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 기반 교실수업에서 핵심역량 평가 방안 탐색

        이상하(Lee, Sang 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 기반 교실수업에서 범교과적 성격의 핵심역량 평가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교교육 전 과정에 걸쳐 핵심역량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나, 핵심역량 발달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이나 핵심역량 수준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범교과적 핵심역량들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능력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교과 지식과 관련 있는 학업성취도 평가처럼 선택형이나 서답형 지필평가의 방법만으로 타당도 높은 결과를 얻기는 어렵다. 또한, 교과 기반의 교실수업 상황에서 범교과적 핵심역량에 대한 교수학습 및 평가를 실행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쉬운 일이 아니다. 핵심역량 평가의 이론적 그리고 현실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이 교과 기반의 교실수업에서 핵심역량 평가의 큰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범교과적 핵심역량으로 자주 언급되고 있는 문제해결, 의사소통, 협력, 창의성, 협력적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는 전략과 평가도구들을 조사하였고, 교과 기반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과의 내용 지식과 범교과적 핵심역량을 함께 측정하는 전략들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교과 기반의 교실수업 상황에서 범교과적 핵심역량을 타당하게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thods for assessing key competencies in subject-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key competencies education throughout the entire school education process,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ssessment tools that can adequately measure key competencies as well as the theoretical basis that can expla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key competencies. Since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are related to both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it is difficult to obtain valid results only with selected-response or paper-pencil tests that have widely been used to measure students’ content knowledge. In addition, it is not easy for teachers to teach and assess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subject-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Despit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fficulties of assessing key competencies, there is a need to support teachers to maintain the large direction of assessing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in subject-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To this end, strategies and assessments to measure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eativity,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which are frequently mentioned as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were investigated. And strategies to measure both content knowledge and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were explor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methods that appropriately assess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subject-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and use assessment results to reinforce teaching and learning the key competencies.

      • KCI등재

        미래 핵심역량, 창의인성, 그리고 작문교육 핵심 역량 기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구상

        가은아 ( Eun A Ka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0

        This study aims to design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purpose, I explored the meaning and category of key competencies and verified the fact that view of key competencies that are only competencies for a career is being replaced with that of key competencies that are overall and practical ability to solve general problems of living. Also, the category of key competencies should be explored afresh. Several new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are suggested.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issue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should be resolved. Second, relations between key competencies across curriculum an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sophisticatedly readjusted. Third, the ways to draw up the system for the curriculum documents are proposed. Especially, when I drew up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I explored the ways that key competencies are showed explicitly when each item in the curriculum is described or each item in the curriculum documents is restructured in and around the factors of key competencies. Also, I highlighted that authentic discussion and appropriate agreement are prerequisite for developing and perform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key competencies.

      • KCI등재

        단과대학의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연계 모형 탐색

        유지선(Ji-Sun You),김덕파(Dukp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우리나라 고등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대학 전체의 교육 방향에 근간이 되는 핵심역량과 전공교육의 기반이 되는 전공역량의 두 요소를 포함한다. 이에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의 유기적인 연계는 대학 교육과정이 전체성과 통일성을 갖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의 연계 모형을 탐색하여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 체계화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설계 방법을 탐색하고 국내 대학들의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특징 및 연계 유형을 분석한다. 둘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역량과 단과대학의 전공역량 연계 모형 초안을 개발한다. 셋째, 초안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한 FGI 실시 후,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안을 도출한다. 넷째, 종합대학인 A 대학교 교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정안을 적용안으로 수정하여 최종안으로 확정한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역량기반 교육은 교육부 사업 유치와 평가 대비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이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들의 합의를 통한 역량 설정이나 수업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학생들의 실질적인 역량 향상을 돕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역량기반 교육을 통해 학습자와 사회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환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교육에 대한 책무성이 강조되는 대학교육 질 관리 체계 구축에 기여하였다. 둘째, ‘핵심역량의 포괄성 및 구체성 수준’과 ‘각 단과대학의 학문적 특징’을 기준으로 네 가지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연계 모형인 ‘전공역량 중핵형, 전공역량 일치형, 전공역량 연계형, 전공역량 확장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을 두 축으로 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아직 도입 단계로서 본 연구가 제시한 네 가지 연계 모형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면 보다 완성도 높은 교육과정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is twofold - university-wide key competencies which shape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the institution and discipline specific major competencies on which major education is based. As such,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in a systematic way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otality and unity of university's major curricula. This study aims at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systematization of competency-based higher education by developing systematic way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via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proposes four model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that are develop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ive universities in Korea.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FGI is conducted with curriculum experts,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s explored by a survey among professors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Results First, this study finds the current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exhibit both a limitation and an advantage.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introduced among Korean universities as a means to evaluate education qualit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tentimes, competencies were selected without the interest and consensus of school members and competency-based curricula were not properly implemented. As a result,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was not fully functional in developing students' actual competencies. Nevertheless,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by systematizing a curriculum feedback system that reflects the needs of learners and society and emphasizing educators' responsibilities. Second, this study proposes four models of linking key competencies and major competencies, which are labelled as core major competencies model, equivalent key-major competencies model, overlapping key-major competencies model, inclusive major competencies model. They differ by the relative scope and specificity of key and major competencies. Conclusions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is in its initial stage. The four models that this study proposes can be utilized to further develop current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a.

