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철학의 패러다임 변화와 사상적 특징

        이병수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7 No.-

        이 글은 주체사상의 이론적 내용에 주목하기보다, 지성사적 관심 아래 북한사회주의 역사적 과정에서 주체사상이 어떠한 굴곡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나타난 사상적 특징이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주체사상의 이론적 위상이 변화한 과정을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본 후, 위상변화의 원인을 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주체사상은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권력의 필요성 때문에 그 이론적 위상과 내용의 강조점이 변화해 왔다. 주체사상의 이론적 위상 변화를 가져온 원인은 크게 볼 때,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요구, 북한 지도부의 새로운 시대인식, 전후 20여년의 경제성장을 가능하게 만든 북한 특유의 사회주의 건설노선에 대한 자부심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주체사상의 역사적 변화과정에서 드러난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북한 지도부의 강력한 탈식민 열망은 주체사상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대체하고 인류철학사상의 최고봉이라는 절대적 신념체계로 치닫는 동력이었으며, 주체사상 속에 포함된 유교전통은 정치적 리더십을 확립하고 사회주의 공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활용된 ‘만들어진 전통’이었다. 나아가 주체사상은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단순한 통치이데올로기를 넘어 북한주민의 삶 속에 깊이 내면화된 종교적 차원으로 발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under the interest in intellectual history how Juche ideology has undergone trials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North Korean socialism, what ideological features it revealed in that process, rather than to focus on theoretical contents of Juche ideology. First, after researching theoretical phase shift of Juche ideology in historical context, I analyzed the cause of the phase shift in three aspects. Juche ideology has been changed in terms of the theoretical phase and emphasis of contents, because of the need for power to respond internal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 On a large scale, for the cause of the phase shift, requirement for establishment of the unique ideology system, North Korean leader's awareness about the advent of a new era, and North Korean leader's pride on a unique line of socialist construction enabling the economic growth of more than 20 years after the war, can be exemplified. Secondly, I analyzed the ideological features shown in the historical change process of Juche ideology. North Korean leader's strong post-colonial aspirations was the power made to replace the Marx -Leninism with Juche ideology, and the Confucian tradition contained in it was the 'invention of tradition' which was utilized selectively to establish the political leadership and promote the socialist industrialization. Further, Juche ideology, in its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has developed into the religious dimension that was deeply internalized in the lives of North Koreans, beyond ruling ideology.

      • KCI등재후보

        과도기의 북한철학에 나타난 변화와 이론적 특징

        이병수(Lee Byung Soo)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통일인문학 Vol.50 No.-

