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각 지역 토양색 조사분석 Ⅱ

        박연선(Park YunSun),신옥(Shin Ok)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3

        경관색채의 계획은 우리 생활주변의 색채를 점검하고 연구하여 쾌적한 환경을 만들고 지역색의 특징을 살리기 위한 분야이다. 경관색채계획을 위한 기본조사 대상물 중 토양은, 지역을 이루는 환경요소 중 가장 기본을 이루고 있는 요소이다. 토양은 지역의 지질, 기후 및 생태환경을 나타내는 동시에 생활지역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토양색 컬러팔레트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한국의 각 지역토양을 그룹으로 나누어 수집한 후 분석하여 지역색 이용에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토양색의 추출은 전국을 10구역(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으로 나누어 각 지역별로 12개의 장소에서 토양을 임의로 채취하였다. 채취한 흙은 음지에서 풍건시킨 후 포스터물감을 이용하여 색채전공자가 토양색과 같게 조색하여 컬러칩을 만들고 이 칩을 측색하여 CIE L*a*b*값으로 분석하였다. 그 후 다시 먼셀로 전환한 색상, 명도, 채도값을 분석하였다. 각 지역의 토양색은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인접지역별로 다른 특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행정도시 지역과 평야지역, 산간지역, 해안지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행정도시의 토양색은 grayish YR계열로 외부로의 유입된 토양과 포장된 도로로 인하여 지역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토양색을 찾기는 어려웠다. 평야지대의 토양은 채도가 높은 YR계열로 나타났으며, 산간지대의 토양은 deep 톤(tone), 해안가에서 채취한 토양은 대부분 light한 Y계열로 나타났다. 토양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을 분석하고 좀 더 다양한 지역의 토양색의 지속적인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경관색채계획을 위한 기본 자료를 확보하게 될 것이다. Landscape color planning is a field that examines the color of life around us in order to create comfortable environment yet maintain local characteristics. Soil which is one of the basic components of the landscape color planning is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amongregional environmental factors. It represents not only local geology, climate and ecology but also the lives of people in the region. This study recognizes the necessity of defining a soil color palette to identify local color characteristics and aims to build a body of basic reference on the soil color of each region. By doing so, we divided the county into 10 regions (Seoul, 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 Nam-do, Chungcheong Buk-do, Gyeongsang Nam-do, Gyeongsang Buk-do, Jeolla Nam-do, Jeolla Buk-do and Jeju Island) to obtain soil color. Twelve places in each region were randomly sampled and the collected samples were wind-dried in the shade. Based on the soil samples, color experts painted color chips with post paint to match them and measured the color of the chips to analyze results with CIE L*a*b* value and then re-converted with the Munsell code in hue, value and chroma Soil color of each region indicates little variation, but showed other features of each neighborhood which could be classified as local administrative area, the plains, mountainous area and coastal areas. The soil color of local administrative area is grayish YR type which shows lack of local identities due mainly to the inflow of their soil from outside of the region and the paved roads. The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he plains are high YR color group, the soil of the mountains shows deep tone and the soil of the coasts are mostly light Y color group. Continuous data collection in various regions and the analysis of multiple factors that affect the color of the soil will help build a set of guiding principles for the landscape color planning.

      • KCI등재

        한국의 각 지역 토양색 조사분석 Ⅰ

        박연선(Park YunSun),신옥(Shin Ok)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1

