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유럽 극우정당 지지 동기 분석

        김민정,홍지영 한국국제정치학회 2012 國際政治論叢 Vol.52 No.2

        Since the 1980s, populist radical right parties have emerged in many European countries and enjoyed increasing electoral success.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different motivations of voters for supporting a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and to find which factors condition these motivations. Based on data from the European Social Survey for Austria, Belgium, Denmark, France and Norway, this article tests three sets of motivations: protective voting motivation (economic and cultural), ideological voting motivation (left-right cleavage, cultural cleavage), protest voting motivation. Our analysis of data from 5 countries shows that motivations of voters for supporting a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vary depending on each country's national circumstances. Despite these varieties, we can find some similarities across five countries. First, this analysis provides strong evidence that, among different motivations, ideological voting motivation based on left-right position powerfully influences voter's support for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That is, the more close voter's left-right position with that of populist radical party, the more likely he is to vote for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In contrast, ideological voting motivation based on cultural cleavage rarely matters in voter's support for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Second, voter's education level has a conditioning effect on support for populist radical right party by shaping the degree of left-rignt ideological voting motivation.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서유럽 여러 국가에서 부상하고 있는 포퓰리즘 극우정당에 대한 유권자들의 지지 동기를 살펴보고, 이러한 동기가 중요하게 작용하게 되는 조건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포퓰리즘 극우정당에 대한 지지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서유럽 5개국을 대상으로 방어적 투표동기, 이념적 투표동기, 항의적 투표동기를 설정하고 이 중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동기가 무엇인가를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유권자들이 포퓰리즘 극우정당을 지지하게 되는 동기는 각국의 역사나 상황, 유권자의 성향에 따라 국가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었는데, 무엇보다 좌우이념으로 인한 이념적 투표동기가 극우정당 지지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좌우균열을 의도적으로 배격하고자 하는 포퓰리즘 극우정당에게는 모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포퓰리즘 극우정당에게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문화적 차원의 균열에 의한 이념적 동기는 거의 모든 국가에서 극우정당 지지에 그다지 중요하게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동기들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도록 해주는 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개인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개인의 교육수준이 좌우 균열에 의한 이념적 동기가 중요하게 작용하도록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의원의 당론이탈 투표에 미치는 이념요인의 영향 재고찰: 제20대 국회 전반기 본회의 표결을 중심으로

        강신재 한국의정연구회 2019 의정논총 Vol.14 No.2

        How does the ideology of the congressmen affect the party defection voting? Existing studies have estimated the effect on party defection voting with different variables of ideology, such as left-right ideology, the intensity of ideology, and ideological distance from the party. These different measurements of ideology variables make it difficult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and party defection voting effectively. This study collects all the agendas vot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measures the party defection voting rate,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effects of ideology variables affecting i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ft-right ideology variable without considering relations with the party is not appropriate in the party defection voting model. Second, we found that both the intensity of ideology and ideological distance from the party a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party defection voting model, and the two variables have more explanatory power for party defection voting than left-right ideology. Third, the competition of primary variabl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model included the intensity of ideology and ideological distance from the party variable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ppropriate variables of ideology in order to more accurately estimate the influence of explanatory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party defection voting of legislators. 의원들의 이념은 당론이탈 투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기존 연구들은 좌-우 이념성향, 이념의 강도, 정당과의 이념적 거리라는 서로 다른 이념 변수들로 당론이탈 투표율에미치는 효과를 추정해왔다. 이렇게 상이한 이념 변수의 측정은 이념과 당론이탈 투표와의관계를 효과적으로 논의하기 어렵게 만든다. 본 연구는 20대 국회 전반기에 표결된 모든안건들을 수집하여 당론이탈 투표율을 측정한 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이념 변수들의 효과를 비교분석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속 정당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은좌-우 이념성향은 당론이탈 투표 모형에서 적절하지 않다. 둘째, 이념의 강도와 정당과의이념거리는 당론이탈 투표 모형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두 변수는 이념성향보다 당론이탈 투표에 대한 설명력이 높다. 셋째, 당론이탈 투표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알려진 경선의 효과는 이념의 강도와 정당의 이념거리가 포함된 모형에서 통계적 유의성이사라졌다. 본 연구는 의원들의 당론이탈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 적절한 이념변수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정치이념과 균열구조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박기성(Ki-Sung Park) 한국유럽학회 2018 유럽연구 Vol.36 No.4

