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9개월부터 28개월까지 영아의 공동주의의 변화가 아동 초기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슬기,곽금주,김연수 한국인간발달학회 2014 人間發達硏究 Vol.21 No.1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joint attention in infant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joint attention and language ability of early childhood. 97 infants were used as subjects in this study. The amount of joint attention was measured from 9 months to 28 months in infant-mother free play situations. In the Korean Child Development Inventory, language comprehension, expressive language, and letter scales were used to measure language ability at 3 years old. Latent growth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change estimation of joint attention during infancy,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relevance of changes of infancy joint attention and early language skills. As a result, joint attention had increased nonlinearly over time.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joint attention and the rate of changes and these differences impacted upon language abilit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researchers need to expand their time frames when they examine the aspect of transition of joint attention. Moreover, when researcher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attention and language ability in follow-up research, they need to consider the rate of change in joint attention.

      • KCI등재

        영아기 공동 주의 발달에 대한 단기 종단연구:어머니와 자유 놀이에서의 주의 상태와 가리키기 행동을 중심으로

        정윤경,곽금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8 No.1

        본 연구는 영아의 공동 주의(joint attention)의 발달을 기술하고 공동 주의 발달과 관련된 어머니와 영아의 상호작용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어머니와 영아 78쌍을 9개월에서 18개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단기 종단적 연구가 실시되었다. Adamson 등 (1998)의 코딩 체계에 근거하여 자유놀이 상황에서 나타난 어머니와 영아의 연속적 주의 상태를 분석하고, 어머니와 영아의 가리키기 행동(pointing)을 관찰하여 이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정한 의미의 공동 주의라 할 수 있는 협응적 공동 주의(coordinated joint attention)가 월령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지지적 공동 주의(supported joint attention)와 가리키기 행동(pointing)이 협응적 공동 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영아기 인지, 언어, 사회적 발달의 핵심적 요소인 협응적 공동 주의를 촉진시키는 어머니의 역할이 논의 되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development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 and explored characteristics of mother's behavior that may be related to its development. For these ends, 78 infants were longitudinally observed in their interaction with their mothers at 9, 12, 15 and 18 months of age. Observations were coded using state-based coding system (Adamson et al, 1998) that included states of unengagement, person engagement, object engagement, on-looking and supported joint attention as well as coordinated joint attention. In addition, infants' and mother's pointing behaviors were observed in order to investigate its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for the two main conclusions. First, the amount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 and supported joint attention increased, while other states declined or did not change with age. Second, development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 was closely related to supported joint attention and mother's pointing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indeed are skilled adults who can scaffold their infant's early attempt to coordinate their attention in a social context.