        환경요소 중에서 토양은 그 지역의 자연환경인 기후, 지형, 생태계적 환경에 의해서 차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 지역의 사회문화적인 관습과 지역전통, 건축기술과 같은 여러 요소들에 의해서 특징을 가지게 된다. 토양은 지역색을 결정하는 요소들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역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 컬러팔레트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한국의 각 지역 토양을 그룹으로 나누어 수집한 후 조사 분석하여 지역색 이용에 기초적인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토양색의 추출은 전국을 6구역(서울?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으로 나누어 각 지역별로 20개의 장소에서 토양을 임의로 채취하였다. 채취한 흙을 일주일 동안 음지에서 풍건시킨 후 포스터물감을 이용하여 색채전공자가 토양색과 같게 조색하여 컬러칩을 만들고 이 컬러칩을 측색하여 CIE L*a*b*값으로 분석하였다. 각 지역의 토양색채를 분석한 결과 각 지역별 색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Y계열에서 R계열까지 색상이 분포하였고 대부분 YR계열에 포함되어 있었다. 각 지역의 색조는 흐린(sf), 탁한(dl) 색조에 대부분의 색채가 분포하였으며 이는 형용사 배색에서 내추럴(natural)에서 나타나는 색조와 유사한 색조를 보였다. 각 지역마다 토양색의 특성이 확연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여러 토지개발에 의해 자연토양 대신에 인공토양이 유입된 결과로 보여 진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자면 채취하는 토양의 주변 환경의 정보를 확보하고, 지역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자연적인 토양을 채취하여야 한다. 토양색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을 분석하고 보다 다양한 지역들의 토양을 채취하여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환경색채의 계획에 하나의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oil, one of environmental components, differs regionally depending on climate, geography and ecology while characterized by other region-specific factors, including sociocultural customs, local traditions and architecture. Soil, meanwhile, determines the area"s local character along with many other factors. This study recognizes the necessity of defining a color palette to establish regional identity and aims to build a body of basic data on local character by classifying soil samples from each region of Korea and analyzing them. This study divided the country into six regions (Seoul·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 Gyeongsang, Jeolla, and Jeju Island) to obtain soil color. Twenty places in each region was randomly sampled, and the collected samples were wind-dried in the shade for a week. Color experts painted color chips with post color to match the color of the soil samples and then measured the color of the chips to analyze the results in terms of CIE L*a*b* value. The analysis indicates there is little regional variation in soil color and that the colors range from the Y type to the R type while most of them belong to the YR type. In each region, most of the colors fall under the "soft" (sf) and "dull" (dl) categories, which means the colors are similar with the ones described by the adjective "natural."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egional soil colors do not exhibit highly distinctive difference. The discovery may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natural soil was replaced by artificial one due to frequent property developments. To solve the problem, it is imperative to gather information on the regional environment from which soil is obtained and sample natural specimens that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An analysis of multiple factors that affect soil color and regionally more diverse sampling would supply a set of guiding principles for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 KCI등재

        실버산업의 색채 디자인 활용을 위한 실버세대의 색채 선호도 연구

        박연선(Park Yunsun),손혜연(Son Hyeyun)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1

        노인 인구는 우리나라 국가인구의 주요한 계층이 되어가고 있으며, 2003년 말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397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8.3%를 차지하며 이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고, 2019년에는 노인인구가 14%를 넘는 고령사회,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이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세는 선진국에서처럼 오랜 기간 점진적 대응시간을 주지 않고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으며, 이제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 발전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른 실버 세대를 대상으로 실버 마케팅이 형성하게 되면, 관련 기업과 공공기관에서는 실버서비스가 확산되어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버산업의 색채 디자인을 조사·분석과 구체적 연구를 통하여 감성지향적인 고령자 층의 색채 선호도를 파악하고 배색을 제안하였다. 현황분석 결과 모든 분야에서 색채가 R/bV에 집중되어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한 분야별 특징적인 마케팅 전략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반면 색채 선호도는 R, rP, Y, B순으로 선호되었고 vv, pl, lt톤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었다. 미래의 최고성장산업으로 주목하고 있는 실버산업이 선진국에서는 복지 국가의 새로운 방향 전환과 더불어 크게 발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국내에 독립된 주체로서 노년문화가 정착되는데 이 연구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The aged population is becoming a major class of the national population in Korea. Currently as of the end of 2003, the population of elders aged over 65 is 3,970,000, occupying 8.3% of the whole population that has already entered into the aging society. Moreover, Korea is expected to be an aged society where the aged population occupies 14% in 2019, and to be a superaged society in 2026. The aging trend in Korea is problematic in that it progresses rapidly without giving enough time to cope with the problem as in developed countries. Furthermore, aging is becoming a social issue, going beyond the individual dimension. In this situation, if silver marketing is promoted with targeting the silver generation, silver services will be expanded at relevant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and related industries will be activated.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color designs in silver industries, and proposed color schemes based on the color preference of the aged class who are emotion?oriente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e, color concentrated on R, bV in all areas, and area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in consideration of users’ taste were hardly found. On the contrary, color preference was high in order of R, rP, Y, B, and was distributed mainly in vv, pl, lt tones. Silver industries, which are spot lighted as future industries with the highest potential for growth, are developing rapidly with the government’s new directions toward a welfare state. In this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to promote silver culture in Korea as an independent domain.

