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음악교과서에 수록된제주 민요 분석

        신은주 한국민요학회 2019 한국민요학 Vol.57 No.-

        Folk songs play a central role in the area of singing in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and is importantly approached equally in que area of appreciation and theory. It is because folk songs have a great meaning as music representing lives of common people and it serves as a root of a variety of music in the base of our traditional music. Different characteristics appear in our country’s folk songs divided into five regions of Gyeonggi, Namdo(the Southwest), Seodo(the Northwest), Dongbu(the East) and Jeju. As singing repertoires, folk songs are used because they are appropriate for singing or appreciation and have regional representativeness. However, folk songs of Jeju Island included in the textbook are conspicuously small in number as compared to songs of other regions, and they highly lack explanation of musical features. “Neoyoung nayoung” and “Odoltogi” are folk songs of Jeju Island most included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and are influenced by songs of troop sung by strolling actors of the land. For this reason, there are limitations of exploring features of intrinsic folk songs of Jeju Island through these songs. The third most included song in music textbook entitled “Myeolchihurineun sori” or “anchovy net hauling song” is an intrinsic folk song of Jeju Island, but it was not sung at every corner of the island. Only a small number of people living in some specific areas sang this folk music and it is not related to works commonly practiced in Jeju Island. In other words, it is challenging to say that three songs above mentioned can represent as typical folk songs of Jeju Island. Sheet music in each textbook uses different music and interprets the mode in a dissimilar manner. Moreover, the general mood of the song varies due to omission of characteristic melody and notes. Folk songs included in the textbooks do not exist only for singing but theoretical learning is achieved through the songs. For this reason, difference in sheet music can cause confusion in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ints for effective folk song education of Jeju Island for the future. Firstly, it is vital to discuss “do we have to admit differences of folk songs or do we have to prepare for a unified plan for education?”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scribe detailed theory of folk songs of Jeju Island. It is required that theory of creation background, distribution, type, function, sound structure, vocalization and precautions while singing should be put in order for facilitating easy utilization for teachers. Thirdly, it is essential to discover folk songs with diverse music pieces, which are easy to sing and appropriate for representing particular characters of Jeju Island. Fourthly, since various modes are used in folk songs of Jeju Island, we encounter limitations of accounting for folk song of Jeju Island only with mo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of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of Jeju Island such as vocalization and “Sigimsae” or a grace note. 민요는 초․중․고 음악교육의 가창 부분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감상과 이론 영역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서민들의 삶을 대변하는 음악으로서 민요가 갖는 의미가 크고, 우리 전통 음악의 기저에서 여러 다양한 장르 음악의 뿌리가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민요는 대체로 경기․남도․서도․동부․제주의 다섯 지역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달리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고, 초․중․고 음악교과서에서는 위 다섯 지역별로 가창 혹은 감상하기에 적절하면서도, 지역적 대표성을 띠는 민요가 제재곡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 지역의 민요는 가창 및 감상 제재곡으로 활용되고 있는 민요의 곡수도 다른 지역에 비하여 현저히 적을 뿐만 아니라, 음악 특징에 대한 설명도 미비하고, 여러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가장 많은 초․중․고 교과서에 수록된 제주민요인 <너영나영>과 <오돌또기>는 육지 사당패소리의 영향을 받은 악곡으로, 제주 토속민요 특유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한계가 있다. 세 번째로 많이 수록된 곡인 <멸치후리는소리> 역시 제주 지역 토속민요 이기는 하나, 제주 전역에서 두루 불리던 소리가 아니라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의 사람들 사이에서만 불리던 민요이고, 제주에서 흔히 행하는 노동과 관련된 민요도 아니다. 즉, <너영나영>, <오돌또기>, <멸치후리는소리> 모두 대표성 면에서 다소 문제가 있다. 각 교과서에서 활용하고 있는 악보도 서로 다른 채보 악보를 활용하면서, 음구조를 다르게 파악하기도 하고, 특징적인 선율과 음을 간과하면서 곡의 분위기가 달라지기도 한다. 교과서에 수록된 곡은 단순히 가창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악보를 통해 이론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서로 다름은 교육에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향후 효과적인 제주 민요 교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을 제안한다. 첫째, 민요의 서로 다름을 인정할 것인가, 교육을 위한 통일안을 마련할 것인가 논의해야 한다. 둘째, 제주 민요에 대한 자세한 이론이 기술되어야 한다. 각 곡의 생성 배경에서부터, 분포, 유형, 기능, 음구조, 발성, 가창시 유의점 등이 정리되어,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제주 특유의 특색을 살피기에 적절하면서도, 가창이 용이한 다양한 악곡의 토속민요를 발굴해야 한다. 넷째, 제주 지역 민요는 다양한 선법이 사용되고 있는 만큼, 음구조로 제주 민요를 설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발성과 시김 등 다양한 제주 민요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제주도 전통문화자원과 그 활용 - 성읍민속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

