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HTP를 통해 나타난 아동 ·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과 내담자의 심리적 특징연구

        박미라(Mira Park)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8 No.-

        본 연구는 K?HTP를 통해 나타난 아동·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감과 내담자의 정서적 특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우울 및 불안을 주 호소문제로 보고하는 내담자들이 보이는 정서적인 특징들을 포괄적이고 다양하게 연구하여 아동 ·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개발과 예방교육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K?HTP를 통해 나타난 아동 ·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과 내담자의 정서적 특징을 연구하고자 내담자 부모의 심층면접과 자녀의 K?HTP 그림투사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K?HTP를 통해 나타난 아동 ·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과 내담자의 정서적 특징을 연구하고자 서울서부교육지원청 Wee센터에서 2013?2014년 동안 부모상담서비스를 받은 부모들을 대상으로 초기면접 설문지와 학생 내담자의 K?HTP 그림검사를 통해 그들의 우울감과 불안감 및 심리정서적 상태를 분석하였다. 서울서부교육지원청 Wee센터에서 부모상담 서비스를 받은 부모와 아동 · 청소년 자녀들 중에 면접설문 응답자들은 총 488명(2013년 239명, 2014년 249명)이었고, 아동 및 청소년 자녀 488명에게 심층면접과 K?HTP 그림검사를 실시하여 488개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부모면접을 통해서 아동 ·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줄어든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K?HTP 그림검사를 통한 아동 · 청소년 심리적 특징에서는 정신건강에 관련한 우울 · 불안 · 감정 및 다양한 감정 · 정서적인 문제들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K?HTP 그림검사를 통한 우울 · 불안과 성격성향에서 우울 · 불안의 유무는 성격성향의 강함, 중간, 약함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성격이 강할수록 우울·불안 성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우울하고 불안할수록 안정감을 추구하게 되고, 내재적인 감정이 증가할수록 우울 · 불안감을 느끼며, 생각이 많고 외로움을 많이 느낄수록 우울 · 불안감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This study was researched children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anxiety and clients’ emotional status through K?HTP. This research was also tried to contribut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ounseling program for mental health and preventive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clients’ parents and children and adolescents’ K?HTP drawing test methods were adopted to find out children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anxiety and clients’ emotional status through K?HTP. In?depth interview with clients’ parents and children and adolescents’ K?HTP drawing test were done in Wee Center through 2013?2014 to analyze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and psychological status. Total of 488 subjects were received parenting counseling service in Wee Center through 2013 and 2014. The researcher collected 488 in?depth interview results and K?HTP drawing test results from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ents’ in?depth interview through Wee Center reduced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problematic behaviors. However, children and adolescents’ K?HTP drawing test increased children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anxiety and clients’ emotional problems. K?HTP drawing test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depression?anxiety and personality tendency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clients who have strong personality showed high tendency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y pursued stable status. The results also showed the increase of the inherent emotion mounted up the depression?anxiety. Finally, the clients’ who have a lot on their minds and feel lonely increased depression?anxiety, too.