      • KCI등재

        중학생의 ‘미래 핵심역량’ 영향 요인 분석

        박희진(Park, Heejin),남궁지영(Namkung, Ji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OECD의 ‘미래 핵심역량 ’프로젝트인 DeSeCo의 모형을 차용하여 개발된 미래핵심역량 진단검사지를 통해 수집된『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2013년(4주기) 중학교 3학년 데이터(213개교, 13,246명)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중학생의 ‘미래 핵심역량’ 관련 가정, 학생, 학교특성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미래핵심역량 진단검사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창의역량,’‘자기주도역량,’ ‘사회역량’ 으로 구성되며, 분석을 위하여 학생-학교의 2수준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가정 특성 요인을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 관계는 모든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관련을 보였고 문화향유정도는 창의 및 자기주도역량과 관련을 보였다. 둘째, 학생 특성 요인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 학습전략, 학습끈기, 수업태도가‘미래 핵심역량’의 모든 하위 영역과 정적인 관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특성 요인과 ‘미래 핵심역량’ 간 관계는 다음과 같다. 수업분위기는 ‘미래 핵심역량’의 모든 하위 영역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울지역 학생의 창의역량 및 사회역량이 다른 지역의 학생들 보다 높고, 학교 내 기초학력미달학생의 비율이 낮을수록 창의역량 및 자기주도역량이, 교사의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사회역량이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미래 핵심 역량 제고를 위하여, 교사-학생 간, 교우 간 관계 개선 및 학교 수업분위기 개선,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과 부모-자녀 간 관계 증진, 독서 및 체육활동 경험 기회 확대 등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rela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key competencies.’ A theoretical framework is adopted from the OECD’s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DeSeCo) Project. The DeSeCo Project suggests three major components of the key competencies and those concepts are renamed as social competencies, creative competencies, and self-autonomy to be operationalized and survey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KLSPSS). Student-school two 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fourth round of middle school survey of the KLSPSS. In total, 213 middle schools and 13,246 9th graders were selected across the country. First, th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children relationship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ll of the three sub-categories of key competencies and cultural experiences with creative and self-autonomy competencies. Second, among the students’ factors, students’ self-esteem, career maturity levels, strategy and perseverance in learning, and classroom attitude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ll of the key competencies. Third, class atmosphere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very sub-category of key competencies. In addition, students in Seoul show higher creative and social competencies than those in other regions, and students in schools with less underachievers and stronger accomplishment-oriented pressure show higher social competencies. The analyses suggest that education policies that improve students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eachers, and themselves(self-esteem), students’ attitude in classroom, classroom atmosphere, and students’career maturity levels and that increase students’ readings and physical education can improve students’ key competencies.