        변성구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7 No.-

        문화산업 시대에 전통문화 자원의 활용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본고는 제주도의 전통문화자원의 존재 양상을 살피고, 성읍민속마을의 사례를 들어 전통문화자원의 활용 방안을 찾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제주도는 섬이라는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언어전승과 민간신앙,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민요, 민속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문화‧예술적 가치를 지닌 전통문화자원이 풍부하게 전승되고 있다. 국가 지정 무형문화재로 관모공예 3건, 무속신앙 1건, 제주민요 1건 등 모두 5건이 지정되어 있다. 특히 제주민요는 성읍마을에서 전승되는 <오돌또기>, <산천초목>, <봉지가>, <맷돌노래> 4곡이 지정되어 있다. 제주도 지정 무형문화재는 민요 8건, 무속신앙과 굿놀이 2건, 전통주 제작기술 2건, 민속공예 5건, 민간신앙 2건, 불교의식 1건 등 총 20건이 지정되어 있다. 이 중에 민요는 농업노동요(<제주농요>, <진사대소리>, <귀리겉보리농사일소리>) 3건, 어업노동요(<해녀노래>, <멸치후리는노래>, <삼달리 어업요>) 3건, 잡역요(<방앗돌굴리는노래>) 1건, 제주시 창민요 1건(13곡) 등 모두 8건이다. 민요가 제주도 지정 무형문화재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제주도 민요가 문화 예술적 가치를 지닌 전통문화자원이며, 또한 풍부하게 전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읍마을은 마을 자체가 국가 지정 민속자료 제188호(성읍민속마을)로 지정되어 있다. 거기다 국가 지정 중요 무형문화재 1건(제주민요), 제주도 지정 무형문화재 3건(오메기술, 고소리술, 성읍리 초가장) 등 많은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성읍마을은 성읍민속마을보존회를 결성하고 정의골 민속한마당 축제와 생생문화재 사업 추진, 제주민요 정기공연,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개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성읍마을은 문화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 ‘성읍민속마을’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성읍마을은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성읍마을의 사례는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활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에 많은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첫째, 마을 자치회에서는 민속보존회를 조직하여 전승기반을 확보한다. 둘째, 전문가 집단에서는 전통문화자원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 문화원형에 대한 연구를 한다. 셋째, 민속보존회 및 기획자는 살아있는 문화를 만들어가는 문화사업 운영, 문화상품으로서 문화콘텐츠 개발, 전통문화축제 개최 등 다각도의 활용을 위해 노력한다. 넷째, 문화재 담당기관은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또는 민속보존회장 등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소양교육을 실시한다. 특히 전통문화 자원을 문화상품으로 활용하는 이벤트로서 지역문화축제의 개최는 앞으로 관광산업과 연계하여 계속 추진되어야 할 가치 있는 활용 방안임에 틀림없다. 남은 과제는 전통문화 축제나 생생 문화재 사업, 문화콘텐츠 개발 등이 전통문화의 활발한 전승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순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v In this era of cultural industry, it is very important to utiliz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This study focuses on observing characters and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of Jeju, and suggests how to promote the resources by giving an example of Seongeup Folk Village. The natural circumstance of Jeju, being an island isolated from mainland, helped its variou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to be preserved, including dialect, folk beliefs, seasonal customs, folk plays, songs, craft arts, etc. Five Jeju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three weaved hat crafts, one local shamanism, and one folk song set-were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Especially, “Odolttogi”, “Sancheonchomok”, “Bongjiga”, and “Maetdolnorae-Stone grinder song,” are four Jeju folk song sets which were passed down in Seongeup folk village and lis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well. In addition, total 20 cultural resources were listed as Jeju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eight folk songs, two shamanism and exorcisms, one brewing skill, five traditional handcrafts, two shamanisms, one Buddhist ritual. and eight folk songs. Eight folk songs consists of three farmer’s labor songs(“Jeju-nongyo-Jeju farmer’s song,” “Jinsadaesori-Woman’s field labor song,” “Gwiri Geotbori Nongsail Sori-Gwiri hulled barley labor song”), three fisherman’s labor songs(“Haenyenorae-Woman diver’s song,” “Myeolchihurineunnorae-Anchovy net hauling song,” “Samdalri Eoeopyo-Samdal-ri Fishing Songs”), one labor folksong(“Bangatdolgul lineunnorae-Millstone Song”), and one Jeju-si Changminyo(Popular Folksong) set(13 songs). Forty percent of Jeju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folk songs, which implies that Jeju folk songs are abundantly inherited cultural resources and hav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Seongeup Folk Village itself is designated as National Folklore Materials No. 188. Also, the village has one State-designated Intangible Property(Jeju folk song), three Province-designated Intangible Properties(“Omegisul-millet liquer”, “Gosorisul-distilled liquer”, “Seongeup-ri Chogajang-Thatched-roof House Artisans”), etc. To promote its heritage, the village established Seongeup Folk Village Conservation Committee and runs various initiatives to develop and utilize its cultural contents such as Jeongui-gol Folk Festival, Saengsaeng Cultural Resource Promotion, Jeju Folk Song Performances,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Program, etc. Also the village provides the Internet website called “Seongeupminsokmaeul(http://seongeup.seogwipo.go.kr)” to share its culture contents related information. As we can see, the village is creating high value businesses utilizing its heritage. The case of Seongeup Folk Village shows a way for utilization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First, the self-governing organization of Songeup Folk Village establishes its tradition conservation committee and builds a stepping stone for passing down its heritage. Second, a group of experts builds a database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nd studies further to find the origin of its culture. Third, the committee and promoter bring its utmost to utilize its heritage in diverse ways such as culture business operation, contents development, festivals and so forth. Fourth,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related government agencies provide professional level training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folklore conservation committee. In particular,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utilize cultural heritages is to host local culture festivals which promote it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s valuable products, in connection with tourism business. Remaining task is to support all these efforts to boost local economy and transmit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초ㆍ중ㆍ고 음악교육을 위한 제주 민요 제재곡 개발