      • KCI등재

        20대의 선호색 및 색채 이미지 조사 연구

        박연선(YunSun Park),송선아(SunA Song)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3

        색이란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인 감정을 가지고 사회적으로 일반화되면서 특정한 것을 의미하는 상징성을 갖는다. 색은 별도의 언어가 없어도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감각언어이고, 사회규범으로써의 시각 언어이다. 특히 선호색은 교육환경, 주위 환경에서 오는 심리적 영향과 성격, 기질과 연관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선호색이 현대에 어떻게 변화되었고, 색채 이미지에 대한 언어적 표현이 실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알기 위해 색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인식하고,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하는 것에 가장 발빠른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KS산업규격에 따른 표준화된 155가지 색을 기본차트로 사용하여 샘플을 보여주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선호색 계열과 그에 따른 성격?성향별 분석을 하고, 선호 색채에 따라 연상되는 감성언어(형용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첫째, 20대의 성별에 따른 선호색의 구분이 존재하였다. 전체적으로 20대는 남?여 모두 파란색을 선호하였으며, 남자의 경우는 파랑과 검정을, 여자는 경우 파랑 다음으로 빨강과 분홍을 좋아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20대의 성격유형별 선호색의 특징으로 주도형은 빨강을, 사교형은 파랑을, 안정형은 분홍을, 신중형은 파랑, 청록을 좋아한다고 분석되어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이 공통적으로 인식되는 색채의 감성적 이미지와 DISC 성격 유형별로 분류되는 성향과의 일치성을 보였다. 셋째, 20대의 선호색과 선호톤의 경우 대다수가 생각하는 형용사 이미지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일정한 패턴과 상관성이 존재하였다. 난색 중 "노랑"의 경우 귀여운 이미지를, 갈색과 어두운톤의 경우 "고상한"을, 초록과 하양의 경우 "맑은"을, 무채색 톤은 "모던한"이미지를 선택하여 색에 대해 느끼는 일반적인 감성 이미지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자신을 표현하고 드러내는 것에 익숙한 20대들은 색 선호에 있어서 본인의 취향과 느낌을 가장 중요시하여 선택한다. 하지만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공통되는 색채의 연상적, 상징적 성질이 현대에도 반영되는 것으로 보아 주요 색채와 톤의 감성적 이미지는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오늘날과 같은 다원화된 감성시대에 있어 빠르게 변화하는 20대의 선호색을 확인하여 20대를 위한 심리적 활동이나 색채를 통한 심리 요법, 또는 상품 이미지 전략을 위한 마케팅 활동 등에 이용되어 감성 색채 정보의 데이터 기반 구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many people become socially generalized with common emotions, a color becomes symbolic of something specific. Even without separate language, a color is sensory language that can be understood in general and visual language as a social code. In particular, a preferred color is correlated with the education environment,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surroundings, personality, and disposition. To determine how generally preferred colors have changed and how verbal expressions of color image were used in practice, a survey was conducted in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who are most active in expressing themselves and are sensitive to fashion and to analyze the preferred color groups by personality and disposition and determine emotional language (adjective image) associated with the preferred color. First, in ter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in their twenties, preferred colors differed insignificantly by blood type but varied by gender. In general, both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preferred blue; the former preferred blue and black and the latter preferred blue, followed by red and pink. Second, in terms of personality type, the dominance type preferred red, the influence type blue, the steadiness type pink, and the conscientiousness type blue and bluish green; thus, the emotional image of colors commonly perceived by all the people generally agreed with dispositions classified by the DISC personality type. Third, there were certain patterns and correlation in preferred colors and tones since the majority of them had similar adjective images. Yellow among the warm colors was associated with the cute image, blue and dark tones with noble one, green and white with clear one, and achromatic tones with modern one; th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images of colors in general. Those in their twenties, who give the first priority to their own taste and feelings in preferring and selecting colors. However, there has been insignificant variation in emotional images of principal colors and tones, given that associative and symbolic properties of colors which have long been common are reflected these days. In this era of diversified emo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psychological activities, color-based psychotherapy, or marketing activities with product image strategies for those in their twenties, who are quick to respond, by identifying their preferred colors and to assist in building databases for information about emotional colors.