        이 글은 수령의 유일 영도가 강조되는 1967년부터 주체사상 총서가 발간되는 1985년에 이르는 시기에 나온 북한 자료를 바탕으로 주체사상의 이론적 특징을 개괄하는 가운데(2, 3장), 맑스주의 철학과 서양철학 연구(4장), 전통철학과 종교 연구(5장)에서 나타난 변화된 인식을 살펴보려는 데 있다. 보편화 시기에 이루어진 우리 시대의 규정과 수령론은 이후 주체사상의 체계화를 구성하고 촉진하는 데 핵심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두 가지 요인은 주체의 철학적 원리와 사회역사적 원리의 근저에는 자리 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체사상의 전체적 내용과 구성요소에서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2장) 체계화 시기의 북한철학은 주체사상의 독창성을 부각시키는 특징이 있다. 다만 주체사상의 정당화 논리에서 북한 학자들 사이에 편차가 존재하며 다루는 대부분의 주제들은 수령론과 관련되어 있다.(3장) 주체사상의 보편화 및 체계화 과정은 달리 말하면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해석의 변화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70년대 북한 학자들의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서술방식은 주체사상의 독창성을 강조하는 구도 속에서 그 세계관적 한계를 지적하는 특징을 지닌다. 또한 북한 학계의 서양철학 연구는 서양철학 일반에 대한 이론적 관심이 아니라 남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대 서양철학에 대해서만 관심을 집중한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4장) 1967년 유일사상체계가 성립되면서 북한의 민족문화정책이 편협하고 배타적인 방향으로 변하여 전통철학 연구는 크게 위축되었다. 또한 종교의 해독성이 특히 이 시기에 이르러 더욱 강조되었다. 종교는 착취계급을 위한 사상적 도구이며, 오늘날 그 사회경제적 지반은 청산되었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착취사회의 낡은 사상적 잔재라는 인식이 지배적 흐름을 이루었다.(5장)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keep an overview theoretical features Juche ideology(2, 3 chapter) and to analysis the changes of marxist philosophy and western philosophy research(4 chapter), traditional philosophy and religion research(5 chapter) from 1967 unique domination of political leader emphasized until 1985 Juche ideology series published. So-called 'Our Age' prescription and political leadership theory made in 'universalization period', was a key factor constituting and promoting the systematization of Juche Ideology. This two key factors took place at the root of the philosophial principle and socio-historical principle of Juche Ideology, also was appeared consistently in all contents and components of Juche Ideology.(2chapter) In North Korean philosophy of 'systematization period', the originality of Juche Ideology is highlighted. Just, North scholars show various deviations in the logical justification of Juche Ideology, and connect most subjects treated with political leadership theory.(3chapter) In other words, the systematization and universalization process of Juche Ideology was the change process of interpretation about Marx-Leninism. In the description style on Marx-Leninism by 1970,s North scholars, while emphasizing the originality of Juche Ideology, pointing out the limit for world-view of Marx-Leninism. Also, the western philosophy research of North Korean academics was characterized by focusing attention only western philosophy had influence on South Korea, not western philosophy in general.(4chapter) Aftet unique ideology system was established in 1967, national culture policy of North Korea was changed to narrow and exclusive direction, accordingly raditional philosophy research was greatly dispirited. also, especially the harm of religion was emphasized this period. At that time in North Korea, following recognition was dominant flow ; the religion is ideological tool of exploited class ; its socio-economic base was liquidated but still remained as old ideological remnants of exploitative society.(5chapter)

      • KCI등재

        연구논문 : 주체사상과 북한외교정책 -사상적 기조가 외교정책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정병호 ( Byoung Ho Cho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3 인문사회 21 Vol.4 No.1