        신은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1

        민요는 민중들의 삶 가장 가까이에 있는 음악 장르로, 그들의 삶의 모습과 생각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어, 단순한 음악을 넘어 민족의 역사이자 문화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때문에, 초, 중, 고교 음악 교육에서 민요는 매우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고,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각 지역의 다양한 향토민요가 발굴, 활용되고 있다. 2015 개정 초․중․고 음악교과서의 제주 민요 수록 양상을 살펴보면, 수록 곡 수도 타지 역에 비하여 적고, 가장 많은 교과서에 수록되고 있는 <너영나영>, <오돌또기>, <멸치후리는 소리>의 경우 제주 향토 민요로서 대표성을 띠기에 다소 부적절하다. 교과서 내 제주 민요에 대한 설명 역시 노랫말에 제주 특유의 방언이 사용된다거나 어업요가 많다는 음악 외적인 설명이 대부분이다. 이에, 제주 민요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새로운 가창 제재곡이 개발되 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한 바, 제주 본토의 민요이면서, 제주 전역에서 널리 불려 왔고, 제주 의 문화와 제주민의 삶을 잘 보여줄 수 있으며, 제주 특유의 음악 어법을 보유하고 있는 민요 인 <애기흥그는소리>, <자진사대소리>, <밭밟는소리>를 새로운 음악 교과 제재곡으로 제안 하였다. <애기흥그는소리>는 제주도민이면 누구나 부르고 들었던 소리로, ‘삼승할망’이나 ‘애기구 덕’과 같이 제주의 신앙이나 풍속을 더불어 살펴볼 수 있으며, 가창 제재곡으로 활용하기에 무리 없는 비교적 규칙적인 박자 구조와 단순한 선율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 특유의 도선법 으로 이루어져 있는 점이나 각 선율 단락이 고음으로 시작하여 점차 하행하고, 최저음에 머 물러 종지하는 선율형을 이루는 점에서도 제주 음악 어법을 설명하기에 적절하다. <자진사대소리(른사대)>는 밭농사를 주로 하는 제주 지역의 농경문화를 잘 보여주며, 제주 전역에 걸쳐 불렸던 밭매는소리로,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16호로 지정되어 있 다. 선후창의 가창 방식과 유절형식의 반복되는 선율 구조 및 3소박 4박자의 규칙적인 박자 를 가져, 가창 제재곡으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 <밭밟는소리>는 자유리듬 형태이며, 선율도 꾸밈이 많고 복잡하여, 가창 제재곡으로 활용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나, 제주도의 자연 환경과 그에 따른 특유의 농사법과 관련된 제주 고유의 민요이며, 제주 전역에서 불렸고,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도 지정되어 있다. 음 악적으로도 제주 특유의 ‘도선법’으로 선율이 구성되어 있어, 육지의 민요 토리와 구분하여 학습이 가능하므로, 감상 제재곡으로 활용할 수 있다. 민요가 갖는 교육적인 가치를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 적절한 악곡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 다. 제주 지역은 육지와는 구별된 독특한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만큼, 이를 잘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향토민요의 발굴이 그 어느 지역보다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고에서 <애기흥그는소 리>, <자진사대소리>, <밭밟는소리> 세 곡의 민요를 새로운 제주 민요 제재곡으로 제시하였 으나, 각 학교급 수준에 따른 구체적인 활용 방안으로까지 나가지 못한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의 연구과제로 남겨두며, 더 많은 새로운 제재곡들이 개발되어 초ㆍ중ㆍ 고 음악교육에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Folk songs are a genre of music closest to the lives of Korean people, reflecting the aspects and thoughts of their lives. Thus, folk songs have a great significance as the nation’s history and culture beyond just music. Because of this, they are treated with great importance in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various local folk songs from each region are being discovered and utilized for more effective learning. Observing Jeju folk songs listed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music textbooks published on the ba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number of Jeju folk songs listed are less than that of other regions, and <Neoyoung Nayoung>, <Odoltogi>, <Myeolchi hurinun sori> included in the textbooks the most are somewhat inadequate to become a representative of Jeju local folk songs. The description of Jeju folk songs in the textbooks is mostly regarding non-musical content that Jeju-specific dialect is used in the lyrics and there are many fishermen’s songs. Accordingly, the need to develop new vocal music for the effective education of Jeju folk songs is emergent. This study proposed as new vocal pieces for song materials <Aegiheungunun Sori>, <Jajinsadae Sori>, <Batbabnun Sori>, the folk songs that are native songs of Jeju, has been widely sung all over Jeju, can reflect the culture of Jeju and the lives of the Jeju people, and possesses Jeju’s intrinsic music grammar. <Aegiheungunun Sori> was a song sung and heard by any Jeju people, which one can see Jeju's beliefs or customs along with 'Samseunghalmang' and 'Aegigudeok'. It is composed of a relatively regular rhythm structure and a simple tune that are appropriate to be used as a vocal song for learning materials. As it is composed of Jeju's unique ‘Do-mode,’ and each melodic phrase starts from a high note, gradually descends, and stays on the lowest note for a cadence, the song is adequate to explain Jeju's music grammar. <Jajinsadae Sori(jjareunsadae)> is the sound of weeding a field that has been sung throughout Jeju, showing Jeju's agricultural culture of dry-field farming. It is designated as the 16th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ue to the call and response singing style, the repeated melodic structure of the strophic form,and the regular rhythm of 4 beats with each beat consisting of 3 sub-beats, it is appropriate for a vocal piece as song materials. <Batbabnun Sori> has a complicated melody with embellishment in the form of free rhythm thus not being adequate to be used as a vocal song. However, this is a Jeju's native folk song related to Jeju's natural environment and its corresponding farming method, sung by the Jeju people. It is designat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eju. As its tune is musically composed of the Jeju distinct mode, 'Do-mode,' and it is possible to learn from the difference of the folk song tori of the continent, it can be used as song materials for music appreciation. To properly realize the educational value of folk songs,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an appropriate piece of music. As Jeju has a unique culture differentiated from the continent, the discovery of various local folk songs that can represent the culture well is more urgent than any other region. The study presented the three folk songs, <Aegiheungunun Sori>, <Jajinsadae Sori>, and <Batbabnun Sori>, as new Jeju folk songs for learning materials, but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reach to specific application plans for each school level. That will be left for future research projects. It is expected that more new song materials are developed and discovered to be used for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KCI등재후보