        극우주의는 이제 정치 현상을 넘어 정당정치의 일부이다. 특히 유럽에서의 극우정당은 연정을 통해 국정에 참여하거나 캐스팅보트가 될 정도로 영향력이 상당하다. 대표적으로 오스트리아 자유당(FPÖ), 스웨덴 민주당(SD), 이탈리아의 북부동맹(Lega Nord), 독일의 ‘독일을 위한 대안(AfD)’ 등이 그러하다. 프랑스의 ‘국민연합(RN)’, 오스트리아 자유당은 대선에서 결승까지 진출했었다. 극우정당이 부차적 성격(second order)의 유럽의회 선거뿐만 아니라 총선에서도 지지기반을 확대하며 기성정당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극우정당이 신뢰를 상실한 기성정당의 정치적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이를 단순히 단선적 정치적 스펙트럼의 극단에 위치시키면 그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이에 본 논문은 전통적 좌우를 경제적 좌우로, 극우와 극좌정당을 새롭게 등장한 사회적 좌우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전통적 좌우가 중도로 수렴했던 것처럼 사회적 좌우의 수렴가능성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오늘날 혼란스러운 극우현상과 정당정치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The popularity of radical right parties continues in Europe. Italy’s (Northern) Alliance is participating in the coalition as a result of the general election in 2018, and Germany"s Alternative for Germany has also grown rapidly as a third party in the 2017 general election. The ‘National Front’ of France has advanced to the final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2017. And also Hungary"s ‘Fidesz Party’, Poland’s ‘Law and Justice Party’, Finland"s ‘The Finns’, Sweden’s ‘Sweden Democrats’, Austria’s ‘Freedom Party of Austria’ is being promoted. The radical right parties are expanding their support base not only in the European parliamentary elections but also in the general elections, threatening the established parties. As such, the radical right parties are emerging as a political alternative to the established parties, but when we put them in a single left-right axi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ccurately and confusing. This paper explains the radical right as ‘social right’ in the social left-right axis and the traditional left and right as ‘economic left-right’. In addition, it examines possibility of convergence of social left-right parties as convergence of traditional left-right parties, which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hange of cleavages and predict the future of radical right.

      • KCI등재

        제20대 국회의원선거 당선자 및 후보자의 이념성향과 정책태도

        박윤희 ( Yun-hee Park ),김민수 ( Min-su Kim ),박원호 ( Won-ho Park ),강신구 ( Shin-goo Kang ),구본상 ( Bon Sang Koo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6 의정연구 Vol.22 No.3