        본 글은 탈냉전기 북한외교정책의 기조와 목표를 ‘주체사상’이라는 특정 이데올로기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북한의 공식 통치이데올로기는 ‘주체사상’이다. 이러한 통치이데올로기는 북한 주민들의 모든 생활을 지배하고 통제하는것은 물론, 실천규범으로써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는 대내 규범으로써만이 아니라 대외관계에 있어서도 중요한 지침이 되고 있다. 본 글은 북한에서 주체사상이 차지하는 이같은 중요성에 입각하여 주체사상의 어떠한 측면이 북한의 대외정책을 결정하고 이를 실천에 옮기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주체사상이 북한의 대외정책에 미친 영향을 요약하면 첫째, 북한으로 하여금 자주외교를 추진하게 하였다. 실제 북한은 중.소분쟁의 상황하에서 ‘지배주의’ 및 ‘패권주의’로부터 자율성을 확보하려는 자주외교를 내세움으로써 김일성 정권의 공고화를 추구해 왔다. 중.소 분쟁과 이에 따른 중.소간의 대북 견인경쟁의 심화는 북한의 상대적 자율성을 심화시켰고, 북한은 중국과 소련의 대한반도 정책이 북한의 입장과 어긋날 경우 국가목표와 이해관계에 따라 적극 대응할 수 있었다. 둘째, 북한은 혁명외교를 추진하였다. 북한은 제국주의를 반대하며 사회주의 혁명을 일국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 차원에서 완수할 것임을 지속적으로 천명하였다. 이를위하여 북한은 대내적으로는 자력갱생 경제발전 전략을 추진하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반제 연대 및 아프리카 아시아 신생국가들과의 반식민지 연대를 통한국제혁명 역량과의 단결강화를 추구해 왔던 것이다. 셋째, 북한은 해방외교를 추진하였다. 북한은 ‘하나의 조선정책’을 내세워 정통성 있는 정부인 북한이 ‘미제국주의의 식민지’인 남한을 해방해야 함을 주장하는 한편, ‘조국 통일을 위하여 선(先)주한미군 철수, 국가보안법 철폐, 애국정권 수립 등의 제 조건 이행, 후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설을 통한 대외 및 대남 선전적 외교를 강화해 왔던 것이다.결국 냉전기 북한은 남조선 해방과 공산혁명을 위하여 진영론에 입각한 시계추 외교정책을 추구해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북한의 대외정책 추진에 있어서 주체사상은 변함없는 사상적 기조로써 역할 할 것이다. 북한체제를 지탱하는 것은 경제력도 정치력도 아닌 주체사상이기 때문이다. The present study looks into the basis and goals of the DPRK``s foreign policies in the post.Cold War era. The official ruling ideology is "Juche (Self.reliance) Ideology" in North Korea. The ideology has a powerful influence on the every corner of North Korean residents`` life as practice guideline. It serves as an important guideline in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Juche Ideology, this study focuses on what aspects of it determine Pyongyang``s foreign policies. The following are the impacts of Juche Ideology on DPRK``s external policies: first, the Ideology led North Korea into independent diplomacy. In the vortex of the Sino.Soviet conflict, North Korea cemented its regime by claiming to advocate independent diplomacy to protect its autonomy from "hegemonism". The DPRK``s autonomy was strengthened by the Sino.Soviet conflict and the ensuing competition over the small country. Accordingly, Pyongyang could actively and independently cope with the big powers`` policies toward the Korean Peninsula. Second, North Korea pursued a revolutionary diplomacy. The DPRK continued to proclaim that the country will complete socialist revolution against imperialism all over the world. To this end, Pyongyang went ahead with the strategy of self.reliant economic development, while seeking to reinforce the anti.imperialistic and anti.colonial solidarity with international revolutionary forces, such as socialist and Asian and African newly independent nations. Third, North Korea pursued emancipation diplomacy. The DPRK argued that the self .claimed legitimate country should emancipate "a colony of the US imperialism" like the ROK under the flag of "one Korea policy". To this end, Pyongyang mounted diplomatic offensive, asking for the withdrawal of the US forces in South Korea, the aboli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the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Federal Republic of Korea" etc. After all, its seems North Korea adopted pendulum diplomacy based on the Camp theory in order to emancipated and communized South Korea. In future, Juche Ideology will continue to works as an ideological basis in pursuing Pyongyang``s foreign policies. It is the very Juche Ideology that supports the DPRK``s system.

      • KCI등재

        북한 사상이론가들을 통해 본 주체사상 발전: 1950년대 중반-1990년대 초반 근로자를 중심으로

        정원희,임재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평화학연구 Vol.21 No.4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of Juche idea through North Korean theorists and their arguments by using the articles of the Korean Workers’ Party’s organ, Workers, from the mid-1950s to the early 1990s. To differentiate from previous research that mainly focused on official Juche doctrines based on the works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Juche idea on North Korean theorists’ articles in Workers. Here the development of Juche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Phase 1 (Juche as policy doctrine) from the mid-1950s to the early 1970s; Phase 2 (Juche as philosophical thought) from the early 1970s to the mid-1980s; and Phase 3 (Juche as semi-religious dogma) from the mid-1980s to the early 1990s. In the first stage, the term Juche developed into the key principle of North Korea for internal and external policy-making. It was theoretically expanded and systematized in the second stage with abstract philosophical elements centered on human. In the third stage, the Juche idea was changed into a semi-religious doctrine by emphasizing moral norms in the North Korean context of leadership cul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irst attempts to analyze the Juche idea through North Korean theorists rather than official doctrines on North Korean leaders’ works, which contributes to diversifying the studies of the Juche idea. 본 논문은 195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북한의 당 기관지인 근로자에 게재된 논문들을 통해 주체사상 발전 과정에 관여한 인물들과 이들의 논지를 분석하였다. 기존 주체사상 연구에서 주로 김일성·김정일의 공식 담화를 분석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주체사상 발전과정을 근로자에 실린 사상이론가들의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체사상 발전과정은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제1단계: ‘대내외 정책노선으로서 주체 확립기(1950년대 중반-1970년대 초반)’, 제2단계: ‘철학적 원리로서 주체사상 정립기(1970년대 초반-1980년대 중반)’, 제3단계: ‘주체사상의 교조화기(1980년대 중반-1990년대 초반)’이다. 제1단계에서 주체사상은 대내외 정책노선으로 ‘주체’가 확립된 이래 북한의 공식 지도사상으로 자리 잡았고, 제2단계에서 인간중심의 철학적 요소가 가미되어 본격적으로 확장된 이론 체계를 갖추었다. 제3단계에서 주체사상은 인민대중의 당위적 규칙을 강조하는 교조적인 논리로 전개되었다. 주체사상 발전을 북한 지도자의 공식담론이 아닌 사상이론가들의 논지를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시도는 향후 주체사상 관련 연구의 관점을 다변화하고 범위를 더욱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상관관계