      • KCI등재

        만 2세 영아-영아 간 협응적 공동주의 양상 탐구

        곽경숙 ( Gwak Kyungsook ),정가윤 ( Chung Kayo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이 연구는 영아-영아 간 협응적 공동주의가 영아 후기 발달에 미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실험상황이 아닌 영아-영아 간 공동주의 소통이 관찰되는 일상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를 통해 공동주의가 영아의 발달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어린이집 만 2세 영아 남녀 7명을 선정하고 영아-영아 간 공동주의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보육실에서 일과 중 보여 지는 행동을 관찰하고 녹화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영아 간 협응적 공동주의 모습은 영아 간 관계적 양상과 내용적 양상으로 나타났다. 영아들의 공동주의에서 관계적 양상은 ‘일방적 공동주의’, ‘쌍방적 공동주의’, ‘다자 간 공동주의’로 영아가 일상에서 소통하는 요소이며 다양한 활동을 위한 의도된 상호작용이었다. 내용적 양상은 ‘놀이참여 시도하기’, ‘다른 영아 놀이참여 시키기’, ‘또래 거부하기’, ‘또래 배제시키기’, ‘또래 의견 수용하기’, ‘놀이확장하기’로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적 행동을 보여주었다. 영아 간 공동주의는 놀이 참여 외에도 의도적 거부 혹은 무시를 통한 배제 양상도 보였다. 또한 또래의 의견을 수용하고 조율하며 놀이를 진행하거나 가상놀이로의 심화 확장을 가능하게 하였다. 공동주의는 지지되는 교실 내에서 발현되므로 공동주의 출현에 대한 지지적 태도는 영아기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협응적 공동주의가 영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인식하고 이해와 수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coordinated joint attention between infants on post-infant development. Through a qualitative study that describes and analyzes the daily life where joint attention communications between infants are observed, which was not an experimental situation, we examined how joint attention i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n infant. The selected subjects were seven 2.5-year-old male and female infants at a daycare center located in a middle-class residence district of Seoul. To observe natural joint attention situations involving infants, we monitored and recorded actions of joint attention during daily tasks at the day care center. The results showed that joint attention between infants in daily life had two aspects: relationship and content. The relationship aspect was "unilateral joint attention," "bilateral joint attention," and "multilateral joint attention" that were intended interactions for various activities of infants in daily communication. The content aspect was "trying to join the play," "bringing other infants to join the play," "rejecting other infants," "excluding other infants," "accepting opinions of other infants," and "expanding the play", that showed voluntary and proactive social actions. Joint attention between infants was communicated in various ways, and there was not only the aspect of eager participation with other infants’ play but also the aspect of exclusion which exhibited intentional rejection or scorn. Furthermore, the joint attention allowed infants to accept or adjust opinions of other infants to proceed in the play or expand it further into a virtual play. These aspects occurred in a classroom that supported joint attention of infants, supporting the emergence of joint attention between infants a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infant develop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e need to recognize the effects of joint attention on infants as well as understand and accept joint attention occurring during infancy.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공동주의 능력 증진을 위한 행동 치료에 대한 탐색적 문헌 분석

        김민제,정경미 한국임상심리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5 No.2

        Severe deficit of joint attention is a main characteristic of autism spectrum disorder, which is a pivotal skill for social interaction. In this review, 27 studies which directly intervened in joint atten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analyzed. The current review attempted to 1) determine whether teaching strategies for behavior intervention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joint attention ability, and 2) to separate domains of joint attention ability as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and initiating joint attention and to determine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for each domain. The result of the current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utilizing teaching strategies specifically targeting autism spectrum disorder is effective for enhancing joint attention ability. For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94% of articles included in the review reported that behavioral intervention was effective, and in particular, it was effective regardless of utilizing an autism spectrum disorder specific teaching strategy. However, in the case of initiating joint attention, only 68% of articles reported that intervention was effective, and the result suggested that improvement of initiating joint attention is more difficult than improvement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Joint Attention and Symbolic Play/Engagement and Regulation (Kasari, Freeman, & Paparella, 2006) wa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for initiating joint atten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or initiating joint attention ability, intervention should be more systematic and intensive, and it would be more effective when intervention is targeted to a specific domain of joint attention ability.

      • KCI등재

        어머니가 실행하는 공동관심 중심의 놀이 활동이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선행기술과 공동관심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보람,이소현 한국자폐학회 2014 자폐성 장애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어머니가 실행하는 공동관심 중심의 놀이 활동을 실시했을 때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의 공동관심선행기술과 공동관심행동이 증진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중재는 공동관심행동을 보이지 않는 30개월 이하의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 3명을 대상으로 참여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자는 어머니교육과 피드백으로 이루어진 어머니훈련을 제공하였으며, 어머니는 매일 영아와 30분의 공동관심 중심의 놀이 활동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가 실행하는 공동관심 중심의 놀이 활동은 참여 영아의 공동관심선행기술과 공동관심행동 발생률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2명에게서 종료 4주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공동관심선행기술은 2명에게서 대상 일반화, 1명에게서 상황 일반화되었고, 공동관심행동은 2명에게서 대상 일반화되었으나 모두에게 다른 상황으로 일반화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자폐 범주성 장애 영아를 위한 어머니 실행 놀이 중재의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mother mediated joint attention-focused play on promoting precursors of joint attention and joint attention behaviors for ASD toddl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hree toddlers with ASD who were under 30 months, didn't show the joint attention behavior. This study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to verify the intervention effects. The researcher gave mothers training which was consist of mother education and feedback, and mothers implemented 30 minutes joint attention-focused play every da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toddlers showed improvement in the rate of precursors of joint attention and joint attention behavior through mother mediated joint attention-focused play. Second, in four-week follow-up observation, two toddlers were maintained. Third, precursors of joint attention were generalized to the other family members for two toddler and to the other situations for one toddler. Joint attention behaviors were generalized to the other family members for two toddlers but were not to the other situa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related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영아의 공동주의(joint-attention) 행동유형에 따른 언어 발달에 관한 연구