      •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K-HTP그림검사와의 관계

        김현진(Kim Hyeon Jin),조규영(Cho Gyu Young) 한국통합예술심신치유학회 2016 통합심신치유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K-HTP(Kinetic House-Tree-Person)그림검사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E대학교, 대전광역시 D대학교, 전라남도 S대학교의 대학생들 246명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아정체감척도와 K-HTP그림검사 결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각 하위영역 간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 및 K-HTP그림검사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른 자아정체감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정체감이 높게 나타났고, K-HTP그림검사에서는 나무그림에서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학년 및 지역에 따른 자아정체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아정체감과 K-HTP그림검사 결과의 영향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K-HTP그림검사가 자아정체감에 대한 변량의 70%정도를 설명할 정도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K-HTP그림검사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대한 여러 가지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한 도구로 유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K-HTP(Kinetic House-Tree-Person) pictorial test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246 students at D Uni.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E Uni. in Geonggi-do Province and S Uni. in Jeollanam-do Province.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ego-identity and K-HTP pictorial test,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re was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all sub-areas.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to results of ego-identity and K-HTP pictorial test depending on university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One-Way ANOVA was conducted. As a result, ego-identity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of male students with only the tree picture in K-HTP pictorial test. Whereas, there was little meaningful differences to ego-identity by grade and region. Furthermore, in order to find out fluence relation of result of ego-identity and K-HTP pictorial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re was distinctive meaningful result that K-HTP pictorial test could explain 70% of variate of ego-identity. With this result of study, it was examined that K-HTP pictorial test could be useful to find out various factors about ego-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불안 및 K-HTP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최수아 한국예술치료학회 201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전북 J 시에 위치한 119안전센터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소방 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불안 및 K-HTP 반응특성을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의 대상은 J시에 위치한 119 안전센터 3곳을 정하여 현장출동과 구급·구조 분야에서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을 59명을 표집대상으로 정하여 설문지를 배포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소방공무원의 재직기간이 높을수록 외상후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상태· 특성 불안 및 K-HTP 반응특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방공무원의 K-HTP 반응에서 외상후 스트레스와 상태·특성 불안을 의미하는 K-HTP 반응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K-HTP 반응특성의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에서 불안과 스 트레스를 의미하는 그림반응의 특성이 보여졌으며 K-HTP를 통해 외상후 스트레스와 불안 성향을 밝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소방공무원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정서 상태에 대한 정보 와 K-HTP 반응특성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추후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기적인 심리치료와 상담을 통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완화를 목표로 하여 심리적·정서적 안정을 위한 심리치 료관련 상담 및 치료프로그램 개발에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KCI등재

        S-HTP와 K-HTP 그림검사의 반응특성 비교 연구

        정영인 한국미술치료학회 2015 美術治療硏究 Vol.22 No.5

        본 연구는 HTP에서 응용 발전된 S-HTP와 K-HTP가 치료사의 지시어에 따라서 그림의 표현과 반응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두 검사 모두 집, 나무, 사람을 그리는 것은 동일하지만, K-HTP는 동적인 사람을 표현하게 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검사 간의 전체적 양식, 집 그림, 나무 그림, 사람 그림의 반응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두 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두 그림검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x²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S-HTP와K-HTP의 전체적 양식의 반응특성은 크기, 순서, 세부묘사, 원근감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집 그림은 크기, 형태, 위치, 지붕, 창문, 문에서 두 검사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나무 그림은 크기와 열매의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사람 그림에서는 크기, 사람의 수, 위치, 성별, 행동, 얼굴 방향, 얼굴 표정, 간략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S-HTP와 K-HTP의 반응특성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고, 그림검사의 지시어가 심리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acknowledge HTP, which has applied and developed in a drawing test tool of S-HTP and K-HTP. The Results of drawing expression and psychological meanings may differ by therapist’s dictation. Both tests are consisting of drawing the house, tree, and person, but the exception for K-HTP is to express person kinet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ose tests’ differenc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otal shape, house, tree, and person in drawings. Two tests were conducted among 238 university student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the x² test with SPS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1.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in size, order, detailed description, and sense of perspective in their overall patterns of S-HTP and K-HTP. 2.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house’s size, shape, location, roof, window, and door in both tests. 3.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ree’s size and existence of fruits. 4.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person’s size, number of people, location, gender of the person, behaviors, direction of the person, facial expression, and simplification. By comparing those response characteristics between S-HTP and K-HTP, the dictation in a drawing test tool could affect in results of psychological analysis.

