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 1학년생의 인터넷 역사 텍스트 읽기 양상

        박은지(Park Eunji),박현숙(Park Hyunsook)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39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역사 텍스트 읽기 양상을 질적 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의 역사교육적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터넷 역사 텍스트 읽기 활동에는 연구 참여 이전에 형성된 선행지식이 작용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원하는 정보의 형태와 내용에 따라 인터넷 역사 텍스트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중ㆍ고등학교 교육에서 인터넷 환경 지식과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 역사 텍스트에 대한 경험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인터넷 역사 텍스트의 정보를 분절적으로 인식하고 구체적인 검색목표에 맞추어 인터넷 공간의 파편화된 지식을 탐색하였다. 이는 정보의 출처를 중요하게 여기는 역사학 연구와는 상반된 것으로, 독자 개인의 목표에 따라 재구성·재생산이 자유로운 인터넷 역사 텍스트의 특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읽기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인터넷 역사 텍스트의 신뢰도를 ‘대중성’을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인터넷 공간의 특징을 고려하여 대중성을 기준으로 텍스트를 선정하는 것은 합리적이지만, 알고리즘이나 가짜 뉴스 등에 쉽게 휩쓸릴 수 있음을 알고 경계해야 한다. 넷째, 사료 비판의 한 방법인 내용의 교차 검토는 인터넷 공간에서 텍스트들의 내용을 서로 비교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들을 활용하는 방식, 복합적인 감각 자극의 교차를 통해 텍스트 자체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방식 등 다양한 양상으로 구현되었다. 인터넷이라는 달라진 환경에서 전통적인 사료 비판의 방법이 더 역동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근 역사교육 학계에서 인터넷 텍스트 읽기와 정보 처리 방식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만큼,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 인터넷 역사 텍스트를 활용한 다양한 역사교육의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ior knowledge (or experiences) formed before participating in research influenced the students way of reading the Internet historical texts. Depending on the course of information acquisition, how he/she understood the controversy over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South Korea (subtopic of this study) was different. The prior knowledge of the Internet environment was also modified by experience in acquiring useful information. Therefore, students must be exposed to diverse search engines and various types of Internet historical texts in order for them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and eventually meet their goals.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ived the information in Internet historical texts in fragments. They then set specific goals for a search and conducted a goal-oriented search to achieve that goal. Although each participant was different in detail, there was a tendency of selecting search terms based on specific and clear goals and choosing texts based on their helpfulness to achieve one s goal. Moreover, as soon as the participants decided the text is unhelpful in achieving the goal of the search, they stopped reading and chose different texts. These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the traditional historical research method, which considers checking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ource as the first step, is not very important in Internet space. This is why it has become important to come up with new ways to ensure reliability. Third, the participants determined the reliability of Internet historical texts based on popularity. The popularity factors are not only the number of views and comments on YouTube videos but also the degree of fame of the press and collective intelligent media (e.g., Wikipedia). However, reliability built up in this way is unconsciously affected by the personalized algorithm system or the predetermined search goals with having the restructuring stage of information in mind. When reading the Internet historical texts, we should always be cautious that even though popularity may be reasonable evidence for reliability there is also a risk of falling into false information (i.e., fake news). Fourth, the cross-checking of the text content (historical source criticism method) was performed in diverse ways in the Internet environment. Each participant tried various approaches: comparing the contents of texts between different Internet historical sources, looking up unfamiliar content and reviewing it, searching for various types of texts for different purposes, and judging the reliability of the Internet historical text itself through the intersection of complex sensory stimuli. In this new text-reading environment that has been changed due to the Internet or more broadly the digital medium, the conventional method of historical source criticism can be implemented more dynamically.