        제주민요로 보는 제주경제사 연구 시론

        진관훈(Jin, Gwan-Hun)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5 No.-

        제주민요에는 노동요(勞動謠)가 많다. 제주지역 노동요에는 ‘검질 매는 소리’, ‘밭 밟는 소리’, ‘도리깨질 소리’, ‘방아 찧는 소리’, ‘멸치 후리는 소리’, ‘해녀 뱃소리’, ‘고랫소리’, ‘가래질소리’, ‘꼴 베는 소리’, ‘톱질소리’, ‘방앗돌 굴리는 소리’, 말총으로 양태, 망건, 탕건 등을 결으며 부르던 관망요(冠網謠)등이 있다. 노동요에는 당시 시대상황을 반영한 생산 활동에 관한 구체적 사실들이 잘 나타나 있다. 특히 어부가(선유가)에는 당시 마을마다 지역특성에 맡게 행해졌던 가내수공업이나 부업활동에 관한 내용이 상세히 나타나 있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제주민요에 나타난 당시 생산 활동, 경제생활, 경제적 행위 등과 제주경제사 사실(史實)과의 연관성을 모색하는 ‘제주민요와 제주경제사의 학제간 연구’는 학문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제주지역 노동요를 9개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표적인 노동요를 골라 총 20개의 제주지역 노동요가 가지는 제주경제사적 함의를 탐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농업노동요(4), 어업노동요(4), 목축노동요(2), 임업노동요(2), 수공업노동요(1), 가내공업노동요(3), 토목노동요(2), 운반노동요(1), 제분노동요(1)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economic history of Jeju through the Jeju folk songs. Commonly, each folk song reflects the real living state of economy. There are many kinds of work songs in Jeju Folks songs such as agriculture, fishing, stock-farming, forestry, manufacturing, home industry, public works, carry, and flour milling. Especially, folk songs of fishermen describe the real image of manufacturing and a side job of woman in Jeju at that time. Folk songs of labor reflect the spirits of production activity of those days. Therefore, Jeju folk songs portray labor for production, economic phenomenon, and the state of economic living at that time in Jeju. Historical facts of Jeju economic history were found in the Jeju folks songs for various industries and labor of people in Jeju at that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how the implication of Jeju folk songs can be applied to the economic history of Jeju. Moreover it could be utilized for the interdisciplinary study.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connect Jeju economic history and Jeju folk songs in terms of enhancing science in Jeju and expanding scope of Jeju economic history. In this paper, implication of Jeju economic history about 20 Jeju folk songs in various industries and labor is analyzed – agriculture(4), fishing(4), stock-farming(2), forestry(2), manufacturing(3). home industry(1), public works(2), carry(1), flour milling(1).