      • KCI등재

        성폭력범죄 성인 남성과 일반 성인 남성간의 K-HTP 반응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공마리아,최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있는 A 교도소 내에서 성폭력으로 인해 수감되어 있는 성폭력범죄 성인 남성 107명과 대구 및 인근지역의 일반 성인 남성 120명을 대상으로 K-HTP를 실시하여 두 집단간의 반응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결과처리는 SPSS 19.0을 이용하여 χ²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K-HTP의 전체적 양식에 있어서 성폭력범죄 성인 남성과 일반 성인 남성의 반응특성에는 집, 나무, 사람간의 거리에 있어서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K-HTP의 집의 그림에서 문, 길의 유무, 집의 필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셋째, K-HTP의 나무 그림에 있어서는 가지와 줄기의 조화, 뿌리의 유무 및 형태, 열매, 지면선의 유무, 그리고 필압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K-HTP의 사람 그림에서는 눈의 형태, 얼굴내부표현, 발 및 발의 길이, 손의 유무 및 크기, 얼굴표정, 머리카락의 유무, 그리고 의복의 적절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K-HTP는 성폭력범죄 성인 남성의 심리적 특성 파악에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response characteristics between a group of 107 sexual offenders confined in a prison located in Daegu and a group of 120 men from the general population of Daegu and surrounding areas.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χ² test with SPSS 19.0. In the overall style of K-HTP for sex offenders and ordinary men,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house, tree and distance between people. Second,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oor, existence of a road and pen pressure for the house image in K-HTP while the group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armony of the branches and trunk, existence of roots and its form, fruits, existence of a horizon and pen pressure for the tree image. Finally,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eyes, expression of the inside of the face, length of the feet and hands, existence of the hands and their sizes, facial expression, existence of hair and the appropriateness of clothing on the person image of the K-HTP.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K-HTP can be a useful tool in identify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sexual offender.

      • KCI등재

        분산전원이 있는 배전계통에서 딥러닝을 통한 고저항 지락사고 판별

        박종영,이한민,조규정,정호성,한문섭 대한전기학회 2022 전기학회논문지 Vol.71 No.11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detect a high-resistance ground fault in a distribution system with complicated configuration such as installation of a distributed generation. A method to detect high-resistance ground fault accidents by converting the fault current into visual data and applying the CNN technique to this is presented and verified. The data for learning the CNN technique was generated through simulation of the model system.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data generation by changing the fault resistance, the size, location of faults and amount of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in the case of a high-resistance ground fault and an increase in load in the model system. The generated data was transformed into graphic data by applying Morlett wavelet transform, and then learning was performed by applying CNN. As a result of the learning, high-resistance ground faults were identified with 98.29% accuracy, and a protective algorithm including this result that can respond to high-resistance ground faults occurring in the distribution system was proposed.

      • KCI등재

        자아존중감과 K-HTP 검사를 활용한 아동의 퍼스널 컬러 반응효과

        정세연(SeYeon Joung),박연선(YunSun Par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본 연구는 개인의 고유한 색을 뜻하는 퍼스널 컬러의 진단을 통해 선정된 베스트 컬러가 아동의 정서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2학년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베스트 컬러 의상을 하루 4시간씩 2주 동안 착용하는 실험을 진행했으며, K-HTP 그림검사와 K-HTP 색채분석, 자아존중감 척도 측정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베스트 컬러 의상의 착용은 아동의 K-HTP 검사와 색채분석 결과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아동의 정서변화에 베스트 컬러가 긍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의미한다. 둘째, 베스트 컬러 의상의 착용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학교적 자아존중감이 가장 크게 상승하여 이는 학교 급우간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변화할 기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모든 결과를 종합했을 때 베스트 컬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베스트 컬러의 착용을 통해 내적, 외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 상승과 같은 정서의 긍정적 영향은 활동적이고, 표현이 풍부하며, 성공적인 교우관계를 갖게 하고, 나아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발전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 또한 실험 후 아동의 그림에서 색상 수, 색의 조화, 채색 강도의 3개 항목이 실험 전과 비교해 발전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베스트 컬러의 색 자극이 아동의 심리적인 부분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베스트 컬러의 적용이 아동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는 매우 의미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베스트 컬러의 적용 및 활용의 대상을 아동으로 확대하여 분석한 탐색적 연구의 하나로 시사점을 둘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론과 함의는 아동의 정서적, 신체적 발달에 유용한 교육환경을 제공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research paper, the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effect of best color which means the best color to emphasize personal image and appearance, on children’s emotional change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K-HTP analysis including coloring variables and self esteem scale to figure out the effect of best color T-shirts on children’s emotion. 30 children of 2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made them to wear best color T-shirts for 2 weeks, 4 hours a day. Through this study, there’s some valuable results above. First, wearing a best color T-shirts was significantly effected on K-HTP analysis and coloring. It means that the best color played a positive role in childern"s emotion. Second, wearing a best color T-shirts was effected on children’s self esteem scale positively, specially on school aspect. Third, collectively the best color effected on children’s emotional change positively. Therefore, it means the stimulus of best color effected on children"s emotion positively. The effect on children’s emotion such as self esteem make children active and positiv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children socialized positively as a member of society. And the coloring skills were changed positively, it means best color effected on children’s coloring too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인간중심미술치료를 중심으로-