      • KCI등재

        성매매 운영 대중화에 따른 개별화, 후기 게시판 시스템에 대한 연구: 인터넷 연계형 성매매를 중심으로

        민가영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9 여성학논집 Vol.36 No.1

        This research examines changes of way of exploitating prostitutes in sex industry connected with internet. First aspect of internet connected sex industry is to minimize relationship between prostitutes and traders. 'Opibang' prostitution has found its competitiveness in girlfriend experience so that opibang prostitution try to pretend to be girlfriend's house. Buyers of sexual services contact with traders through online without direct contact with prostitutes so that they go to opibang as if they go to their girlfriend's house. Unlike past prostitution characterized with group or family, this new kind of sex industry is characterized with individualized prostitutes from other peer prostitutes. New sex industry based on internet shows a way of exploitation through isolation of prostitutes. Traders of sex industry prevent prostitutes from contacting directly with buyers of sexual services so that they could easily gain knowledge and information around prostitution and foundation through which they could exploit them with rationality. The second aspect of exploitation in prostitution based on internet is a new power relation between buyer of sexual service and prostitutes. Buyers of sexual service could write their comments of sexual service in online board. Traders could press on prostitutes with buyers' comments on her sexual service and this causes traders to exploitate prostitutes effectively.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인터넷 연계형 성매매 안에서 성매매 종사 여성에 대한 통제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관해 검토하려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인터넷 성매매 유형은 오프라인에 사업장을 둔 채 웹사이트를 통해 성매매를 조장하거나 중개하는 인터넷 연계형 성매매인 오피방 성매매이다. 인터넷을 통해 업주와 성구매자가 직접 접촉을 하는 오피방 성매매에서 나타나는 첫 번째 특징은 성판매 여성과 다른 성판매 여성 간의 접촉, 그리고 업주 측과 성판매 여성 간의 접촉이 최소화 되고 있는 현상이다. ‘집단’의 성격을 가졌던 기존 성매매 시스템과는 달리 신종 성매매에서 성판매 여성은 ‘개별화’와 ‘고립’된 방식으로 통제된다. 업주 측은 오픈된 공간에서 성판매 여성들과 성구매자가 직접 대면할 수 있는 절차를 생략해 버리고 성매매가 이루어지는 제반 과정에 대한 지식과 정보로부터 성판매 여성들을 고립시킴으로써 성판매 여성들에 대한 본인들의 착취가 보다 ‘합리적’으로 보일 수 있게 속일 수 있는 토대를 가지게 되었다. 인터넷 연계형 성매매에서 등장하는 두 번째 착취의 특징은 성구매자를 위한 온라인상의 후기 게시판 운영과 이로 인한 새로운 성구매자 권력의 부상을 꼽을 수 있다. 성매매 업소는 성구매자들의 인터넷 성매매 유입을 조장하기 위한 후기 게시판을 운영함으로써 성구매자의 권력을 키워주었고 이는 성판매 여성에 대한 압박과 통제를 정당화할 수 있는 기반이 되고 있다.

      • KCI등재

        무속 대중화의 방향과 무속 연구의 방향 찾기

        홍태한(Hong, Teahan) 한국무속학회 2016 한국무속학 Vol.0 No.33

        이 글은 무속 대중화의 방향을 살펴보고 앞으로 무속을 어떻게 연구해야 할 것인가를 살펴본 글이다. 먼저 글쓴이는 무속 대중화를 논하기 전에 ‘무속 대중화’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살폈다. 이미 무속의 대중화가 상당히 이루어져 있음을 고려하면, 무속 대중화를 논하기 위해서는 대중화를 논하는 목적과 방향성이 분명히 정립되어야 한다. 그리고 재가집(신도), 인터넷 홈페이지 활용, 대중 매체의 활용, 무당굿의 무대 공연 양상 등을 중심으로 대중화가 이미 이루어져 있음을 제시했다. 굿판에 오는 재가집의 특성을 정리하여 보면 특정한 사람들만이 찾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쉽게 찾는 굿판이 되었다. 여기에 인터넷 홈페이지나 대중 매체를 통해 무속이 이미 널리 퍼져있음을 제시했다. 아울러 무당굿이 여러 차례 무대 위에서 공연예술로 올려지면서 무당굿에 대한 저변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무당굿의 대중화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무속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아야 한다. 그리고 대중화 연구의 방향을 미리 정하지 말고, 무속 현실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의 방향을 정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무속 연구의 관점을 전환할 때가 되었다. 현재 굿판에서 중심이 되는 이들은 무당이 아니라 재가집이다. 따라서 재가집의 욕구와 의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해야 한다. 그래야 무속이 우리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가지고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필 수 있고, 이것이 대중화 연구의 방향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direction of popularizing shamanism and examined how shamanism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Before discussing popularization of shamanism, the author reviewed the perspectives of viewing ‘the popularization of shamanism’. Considering that the popularization of shamanism has already proceeded significantly, in order to discuss the popularization of shamanism, there should be clear goal and direction of discussing popularization. Focusing on jaegajip (shindo, the people who request a gut ceremony), the use of internet homepage, the use of mass media, and the aspect of stage performance of gut(exorcism) of shamans, this paper presented that popularization has already been achieved.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jaegajip who come to a gut ceremony, they are not limited to certain type of people but they can be anybody.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that shamanism is already widespread through internet homepages or the mass media. Also as gut of shamans is performed on stage many times, the ground for gut of shamans is expanding. So to examine the popularization of gut of shamans, the reality of shamanism should be viewed as it is. Then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its popularization should not be decided in advance, but should be decided based on the reality of shamanism. More than anything, it is time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shamanism research. Currently the focus of gut performance is not shamans but jaegajip. So the focus of research should be the desire and intention of jaegajip. Then it would be possible to see with what kind of significance shamanism can be accepted in our society and this will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on the popularization of shamanism.