        부승찬 ( Seung Chan Boo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상관관계를 통치이데올로기의 대체, 양립, 그리고 하위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체사상의 체계화 과정과 유사하게 선군사상도 선군이라는 단순한 개념에서 출발하여 사상체계로까지 발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선군사상 출현 이전의 통치담론들이 일시적으로 등장했다가 사라진 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선군사상이 선군이라는 단순한 용어에서 출발하여 ``선군혁명령도``(1999), ``선군정치``(2000), ``선군사상``(2003), 그리고 ``선군사상교양``(2004∼)으로 심화 발전됨으로써 사상적 이론화가 시도되고는 있지만, 주체사상처럼 전일적 체계화를 이루지도, 독립적이고 배타적인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존재하지는 않는 듯하다. 즉 선군사상은 주체사상에 기초하고 있으며, 주체사상의 기본원리들을 전면적으로 구현하는 주체사상의 하위담론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선군사상이 통치이데올로기로서의 논리적 구조의 취약성과 유일성의 결여에도 불구하고 보편성의 추구를 통해 인민대중들에게 설득력을 제공하고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 정도 실천이데올로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논리로 볼 때 주체사상이 순수 이데올로기로 격상되고, 선군사상이 실천이데올로기로 발전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이 이러한 경로를 택하게 된다면 그것은 김정일과 그의 후계자인 김정은의 몫이 될 것이다. 통치이데올로기의 창시권과 해석권은 북한의 지도자와 그의 후계자의 고유권한이기 때문이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Juche and Songun (Military-first) idea in light of replacement, coexistence, and subordinate discourse. Similar to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Juche idea, the Songun idea has developed from a simple concept into political ideology in North Korea. This, mainly differentiates the Songun idea from the other short-lived governance discourse theories. Although the Songun idea has developed and materialized from an simple idea, into an applied policies such as "Songun-revolutionary leadership"(1999). "Songun-politics(2000), "Songun idea"(2003), and "Nationwide education campaign of Songun idea"(since 2004), it has not achieved the concrete status as Juche idea. In short, Songun will not develop into such degree of Juche idea because the basis of Songun idea lies in the principles of Juche ides, making it nothing more than a subordinate discourse of Juche idea. The Songun idea has continued to function as a practical ideology in despite of insufficiency logic in its structure and lack of distinctiveness because of its ubiquity, to the people of North Korea, the Songun idea effectively persuades people into its much needed participants. Looking at the correlation of Juche and Songun idea from such perspective, one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in change of roles between Juche and Songun idea, Juche turning into a purely ideological form and Songun filling the role of practical ideology. If North Korea takes a such a route, it will purely be based on the decision of Kim Jong-Il and his heir Kim Jong-Un, since the privilege of interpreting and administrating such political ideology lies in the hands of Kim-Jong Il and his son.

