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군사상에 대한 전통사상의 영향 = Songun Ideology In Korean Traditional Thoughts' Backgrou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39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ngun Ideology(先軍思想) has been only and all-round political ideology within North Korea, since Kim Jong-Il seized to power. In general, two kind of analysers are for this ideology. First, they extract some tradition-friendly components from it, and insist its relation with traditional thoughts. While the others see it as a variation of Marxism, and understand it a ‘practial ideology’ of Juche Ideology, that is a ‘genuine ideology’.
      But we shall be careful to have no confirmation bias in selecting tradition-friendly components. Moreover, Juche and Songun are not separable in their nature, like hierarchial ideologies theorists' arguments.
      We analyze the Ideology, considering its partial homogeneity with Korean traditional thoughts and its contextual isomorphism with Marxist ideologies. In conclusion, during Kim Jong-Un's reign, Songun Ideology can persist while be manipulated to match new era's conditions.
      번역하기

      Songun Ideology(先軍思想) has been only and all-round political ideology within North Korea, since Kim Jong-Il seized to power. In general, two kind of analysers are for this ideology. First, they extract some tradition-friendly components from it...

      Songun Ideology(先軍思想) has been only and all-round political ideology within North Korea, since Kim Jong-Il seized to power. In general, two kind of analysers are for this ideology. First, they extract some tradition-friendly components from it, and insist its relation with traditional thoughts. While the others see it as a variation of Marxism, and understand it a ‘practial ideology’ of Juche Ideology, that is a ‘genuine ideology’.
      But we shall be careful to have no confirmation bias in selecting tradition-friendly components. Moreover, Juche and Songun are not separable in their nature, like hierarchial ideologies theorists' arguments.
      We analyze the Ideology, considering its partial homogeneity with Korean traditional thoughts and its contextual isomorphism with Marxist ideologies. In conclusion, during Kim Jong-Un's reign, Songun Ideology can persist while be manipulated to match new era's condi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선군사상(先軍思想)이란 김정일 집권기 이래 북한의 유일하고도 포괄적인 통치 이데올로기로 표방되고 있는 이념이다. 이 이념의 기존 분석에는 크게 두 부류가 있다. 첫째, 한국 전통 사상과의 연관성에서 조명하되 그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이해하여 보려는 부류, 둘째, 마르크시즘과 그 변형 차원에서 조명하되 ‘순수 이데올로기’와 ‘실천 이데올로기’의 틀에 따라 이해하려는 부류이다.
      요소 선택적인 관점이 지나친 자의성의 한계를 지니는 한편, 이데올로기의 층위에 따라 풀이하려는 관점 역시 무리한 적용의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여기서는 선군사상이 전통 사상과 일정한 구성요소적 동질성을 가지는 한편, 배경이 되는 사회적 맥락에서 동형성을 가진다는 점을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결국 선군사상은 한편으로 마르크시즘에서 발원한 주체사상과의 본질적 동질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시대적 변화에 따른 편의적 이탈을 담보하는 사상이다. 그런 점에서 김정은 시대에 선군사상은 그 정치적 의의를 대체로 유지하면서도 전혀 다른 방향으로 이탈될 소지를 가지고 있다.
      번역하기

      선군사상(先軍思想)이란 김정일 집권기 이래 북한의 유일하고도 포괄적인 통치 이데올로기로 표방되고 있는 이념이다. 이 이념의 기존 분석에는 크게 두 부류가 있다. 첫째, 한국 전통 사상...

      선군사상(先軍思想)이란 김정일 집권기 이래 북한의 유일하고도 포괄적인 통치 이데올로기로 표방되고 있는 이념이다. 이 이념의 기존 분석에는 크게 두 부류가 있다. 첫째, 한국 전통 사상과의 연관성에서 조명하되 그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이해하여 보려는 부류, 둘째, 마르크시즘과 그 변형 차원에서 조명하되 ‘순수 이데올로기’와 ‘실천 이데올로기’의 틀에 따라 이해하려는 부류이다.
      요소 선택적인 관점이 지나친 자의성의 한계를 지니는 한편, 이데올로기의 층위에 따라 풀이하려는 관점 역시 무리한 적용의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여기서는 선군사상이 전통 사상과 일정한 구성요소적 동질성을 가지는 한편, 배경이 되는 사회적 맥락에서 동형성을 가진다는 점을 주목하여 고찰하였다.
      결국 선군사상은 한편으로 마르크시즘에서 발원한 주체사상과의 본질적 동질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시대적 변화에 따른 편의적 이탈을 담보하는 사상이다. 그런 점에서 김정은 시대에 선군사상은 그 정치적 의의를 대체로 유지하면서도 전혀 다른 방향으로 이탈될 소지를 가지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정가동, "현대신유학" 예문서원 1993