      • KCI등재

        제주민요의 문화적 소통 실태와 과제

        양영자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1 No.-

        Since folk songs are sociocultural products, we can view those song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communication. Whereas Jeju folk songs were sung in sunuleum, a kind of work of cooperation, community, they are nowadays being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through various performances and festivals. This paper aims to discover how Jeju folk songs are being culturally communicated and handed down in Jeju by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the Jeju folk songs. For meaningful communication of Jeju folk songs, it also seeks to find out how to solve the problems which are being made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is paper focuses on some features that have markedly demonstrated the status of cultural communication:the activities of minyopae, the groups of folk songs, those of Folklore Preservation Society, those of the education of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folk contests like Tamna Culture Festival, a variety of festivals, the performances of a lot of performing art troupes, Sound Pangut (Musical nodongyo, song of work) as a cultural movement, and the productions of the records. In addi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some problems of these activities. People have been trying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folk song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However, it has caused the contamination of traditional folk songs and a loss of identity owing to the way of communication that mainly centers on performances and the s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Jeju folk songs should be not one-time ‘watch and enjoy’ ones but ‘sing along’ ones in everyday lives for the meaningful and regional communication. To do so, cultural communication is needed for more systematic and desirable ways. 민요는 사회사적 생산물이므로 문화적 의사소통의 한 차원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과거에는 노동 현장인 수눌음 공동체 속에서 제주민요가 소통해 왔다면, 오늘날에는 각종 공연과 축제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이 논문은 제주민요가 제주사회에서 어떻게 문화적으로 소통하면서 전승되고 있는지 현재의 소통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소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의미 있는 소통으로 만들어 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주 민요의 문화적 소통실태를 현저히 보여주는 것으로 민요패나 민속보존회 활동,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활동, <탐라문화제>를 비롯한 민속경연대회, 각종 축제행사, 여러 예술단의 공연 활동, 문화운동으로서 ‘소리판굿’, 음반제작 활동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들 활동들이 민요의 전승과 보전, 대중과의 소통을 위해 애쓰고 있지만 공연 일변도의 대중 소통과 무대화로 인해 전통 민요의 오염과 정체성 상실을 초래하게 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제주민요의 의미 있는 지역적 소통을 위해서는 일회성으로 ‘보고 즐기는’ 민요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함께 부르는’ 민요의 생태적 성격을 살려 나갈 수 있도록 좀 더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문화적 소통이 실현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제주도 문화예술교육 실태 연구: 제주민요를 중심으로

        임은정 ( Lim Eun Jung ),임은진 ( Lim Eun Ji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제주도의 지역연계 문화예술과 문화예술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제주민요의 보전과 발전방안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문화예술의 섬인 제주도는 지방자치제의 시행과 특별자치도의 전환으로 다양한 제주문화를 발굴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이에 제주민요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기관, 문화예술 관계기관, 문화예술 교육기관, 자방자치단체, 학교교육기관 등이 제공하고 있는 제주 문화예술 콘텐츠,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 문화예술교육 지원 정책들을 조사하였다. 지역연계 제주민요의 보존과 교육실태 조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제주민요에 대한 포괄적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과 콘텐츠 제공을 위한 포털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제주민요의 문화예술과 문화예술교육을 상호연계 할 수 있는 호환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제주민요의 활성화를 위하여 제주지역의 제주민요 교육 전문 인력 양성 확대가 요구된다. 이와 함께 제주 지역의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제주민요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제주민요의 장기적 발전 계획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Jeju Island's regional-link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Jeju folk songs and to seek ways to improve them. Jeju Island, an island of culture and arts, has continued to discover and develop Jeju culture by implementing local autonomy and the transition of special autonomy.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preservation, and educational status of Jeju folk songs were investigated by major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Jeju folk songs require establishing a portal system to develop and provide comprehensive online content for Jeju folk songs. In order to promote the value and importance of Jeju folk songs, the development of content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Jeju culture and art to the general public and the expansion of online learning opportunities to experience Jeju folk songs will lead to further development of Jeju culture and art.