      • KCI등재

        시감비색 측정피부색과 자가인지 피부색, 선호피부색 비교분석

        신향선(HyangSun Shin),박연선(YunSun Par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일반적으로 피부색에 관한 객관적인 정확도를 위해 물리적 측색인 색차계를 사용하여 측정된 피부색 영역을 활용하고 있다. 이때 실제 시감으로 보는 피부색과 측색된 값을 재현한 경우 색차가 크기에 간편하게 육안평가를 위해 활용하는 측면에서는 실용성이 떨어진다. 특히,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색채개발을 하는 경우 소비자 스스로 자기 피부색을 인지하고 선호하는 피부색 영역에 관한 색재현과 선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안평가를 위한 시감비색 측정색과 소비자 스스로 판단하는 자가인지 피부색, 선호피부색에 대한 빈도에 따른 분포도와 색영역을 비교분석을 통해 육안평가시 활용되는 피부색에 대한 컬러가이드라인과 관련 색조개발단계에서 시감비색과 소비자가 선호하는 감성적인 측면의 피부색을 재현할 때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물리적 측색을 통해 측색된 피부색을 토대로 색영역을 참고하여 시감비색 측정용 색표집을 제작하고 시감비색 측정피부색과 자가인지 피부색, 선호피부색에 대한 빈도에 따른 분포도와 색영역을 비교분석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감비색 측정피부색은 물리적인 측색의 피부색보다 밝고 노르스름하게 측정되었고 자가인지 피부색의 경우 시감비색 측정피부색보다는 비교적 밝고 붉게 인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선호피부색은 자가인지하는 피부색보다 더 밝은 피부색을 선호하는 결과로 한국여성의 핑크빛의 밝은 피부색 선호도가 그대로 반영된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육안평가에서 시감에 적합한 피부색 평가에 필요한 기준색을 제시하는 컬러가이드라인에서 실용성 있는 적절한 기준색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라 본다. In general, colorimetry on skin color utilizes physical colorimeter with measured skin color area in consideration of objective accuracy. At that time, the grand discrepancy between skin color by visual colorimetry and the one by colorimeter makes it less effective in practical usage. In particular, color development in terms of the emotional effect requires the selection and demonstration of skin color and preference by customers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making a reference to set a color guideline in practical usage and related color development on skin color through a distribution chart in frequency of color by visual colorimetry and self-recognized and preferring skin color by customer.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mparative analysis on color area and distribution chart in frequency of color on self-recognized and preferring skin color with a color chart for visual colorimetry based on skin color by colormetry.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It is confirmed that the skin color by visual colorimetry showed brighter and yellower than the one by colorimeter and the self-recognition skin color showed quite brighter and redder than the one by visual colorimetry. The preferring skin color showed much brighter skin color preference than self-recognized skin color, reflecting preference of Korean women in bright pink skin color. It will help to select proper standard color as setting a guideline for standard skin color in practical usage through macrography.

      • KCI등재

        한글자모 연상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정현선(Chung HyunSun),박연선(Park YunSun)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2