      • KCI등재

        논문(論文) : 사자성어의 사회적 계도와 대중화에 관한 시론

        김일환 ( Il Hwan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8 漢文古典硏究 Vol.16 No.1

        한자문화의 독특한 산물인 사자성어는 대체적으로 중국과 한국의 고사를 통해 만들어진 것이 그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네 자의 구조로 이루어진 함축된 의미는 한자성어만이 갖는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대체로 사자성어는, 가나다순ㆍ주제별ㆍ유의성어ㆍ반의성어ㆍ중국과 한국ㆍ시대별ㆍ출전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런데 사자성어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은 흥미나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요소가 있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리 시급한 것은 아니다. 성어를 익히는 것은 고금을 통한 인간의 보편적 삶의 지혜를 체득하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는 난해하지 않으면서도 뜻이 깊은 교훈적ㆍ처세적ㆍ계몽적ㆍ상보적ㆍ화해적 의미를 담고 있는 성어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사자성어는 공동체적 사회의식을 계도하고 일상생활을 지혜롭게 영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당위성이 존재한다. 이미 중국정부는 20세기 중반 이래 수십 년간 국가적 목표를 시행하는 데 있어서 사자성어를 이용한 정치적 슬로건을 내세워 온 바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정책적 슬로건은 임시방편이나 임기응변식의 단기적ㆍ단발적ㆍ정략적 선전물에 불과한 경우가 많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것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은 무관심하거나 미온적일 수밖에 없었다는 한계점을 자체 내에 지니고 있다. 반복되는 이러한 현상은 일면으로는 시대정신의 실종ㆍ공황이며 우리 사회의 공동체의식과 공감대가 부재하다는 하나의 증거라고 볼 수도 있다. 특히 정부차원의 정책이 아닌 유관 기관이나 신문매체에서 사자성어를 선정할 경우에는 그 과정의 합리성이나 기준의 보편성이 요청된다. 일부의 지엽적이고 현학적인 사자성어에 대한 대중 일부의 반응에서는 중국의 경우와는 달리 신랄한 비판의식도 표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자, 한문의 대중화는 이미 시작되었다. 전통교육체제가 아닌 인터넷문화 체제에 의해 이미 시작된 것이다. 인터넷문화는 대중화의 산실이다. 한자성어에 대한 우리의 시각은 지식의 축적이 아닌 감성의 축제의 장으로 옮겨져야 할 때가 온 것으로 보인다. 사자성어의 활용과 일상화를 통해서 우리의 삶이 윤택해지고 지혜가 확대ㆍ실천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전통과 고전의 현대적 재창조일 것이다. The four-character idioms are the unique products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they were mostly come from the historical facts of China and Korea. These four-character idioms have implied meanings, which is their only strong point. They are classified by Korean ABC orders, topics, synonyms, antonyms, chronological orders, and sources etc. In modern societ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se four-character idioms because they are not difficult to understand, furthermore, they have instructive, conductive, enlightening, mutually compensating and compromising meanings. Four-character idioms are justified in that they should progress towards enlightening a communal consciousness and leading our lives wisely. Our country`s slogans were just temporary and politically advertised. Especially when organs concerned or mass media select the four-character idioms, they have to consider process rationality and the standard universals seriously. Popular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has already begun. It has done not by education by internet culture. Internet culture is the products of popularization. Now is the time when we have to change our viewpoints for Chinese character idioms from the field of stored knowledge to that of emotional festivals. Enlightenment and popularization of societies by using four-character idioms are not merely the intellectuals` duties. We should try to enrich our lives through four-character idioms. That`s the one way of recreating the classics.