        김현경(Kim Hyu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교사-영아 간 공동주의 행동에 따른 언어발달에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의 만 1, 2세 영아 24명을 대상으로 자유놀이시간의 활동을 관찰 녹화한 후 교사-영아 간에 나타난 공동주의 행동을 분석하였다. 공동주의 하위 행동은 응시하기(gaze monitoring) 가리키기(pointing) 주기(giving). 보여주기(showing) 등으로 범주화하여 분석ㆍ측정하였으며 염아의 언어발달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공동주의 행동 유형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언어발달에 있어서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니 성별에 따라 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의 공동주의 행동에 따른 언어발달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1세 영아의 응시하기(gaze monitoring)와 2세 영아의 주기(showing) 행동은 영아의 언어 발달과 유의한 상관성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영아 간의 공동주의가 우연히 주의하게 되는 행동차원을 넘어서 영아의 학습과 발달을 위한 소통의 연결고리 같은 질적인 기능을 담당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아기에 나타나는 공동주의 행동은 영아의 학습과 발달을 위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과정적 의미를 가짐과 아울러 영아기 공동주의에 관한 이해는 영아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조건으로서 영아 교육의 실제에 적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language development and joint atten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To that end, we recorded free time in a classroom for children 1-2 in a preschool. We classified and analyzed teacher-infant joint-attention Behaviors such as gaze monitoring, pointing, giving and showing and estimate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infan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gaze monitoring, and giving gestures among the infant joint-attention had effects according to gender and the age. Infant language development was showed differences through age but didn't relate to gender. The interrelation of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infants joint-attention was showe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language development from the joint-attention Behaviors of gaze monitoring of a one-year old infant and showing joint-attention action of two-year-old child. This paper shows that joint-atten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are not accidenta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joint-attention has a qualitative aspect for the study and development of infants. Thus, joint-attention is needed for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of infant joint-attention is a requirement for effective teaching study.

      • KCI등재

        영아의 공동주의와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김영실* ( Young Sil Kim ),정영실 ( Young Sil Je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인 영아의 공동주의 및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질과 영아어휘력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 J시,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10∼21개월 영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50명과 영아 100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의 공동주의와 영아의 어휘력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의 질과 영아의 어휘력은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영아의 공동주의와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어휘력의 영향력을 알아 본 결과, 이해어휘는 협응적 공동주의, 지지적 공동주의, 교사의 긍정적 태도, 반응적 교사 순으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고, 표현어휘에서는 협응적 공동주의, 지지적 공동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영아의 어휘력에는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의 질보다 영아의 협응적 공동주의와 지지적 공동주의가 더 큰 영향력이 있는 변인임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and impact between the joint attention, a non-verbal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joint attention and the interaction of toddler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of toddlers. The research subjects are 50 teachers responsible for 10~21 months old toddlers at I City, J City and G City in Jeollabuk-do and 100 toddl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the joint attention of toddlers and vocabulary has overall positive relation. Secondly, the quality of interaction of toddler teachers and vocabularies of toddlers has overall positive relation. Thirdly, when the impact of vocabulary was examined by the toddlers’ joint attention and interaction of toddler teachers, understandable vocabulary had higher explanatory power in coordinated joint attention, supportive joint attention, teachers’ positive attitude and responsive teachers. In expressing vocabulary, coordinated joint atten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upportive joint attention. That is to say, vocabularies of toddlers have been highly influenced by coordinated joint attention and supportive joint attention than quality of interaction of toddler teachers.