      • KCI등재

        고려가요와 제주도 구비시가의 친연성 탐색 - 시상(詩想)과 표현기법의 유사성을 근거로 -

        이현정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1 No.-

        이 글에서는 관련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의미를 두고 몇몇 고려가요와 제주도 구비시가 간의 시상적·표현적 친연성을 살폈다. 그간 고려가요 연구의 일환으로 육지부의현전 민요 또는 무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형식, 내용, 표현면의 범주에 따른 수용․변개의 문제에 천착하여 온 성과들이 있었다. 하지만 고려기 제주도를 둘러싼 역사적·정치적 시류와 환경적 특수성을 감안한다면, 제주도의 현전 구비시가 역시 당대의 영향 하에 고려가요와 직접적이면서도 밀접한 관계를 맺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선 <청산별곡>, 제주도 민요 <멧돌·방아노래>군과 <시집살이요> 일부에서 발견되는 접점은 ‘청산’과 ‘새’에 삶의 애환과 비탄을 투영시키는 시상과 그 표현법에 있다. 실제로 이들 민요에 담긴 정서는 매우 다양한 편이다. 그 가운데 유독 ‘청산’이란 장소는 ‘눈물’과 ‘무덤(봉분)’으로 치환되어 ‘삶의 애환’뿐만 아니라 ‘죽음’의 문제로까지 가닿는다. 이는 그동안 <청산별곡> 연구에서 쟁점화 되었던 ‘청산’의 상징성을 다각도로 유추할 수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또한 ‘새’는 <청산별곡>과 제주도 민요에서 화자의 외롭고 서러운 처지를 투영하는 대상으로 기능하며, 특히 새의 특정한 행위에 정서를 덧입힌다는 점에서 표현적 유사성을 띤다. <오관산>을 비롯하여 가사 <황계가> 등에 보이는 ‘불가능의 역설’도 제주도 <멧돌․·방아노래>군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동일하게 ‘닭’을 매개 삼아 인간 존재로서 어찌할 수없는 ‘시간의 흐름’을 슬픔과 한탄의 정서로 노래한다는 점에서 일관성을 지닌다. <장암>과 관련해서는 제주도 <멧돌·방아노래> 일부, 제주도 무가 <문전본풀이> 속삽입 가요와의 특별한 상관성을 살폈다. 화자가 ‘새’에게 경계와 계도의 교훈을 전하는 방식이 이들에게서 보이는 특별한 시상 전개라 할 수 있는데, 역자 혹은 수용층이 관심을 둔대상과 목적에 따라 당대의 표현 방식과 노랫말이 기능적으로 분화·운용되었던 일단을살필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려가요와 제주도 구비시가 간에 보이는 친연성은 당대적 사유가 담긴 일종의 유행구들이 지역적․갈래적으로 기록과 구비, 상층과 저층의 영역을 폭넓게 오가며자리매김하여 온 정황을 시사한다. 인간 보편의 감정과 욕망이 담기는 것이 유사성의 근거일 수는 있지만, 제주도라는 특정 지역에서 몇몇의 고려가요와 시상적·표현적 친연성을보이는 개체들이 한 데 확인되는 사정을 우연이라고만 치부할 수 없다. 다만 제주도 구비시가에서 확인되는 고려가요 전통은 시상․정서면에서 크게 다르지 않으나, 기법면에서만은 다채로운 변용을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시가 형성에 영향을 끼친 당대의 유행구들이 유입 이후 심한 변모 없이 전승될 수 있었던 제주도의 지리적·역사적 특수성을 방증하는 한 사례이므로 그 시가사적, 지방문학사적 의의가 충분하다. In this thesis, it was meaningful to expand the horizon of related research, and the ideological and expressive affinity between several Goryeogayo and the oral lyric poetry of Jeju was examined. Previous studies of Goryeogayo have successfull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mporary folk songs and local shamanic songs and investigated the problem of inheritance and variation using the categories of form, content, and expression. However,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al particularity of Jeju Island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seems that the current urban area of Jeju Island has, over time, also had a direct and close relationship with Goryeogayo. First the contact points found in <Chengsanbaylgok> and <Metdol-Banga songs> groups of Jeju Island and some of <Sijipsaliyo> are poems and expressions that project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onto Cheongsan (⾭⼭, It means green mountain) and birds. In fact, the emotions contained in these folk songs are very diverse. This includes the relatively direct expression of sorrow and sorrow, with Cheongsan being replaced with "tears" and "tomb” (bongbun in Jeju dialect), leading to the problem of "the sorrows of life" as well as "death." This is special in that it may indicate the meaning of the symbolism of Cheongsan, which has been an issue in the research on "Chengsanbaylgok" from various angles. In addition, in "Cheongsanbyeolgok" and Jeju folk songs, birds function as objects that project the loneliness and sadness of the speaker's situation, and has an expressive similarity in that it adds emotion to the specific behavior of the bird. Besides <Ogwansan>, the "impossible paradox" of the lyrics of <Hwanggyega> is also found in <Metdol-Banga songs> from Jeju Island. Both sing of the inevitable "flow of time" and convey the emotions of sadness and lamentation this induces in human beings through the medium of "roosters." Regarding <Jangam>, we examined the special correlation between some of Jeju's <Metdol-Banga songs> and Jeju's dance song <Moonjeon-bonpuri>. The way of conveying the lessons of boundaries and guidance through the discourse with "bird" is a special award development, and it was possible to examine how the expressions and lyrics of the time functioned differently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object and purpose of the singer and shaman (simbang in Jeju dialect). As such, the affinity between Goryeogayo and the oral lyric poetry of Jeju suggests that lines from popular songs, which held particular meanings when first composed, were widely influenced by whether the songs were passed down orally or written down; a distinction found particular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Of course, folk songs contain universal human emotions and desires, and this may be the basis for the similarities between Goryeogayo and the oral lyric poetry of Jeju. However, it is not a coincidence that many individuals who exhibit ideological and expressive affinity with some Goryeogayo can be identified in specific areas of Jeju Island. However, the expressive techniques used in Goryeogayo, which are found in the oral lyric poetry of Jeju, are not very different in terms of awards, but they seem to have undergone various changes. This is an example of Jeju's uniqu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specificity, which influenced the formation of Goryeogayo and could be passed down without serious deformation even after entering Jeju Island. Thus, this is a valuable clue to the transmission context of classical Korean songs.