      • KCI등재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김선희,권영심,신지숙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2

        Many researches have emphasized necessary key competencies at the workplace in recent years because we have faced changes in the world of work and the implications of those changes for learning. However, colleges do not recognize rapid changes in workplace. Meanwhile, colleges do not prepare their students for work. In other words, colleges do not establish and develop programs and curricula which are included with basic skills, thinking skills, and personal quali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examine key competencies which students needed to succeed at work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of key competencies-communication skills, technology information application skills, interperson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work ethics-for a success vocational life of college graduates. 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d necessary skills for reinforcing lifelong employability, analyzed needs of employees who took charge of students in the workplace, and provided practical strategies to promote students’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ary skills of foreign countries and investigated needs analysis of employees about subcategories of key competenc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pervisors who took charge in the workpla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irty five questions which were six categories of necessary skills in the workplace. Results could not generalized to other colleges because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M college students. Results of survey revealed that problem solving skill was the lowest one among the six categories of key competencies, and the second lowest one was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evelopment. Otherwise, work ethics was the highest. Especially on problem solving skill, it appeared that followed words arrange the lowest in order-‘Students suggest innovative and unique idea to solve the problem.’ ‘Students constantly monitor their action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Students set up practical target to solve the problem.’ ‘On communication skill, supervisor’ response of question ‘Students are proficient in presentation skills.’ was the lowest and it of ‘Students communicate effectively in writing to clearly get across their ideas.’ was the second lowest on. Otherwise, on self-development, response on the ‘application of know-how and technology’ and ‘career development’ was relatively low in other terms. The major achievements from this study’s results were as follows. Programs of key competencies should be leaded, supported and operated by government, college, and each department in order for college students to acquire necessary key competencies. First, government should have concern, support financially, and suggest guideline for key competencies. Second, college should encourage and provide programs for students to reinforce their abilities. College should also develop simple manuals, divided into skill levels from basic to advanced, for each department. Especially, college systems should be integrated with students’ needs and institutions’ needs to be comparative. and investigated to demands of government, college, and department of key competencies. Third, each department should help students to have fundamental skills needed to succeed in the world of work. In order to do so, each department should understand how curriculum and instruction were changed to enable students to be comparative.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and redeveloped regularly by analyzing needs of industries and students. Last, government, college, and each department should be cooperative to efficient delivery and participate in teams for operating programs effectively. This study examined needs of supervisors who coached students in field about key competencies. But it will be needed to survey the students’ needs in key competencies. Therefore, it will be ne... 본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생이 급변하는 직업 환경 속에서 평생에 걸쳐 직업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직업기초능력-문제해결능력, 기술 정보 활용,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직업윤리, 자기개발-을 증진시키기 위한 운영방향 및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국의 사례 분석과 현장에 근무하는 실습 담당자를 대상으로 전문대학 학생들이 강화해야 할 직업기초능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기초능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M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체 전문대학 재학생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설문조사결과, 직업기초능력 여섯 영역에 있어서 보통수준 이상의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문제해결능력’이 가장 낮고 그 다음이 ‘의사소통능력’과 ‘자기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윤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이 뛰어난 학생일수록 다른 영역도 뛰어난 것으로 보고 있었다. 특히 문제해결능력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참신하고 독특한 아이디어 제시’ 및 ‘자신의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 ‘실현가능한 목표 및 방향 설정’ 능력이 낮았으며, 의사소통능력에서는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능력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개발능력’에서는 ‘알고 있는 지식과 기술의 활용’ 및 ‘자신의 능력에 대한인식’ 측면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직업기초능력 중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직업윤리’에 있어서 학과 간에 약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직업기초능력 증진 방향 및 운영방안은 다음과 같다. 즉,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은 학생들의 평생고용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을 습득하도록 하되, 직업기초능력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정부, 대학, 학과 차원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반영하여 직업기초능력을 수준별로 구분하여 운영하되 통합적이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학년별 혹은 단계별로 진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실습생을 지도하고 있는 담당자를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으나 후속연구로 실습생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함으로써, 실습생이 스스로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영역과 현장 담당자가 실습생에게 인식하는 능력간의 차이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직업기초교육으로서의 핵심역량 중요도