        한국정당학회는 2016년 4월 13일에 실시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직전, 전체 1,102명의 후보자 중 819명의 주요 정당 후보자를 대상으로 이념성향과 대북/대외관계, 경제, 사회, 물질주의/탈물질주의, 당면 현안의 5개 분야에 걸쳐 엄선된 20개의 정책쟁점에 대한 입장을 묻는 설문조사를 YTN과 함께 실시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63 퍼센트에 해당하는 518명의 후보자가 응답하였으며, 이 중에는 155명의 당선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이와 같은 설문조사의 결과를 보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석은 진보와 보수의 경쟁으로 표현되는 한국 사회의 이념경쟁의 양상이 구체적으로 어떤 쟁점을 둘러싸고 전개되고 있는가를 알려주고, 20대 국회가 어떤 쟁점을 둘러싸고 갈등하는 모습을 보여줄 지를 예상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이전의 국회의원 선거에서 실시되었던 유사한 조사와의 결과비교를 통하여 이념경쟁의 양상을 구성하고 있는 정책쟁점의 변화를 가늠하게 한다. 또한 당선자뿐만 아니라, 후보자를 조사대상에 포함함으로써, 후보자의 이념 및 정책쟁점에 대한 태도가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 즉 당선에 미친 영향을 간접적이나마 검토할 수 있게 한다. We aim to report results of the survey on major party candidates in the 20th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 Right before the election, KAPS (Korean Association of Party Studies) and YTN (Yonhap Television News) surveyed candidates on their own perceived ideological positions and their policy positions on various issues that ranges from foreign policy to cultural issues. We find that the main ideological division among the candidates is driven by differences in North Korean issues, foreign relations, and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Compared with previous surveys, we also fin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economic issues has been growing increasingly, making the ideological competition similar to that of the traditional left-right ideological competition in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 Looking at both the subjective ideological position and the policy ideology position index that is a composite index of candidate positions based on responses to multitude of policy questions, we find the ideological average position of four major parties in the order of the Justice Party (JP), the Democratic Party (DP), The People`s Party (PP), and the Saenuri Party (SP) from the most progressive to the most conservative. We also find that JP is the most ideologically coherent party while the ideological positions of the PP candidates are most dispersed. We demonstrate that the distribution of subjective ideological positions is uni-modal while that of policy ideology position indices is generally bimodal. We expect this particular distinction between subjective ideology and policy ideology would provide a starting point to further investigate the potential conflict and cooperation in the upcoming 20th National Assembly.

      • KCI등재

        한국의 이념 갈등과 진보ㆍ보수의 경계

        강원택(Won-Taek Kang) 한국정당학회 2005 한국정당학회보 Vol.4 No.2

        이 글은 한국 정치에서 나타나는 이념적 갈등의 특성을 잦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념갈등이 계급이 아니라 연령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서구의 이념갈등과는 상이하다는 것이 이 글에서의 출발점이다. 분석 결과 다음의 네 가지 특성을 확인했다. 첫째, 반공이데올로기의 거부 수용의 차원은 정치권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도 매우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이념의 좌-우 차원의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정점이다. 즉 보수-진보의 갈등이 좌-우의 차원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세 번째는 자유주의 대 권위의 차원이다. 정치권과 국민들 사이에 가장 뚜렷한 차별성이 확인 되는 차원이다. 네 번째로 탈물질주의 대 물질주의 차원은 그리 큰 의미를 갖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이념 차원의 특성을 종합해 보면 결국 우리 사회의 이념적 갈등은 과거 1970년대, 혹은 박정희 체제와 발전국가 시대의 유산에 대한 평가와 직결된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는 진보-보수의 이념적 속성은 ‘반공이데올로기의 거부 수용(혹은 과거 발전국가 유신의 정산-존치’ 라는 하나의 축과 ‘자유주의-권위’ 라고 하는 또 다른 축이 교차하는 2차원의 문제로 이해할 수 있다. 반공이데올로기의 거부 자유주의의 강조가 한국 사회 진보의 특성이며, 반공이데올로기의 수용-권위의 강조가 한국 사회의 보수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One interesting phenomenon in recent South Korean electoral politics is that a division of political views between young and older voters suddenly prevailed, and generation politics is closely connected to ideology. A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al division between generations and what the political ideology stands for. The most striking result is that the European-styled left-right spectrum of ideology is not appropriate to explain the South Korean case. By contrast,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generations in terms of the libertarian-authority as well as the idiosyncratic ‘challenge-embrace of anti-communism’ dimension of ideology, which reflects the lingering legacy of the ‘developmental state’ in the 1970s.