      • KCI등재

        ‘음악하기’로서의 사이버 취향 공동체의 글쓰기

        조일동(Joe, Il Dong) 한국대중음악학회 2013 대중음악 Vol.- No.11

        이 글의 목적은 사이버 공동체에서 음악에 대해 글을 쓰고 읽는 행위의 의미를 ‘음악하기(musicking)’의 측면에서 다시 생각해보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에 인터넷에는 수많은 음악이 존재한다. 예술상인들은 음원 사이트의 순위등을 통해 대중음악 예술장(場, field) 안에서 특정 음악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고 인정받을 수 있도록 권력을 행사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언제나 예술장의 논리에 따라 음악을 선택하는 것은 아니다. 개중에는 예술상인이 권위를 가진 장의 변두리나 밖에 위치하는 음악을 선택하는 이들도 있다. 자신이 선택한 취향의 다름을 지지받고 싶어 하는 이들이 사이버 공간에서 조우하며 새로운 취향의 공동체가 만들어진다. 이곳에서 다른 음악 취향이나 태도를 밝히는 글을 쓰는 것은 개인의 음악적 취향을 드러내는 것뿐 아니라 글을 통해 자신의 음악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행위이기도 하다. 사이버 공간에서 흥미로운 것은 인터넷의 차고 넘치는 음악 관련 자료 중에서 자신의 취향, 태도, 성격과 부합하는 글을 찾는 행위에도 글을 쓰는 것 못지않은 능동성이 필요하다는 데 있다. 이러한 노력이 모여진 공간으로서의 사이버 취향 공동체는 다른 취향을 가진 타자로서의 자신을 인정받는 중요한 취향의 준거집단이 된다. 이곳에서 벌어지는 음악과 관련한 행위는 모두 특정한 음악을 듣고 말하는 관계의 조합 속에서 시작하여 확장, 진행된다. 사이버 공간에서 예술장 변두리의 음악을 찾아 이야기하는 행위는 음악을 직접 행하는 것 못지않은 능동적이고 사회적인 실천, 즉 ‘음악하기’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think the meanings of writing and reading about music within a cyber community as “musicking.” In the Digital Age, there exists a plethora of music on the Internet. Key players of mainstream music industry, such as record label executives, exercise their power to influence the music market for certain songs to gain wide recognition by the public. However, not everyone follows market trends in choosing their music. There are those who choose music that is characterized as on the periphery or outside of the mainstream music industry. Those who want support of their distinct taste in music encounter one another in cyber space and create a new community of taste. Here, the practices of writing about musical preferences and disposition reveal the writer’s taste in music and also serve as a medium through which the writer conceptualizes and articulates his musical identity. The most interesting aspect of a cyber space is that searching and reading about music that you like, among the many resources available online, requires as much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as writing. As such an online community of taste, a manifestation of such collective writing and reading, becomes a significant convoy of taste through which participants receive acknowledgment of their “other” tastes. All music related practices that unfold here emerge out of relationships constituted by listening to and talking about certain types of music. Therefore, the practice of finding and talking about music on the periphery of the mainstream music industry can be understood as a dynamic and engaging “musicking” that resembles performing music.