      • KCI등재

        미국과 북한, 미국과 이란의 갈등에서 나타난 기독교, 주체사상, 이슬람 비교연구

        김동진(Kim Dong-Ji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0 신학사상 Vol.0 No.151

        종교와 철학은 수많은 국제적인 갈등에 연관되어 왔다. 때대로 종교와 철학은 갈등과 폭력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은 갈등에서 폭력을 고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특별히 종교는 갈등집단의 내적연대, 행위의 합리화 및 대중동원에 있어 매우 유용한 수단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일단 종교가 상대를 이기기 위한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포함되면, 갈등해소의 가능성은 줄어들고, 폭력의 사용가능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이 논문은 미국과 북한, 미국과 이란의 갈등에서 나타난 기독교, 주체사상, 이슬람의 영향을 비교하는 것을 그 주목적으로 삼고 있다. 본 논문은 연구를 통해, 먼저 기독교, 주체사상 및 이슬람이 미국, 북한 및 이란이라는 갈등집단의 정치 이데올로기에 포함되어 있었음을 밝혔다. 이들은 직접적, 구조적, 그리고 문화적 폭력 행위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행위들의 정당성을 제공하는 수단이 되었다. 특별히 미국의 부시행정부가 이전 정부들에 비해 기독교적인 언어를 그 정치적 수사에 더 많이 포함시키면서, 북한과 이란의 정치적 수사에 있어 주체사상과 이슬람의 영향이 더 강하게 드러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갈등해소의 가능성은 점차 줄어들고, 폭력사용의 가능성이 증가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우리는 기독교, 주체사상 및 이슬람이 가진 이타적인 가치들과 이에 대한 수사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들이 강조하는 이타성은 집단에 대한 충성과 타인에 대한 적대감을 강조하는 정치 이데올로기에 사용되었지만, 역설적으로 이러한 정치 이데올로기의 모순들을 드러내는데 재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와 같이 기독교, 주체사상 및 이슬람은 각 집단의 정치 이데올로기에 있어 규범적, 그리고 수사적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기독교의 사랑, 이슬람의 보편적인 인간성, 주체사상의 자주성과 같은 이타적인 개념들과 이러한 정치 이데올로기의 수사적인 연루는 이들 정치 이데올로기의 정당성을 약화시켜 이들 갈등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 Religion and philosophy have been involved in numerous international conflicts. Sometimes, Religion and philosophy worked as sources for reducing violence, but another times, they encouraged violence in the conflict. Especially, religion appears to be useful for an internal solidarity of the party, justifying the behavior, and provoking mass mobilization. Therefore, once religion is involved as a political ideology to win, it seems the possibility of the conflict resolution is reduced , and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violence is in creased . Under this premise, this paper focuses primarily on comparing the influences of Christianity, Juche, and Islam manifested in the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Iran , and in th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Throughout the research, the paper found out that Christianity, Juche, and Islam were part of the political ideologies of the parties in the conflict. They influenced attitudes and behaviors of direct,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 and became a source of legitimacy for these behaviors. Especially after the entrance of the US Bush administration which showed Christian characteristics in its political rhetoric more than the previous administrations did, it appears that the Islamic characteristics in the Iranian political rhetoric and the Juche characteristics in the North Korean political rhetoric became more dominant. As a result, it seems the possibility of the conflict resolution is reduced, and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violence is increased. However,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philanthropic values and rhetorics of the Christianity, Juche and Islam. These philanthropic attributes of them can be reutilized to reveal the contradictions paradoxically in the political ideologies, in which they have been involved, to inspire loyalty to their group and to incite radical hatred toward others . As we saw, Christianity, Juche, and Islam were used as rhetoric of moral norms in the political

      • KCI등재

        김정은 시대의 '김일성-김정일주의':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추상화

        김근식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4 한국과 국제정치 Vol.30 No.1

        북한의 이데올로기는 시대상황에 따라 진화해왔다. 김일성 시대에 전후복구와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주체확립과 자주노선으로 주체사상이 등장했고, 김정일 후계체제의 확립과 수령의 유일지도체제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주체사상은 보다 체계화되고 추상화된 순수이데올로기로 격상되었다. 권력승계 이후 김정일 시대는 사상 최대의 위기상황에서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지켜내기 위해 위기돌파의 정치담론으로 선군정치를 제시했고, 결국 선군사상이라는 위기시대 실천이데올로기를 형성했다. 김정은으로의 권력승계가 완료된 지금 북한은 김일성-김정일주의를 노동당의 새로운 지도사상으로 규정하고, 사회주의 건설시기의 주체사상과 사회주의 위기시기의 선군사상을 동렬의 공식 이데올로기로 격상시켰다. 경제발전을 우선시하는 선경노선 혹은 인민생활 향상을 최우선에 두는 선민노선으로의 전환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김일성의 주체사상과 김정일의 선군사상을 순수이데올로기로 추상화시켜 선반 위에 올려놓고, 김정은의 새로운 발전전략을 정당화하기 위한 실천이데올로기를 개발하고 제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선군사상에 대한 전통사상의 영향