      • KCI등재

        현전 민요를 통해 본 기록시가의 민요 수용 및 변용 양상: 고려 속요를 중심으로

        서영숙 한국구비문학회 2022 口碑文學硏究 Vol.- No.66

        Folk songs, which have been orally handed down over time, were accepted/transformed into written poetry when the upper classes with the knowledge and ability to use characters recognized the value of folk songs and accepted/transformed them into their own poems. By comparing them with current folk songs,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acceptance/transformation of folk songs in Goryeo folk poetry, which are highly related to folk songs among written poems. Analysis of current folk songs that have similar words to the folk music lyrics “Sangjeoga,” “Jeongeupsa,” and “Cheongsanbyeolgok” among Goryeo folk music lyrics revealed that the lamentation of suffering that appears in the folk songs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lyrics of Goryeo folk poetry. Furthermore, they have been transformed into a reality-affirming consciousness of accepting reality and implementing the Confucian ideology. In other words, it is highly probable that folk music lyrics were synthesized by accommodating/transforming various folk songs, and some were newly created and reorganized to fit the royal folk poems. In addition, examining folk songs related to Ikjae Lee Je-hyeon's poetry “Sarihwa,” “Jangam,” “Sujeongsa,” and “Tamrayo (Bugpungseon),” indicates they are all songs about the real state of ordinary people. Ikjae's acceptance/transformation of these folk songs into the soakbu poetry is thought to be a warning to the upper classes by, as he stated, “knowing the changes in reality by looking at the customs of the people.” In this way Goryeo folk songs were converted into folk poetry that affirm reality or guide ideology as the songs lamenting the reality sung by ordinary people were accepted/transformed into folk poetry. As the songs depicting the real world were translated and adapted into the soakbu poetry, it is thought that they were converted into songs of caution against politics by upper-class intellectuals.