        본 연구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에도 색상과 관련이 있는 부분이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내용은 국어의 음운 체계, 자음체계와 모음체계 중에서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를 대상으로 하여 각 자모를 제시하고 연상되는 색상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반대로 색상(컬러칩)을 제시하고 각 색상마다 연상되는 자모를 기입하는 방식으로 하여 실제 지칭하는 색상과 그 색상의 이름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여기에 사용되는 색상팔레트 구성을 위하여 (주)종이나라에서 제작 판매하고 있는 <Hue & Tone120>중 Vivid 톤(Tone)에 해당하는 10색상을 색상 팔레트로 구성하였다. 미술이나 디자인을 전공하는 20대 남 ?여 대학생들로 설문조사 인원100명~114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음과 색상이름의 관계, 색상이름의 인지도와 색상이름 종류분석을 파악하였다. 분석한 결과 자음과 색상이름, 색상이름과 자음 설문조사 결과분석에서 ‘ㄴ’의‘노랑(Y)’, ‘ㄱ’의‘빨강(R)’, ‘ㅈ’의‘주황(YR)’, ‘ㅍ’의‘남색(PB)’, ‘ㅂ’의‘보라(P)’로 분포도가 가장 높게 나타냈다. 자음과 색상이름 첫 번째 설문조사에서는 ‘ㄴ’의‘노랑(Y)’ 65%, ‘ㄱ’의‘빨강(R)’ 45%로 나타냈고, 색상이름과 자음 두 번째 설문조사에서는 ‘노랑(Y)’의‘ㄴ’ 65%, ‘빨강(R)’의‘ㄱ’ 41%로 자음과 색상의 분포도가 가장 높게 나타냈다. 그 다음은 ‘ㅈ’의‘주황(YR)’ 28%, ‘ㅍ’의‘남색(PB)’ 25%, ‘ㅂ’의‘보라(P)’ 19%와 ‘주황(YR)’의‘ㅈ’ 21%, ‘남색(PB)’의 ‘ㅍ’ 25%, ‘보라(P)’의‘ㅂ’ 35%로 자음과 색상이 일치하며 분포도도 비슷하게 나타났고 ‘ㅂ’의‘보라(P)’에서만 분포도 차이가 나타났다. 공감각 현상을 보이지 않는 색채를 정상적으로 인지하는 미술이나 디자인을 전공하는 20대 남 ?여 대학생들에 있어서 한글의 특정 자음으로 부터 특정 색채를 연상하는 경향이 자음과 색상을 연상시키는데 특정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 study carried out the study regarding whether or not also the language which is in general use by us and which is essentially used in our life has a part related to color. The study content was to have them select the associated color after presenting each character by making consonants(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 the subjects among the sound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consonant system and vowel system. And, on the contrary, this paper researched whether or not they have recognized exactly the color which it actually designates and the name of the color in the way of filling in the name after presenting colors(colorchip). As the colorchip which is used here uses <Hue & Tone120 > which was produced by I.R.I Color Academy Co., Ltd. and which is used widely as an educational material,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to 100~114 people. As a result, all among Y of ‘ㄴ’, R of ‘ㄱ’, YR of ‘ㅈ’, PB of ‘ㅍ’, P of ‘ㅂ’ coincided in the result analysis of the 1st, 2nd surveys. Characters and colors such as‘ㄴ’ and Y (65%), ‘ㄱ’ and R (45%) in the 1st survey, and Y and ‘ㄴ’(65%), R and ‘ㄱ’(41%) in the 2nd survey coincided, and the distribution chart was highest. The next, as YR (28%) of ‘ㅈ’, PB (25%) of ‘ㅍ’, P(19%) of ‘ㅂ’ in the 1st survey and ‘ㅈ’(21%) of YR, ‘ㅍ’(25%) of PB, ‘ㅂ’(35%) of P in the 2nd survey, consonants and colors coincided in both the 1st and 2nd surveys, and also the distribution chart was similar, and the distribution chart had differences in only P of ‘ㅂ’. As the results of the 1st, 2nd, and 3rd surveys, to the general public who don"t show the phenomenon of synesthesia, the tendency to associate the specific color from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Korean language associates consonants and colors through the 1st, 2nd, and 3rd surveys, and it was analyzed that they had the particular tendency. There was a case which Korean characters and the particular color had association by the medium of a color name, and a case which the interpretation was ambiguous though there was association.

      • KCI등재

        음성과 퍼스널컬러 유형의 상관관계 연구

        문완묵(Wanmook Moon),박연선(Yunsun Park)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3