      • KCI등재

        이념 스펙트럼의 한국적 진화

        김재한 한국통일전략학회 2017 통일전략 Vol.17 No.1

        Division and confrontation is a universal phenomenon of the human society. The left-right political spectrum is a classic system of assorting political ideologies, associated with such confrontation. Leftist values include equality, progress, reform, trade unionism, right, minority human rights, redistribution, social justice, government intervention, communism, socialism, anarchism, social democracy, multiculturalism, and inter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rightist values contain hierarchy, conservatism, reaction, family, obligation, tradition, private property, free-market, deregulation, capitalism, monarchism, fascism, Christian democracy, imperialism, and nationalism. South Korea is one of the few countries that divide political ideologies in technical terms as “progressive or conservative” instead of “left or right.” In South Korea, not only is the spectrum of conservatism and progressivism which emphasize procedural democracy and substantial democracy, respectively, but also the spectrum of pro-government and pro-opposition which are linked with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respectively. Due to its national division of 1945 and civil war of 1950, Korea’s spectrum of political ideology is distinctive in its own way. The general standard of political ideology in South Korea is its attitude towards the North Korean regime. Perception on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hina is a major element determining political ideology alongside with region and age group. The ideology spectrum in South Korea is quite exceptional; whereas the progressives lay value on nationalism, the conservatives emphasize North Korean human rights. As shown through the case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South Korea’s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 influence of North Korean workers on the regime stability in North and South Korea rather than their impact on South Korea’s capitalists and workers. Policies towards of North Korea have worked as a valence issue, a position issue, or a wedge issue in South Korean politics. Stances over North Korea need to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void fierce conflicts between ideologies. 분열과 대립은 인간 사회의 보편적 현상이다. 그런 대립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스펙트럼은 좌-우 이념이다. 좌익적 가치는 평등, 진보, 개혁, 조합, 권리, 소수인권, 재분배, 사회정의, 정부규제강화, 공산주의, 사회주의, 아나키즘, 사회민주주의, 다문화주의, 국제주의 등인 반면, 우익적 가치는 위계질서, 보수, 반동, 가족, 의무, 전통, 사유재산, 자유시장, 정부규제완화, 자본주의, 군주주의, 파시즘, 기독민주주의, 제국주의, 민족주의 등이다. 대한민국은 전문가들이 이념 스펙트럼의 명칭으로 좌-우 대신에 진보-보수를 사용하는 거의 유일한 국가이다. 한국에서는 절차적 민주주의와 실질적 민주주의를 각각 중시하는 보수-진보 스펙트럼뿐 아니라, 집단주의와 개인주의를 각각 중시하는 여성향-야성향 스펙트럼도 중요하다. 1945년 분단과 1950년 전쟁을 통해 한국의 이념 스펙트럼은 특수성을 띠게 되었다. 북한 정권을 어느 정도로 받아들여야 하느냐는 것이 그 중심 의제이다. 북한 및 통일에 관한 인식은 지역과 연령에 더해 남한 이념 스펙트럼의 주요 요소로 자리 잡아 있다. 북한부터 시작해서 미국 그리고 중국에 대한 태도까지 남한의 보수-진보 이념 구분에 포함되어 있다. 진보 진영이 단일 민족을 중시하고 보수 진영은 북한 인권을 중시하는 이례적인 이념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 개성공단 사례에서 보듯이 북한 거주 노동자의 활용에 대한 보수-진보 진영의 태도도 자본가나 노동자에 미치는 영향보다 남북한 정권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념은 정책의 향방을 알려주는 효율적인 정보인 동시에 추진 정책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다. 이념이 인물 중심의 패거리로 작동하면 이념의 양립 가능성을 낮추어 불안정한 체제가 된다. 체제 파괴적 이념을 제외하고 이념 간에 양립 가능성이 높은 스펙트럼을 구축해야 한다. 대북 정책은 남한 내 이념 성향을 구별 또는 분열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여 왔고 앞으로도 그럴 수 있다. 통일 문제가 이념 진영 간에 좀 더 공감되어야 정치적 악용이나 과도한 이념 대립을 해소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정치적 이념과 환경의식

