지방정부들도 스페인 사례를 따라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oretical frameworks and to do empirical analyses on local governments’ ODA giving behaviors in Spain. The goals pursued by local governments and central governments in giving OD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le there are some common goals pursued by two governments. Security interests, political relationship, cooperation with the former colonie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cy are pursued only by central governments, not by local governments. Meanwhile, both local governments and central governments pursue silimar goals such as economic interests and domestic political interests in giving ODA. In this study, we argue that local governments pursue four different goals in giving ODA. Those goals ar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public policies’, ‘economic interests’, ‘image and reputation’, and ‘political interests.’ Based upon these goals, we established four different hypotheses. To evaluate validity of established hypotheses, we tried statistical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local governments in Spain pursu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public policies’, ‘economic interests’, and ‘political interests.’ Considering the fact that Spanish local governments give highest ratio of ODA among OECD DAC member countries, we can expect that local governments in other countries will follow the same model. Comparative analyses are needed on this in the future.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유형화에 대한 연구: 지방재정분석제도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배인명 한국지방재정학회 2019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4 No.3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typology of local governments used in the local financial analysis system is adequate. The analyses showed that most of the the city and county’s classifiers, except the autonomous districts, were not related to the overall score of the local financial analysis. In this study, a new classification methods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was proposed.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o classify cities into four groups based on two criteria, the ratio of debt to cash equivalents and the ratio of consolidated current liabilities (or three groups, except cities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half a million based on debt ratio criteria), counties into four groups based on two criteria, the ratio of debt to cash equivalents and the ratio of consolidated financial balances, and autonomous districts into three groups based on two criteria, debt ratio and the ratio of consolidated financial balances.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in all cases, the overall scores differed by group.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lassification method by decision tree analysis is better in terms of adequacy tha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method.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지방재정분석제도에서 활용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유형화가 과연 적실성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현재 활용중인 유형화 기준들과 지방재정분석 종합점수나 분석지표값들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 또한 유형별로 지방재정분석의 종합점수 혹은 지표값들이 차이가 있는지를 회귀분석과 분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치구를 제외하고 시와 군의 경우 대부분의 유형화 기준들이 지방재정분석 종합점수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시, 군, 자치구 별로 차이는 있으나 지방재정분석 분석지표값들 중 일부는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하여 새로운 유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시는 환금자산대비부채비율과 통합유동부채비율 등 두 가지 기준에 의해 4개의 유형(인구 50만명 이상의 시를 제외하는 경우 관리채무비율 기준에 따라 3개의 유형)으로, 군은 환금자산대비부채비율과 통합재정수지비율 등 2가지 기준에 의해 4개 유형으로, 자치구는 관리채무비율과 통합재정수지비율 2개의 기준에 따라 3개 유형으로 유형화되었으며, 모든 경우 유형에 따라 종합점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재정분석 지표값들이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시, 군, 자치구 별로 차이는 있으나 일부 분석지표값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해 보면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한 유형화 방안이 기존의 유형화 방안에 비해서 적실성 측면에서 더욱 우수하다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지자체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분석 - 물 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

        유재호,전의찬,김하나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0 GRI 연구논총 Vol.22 No.3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part of the Climate Change Implementation of Measures for Adaptation that i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plan according to local circumstances (Seoul-si: the metropolitan city area, Gangwon-do: mountainous area, Chungcheongbuk-do: inland area, Jeollanam-do: coastal area, Jeju Island: island area). Text network analysis including wor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mmuni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etmin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eywords such as facilities, business, water quality, and rivers frequently appeared in the five plans. Second, the community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local governments set “water resource protection” as one of important tasks. Third, the site-specific agenda was found as a community analysis. This study effectively summarized the main tasks and found common features as well as differences in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By conducting this empirical analysi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this study contributed to a systemic approach to review and compare the local adaptation plans. 본 연구는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별로 수립·시행하고 있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의 물 관리 분야의 주요 과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적 특성(서울특별시: 대도시, 강원도: 산간지역, 충청북도: 내륙지역, 전라남도: 해안지역, 제주도: 섬지역)에 따른 기후변화 적응대책의 차이점을 비교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Net-miner를 활용해 단어 등장 빈도 분석, 연결중심성 및 매개 중심성을 포함한 중심성 분석, 커뮤니티 분석 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5개의 지자체에서 시설, 사업, 수질, 하천 등의 키워드가 등장 빈도와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개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물 관리 분야의 공통된 주요 과업은 “수자원 보호”로 나타나 지역적 특성과 관계없이 지하수 및 수생태계 등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특별시의빗물 이용, 전라남도의 둠벙 및 습지 생태 위해성 관리, 강원도의 댐 및 저수지 활용, 제주도의 해수 침투 모니터링, 충청북도의 중수 재활용을 통한 수자원 관리 등 지역마다 특수한(site-specific) 현안을 반영하여 세부계획이 수립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수립된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의 주요 과업을 분석하고 지역에 따른 세부시행계획의 차이점을 제시하였으며, 광역지자체뿐만 아니라 기초지자체를 포함하여 수립되고 있는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검토 및 평가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운영의 영향요인 분석: 지방재정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이현정,정문기 한국지방재정학회 2009 한국지방재정논집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fluencing factors of on Results of Local Financial Analysis, Focusing on Local Financial Analysis System Total Score. And although various groups of local government, researcher tried to empirical analysis. The finding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sis result that all of local government divided three groups agrees with precide research result. Second, more divided various groups used control variable, revealed on Results of Local Financial Analysis have different influencing factors. These implies that the government should approval difference local government financial state and be agreeable service that local government various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