        퍼스널컬러 분석을 시각적인 방법에만 의존하고 있는데, 이때 중요한 조건 중 하나는 적절한 조명과 공간 환경이다. 이런 제한점과 불편함을 해소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퍼스널 컬러를 분석하기 위한 본 연구는, 목소리의 특징과 퍼스널컬러와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언어를 구사할 때 필수적인 목소리는 중요한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음의 높이(Pitch) 세기(Intensity), 주파수(spectrum)를 목소리의 3요소라고 한다. 그러나 이 3요소 외에도 억양(intonation)과 음성의 개성을 담는 음색(timber)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음의 높이, 세기, 억양, 등을 객관적인 프라트(Praat) 분석으로 진행하여 퍼스널컬러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실험방법은 첫째, 피험자 개인별 퍼스널컬러를 분석하여 유형을 파악하고 개인의 컬러특징을 인지하였다. 둘째, 피험자들을 개인별로 녹음 하였다. 녹음 방법은 동일한 문장을 주고 1분 정도 말하는 것처럼 읽게 한 다음, 녹음된 파일을 프라트 분석을 하였다. 셋째 프라트 분석결과로 각 타입별 음높이(Pitch)평균을 찾게 되었는데 여름(254.7Hz), 겨울(253.9Hz), 봄(230.0Hz), 가을(202.5Hz) 순으로 차가운 타입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억양의 변화폭은 봄(140.51Hz), 겨울(128.34Hz), 가을(81,40Hz), 여름(79.80Hz)으로 나타나 맑은 색을 취하는 타입의 억양 변화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음성의 세기(intensity)는 겨울(76.3dB), 가을(74.6dB), 봄(74.0dB), 여름(72.5dB)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퍼스널컬러와 억양, 음높이가 어느 정도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차후에 좀 더 큰 표본과 좀 더 많은 항목을 가지고 연구를 계속해 본다면 퍼스널컬러 분석 시 중요한 요건인 공간 환경과 빛(조명)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퍼스널컬러의 애매한 유형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One of the important conditions is to make a proper environment of illumination and space when analyzing personal color, which mainly tends to be studied with visual methods. This paper has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voice and personal color in order to reduce such limitations and analyze personal color in a more convenient way. Voice, an essential part of language, has three important factors of pitch, intensity and spectrum. However, intonation and timber could be also included in the major factors. Those elements of voice are analyzed by Praat analysis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olor and them. Firstly, each experimentee"s personal color is analyzed to understand their type and color characteristics. Secondly, the voice of the subjects is individually recorded and the method for it is that they are given the same sentence and asked to read it for about a minute as if they are saying and then the files recorded from it are analyzed by Praat analysis. Thirdly, Praat analysis gives the result of an average pitch of each type, showing Summer (254,7Hz), Winter (253.9Hz), Spring (230.0 Hz) and Autumn (202.5Hz), which means that cold color type gets high pitch. Fourthly, in terms of intonation range, Spring, Winter, Autumn and Summer show (140.51Hz), (128.34Hz), (81,40Hz) and (79.80Hz), respectively, meaning that the range of intonation tends to largely change according to clear color type. Fifthly, the intensity of voice has the outcome of Winter (76.3dB), Autumn (74.6dB), Spring (74.0dB) and Summer (72.5dB). This study indicates a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personal color, intonation and pitch, but further research of more samples and items is required not only to reduce inconvenience caused by space environment and light (illumination) but to be helpful of judging ambiguous type of personal color.

      • KCI등재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공간 색채 분석

        손혜연(HyeYun Son),박연선(YunSun Park),이진숙(JinSook Lee)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2

