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군사상에 대한 전통사상의 영향

        함규진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통일인문학 Vol.76 No.-

        Songun Ideology(先軍思想) has been only and all-round political ideology within North Korea, since Kim Jong-Il seized to power. In general, two kind of analysers are for this ideology. First, they extract some tradition-friendly components from it, and insist its relation with traditional thoughts. While the others see it as a variation of Marxism, and understand it a ‘practial ideology’ of Juche Ideology, that is a ‘genuine ideology’. But we shall be careful to have no confirmation bias in selecting tradition-friendly components. Moreover, Juche and Songun are not separable in their nature, like hierarchial ideologies theorists' arguments. We analyze the Ideology, considering its partial homogeneity with Korean traditional thoughts and its contextual isomorphism with Marxist ideologies. In conclusion, during Kim Jong-Un's reign, Songun Ideology can persist while be manipulated to match new era's conditions. 선군사상(先軍思想)이란 김정일 집권기 이래 북한의 유일하고도 포괄적인 통치 이데올로기로 표방되고 있는 이념이다. 이 이념의 기존 분석에는 크게 두 부류가 있다. 첫째, 한국 전통 사상과의 연관성에서 조명하되 그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이해하여 보려는 부류, 둘째, 마르크시즘과 그 변형 차원에서 조명하되 ‘순수 이데올로기’와 ‘실천 이데올로기’의 틀에 따라 이해하려는 부류이다. 요소 선택적인 관점이 지나친 자의성의 한계를 지니는 한편, 이데올로기의 층위에 따라 풀이하려는 관점 역시 무리한 적용의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여기서는 선군사상이 전통 사상과 일정한 구성요소적 동질성을 가지는 한편, 배경이 되는 사회적 맥락에서 동형성을 가진다는 점을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결국 선군사상은 한편으로 마르크시즘에서 발원한 주체사상과의 본질적 동질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시대적 변화에 따른 편의적 이탈을 담보하는 사상이다. 그런 점에서 김정은 시대에 선군사상은 그 정치적 의의를 대체로 유지하면서도 전혀 다른 방향으로 이탈될 소지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전후의 대동사상 - 박은식, 이상룡, 안인식을 중심으로 -

        함규진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6

        Daedong(Datong, 大同) was regarded as a utopia model of Confucianism for many centuries. It lacked a concrete scheme, and got special attention in social disrupt era. Around the end of 19th and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Korean also met the era. Moreover, in this era, they met not only social disrupt, but also breakdown of whole traditional Confucian order. Therefore, several Confucians sought reformation of Confucianism, and for it, had focuses on daedong. We studied them and their thought, with a focus on political thoughts of Park Eun Sik, Lee Sang-lyong, and Ahn In-Shik. Park Eun Sik and Lee Sang-lyong began their political engagements before the Annexation of Korea and Japan, so their earlier daedong thoughts regarded mainly the meaning of universal solidarity, but after the Annexation, they fled to China. And with independence engagements, Park developed a religion-oriented and cosmopolitanic daedong while Lee developed a political ideology of daedong taken affinity with socialism. For Ahn In-Shik, his political engagements began after the consolid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So he studied in Japan, and with touch of Japanese 'Imperial Confucianism(皇道儒學)', developed a fascistic, militaristic daedong as a important scholar of Imperial Confucianism School.. As political thoughts, daedong of Park and Lee get some preferences for nationalism while Ahn's, imperialism. Democracy in daedong thought of Park is ambiguous, while in Lee's, concrete and socialistic, and for Ahns, depressed. For socialism and communism, Park and Ahn is skeptical but Lee is enthusiastic. Daedong thought around Japanese colonial era was greatly diverse among scholars. It reflected the diversity of reformation endeavors for new and modern Confucianism in the era. 大同은 유교사상의 이상향을 가리키는 관념으로 오랫동안 제시되었는데, 그 구체적 형태와 발전방안이 미비했다는 것과 사회 혼란기에 특별히 주목을 받았다는 것이 특징이었다. 조선왕조가 몰락하고 일제강점기로 전환할 시기 역시 그런 혼란기였으며, 더구나 이번에는 유교사상 자체의 존폐가 의문시되는 특별한 위기였다. 이에 여러 유학자들은 유교의 개신을 추구하면서 대동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학자로 박은식, 이상룡, 안인식을 주목해 보았다. 이른바 ‘구한말’의 국권 침탈 시기에 활동을 시작한 박은식, 이상룡은 먼저 ‘대동단결’이라는 의미에서 대동을 강조했다. 그러나 한일병합이 이루어지고 이들이 중국으로 망명해 독립운동을 전개하면서, 박은식은 종교적이고 사해동포주의적인 대동사상을, 이상룡은 정치이념적이고 사회주의적인 대동사상을 전개했다. 한편 일제강점기가 확정된 뒤 활동을 시작한 안인식은 일본 유학을 통해 ‘황도유학’에 입문했으며, 그 중요한 이념 요소로서 파시즘적, 군국주의적 의미의 대동을 구상하게 된다. 정치이념으로 이들의 대동사상을 분석하면, 국제정치적으로 박은식, 이상룡은 민족주의를 강조한 반면 안인식은 제국주의 지향적이었고, 정치권력적으로 박은식은 다소 막연한 민주주의, 이상룡은 보다 구체적인 인민민주주의, 안인식은 권위주의를 제시했다. 그리고 사회경제적으로 박은식, 안인식은 사회주의에 회의적이나 이상룡은 적극적으로 사회주의를 지향했다. 결국 일제강점기를 전후한 대동사상은 사상가들의 개인적 배경과 입장에 따라 큰 다양성을 보였으며, 이는 유교의 입장에서 서구의 이념을 수용하고 재해석하려는 노력의 다양한 결과를 반영한다.