      • KCI등재

        인터넷과 매체-중국의 인터넷 문학에 관한 보고

        이보경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05 中國現代文學 Vol.0 No.33

        Writing media have an influence on the whole process of literary production and consumption. It has been changed from jiagu(甲骨), jinwen(金文), zhujian(竹簡) to paper in Chinese writing history. Now, according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Internet rises up as a new writing media. It was American-Chinese who lead up to the way of network literature. Since Chinese become to use internet in 1994, network literature has been increasing. Especially from 1998 to 1999, network literature was spread rapidly. Some of journalists and scholars described excitedly it as “the advent of the era of popularization in writing”, “the possibility of anti-utilitarian writing”, others mocked internet as “the mass-production place of beautiful women's writing.” However,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is too few to say “the advent of the era of popularization in writing”, and because of commercialization of writers and internet sites, literature is being actively involved with markets, and it is impossible for Chinese women to access to the internet owing to their limited education and economics. Yet, in the light of development in literary genre, “network literature” as a new term deserves our attention. Because the new term sometimes indicates the possible mode of future literature. However, in conclusion, it is plausible to assert that internet more augment the inequality of information and culture rather than dissolve it in China.

      • KCI등재

        인터넷 언어 문화 교육 내용으로서 디지털 서사의 개념,특성,유형에 관한 연구

        정현선 ( Hyeon Seon Jeong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본고는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소통 현상 가운데 문학이나 예술 혹은 대중문화의 소통과 관련된 심미적 성격의 텍스트들이 지닌 특성을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심미 텍스트들은 전통적인 문학의 장르 영역과 관련해 볼 때, 서정 영역보다는 주로 서사 영역에서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이를 ``디지털 서사``라는 범주를 설정하여 그 개념, 특성, 유형을 살펴보았다. 인터넷 소설과 팬픽은 인터넷 이용자들 간의 상호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매체의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게시판을 통해 주된 작가와 독자층인 청소년들 간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웹툰 역시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일반인들이 인터넷을 통해 일상을 다룬 일기 형식의 이야기를 만화의 시각적 표현과 더불어 독자들과 나누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에 대한 교육은 이야기를 생산하는 청소년들의 서사에 대한 욕구를 중심에 놓는 등 대중문화 교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하이퍼텍스트 서사는 인터넷이라는 상호작용적 매체의 특성을 살려 독자에게 이야기의 여러 지점에서 의미 있는 선택을 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결말을 체험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문학적 실험이라는 맥락에서 교육될 필요가 있다. 또한 게임 서사는 디지털 서사 가운데 가장 오락적 특성이 강한 유형으로, 현재로서는 문학성을 찾기가 어려우므로 과도한 기대나 평가절하보다는 당대 문화에 대한 감식안을 갖도록 교육하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discusses "aesthetic texts" on the Internet as the content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Most aesthetics texts found on the Internet are narratives. They are termed as "digital narratives" an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ext types are explored in this article. Internet novels and "Fanfics" are identified as a type of "exchange between Internet users" and are mostly romance novels. The writers and readers are teenagers and share their desire for romance and the concerns of young people through these novels. "Webtoons" are also identified as a type of "exchange between Internet users" and are produced by amateur writers. Most webtoons adopt the form of an essay or diary and present the daily lives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Internet novels, fanfics, and webtoons belong to popular culture, and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for students to reflect their own taste for popular stories and their desire for reading such texts. "Hypertext narratives" provide readers with various "linkages" that they can choose to follow. The readers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meaningful choices that could lead them to various kinds of ends. A hypertext narrative is a narrative experiment and should be taught for students to understand why literature experiments might be done in such a manner. Game narratives belong to the area of entertainment. They need to be taught for students to have their own perspective of contemporary culture.