      • KCI등재

        9∼20개월 영아반 교사 효능감 및 영아의 공동주의와 영아의 어휘력과의 관계

        진경희(Jin Kyung Hee),유수정(Yoo Soo Jung),정영실(Jung Young Sil)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9∼20개월 영아를 대상으로 영아반 교사 효능감 및 영아의 공동주의가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 I시에 위치하고 있는 보육기관 총 29개소의 영아반 교사 87명과 영아 109명을 대상으로 영아 어휘력 측정도구(MCDI-K), 교사 효능감 평정도구(STEBI), 영아 공동주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9∼20개월 영아반 교사 효능감 중 일반적 교사 효능감은 어휘력 전체와 표현어휘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9∼20개월 영아의 공동주의 중 지지적 공동주의와 협응적 공동주의는 어휘력 전체와 표현어휘, 이해어휘 모두에서 정적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9∼20개월 영아반 교사 효능감 및 영아의 공동주의와 어휘력의 영향력에서는 영아의 공동주의 중 협응적 공동주의가 가장 영향력이 있었고, 그 다음으로 지지적 공동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의 어휘력 증진을 위해 영아의 협응적 공동주의와 지지적 공동주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영아반 교사는 질 높은 상호작용을 통한 지지적, 협응적 공동주의 상황을 마련해 줄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infant’s joint attention influences teacher’s efficacy of the infant class(9-20month) and the development of infant’s vocabulary ability. For this, the study is conducted with eighty seven infant class teachers and a hundred nine infants from twenty nine daycare centers in I city of North Jeollaprovince by using MCDI-K, STEBI, and the measuring tool for infant’s joint-attention.As a result, firs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general teacher’s efficacy of teacher’s efficacy of the infant class(9-20month)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Second, this study exposes that both supported joint attention and coordinated joint attention from infants(9-20month) joint attention show positive relations among the whole vocabulary ability, expression ability, and understanding vocabulary. Third, this study shows that coordinated joint attention is more influential than supported joint attention when it comes to teacher’s efficacy of the infant class(9-20month), infant’s joint attention, and effect of vocabulary ability. In summation, this study explains the importance of supported joint attention and coordinated joint attention for advancement of infant’s vocabulary ability. Thus, it is necessary for teacher to provide supported joint attention and coordinated joint attention through interactions.