        함규진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통일인문학 Vol.76 No.-

        Songun Ideology(先軍思想) has been only and all-round political ideology within North Korea, since Kim Jong-Il seized to power. In general, two kind of analysers are for this ideology. First, they extract some tradition-friendly components from it, and insist its relation with traditional thoughts. While the others see it as a variation of Marxism, and understand it a ‘practial ideology’ of Juche Ideology, that is a ‘genuine ideology’. But we shall be careful to have no confirmation bias in selecting tradition-friendly components. Moreover, Juche and Songun are not separable in their nature, like hierarchial ideologies theorists' arguments. We analyze the Ideology, considering its partial homogeneity with Korean traditional thoughts and its contextual isomorphism with Marxist ideologies. In conclusion, during Kim Jong-Un's reign, Songun Ideology can persist while be manipulated to match new era's conditions. 선군사상(先軍思想)이란 김정일 집권기 이래 북한의 유일하고도 포괄적인 통치 이데올로기로 표방되고 있는 이념이다. 이 이념의 기존 분석에는 크게 두 부류가 있다. 첫째, 한국 전통 사상과의 연관성에서 조명하되 그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이해하여 보려는 부류, 둘째, 마르크시즘과 그 변형 차원에서 조명하되 ‘순수 이데올로기’와 ‘실천 이데올로기’의 틀에 따라 이해하려는 부류이다. 요소 선택적인 관점이 지나친 자의성의 한계를 지니는 한편, 이데올로기의 층위에 따라 풀이하려는 관점 역시 무리한 적용의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여기서는 선군사상이 전통 사상과 일정한 구성요소적 동질성을 가지는 한편, 배경이 되는 사회적 맥락에서 동형성을 가진다는 점을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결국 선군사상은 한편으로 마르크시즘에서 발원한 주체사상과의 본질적 동질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시대적 변화에 따른 편의적 이탈을 담보하는 사상이다. 그런 점에서 김정은 시대에 선군사상은 그 정치적 의의를 대체로 유지하면서도 전혀 다른 방향으로 이탈될 소지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김일성 주체사상의 한반도 핵무력체제 구현과정: 통치이념의 철학적 기초와 집단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박요한,이현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7 아태연구 Vol.24 No.4

        This study, centered around formation factors of the ‘psychological crowd’ of Gustave Le Bon, analyzes the formation and its change of collective identity of North Koreans and the process how the nuke armed forces system has been realized on the Korean Peninsular.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War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re ‘specified stimulation ones’ among the formation factors of collective identity which North Korea formed through the ‘psychological crowd’, while ‘unconscious factor’ is Han(韓) Ideology, and ‘mental pollution’ is ‘crowd lines’. Also, Kimilsung Juche Ideology, North Koreans’ ruling ideology is seen as an inheritance of Han(韓) Ideology, a Korean tradition and its process of religious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Since it kept ‘dignity of humanity’ at its first loop where Marx-Leninism and Han ideology were combined, Kimilsung Juche Ideology has been twisted by ‘Great Leaders’, a means of power dictatorship, transformed into ‘Socio-Political Organism’ for the purpose of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power, returned to Marxist humanism under the system crisis caused by the collapse of communist block, and finally succeeded in developing nuke armed forces and finishing nuke state system, a physical real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ism, over time. Thus, nuke armed forces are a physical realization of Kimilsung Juche Ideology, the core loop of which is Han(韓) Ideology, not Kimilsung Juche Ideology. 본 연구는 귀스타브 르봉의 ‘심리학적 군중’ 형성 요인을 중심으로 북한 집단정체성 형성과 변화와 한반도 핵무력체제 구현과정을 분석하려 한다. 북한이 ‘심리학적 군중’을 통해 집단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특정한 자극 요인’은 ‘6.25전쟁과 미국’이며, ‘무의식적 요소’는 ‘한(韓)사상’이며, ‘정신적 감염’은 ‘군중노선’이라 볼 수 있다. 또한, 북한의 통치이념인 김일성 주체사상을 ‘전통적인 한(韓)사상의 계승과 종교적·정치적 변형과정’이라는 관점에서 보았다. 김일성 주체사상은 시대에 따라 ① 마르크스 레닌철학과 한(韓)사상이 결합하는 첫 고리에서는 인간의 존엄성이 살아 있으나, ② 권력 독재의 수단인 수령론에 의해 왜곡되고, ③ 권력세습의 목적과 함께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으로 변형되며, ④ 공산권 붕괴로 밀어닥친 체제 위기 속에서 마르크스의 인간중심철학론으로 되돌아와 ⑤ 핵무력의 개발과 핵체제 완성이라는 현상적 실체의 구현, 즉 유물사관의 물리적 실현에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 핵무력은 김일성 주체사상의 물리적 구현이며 그 핵심고리는 김일성 주체사상이 아니라 한(韓)사상이다.