      • KCI등재후보

        인터넷 개인방송 인기 채널 연구

        이영신,이재익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3

        본 논문은 인터넷 개인 방송 트위치 TV의 인기 채널 연구이다. 연구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내용은 콘텐츠, 장르, 접속자 수, 노출 빈도 등이며 이의 조사ㆍ분석을 통하여 향후의 인터넷 개인 방송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트위치 TV 플랫폼을 이용해 2019년 4월 12일 부터 5월 12일 까지 매주 금, 토, 일요일 오후 9시부터 오전 0시까지 PC와 스마트폰을 통하여 관찰과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째, 국내·외 트위치 TV 인기 채널의 대표적 인기 콘텐츠는 게임(League of Legends) 으로, 장르는 MOBA(aos)로 파악되었다. 둘 째, 관찰기간 진행된 e스포츠의 영향력은 국내·외 트위치 TV 인기 채널의 콘텐츠 및 시청자 수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된다. 셋 째, 연구기간과 표본 수, 관찰시점과 국내외 시청자의 시차적 문제 등은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후속 연구 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a study of popular channel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 Twitch TV.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its contents, genre, connection number, exposure frequency, and through its investigation and analyzation, use them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 and signpost follow-up research direction. This observation∙investigation analyzation research, by using Twitch TV platform, has conducted on every Friday, Saturday and Sunday on 21:00 to 00:00, from 12th April 2019 to 12th May 2019, by PC and smart phone and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representative popular contents of popular Twitch TV channels in South Korea and globally were found to be a game(League of Legends) which is MOBA(aos) genre. Second, the influence of e-sports over the observation period were found to be in affect on the contents and viewer numbers of popular channels in domestic and abroad. Third, improvement efforts are needed in follow-up studies, about the research period, number of samples, observating time and the issue of time difference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viewers are the limits of this research.

      • KCI등재후보

        인터넷 개인방송 인기 채널 연구 트위치 TV를 중심으로

        이영신(Lee, Young Shin),이재익(Lee, Jae Ik)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3

        본 논문은 인터넷 개인 방송 트위치 TV의 인기 채널 연구이다. 연구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내용 은 콘텐츠, 장르, 접속자 수, 노출 빈도 등이며 이의 조사ㆍ분석을 통하여 향후의 인터넷 개인 방송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트위치 TV 플랫폼을 이용해 2019년 4월 12일 부터 5월 12일 까지 매주 금, 토, 일요일 오후 9시부터 오전 0시까지 PC와 스마트폰 을 통하여 관찰과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째, 국내·외 트위치 TV 인기 채널의 대표적 인기 콘텐츠는 게임(League of Legends) 으로, 장르는 MOBA(aos)로 파악되었다. 둘 째, 관찰기간 진행된 e스포츠의 영향력은 국내·외 트위치 TV 인기 채널의 콘텐츠 및 시청자 수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된다. 셋 째, 연구기간과 표본 수, 관찰시점과 국내외 시청자의 시차적 문제 등은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후속 연구 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a study of popular channel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 Twitch TV.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its contents, genre, connection number, exposure frequency, and through its investigation and analyzation, use them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 and signpost follow-up research direction. This observation· investigation analyzation research, by using Twitch TV platform, has conducted on every Friday, Saturday and Sunday on 21:00 to 00:00, from 12th April 2019 to 12th May 2019, by PC and smart phone and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representative popular contents of popular Twitch TV channels in South Korea and globally were found to be a game(League of Legends) which is MOBA(aos) genre. Second, the influence of e-sports over the observation period were found to be in affect on the contents and viewer numbers of popular channels in domestic and abroad. Third, improvement efforts are needed in follow-up studies, about the research period, number of samples, observating time and the issue of time difference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viewers are the limits of this research.

      • KCI등재

        Afreeca TV의 인기 채널 특징 탐구

        한석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7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2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인터넷 방송 Afreeca TV에서 나타나는 인기 채널에 대하여 탐구한 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일반인이 장비를 통해 개인 방송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 하였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학 술적 논의가 태어나고 있다. 인터넷 방송은 기존의 미디어와는 다르게, 시청률의 개념은 존재하지 않으며. Afreeca TV 는 특정 공식을 이용하여 인기 채널을 집계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Afreeca TV에서 나타나는 인기 채널을 1) 성별 2) 프로필 사진 3) 장르 4) 애청자 5) 팬클럽 6) 서포터 7) 방송시간 8) 누적 시청자의 방식으로 구분하여, 어 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더 나아가, 인터넷 방송의 미래에 대해서 고찰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pular channels of Afreeca TV, which is the most famous Internet Broadcasting Service in South Korea currently. Due to the developments of technology, the era has come that ordinary people are able to do broadcasting individually with some equipment. Unlike traditional media, Internet Broadcasting does not have a concept of ratings, and Afreeca TV utilizes the specific formula for counting popular channel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opular channels on Afreeca TV by 1) Gender 2) Profile Photo 3) Genre 4) Enthusiast 5) Fanclub 6) Supporter 7) Amount of Airtime 8) Cumulative Audience, and then it reveals the traits of those popular channels. Then, it further discusses the future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