      • KCI등재

        남북한 동반과 화합을 위한 통일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담론 모색

        함규진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8

        For formulating faithful policies, It is important to get desirable and supportive discourses within the society. But for unification policies, Koreans seldom have them. There is old-fashioned consciousness among them, but new one, too. So paradoxes and conflicts persist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in the section of education. The undesirable discourses of unification, anti-communism, anti-unification, and unification bonanza, are not only logically inconsistent but also practically ineffective. New unification discourses in the society and education section, 'three hwa(和) - reconciliation(和解), harmony(調和), republican participation(共和) would more effective and desirable for more faithful unification policies. 사회적 담론의 지형은 당대 현안의 처리 방향 및 방식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바람직한 통일 정책은 그에 적합한 통일 담론을 배경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행 통일 담론은 그에 미흡하며, 그것은 구세대의 통일 및 북한 관련 의식과 새로 형성된 의식이 교육 내용과 원칙에 모순되게끔 배열, 교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비효과적 통일 담론은 승공통일론, 통일부담론, 통일대박론 등으로 나눠볼 수 있으며, 각각 합목적적 부당성과 교육현장에서의 비효과성을 지닌다. 이에 대안적 통일 담론의 형성을 위하여 화해, 조화, 공화라는 관념을 중심으로 하는 ‘삼화(三和)의 통일담론’을 제시한다.

      • KCI등재

        교권과 학교공동체의 새로운 정립에 대한 연구

        함규진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3 초등도덕교육 Vol.- No.85

        This study is for an innovation to overcome recent crisis of Korean education authority. Continuing harrying and insulting teachers by some parents of their students are driving schools desolate places, after several corrective lawmakings. We can find the root causes of the failures at the very nature of ‘Gyokwon’ of Korean education system. Gyokwon, educational/teacher’s authority, cannot be utilized by teachers as teacher’s right. Moreover, parents shares educational authority in participation of school education, while their penalties for their misbehaviors are largely impractical. Through restructuring gyokwon system legally and socially, a new educational authority and rights system shall be built with more equality and fairness for teachers, and more effective moral and civic education environment for students. The new system building means also creating a new and true school communities.