        김성재(SungJae, Kim),황지애(JiAe, Hwang),변은진(EunJin, Pye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전라남도 및 전라북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장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한 유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직업기초교육으로서의 전반적인 핵심역량 중요도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핵심역량 중요도 수준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현장직무에서 중요시하는 핵심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에 대해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핵심역량 중요도 수준에서 자기관리역량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역량, 종합적사고력, 자원 · 정보 · 기술의 활용역량, 글로벌역량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핵심역량 중요도 인식 차이 결과에서는 학력과 연령, 경력에 따라 일부 핵심역량들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현장 유아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핵심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으며,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바탕으로 향후 추진되어야할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working at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in Jeollabuk-do and Jeollanam-do on overall key competencies importance level and key competencies importance level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as vocational basic education. This study was worthwhile to seek educational methods to enhance key competencies that are important on the job by improving the level of key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lf-management competencies was the highest level among the key competencies importance level, followed by communication competencies, personal relations competencies,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application ability of resources, information and technology and global competencies.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key competencies importance level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some key competencies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ages, care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rovement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to enhance the key competencies as vocational basic education were proposed and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 propose future research projects.

      • KCI우수등재

        비교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본 한국 핵심역량 교육정책의 특징과 과제: 초ㆍ중등교육을 중심으로

        이상은 한국교육학회 2017 敎育學硏究 Vol.55 No.1

        Recently, 'key competencies' have been regarded as a key word for new educational reform in 21st century. Many countries in OECD, EU have bee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olicies based on key competencies in their education system. Korea is no exception.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published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dopted key competencies explicitly. In addition, the goal of Free Learning Program which has been implemented as a key educational policy toward school innovation in this government is to achieve key competencies. In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of educational reform for key competencies in Korea from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I explored the trends of key competencies education in global context by analyzing the results conduc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OECD, EU and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in US. Next, I analyzed the current educational policies in Korea focusing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Free Learning Program. Lastly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of key competencies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four dimensions; curriculum and instruction, assess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chool organ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핵심역량 교육의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핵심역량 교육정책이 갖는 특징과 과제를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이 글의 주된 연구방법은 문서 분석이다. 국내외 핵심역량 교육정책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문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EU, OECD 등 국제적 수준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교육의 동향을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 '교사 전문성', '학교조직 재구조화'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최근 한국의 핵심역량 교육정책의 현황을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자유학기제 등의 주요 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한국의 핵심역량 교육정책이 갖는 특징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은 외국의 사례와 유사하게 핵심역량 교육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개혁하고 학생 참여형 수업을 강화하는 흐름을 보였다. 평가 정책 또한 과정중심 평가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 동향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각론에서 핵심역량을 반영하는 방식, 국가 교육과정 상에서 핵심역량 평가에 대한 접근 방식, 특히 자유학기제를 통한 평가 방식의 변화와 관련하여서는 한국적 맥락의 독특한 특징을 보였다. 교사 전문성과 관련하여서는 외국 사례들과 마찬가지로 현직 교사교육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그 초점이 수업 및 평가 방법 개선이라는 당면 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교사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까지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조직 재구조화 측면에서는 자유학기제나 진로교육 정책을 통해 학교 내부의 구성원들 간의 협력 및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제한된 기간 동안 특수한 정책 사례라고 이해될 가능성을 안고 있었다.

      • KCI등재

        멘토링프로그램의 비행청소년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 교사 멘토 FGI 텍스트분석 중심으로