      • 북한 정치사상교양에 대한 연구

        김난희(Kim Nan-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江原人文論叢 Vol.19 No.-

        본 연구는 북한이 사회주의 정치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내외 정세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여 왔는가를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데올로기의 발전과정과 그에 따른 정치사상교양의 목표와 내용의 변화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북한은 정권 수립 당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정치이념으로 내세웠으나, 구소련과 중국과의 관계에서 자주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주체사상을 정립하였다. 이후 주체사상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대체하고 당의 유일사상으로 격상되면서, 주체사상은 북한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절대적 사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구소련의 해체와 동구권 사회주의국가의 몰락, 그리고 김일성의 사망으로 정치적 불안감이 고조되었던 시기에는 다양한 슬로건이 등장하였으나, 이것이 주체사상의 근본적인 변화나 대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북한의 정치사상교양은 주체사상에 기초한 사상개조사업으로서, 투철한 혁명의식과 주체사상으로 무장하고 당과 수령에 무조건 충성하고 복종하는 북한 특유의 공산주의적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사상교양은 북한주민들을 사상적으로 통제하여 북한 정치체제의 유지와 가부장적 권력세습체제의 정착에 기여한다. 정치사상교양은 북한 체제를 지탱해주는 가장 핵심적인 기제이며, 앞으로도 북한의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북한의 정치사상교양의 분석은 북한의 당면과제, 사회적 분위기, 혹은 북한이 지향하는 인간상의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치사상교양을 통해 형성된 북한 주민들의 가치관과 세계관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North Korea has dealt with domestic and foreign changes in order to sustain the socialist political system. Specifically this study considers how North Korea has developed its own ruling ideology, and correspondently what happened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political idea education. Setting up a government, North Korea advocated Marxism-Leninism. However, North Korea established Juche Idea in order to insure in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with old Soviet Union and China. After Juche Idea has been elevated to Yuil Idea, the idea of uniqueness and top priority. it became an absolute idea dominating the whole North Korea. Due to the fall of old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an socialist nations and the death of Kim Ilsung, a political unrest in North Korea has been growing. A variety of slogans have been appeared so as to find a way out of the difficulties, but any of them did not lead to fundamental changes or substitute Juche Idea. Political ideal education is thought-remolding project based on Juche Idea, producing communist people peculiar to North Korea who are armed with Juche Idea and revolutional awareness and are loyal to Supreme leader and the ruling Workers Party. Political Idea edu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sustenance of North Korea political system and the smooth transition into father-to-son power succession by controlling North Korean ideologically. Political idea education is a most essential mechanism supporting North Korea regime, and continues to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North Korea education system. The analysis of political idea education of North Korea will help grasp a urgent problem, a social atmosphere, or a desirable human type. Furthermore we can find a way to understand their sense of values and view of the world formed by political idea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