        김도균(Do-Kyun Kim) 한국환경사회학회 201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6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정치적 이념과 환경의식 간의 관계를 밝혀보려는 경험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 대학생 480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인 정치적 이념변수로는 전통적인 이념구분 방식인 좌파와 우파, 진보정당과 보수정당 지지와 함께 후기산업사회의 특징적인 가치변동인 탈물질주의 가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인 환경의식은 언론보도를 통해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5개의 환경문제(동물실험, 기후변화, 원자력 발전, 4대강 사업, 제주도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을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으로 좌파가 우파보다, 진보정당 지지자가 보수정당 지지자보다, 탈물질주의자가 물질주의자보다 각각의 환경쟁점에 대해 친환경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런데 안보논리를 내세워 추진되고 있는 강정마을 해군기지의 경우에는 좌파/우파, 진보정당/보수정당 지지자들의 경계를 넘어 응답자 모두에게서 반환경적인 선택이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다만, 탈물질주의자만이 뚜렷하게 친환경적 태도를 보였다. 국토개발논리를 내세워 추진된 4대강 사업의 경우에는 좌파/우파, 진보정당/보수정당 지지자, 물질주의/탈물질주의자 모두에게서 반대의견이 높았던 것과는 다르게 안보논리 앞에서는 좌파 및 진보정당 지지자들이 탈물질주의자들보다 더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만 놓고 본다면, 좌파의 평등주의보다 자아표현과 삶의 질을 강조하는 탈물질주의 가치가 환경의식의 정치적 기반으로 더 설명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발논리보다는 안보논리가 대학생들의 환경의식 성장을 가로막고 있었다. This is an empirical study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political ideology and environmental concerns. To attain the goal, this paper analyzed survey data from 480 undergraduates in Daejeon. As the variable of political ideology, the in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used post-materialistic value, the characteristic value fluctuation of post-industrial society, as well as support for the left and the right, and the progressive party and conservative party, the conventional division of ideology. Also, regarding the dependent variable of environmental concerns, this article used five environmental problems(animal experiment, climatic change, nuclear power development,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and Jeju Gangjeong Village naval base construction) widely known to the public through press reports for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ft, progressive party supporters, and post-materialists showed higher eco-friendly attitudes than the right, conservative party supporters, and materialists regarding each of the environmental issues. However, with regard to the Gangjeong Village Naval Base being promoted with the logic of security, most of the respondents including the left/the right or progressive /conservative party supporters chose anti-environmental options. However, post-materialists showed clear eco-friendly attitudes exceptionally. Regarding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promoted with the logic of national land development, most of them including the left/the right, progressive /conservative party supporters, or materialists/post-materialists expressed objections; however, before the logic of security, the left and progressive party supporters were weaker than post-materialists. Only by the result of this paper, we can conclude that security logic blocks the growth of environmental concerns in undergraduates more than developmental logic.

      • KCI등재

        "복합적 유권자층"의 등장? -안철수 지지집단의 이념성향 분석

        최종숙 ( Jong Sook Choi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3 한국과 국제정치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안철수 지지집단의 이념성향에 대한 경험분석을 통해, 이들이 진보 혹은 보수 가운데 한 집단에 속하기보다 두 성향의 일부를‘공유’하는‘복합적 유권자’임을 보이고자 하는 것이다. 주관적 이념성향으로만 파악했을 때 안철수 지지집단은 진보에 가깝다. 그러나 주요 쟁점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보면, 안철수 지지집단은 복지확대와 재벌규제에서는 진보집단에 가깝지만, 우리 사회에서 진보와 보수를 가르는 핵심 쟁점이 되고 있는 대북정책에서는 진보/보수 모두와 거리를 두는 중도적 성향을 보인다. 또한 현실의 진보/보수 균열과는 관련 없지만 물질적 성공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물질주의자에 가깝기도 하다. 안철수 지지집단이 탈물질주의자라고 규정했던 기존 주장과는 상반된 결과다. 특히 안철수를 지지하다가 박근혜에게 투표한‘안철수우파’와 안철수를 지지하다가 문재인에게 투표한‘안철수좌파’는 주관적 이념성향에서는 보수와 진보로 갈리지만, 주요 쟁점항목의 관점을 공유하는 동질적 집단임이 확인된다. 본 연구의 의미는 진보/보수라는 이념균열이 여전히 중요하지만, 그것과 구분되는‘복합적’성향을 갖는 유권자층이 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 있다.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supporters for Ahn Cheol-soo are ‘ideologically mixed voters’ which share both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position through analyzing ideological orientation between them. The supporters for Ahn belong to the progressive group if they are estimated with subjective ideology. However, while they have the progressive position on the economic growth/distribution issues, they have the neutral ideological position on the North Korea issues that is the number one topic stimulating ideological polarization. And they are materialists in the respect that they seek material success. It is different from the opinion of scholars arguing that supporters for Ahn are nonmaterialists and so progressive. Above all, ‘Ahn Cheol-soo left’ who voted Moon Jae-in among supporters for Ahn, and ‘Ahn Cheol-soo right’ who voted Park Geun-hye among supporters for Ahn, are both polarized ideologically but share their perspectives on the main policies and issue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s ‘ideologically mixed voters’ emerging while the ideological cleavage is still important in Korea.