      • KCI등재

        자폐성향을 보이는 발달지체아동을 위한 상호주의하기 개입 연구

        오경민 ( Kyung-min Oh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0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아동과 자폐성향을 보이는 발달지체아동의 조기 감별진단 및 조기개입에서 핵심기술로 언급되는 상호주의하기와 그 중재방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상호주의하기는 2명의 사람이 대상, 사건, 상황에 대한 주의 초점을 공유하는 것으로 시선, 주의, 의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정서조절을 통해 9-18개월에 발달하며, 자폐성장애를 진단하는 초기 지표로 생각된다. 상호주의하기의 형태로는 응시 전환, 보기/보여주기, 지적하기, 언급하기가 있고, 기능에는 명령적 기능과 서술적 기능이 있으며, 참여방식에서 반응행동과 시작행동이 있다. 상호주의하기는 자폐성장애아동의 향후 언어 및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자폐성장애아동을 정의하는 특성인 상동행동과 신경심리적인 특성인 약한 중앙응집성과는 별도의 경로를 가진다. 자폐성장애아동을 위한 중재는 상호주의하기를 직접 목표로 할 필요가 있고, 현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상호주의하기 중재방법에는 행동주의적 접근, 언어이전 환경중심중재, 부모 반응성 중재가 있다. 자폐성장애 진단 과정에 상호주의하기 개입을 포함시키는 것은 감별진단 그리고 조기개입을 통한 아동의 자폐성향 완화와 발달적 진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s joint attention and its implementation that is considered as the core of early differential diagnosis on and early intervention into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and developmentally retarded children showing autistic features. Joint attention refers to sharing of attention focus on objects, events, and situations between two people. It develops around 9 to 18 months through emotional control together with understanding on sight, attention, and intention, and is regarded as an initial indicator to diagnose autistic disorders. Joint attention includes gaze shift, seeing/showing, pointing, and mentioning. It can be divided into descriptive and imperative functions, and its participation can be categorized as reaction and initiation behaviors. Joint attention affects future linguistic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and needs to be differentiated from stereotyped behaviors, a feature to define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and weak central coherence, a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 Mediation fo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needs to directly target joint attention. Mediation approaches of joint attention, which have been found effective, include behavioral approach, prelinguistic milieu teaching, and parents responsivity training. Inclusion of joint attention in the diagnostic procedures of autistic disorders would be of a help for differential diagnosis, mitigation of autistic features, and developmental advancement of children via early intervention.

      • KCI등재

        함께 주의하기의 개인차와 기질의 관련성

        박영신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4 No.1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attention and temperament was examined in two studies. In Study 1, two aspects of joint attention-initiating joint attention(IJA) and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RJA)-were assessed by means of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ESCS) at 12, 15, an 18 months and 9 dimensions of temperament were assessed by means of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TTQ) at 15 months. IJA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sistence at 15 and 18 months. RJA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mood at 12 months and approach at 15 months. In study 2, joint attention of infants between 14 and 18 months of age was evaluated both in ESCS and in infant-mother free play and temperament was also assessed by means of TTQ. IJA in ESCS and coordinated joint attention in infant-mother free pla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hythmicity. Coordinated joint attention in infant-mother free play showed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several other dimensions of temperament such as threshold, distractibility, intensity. 함께 주의하기의 개인차와 기질의 관련성을 두 개의 연구에서 검토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함께 주의하기를 시도하기와 반응하기의 두 측면으로 구분하여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척도로 12개월, 15개월과 18개월에 세 차례 종단적으로 평가하였고, 기질은 유아 기질 질문지로 15개월에 평가하였다. 함께 주의하기는 기질과 관련이 있었고, 관련되는 기질차원은 월령과 함께 주의하기의 측면에 따라 달라졌다. 시도하기는 12개월에는 기질차원과 관련이 없었으나 15개월과 18개월에는 지구성과 관련을 보여 한 가지 일을 꾸준하게 하는 유아들이 다른 사람에게 함께 주의하기를 더 많이 시도하였다. 반응하기는 12개월에는 기분, 15개월에는 접근성과 관련이 있어서 부정적 기분을 덜 느끼는 유아들과 새로운 자극에 덜 위축되는 유아들이 다른 사람의 함께 주의하려는 시도에 반응을 더 많이 보였다. 18개월에는 기질차원과 반응하기는 관련이 없었다. 연구 2에서는 14개월에서 18개월 사이 유아들의 함께 주의하기를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척도와 유아-어머니 자유놀이의 두 절차로 평가하였고, 기질을 유아 기질 질문지로 평가하였다. 기질차원 가운데 규칙성이 두 상황 모두에서 함께 주의하기와 관련이 있어서 생리적 주기가 규칙적인 유아들이 낯선 검사자나 친숙한 어머니와 상호작용에서 함께 주의하기를 더 많이 하였으며, 유아-어머니 자유놀이에서 평가한 협응적 함께 주의하기는 그 밖에도 반응역, 주의분산도, 반응강도나 지구성과 같이 더 여러 기질차원과 의미 있는 관련성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