      • KCI등재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교과서의 평화·통일교육 역량 분석 및 제언

        함규진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1

        Now we have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as a new way and viewpoint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and other areas. However, the new 2015 Revised Curriculum could not reflect the way and viewpoint, so many disturbances and disorientations occur in schools. So, we analyzed the unification education units of Life and Ethics textbooks for high school, by general and Peaceful Unification Competency standards, for making meaningful suggestions to a new revision of curriculums and school textbooks. We found a lot of flaws and problems in the textbooks of unification education. On the basis of what we found, we suggest more close and sophisticated tuning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and among textbook-makers who would have more discretion for their work, to build up a true effective unification education governance system. ‘평화·통일교육’은 현 정부의 통일교육 지침이자 새 시대의 통일교육 기조로서 등장했다. 그러나 이와 조율되지 않고 수립된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만들어진 교과서는 그러한 기조를 충실히 반영하지 못한 면이 있으며,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의 혼란과 차질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는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교과서의 통일 단원에 주목하여, 그것이 전체적으로 갖는 문제점과 ‘평화·통일교육 역량 기준’에 따라 갖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라 향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개편할 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5종 교과서들은 검인정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방향과 관점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정부의 입장과 기존의 비평화적 통일교육 지침에 많이 제약을 받는 모습을 나타냈다. 또한 평화·통일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비효과적이고 부적절한 부분이 많았다.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향후 정부는 정부 부처간 조정과 협력은 물론 교과서 개발자들에게 더 많은 자율권을 부여하고, 다양한 시각과 근거자료에 따라 통일 논의를 사회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통일교육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전후의 영웅 담론: 박은식, 신채호, 이광수, 김동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함규진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9 韓國 政治 硏究 Vol.28 No.3

        일제강점기는 한반도 내외의 한민족에게 정치적 불만이 고조되었던 반면, 정치적 참여의 기회는 차단되었던 시기였다. 따라서 이때는 비공식적인 문화 활동, 즉소설이나 논설 등을 작성하고 이를 읽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정치적 욕구의 표출과 상상 속에서의 해소가 널리 이루어졌다. 그 가운데 두드러졌던 주제가 ‘영웅’이었다. 암울한 사회를 급진적으로 변혁하고, 불만을 일거에 해소해줄 수 있는 영웅이 대망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영웅 담론은 박은식, 신채호, 이광수, 김동인 등 당시의 유명 지식인들에 의해 생산되고 확산되었는데,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었다. 공통점은 영웅 개인의 변혁적 리더십을 옹호하고 전통 시대의 정쟁이나 문치주의의 가치를 절하하는데서, 차이점은 일제강점기 초기냐 후기냐에 따라 영웅의 현실성에 대한 기대 정도가 달라지고, 영웅을 뒷받침하는 대중의 잠재력에 대해서는 갈수록 더욱 회의적이 된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이는 해방 이후 한국정치가 일인중심주의와 그에 대응되는 정당정치의 미발달로 특징지어지는 한국적 권위주의 행태를 갖게 된 사실과 연관지어볼 수 있다. 또한 이를 남북한으로 나누어볼 때, 일제강점기 초기의 영웅 담론은 북한에서, 후기의 담론은 남한에서 각각 독특한 권위주의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는 추정도 가능하다.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Koreans in and out of the Korean Peninsula had deeply suppressed anger against the political system, without mea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It was frequent to witness people reading and talking about 'political literatures’ in unofficial ways, as ways to express their political views. The most fascinating themes of the literatures were about heroism. Koreans, who were devastated by the colonial rule, desired a transformational hero for a great turnaround. Park Eun Sik, Shin Chaeho, Lee Kwangsoo, and Kim Dong-in were the most remarkable authors of the literatures. All of them underlined ‘one-man system’ in policy making process, while detering factionalism and compromises. While Park and Shin depicted ‘Primus inter pares’ heroes, Lee and Kim called for ‘Stella in excelsis’, ‘Stella in excelsis’. This was due to authors’ different perceptions formed by different experiences they had during the Colonial Era. As axes of thought, the heroism around the Era could have influenced the forming of Korean political culture and authoritarianism after the colonial r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