      • KCI등재

        제주민요 창자 중심의 보전 방안

        좌혜경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7 No.-

        The ‘Jeju Folk So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ich possess the mental spirit of the Jeju people is an integral part in the fabric of the Jeju people’s lives. It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and is recognized as having the prestige in realizing Jeju’s authentic identity and culture restoration but is now facing extinction in the changing of the times. Most of the Jeju folk songs have been created naturally along with daily labors related to agricultural and fishing activities which were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Whether it be men or women, it is true that they both maintained their lives by attending to the labor intensive work but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women, they found comfort and solace in making these folk songs part of their labor work as an aspect of cultural enjoyment. The singer expressed personal sentiments in the fixed phrases which had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related to the actual function of singing. In addition to that, while the phrases were connected to labor, ceremonial rites and festivities, it still managed to demonstrate personal ability through musical talent and literature. Most of the items that have been officially designated by state and Jeju provincial government are women folk songs that have been sung by female singers and for other female related items, a separate measure should be sought out. The Jeju folk song needs to be rearranged in terms of each distinctive note and sound according to whether there are residents who can sing with talent with that region and special characteristics in mind. The formation of these festive fields and sound fields should be commonly shared with traditional folk festivals so that the identity of each village can be regained and ultimately have an important role and function in restoring the communal culture. By developing distinctive festivities of each village region, the younger generation should be exposed to the village festivals and Tamra culture festivals so that they may be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s. To ensure the passing of the folk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 preservation of its pristine condition,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education system. As part of the plan to establish the foundation and securement of students of such schools, the training facilities need to be activated exclusively for the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 of all folk songs. In addition to that, for the maintaining of a systematic training program, we would need to set up an educational institute so that regular programs can be administered for the raising of professionals who would carry on such traditions. 제주도민의 정신적 가치가 담긴 ‘제주민요’ 무형문화유산은 제주민의 삶의 일부이며 공동체 문화 복원과 제주의 정체성 구현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시대 변화로 소멸의 위기에 처했다. 제주민요는 제주민의 생업이라 할 수 있는 농․어업 등의 노동과 함께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난 것들이 대부분이다. 여성이든 남성이든 노동으로 생계를 이끌어갔지만, 특히 여성들은 삶을 위한 생활의 문화로서 민요를 삶의 일부로 삼았다. 창자(唱者)는 노래 기능과 관련하여 전승되는 고정구에 개인적 정서를 표현하고 더구나 노동․의례․유희의 기능과 관련하면서도 음악성, 문서 엮음 등 개인적 능력이 발휘되고 있다. 제주민요와 관련하여 국가와 도 지정으로 정해진 종목인 경우 대부분이 여성창자들이 부른 민요이다. 이를 중심으로 타 종목도 포함하여 종목 통합으로 전승범위를 확대하고, 유형 계열별 복수 종목을 통합하여 무형유산 체제로 그 지정 범주를 확대할 수 있다. 특히 지역의 특성과 가창능력이 뛰어난 지역주민 유무에 따라 마을 단위별 소리판을 재구성 할 필요가 있는데, 연희판과 소리판의 형성은 마을 민속연희와 공유되면서 마을의 정체성을 찾고 공동체 문화를 회복 하는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할 것이다. 마을별로 지역성이 강한 연희를 개발하여 마을축제나 탐라문화제 등에 청소년들을 지속적으로 참여시키면서 민요 전승에 세대 간 연결이 되도록 한다. 민요 무형문화재의 후세 전승을 위해서 전수교육을 강화하고 전수장학생 확보 및 전승기반 구축을 위한 수단으로 민요의 전승보존을 위한 전수 교육관 활성화가 필요하다. 또 제도권의 대학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 (가칭)민속예능교육원’과 같은 평생 교육기관을 설립하고, 정규 교육 프로그램 운영으로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가 과정 신설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편찬 『濟州島俚謠』의 민요 수록 양상과 『濟州島の民謠』와의 비교 검토

        이승준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2 No.-

        This study compares Aspects of 『Jejudo-riyo(濟州島俚謠)』’s Folk Songs by Takahashi-Doru(高橋亨) with 『Folk Songs of Jejudo(濟州島 の民謠)』. This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Jejudo-riyo』 compiled through the Jejudo Folk Songs survey in 1929. 『Jejudo-riyo』 is all 16 pages. And 11 Jejudo Folk Songs are included. Folk songs and classifications of 『Jejudo-riyo』 influenced 『Folk Songs of Jejudo』, a compilation of research on folk songs of Takahashi-Doru. Therefore, comparing it with 『Folk Songs of Jejudo』 is an understandable standard for his research on Jejudo folk songs. He basically understood Jejudo folk songs as women's songs. This perspective had a influence on 『Jejudo-riyo』's folk songs being published in 『Folk Songs of Jejudo』. In the process, folk songs that were only included in 『Jejudo-riyo』 included.. This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source of Jejudo folk songs. 본고의 목적은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1877~1967) 편찬 『濟州島俚謠』의 민요 수록양상과 구성 체계를 검토하는 것이다. 아울러 『濟州島の民謠』와의 비교를 토대로 민요집으로서 『濟州島俚謠』의 위상을 점검하고자 한다. 일제 식민지 일본인 학자 다카하시 도루에 의해 편찬된 『濟州島俚謠』에는 1929년 제주도 민요 현지 조사를 통해 채록한 민요가 수록되어 있다. 『 濟州島俚謠』는 동경대학교 오구라문고에 소장된 민요집으로서 현재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에서 온라인 서비스 중이다. 총 1책 16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제주 민요 11편이 확인된다. 민요는 한글과 일본어를 병기하되, 한글 표기는 민요를 최대한 전사한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한글 표기에는 쉼표와 맞춤표가 확인되는데, 이는 사설의 의미 단위와 음보 단위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어 표기는 민요의 의미를 최대한 밝혀 적었으며 의역한 사례도 상당수 확인된다. 『濟州島俚謠』에 수록된 제명은 전승된 것이 아니라 작품 분류를 염두 하여 편찬자가 작명한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시론적 분류 체계도 확인된다. 『濟州島俚謠』의 수록 민요와 분류 체계는 훗날 다카하시 도루의 민요 연구를 집대성한 『濟州島の民謠』 편찬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濟州島の民謠』와의 비교 작업은 다카하시도루의 제주 민요 연구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는 기본적으로 제주 민요를 여성의 노래로 이해하였는데, 이는 『濟州島俚謠』 소재 민요의 『濟州島の民謠』 수록 방향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 과정에서 『濟州島の民謠』를 편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濟州島俚謠』에만 수록된 민요가 확인되는바, 제주 민요의 각편 자료로서도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