        김민선 대한범죄학회 2019 한국범죄학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juvenile delinquents of the mentoring program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mentoring program for the future. For this, the FGI was conducted of teacher mentors who had experience in the mentoring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and tex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its content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juvenile delinquents in the mentoring program were five: learning competency, living management competency,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social participation competency, and that the mentoring program provided a guide to improving these five key competenci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significance of presenting the content and direction that future mentoring programs should focus 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and practical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on mentors is needed to understand what key competencies need to be improved through the juvenile delinquents Mentoring Program.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rics that can properly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mentoring programs. Thir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strengthening the key competencies of juvenile delinquents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entoring program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mentors who are adults and teachers who have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so there are limitations that are difficult to navigate and generalize from a limited perspective in identifying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juvenile delinquents in the mentoring program. Subsequent studies need efforts to identify and understand key competencies through more diverse perspectives and methods. 본 연구는 멘토링프로그램의 비행청소년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앞으로의비행청소년 대상의 멘토링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비행청소년 멘토링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교사 멘토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고그 내용을 바탕으로 텍스트분석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멘토링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비행청소년의 핵심역량은 학습역량, 생활관리역량, 진로개발역량, 대인관계역량, 사회참여역량의 5가지로 나타났고, 멘토링프로그램은 이 5가지 핵심역량 향상에 도음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의 멘토링프로그램이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내용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한 정책 및 실천적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행청소년 멘토링프로그램을 통해 향상되어야 할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멘토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멘토링프로그램의 효과를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멘토링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있어 비행청소년의 핵심역량 강화에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성인이자 교사인 멘토들로 한정되어, 멘토링프로그램의 비행청소년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파악하는 데 있어 제한된 관점에서 탐색하고 일반화하기어려운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통해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노력이 기울여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 Case of study Key Competencies-bas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France

        이화도(Lee Hwa D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o implement key competencies- bas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cusing on the case of France which presents its successful model. French Educational Commission has specified ‘French key competencies-socle commun’ in 2005 and has started an key competencies-based educational reform to nurture capable person combined with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a successful life through public educational system, in all domain of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national evaluation system, and teacher education, etc. The discussion on key competencies-based educational reform is related with the interest on whole-person education for a future successful life. It derived from the critiques on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knowledge acquisition. And also the reflection on the limits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that can not cultivate the capable individuals that the future society requires. Major finding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key competenciesbas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reinforces the continuity of education. Second, it is adapted in each level of education, as flexible principle. Third, it brings a changes in overall educations. 본 연구는 최근 교육개혁을 통해 핵심역량 교육과정의 성공적 사례를 보이는 프랑스의 유아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프랑스는 2005년 법령을 통해 최근OECD가 규정한 핵심역량개념에 근거하여 프랑스 교육의 핵심역량인 ‘socle commun’을 발표하고 이를 모든 단계의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원리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과정뿐 아니라 교사교육 및 교육전반에 걸친 개혁으로 진행되었다. 핵심역량에 근거한 교육개혁은 미래의 성공적 삶을 위한 전인교육의 대한 관심과 연결된다. 이는 지적발달이나 지식습득에만 중점을 두는 전통 교육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여 그 한계를 극복하고 이를 통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인간양성을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 기반 유아교육과정은 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둘째,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은 모든 단계의 교육에 적용되지만 각 단계별 교육목표에 따라 융통성 있는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셋째,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혁은 단지 교육과정만이 아니라 교육의 전 분야에 걸친 개혁으로 연결된다는 점이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및 교사인식 분석

        안홍선(Ahn Hong Seon),박현주(Park Hyun Joo),윤초희(Yoon Cho H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핵심역량 개념에 기초하여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을 개발 및 정의하고, 그에 대한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의 핵심역량 및 교사의 역량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론적·개념적 맥락에서 교사의 핵심역량을 구안하고, 이에 관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인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수정하고 정교화하였다. 또한, 현직 교사와 교육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곤란도, 그리고 이러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현재의 양성교육이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초등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은 수업 역량, 학생 공감 역량, 의사소통 역량, 교육공동체 형성 역량, 교사정체성 개발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그러나 초등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결과는 양성교육에서 여전히 교과를 가르치기 위한 지식과 기술에 편중된 기능주의적 측면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학교 교육과정이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개정된 것과 호응하여, 교사교육에서도 교과나 직무 중심의 지식ㆍ기술교육을 벗어나 태도나 가치지향 등을 포함하는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are (a) to develop and define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b) to examine how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perceive the proposed constructs of key competencies. For the purposes,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we reviewed extant literature about teachers’ key competencies and developed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view. Next, initial conceptions of key competencies were revised and refined through two delphi studies. Finally, we examined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of competencies, difficulty in performing competencies, and the extent of contributions of current teacher development curriculum to competencies. The five key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instruction competency, empathy competency, ability to build education community competency, and development of teacher identity competency. The survey results suggested that current curriculum is perceived to hold functionalistic perspective which mainly focuses on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comprehensive competency approach into teacher development curriculum as well as schoo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