      3 함규진, "한국적 민주주의의 형성과 민본주의의 역할" 한국정치정보학회 19 (19): 275-300, 2016

      4 미조구치 유조, "중국 전근대 사상의 굴절과 전개" 동과서 2007

      5 정영철, "주체사상의 순수 이데올로기화와 새로운 실천 이데올로기의 등장" 극동문제연구소 31 (31): 57-83, 2015

      6 양무진, "주체사상과 선군사상: 지배이데올로기의 변화 가능성" 극동문제연구소 24 (24): 57-93, 2008

      7 한성구, "조선시대의 한국적 가치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9 백남운, "조선민족의 진로 · 재론" 범우사 2007

      10 "조선로동당규약"

      1 "論語"

      2 정가동, "현대신유학" 예문서원 1993

      3 함규진, "한국적 민주주의의 형성과 민본주의의 역할" 한국정치정보학회 19 (19): 275-300, 2016

      4 미조구치 유조, "중국 전근대 사상의 굴절과 전개" 동과서 2007

      5 정영철, "주체사상의 순수 이데올로기화와 새로운 실천 이데올로기의 등장" 극동문제연구소 31 (31): 57-83, 2015

      6 양무진, "주체사상과 선군사상: 지배이데올로기의 변화 가능성" 극동문제연구소 24 (24): 57-93, 2008

      7 한성구, "조선시대의 한국적 가치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9 백남운, "조선민족의 진로 · 재론" 범우사 2007

      10 "조선로동당규약"

      11 김금숙,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 밝히신 선군정치의 전면적확립에 관한 주체의 리론" 사회과학출판사 2014

      12 김정은, "위대한 김정일동지를 우리 당의 영원한 총비서로 높이 모시고 주체 혁명 위업을 빛나게 완성해나가자(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꾼들과 한 담화 / 2012. 04. 06.)"

      13 김창하, "영생불멸의 주체사상" 조선로동당출판사 1973

      14 김근식, "새로운 북한 이야기" 한울아카데미 2018

      15 이종석,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0

      16 김광수, "사상강국 –북한의 선군사상" 선인 2012

      17 박상철, "북한체제 유지 및 작동규범 연구 : 헌법과 당규약" 국방대학원 안보문제연구소 27 : 2016

      18 이상우, "북한정치 변천 : 신정체제의 진화과정" 오름 2014

      19 정성장, "북한의 통치이념" 북한연구학회 2003

      20 이상우, "북한의 오늘과 내일" 법문사 1985

      21 김광수, "북한의 선군사상에 관한 연구 : 주체사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2

      22 경규상, "북한 주체사상의 유교적 성격 규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3 인교준, "북한 유일사상체계 형성의 문화대혁명 요인" 북한대학원대학교 2016

      24 서유석, "북한 선군담론에 관한 연구 : 재생담론화 과정과 실천양상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25 "로동신문, 2004. 06. 16"

      26 "로동신문, 1966. 08. 12"

      27 이서행, "남북한학술용어비교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0

      28 김철우, "김정일장군의 선군정치 : 군사선행, 군을 주력군으로 하는 정치" 평양출판사 2000

      29 박형중, "김정일시대 북한의 정치체계" 통일연구원 2004

      30 김정일, "김정일선집 8"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31 김정일, "김정일선집 15" 조선로동당출판사 2004

      32 김정일, "김정일선집 15" 조선로동당출판사 2004

      33 김정일, "김정일선집 14" 조선로동당출판사 2000

      34 김정일, "김정일선집 14" 조선로동당출판사 2000

      35 김정일, "김정일선집 14" 조선로동당출판사 2000

      36 김정일, "김정일선집 14" 조선로동당출판사 2000

      37 김정일, "김정일선집 13"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38 김정일, "김정일선집 13"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39 김정일, "김정일선집 1"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40 곽승지, "김정일과 북한의 정치" 선인 2010

      41 김창희, "김정은 정치의 프레임 : 체제 · 이념 · 승계 · 시장 · 핵" 법문사 2016

      42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46"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43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45"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44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44"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45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27" 조선로동당출판사 1984

      46 박광호, "김일성 통치에서 전통의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47 김두진, "고려시대 사상사 산책" 국민대학교출판부 2009

      48 "近思錄"

      49 "栗谷先生全書"

      50 "朱子語類"

      51 "書經"

      52 "孤山遺稿"

      53 "孝經"

      54 "同春堂先生文集"

      55 "史記"

      56 重村智計, "北朝鮮デ-タブック : 先軍政治,工作から核開發, ポスト金正日まで" 講談社 2002

      57 Frantz Shurmann, "Ideology and Organisation in Communist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