        이은애 ( Eun Ae Lee ),이수연 ( Soo Yeon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C지역의 문화의 집에 소속된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방과후아카데미 프로젝트매니저에게 의뢰하여 이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저소득층 청소년 총40명 중 심리·정서적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24명을 선발하였다. 그 중 12명을 실험집단에 나머지 12명을 통제집단에 각각 무선배치 하였으나, 참가자 1명이 중도 탈락하여 통제집단은 11명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은 집단원들의 신뢰감과 친밀감을 형성시키고 자기 정서인식을 도모하는 초기진단 단계, 내면 표출을 비롯한 대인관계 기술 및 정서탐색에 초점을 둔 탐색중기 단계, 자기이해에 토대를 둔 정서조절과 행동통제를 연습하는 실행단계, 그리고 긍정적 자기개념 증진과 타인 수용을 확인하는 종결 단계로 진행되었다. 정서조절능력 척도와 K-HTP를 활용하여 설문조사와 질적 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는 저소득층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는 저소득층 청소년의 K-HTP 그림검사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총 12회기 구조화된 프로그램의 회기별 진행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집단원들 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창작과정을 통해 성취감과 자기정서 표현, 감정조절 능력이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centered group art therapy on emotion regulation ability of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y. As the combination of person-centered group art therapy and art therapy, based on the close listening, acceptance as well as sincere and frank attitudes, was undergone client-centered program. Among the adolescent. in low-income family, who utilize the House of Culture located in C-city, a total of 23 adolescents was classified into experimental group (12) and control group (11) and then, undergone 12 sessions of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ies underwent emotion regulation ability questionnaire at both pre-test and post-test and adapted t-test as well a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for statistical analysis. Also,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content by the session and K-HTP pictur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from the above procedures and methods are as followed. First, the person-centered group art therapy showed positive effects on emotion regulation ability. Second, the person-centered group art therapy has shown a significant results on subfactors for emotion regulation ability (self-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otion regulation and impulse suppression, self-emotion use, recognition of others emotion and consideration, human relationship). Third, the person-centered group art therapy has shown a positive effects on K-HTP picture test for the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y. According to the changes on the process of each session,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accomplishment, expressions of self-emotion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have been improved through free communication between group members and creation process during the structured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person-centered group art therapy provided positive changes on the adolescents in low-income family by expressing unconscious thoughts, emotion and feelings in a sincere and voluntary way through the client-centered non-linguistic media.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화 매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손경옥 한국예술치료학회 2014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화 매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자아 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연구의 진행은 한국화 매체 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대상자 선정, 사전검사, 한국화 매체를 적용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충남의 H지역아동센터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7명으로 주 2회 60분으로 총 12회기를 2013년 1월 7일부터 2월 22일 까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연구의 효과 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에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검 사, Rokos & Schroeder(1979)의 자기표현 검사, 그리고 그림검사(K-HTP: 동적 집-나 무-사람)를 실시하고, 회기별 고찰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화 매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에게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효과가 있었으며, 그림 검사(K-HTP)의 사전⋅사후검사를 실 시하여 분석한 결과 사전에 비해 위축되고 불안정한 모습 등은 줄어들었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자기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면서 자신 감 상승으로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local children's center for children who applied to Korean painting media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will be studied for the effect. Progress of the study from the December 7, 2012 through February 22, applied to Korean painting media research group art therapy program, subject selection, pre-test, applied to Korean painting media program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group art therapy, post-test, data processing was done in order. The subject of the excellent local children's center in Chungnam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seven to 60 minute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in 0.12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osenberg (1965 ) examination of self-esteem, Rokos & Schroeder (1979) examination of self-expression, and drawing tests (K-HTP: a dynamic home-tree-person) study was carried out by conducting the session. Korean painting medium is applied to the study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with local children's center on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was, Pictures examination (K-HTP) of the pre-and post-test analysis of the contraction compared with pre-become unstable state, such as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has slowed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addition, while free to express his feelings of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self-confidence rise was found to be enh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