        우리 사회는 전체인구 중 고령인구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에는 14.3%로 증가할 전망이다. 노인의 기대여명이 길어지고, 노년기의 삶이 예전과는 달리 은퇴 후 20여년 이상을 청 · 장년기와 같이 스스로 계획하는 삶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차원의 노인복지정책의 새로운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노인복지정책의 대상에서도 생활보호 및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하던 것이 일반노인까지 확대되는 보편적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종합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환경 시설개선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총 89개소의 노인복지관 교육 공간 색채 현황을 파악하고, 각 공간의 구성 요소(천장, 벽, 바닥)별 총 206개의 색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간의 기능적 요소에 따라 선별된 15개의 공간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공간의 색상/명도/채도의 색채 현황 분석 결과 주황(O), 노랑(Y), 연두(YG), 남색(bV)의 색상에 집중되어 있으며 천장은 고명도/저채도, 벽은 고명도/저채도로 집중되어 나타났지만, 중명도/저채도, 중명도/중채도의 색채는 포인트 색채로 적용된 것으로 분석된다. 바닥은 대부분 중명도/저채도로 주황(O), 노랑(Y), 연두(YG) 색상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노인(종합)복지관의 교육 공간에서의 색채는 대부분 고명도/저채도, 중명도/저채도로 교육 환경의 용도나 목적에 따른 공간 환경을 계획한 것이 아닌 획일적인 색채가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공간의 천장, 벽, 바닥의 3가지 요소중에서 벽의 색채가 공간을 표현 할 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되며, 본 연구 결과는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공간에 있어서 실내교육 공간 색채계획에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enior population in Korea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ally, with 14.3% growth by 2018. With longer life expectancy than in the past, people are now required to make thorough plans for a life after retirement, which is predicted to last more than 20 years. There has been a shift in the direction of the senior welfare policy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ne of the changes is that universal senior welfare services are now being provided, with the scope of eligible beneficiaries being extended from seniors in low economic classes to the entire senior populati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facilities, providing the diverse senior welfare programs and services in a comprehensive mann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lors used in the educational spaces of 89 senior welfare centers in Korea to analyze 206 colors used on the structural elements including the ceilings, walls and floors. In addition, 15 spaces selected according to the functional elem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he colors, brightness and chroma(saturation) of the educational spaces showed that the colors were mostly Orange(O), Yellow(Y), Yellow Green(YG) and bluish-Violet(bV). The ceilings had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and the walls had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while the colors with medium brightness and low chroma or medium brightness and medium chroma were used as highlight colors. The floors, on the other hand, mainly had medium brightness and low chroma with colors being mostly Orange(O), Yellow(Y) and Yellow Green(YG). The colors used in the educational spaces of senior welfare facilities mostly had a combination of high brightness and low chroma or medium brightness and low chroma; this showed that uniform colors were used instead of designing a spatial environment that suits the purpos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Moreover, of the three structural elements, which are the ceiling, walls and floor, it was the color of the wall that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how the space was depi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important data when selecting the colors for indoor art and cultural education spaces for seniors.

      • KCI등재

        20-30대와 40-50대 L*a*b*값의 빈도에 따른 얼굴색과 피부색 비교분석

        신향선(HyangSun Shin),박연선(YunSun Par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2

        최근 색의 민감도가 점점 높아지면서 세분화된 색채기획과 색영역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피부색 관련분야 역시 연령별 얼굴색과 피부색을 구체적으로 구분한 색영역에 대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20-30대와 40-50대 얼굴색과 피부색을 비교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피부색관련 제품색상개발과 선정에 활용하고 피부색을 간략하고 신속하게 육안으로 평가하는 시감비색용 가이드라인을 선정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연구로 활용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삼자극치 색차계를 이용한 L*a*b 측정값을 통해 피부색의 밝기와 적색도, 황색도의 색차를 비교분석하여 차이점과 색영역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별 L*(밝기)값은 20-30대 경우 명도64∼68사이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40-50대는 명도62∼66를 지니고 있어 20-30대가 비교적 한 단계 밝은 피부색을 지니고 있다. 얼굴색의 경우 20-30대는 비교적 어두울수록 a*(적색도)값과 b*(황색도)값이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40-50대는 b*(황색도)값은 변화가 크지 않고 a*(적색도)값은 높게 나타났다. 피부색의 경우는 a*(적색도)값과 b*(황색도)값을 비교분석하게 되면 a*(적색도)값의 경우 20-30대와 40-50대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b*(황색도)값의 경우는 20-30대에 비해 40-50대가 노르스름한 편이다. 20-30대와 40-50대 얼굴색과 피부색을 비교분석하여 연령별 밝기와 적색도, 황색도의 가장 큰 차이점은 a*(적색도)값과 L*(밝기)값의 차이로 이에 관한 색영역을 통해 피부색 보정컬러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본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연령별 세분화된 제품색상개발과 선정에 필요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responsiveness to color rises up recently, many are interested in detailed color management and color region. In the related field to skin color, too, it is required that a detailed guideline on skin color to subdivide complexion and skin color for various age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complexion and skin color in 20s-30s and 40s-50s comparatively and making a suggestion for color region. Further to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making a simple and handy guideline for analyzing skin color in macrography through visual colorimetry. A method of this study is that a comparative analysis on brightness, color difference in Redness and Yellowness of skin color by L*a*b measured values through XYZ color difference meter, suggesting differences and color reg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In L*(brightness) values by age groups, most ranged between brightness 64-68 in 20s-30s and brightness 62-66 in 40s-50s. It showed that 20s-30s has one level brighter skin color than the other age groups comparatively. On complexion, it showed that high a*(Redness) values and b*(Yellowness) values as darkened comparatively in 20s-30s while the less variable b*(Yellowness) values and high a*(Redness) values in 40s-50s. As analyzed comparatively on a*(Redness) values and b*(Yellowness) values in skin color, a*(Redness) values showed less differences between 20s-30s and 40s-50s and b*(Yellowness) values showed yellower results in 40s-50s than in 20s-30s. With comparative analysis on skin color in 20s-30s and 40s-50s, the biggest difference is the different values between a*(Redness) values and L*(Brightness) values. Therefore, a suggestion on skin color for correction would be effective in using the related color region.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for a reference to age-subdivided color development and color matching in products.