      • KCI등재

        한국 정치공간의 시민과 대표 간 이념적 일치: 개념화와 측정

        정동준 ( Jung Dong-joon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7 의정연구 Vol.23 No.2

        대의 민주주의에 있어 대표자가 얼마나 시민의 이념적 선호를 대변하는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의회 혹은 정부와 시민 간의 이념적 일치는 주로 정당정치가 오래된 서구 민주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민주주의의 역사가 비교적 짧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논문은 2002년부터 2016년까지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정치공간의 시민과 대표 간 이념적 일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개념화하고 측정하였다. 먼저 좌-우의 단차원적 공간으로 분석한 결과, 시민과 국회 간의 이념적 거리와 달리 시민과 정부 간의 거리는 200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야 간 양극화와 정부의 대표성 악화는 민주주의의 규범적 측면에서 부정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차원적 공간에서 정부와 시민 간의 이념적 거리는 쟁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대북지원에서는 2008년 보수정권이 들어선 이후 점차 증가한 반면, 복지정책의 경우는 이전의 진보 정권에 비해 악화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렇게 쟁점별로 이념적 일치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은 시민과 정당 모두에게 많은 점을 시사한다. 시민들에게는 단차원적 이념을 넘어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쟁점을 대변하는 대표자를 구별하는 능력이, 정당에게는 기존의 지지층과 함께 늘어나는 무당층을 대변하기 위해 효과적인 당 조직의 정비와 프로그램 마련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How well citizens are represented by their representatives holds critical importance in representative democracy. While previous studies of ideological congruence have largely focused on Western established democracies, there was not as much attention paid to young democracies including, South Korea. This article investigates ideological congruence in South Korea based on multiple survey data sources collected from 2002 to 2016. When it comes to unidimensional Left-Right ideology, the distance between citizens and governments, unlike its citizen-assembly counterpart, has widened since 2000 sending a negative signal to the norm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s to multidimensional issue positions, however, it turns out that ideological congruence in South Korea has varied along issues such as aids to North Korea and Welfare spending. These results provide both citizens and parties with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citizens, they are required to distinguish which party or candidate is more representative of the issue they value the most beyond a simple Left-Right line; for parties, they are required to deal with how to represent their supporters as well as today`s increasing independents by strengthening their organizational capacity and providing effective party programs.

      • KCI등재

        Demand without supply? Mass partisanship, ideological attachments, and the puzzle of Guatemala's electoral market failure

        Navia Patricio,Perelló Lucas,Masek Vaclav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2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25 No.2

        The demand for an ideologically based party system is not always met with a supply. As a country where a large majority of adults identify on the ideological scale but whose weak political parties primarily function as short-lived personalist platforms, Guatemala represents an extreme case of a demand supply mismatch. Using six AmericasBarometer surveys from 2008 to 2018, we analyze the supply-side (partisanship) and demand-side (ideological identification) effect on voter turnout to identify whether the manifestation of this market failure applies evenly to voters across the ideological scale. We report a nuanced outcome: partisanship and identification on the right of the ideological scale increase turnout, but identification on the center or the left display no significant effect. The absence of parties that effectively represents left-wing or centrist voters—or that at least induce them to turn out to vote—points to a supply-side problem in Guatemala's political representation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