      • KCI등재

        도심지 재개발 지역의 환경색채 계획

        김향란(Kim HyangRan),박연선(Park YunSun)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는 도심지 재개발 지역의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환경과 조화로운 색채계획의 제안에 관한 연구이다. 대상지로 선정된 지역은 신·구건물이 공존하는 서대문구 냉천동 75번지 일대로 서측으로는 녹지가 조성되어 있고, 주변 고층건물보다는 저층건물이 많은 전형적인 도심의 외곽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주변환경과 이질적인 색채계획보다는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색채계획에 주안점을 두어 제안하였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1. 대상지에 대한 고찰과 주변환경의 색채분석을 통하여 환경색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색채를 IRI 이미지스케일에 배치하여 컨셉 추출시 색채이미지 키워드로 사용하였다. 2.분석을 통해 추출된 언어를 통하여 이미지 맵을 작성하고 그에 맞는 색채 팔레트를 추출하였다. 3. 선정된 색채로 입면 및 주차장 색채계획을 제안하였다. 조화된 질서를 갖는 것은 대상지 색채계획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3가지 관점과 연계된다. 즉, 조화성, 다양성, 통일성이 그것이다. 환경분석으로 정리되었던 냉천동 지역의 기조색은 YR이며, 대상지 주조색으로서 선정하였다. 이는 3대 관점의 조화성에 부합되며, 주변 환경과 어울림에 초점 을 맞추기 위함이다. 그러나 다양성으로써 입면에 보조색과의 톤차를 두고, 톤배색을 함으로써 패턴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보행자의 관점에서는 통일성을 주되 기단부에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는 YR~Y 계열의 보조색을 사용하여 편안하면서도 안정감 있는 색채계획을 시도하였다. 환경색채는 주변 환경에 있어 거부감이 없는 자연스러움의 상태, 편안한 상태의 환경의 어메니티를 추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지 재개발 지역의 색채계획에 대한 연구로써 대상지를 선정하고, 주변 환경을 고려한 색채계획 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research studied on a proposal of a harmonious color plan with an environment by conside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downtown redevelopment area. The area selected as target land is street number 75, Naengcheon-dong, Seodaemun-gu, and a green area is formed its West side, and it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area is composing of a typical image of outskirts of the downtown that includes more low-rise buildings rather than high-rise buildings in the neighborhood. Therefore, the essential point was lied in a color plan capable of being harmonious rather than a color plan heterogeneou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was proposed. The scop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was to first analyze environmental color through consideration of target land and color analysi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lso, the analyzed color was arranged in an IRI image scale and was used as a key word of color images in case of concept extraction. Second, the image map is written through extracted language by an analysis and a color palette was extracted corresponding to it. Third, the color plan of the elevation and parking lot was proposed with selected colors. Having a harmonious order is linked to 3 kinds of viewpoints set as criteria of a color plan of the target land. Namely, it is harmonity, diversity and unity. The main color of a Naengcheon-dong region arranged through its environmental analysis is YR, and it was selected as mixing color of the target land. This corresponds to harmonity of 3 major viewpoints and is to focus o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ut this research put a tone difference from sub color in the elevation through variety and tried patterning by arranging the tone colors. In addition, this research tried a comfortable and stable color plan by using sub color in a series of YR~Y that can give a sense of stability to the basal end while giving unity in a viewpoint of pedestrians. The environmental color should seek the amenity in an environment in a natural condition and a comfortable condition without reluctanc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ly, the present research can be said to have a meaning in selecting target land and suggesting a color plan method conside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a study on a color plan of a downtown redevelopment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