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미술의 일하는 여성 이미지에 대한 연구

        조은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6 여성학논집 Vol.23 No.2

        근대시기 남성작가들의 의해 그려진 일하는 모습의 여성은 대체로 가부장적 정체성을 드러낸다. 일제강점기의 식민경험은 여성을 억압하는 제도와 사회규범뿐 아니라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에 적지 않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 한국전쟁기 남성의 부재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하여 여성은 더욱 더 전통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내몰렸다. 이 시기의 미술에서 여성은 개인주의적 직업인이 아니라 가정의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으로서의 성스러운 임무를 잠시 대체하고 있는 모성으로 나타난다. 결국 한국 근대미술에서 여성의 직업 이미지는 전문적이며 실질적인 경제활동 인구로서의 모습이 아니라 남성적 시각에 의해 파악되는 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표현하는한 도구의 표상에 불과함을 확인하게 된다. The identity of patriarchy appears in the images of women in Koreanmodern art as seen by male artists. The experience of Korea as a Japanesecolony has deeply influenced the way women were viewed and portrayed in art,as well as in actual regulation and social norms that oppressed women. Duringthe Korean War, due to an absence from home of men to participate in thewar, the people strongly desired their women to take on a more traditional role. The paintings and sculpture during this time portrayed women as motherssubstituting temporarily in the divine role as head of family who wasresponsible for its liveli-hood, not as career women who tended to be tooindividualistic. In modern Korean art, images of career women prove that theyare nothing but a tool to understand their social status from the male viewpoint,not as professionals who are specialized and practical members actively involvedin the national economy.

      • KCI등재

        이화여자대학교 여성정보센터(가칭)설립 방안에 관한 연구

        김봉희,장필화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0 여성학논집 Vol.17 No.-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reliminary (pilot) study in hopes of establishing a Women's Information Center which will serve as a foundation far improving the academic standard of Women's Studies at Ewha Womans University.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coordinating and circulating information on women's issues and policymaking, as well as support academic events in Women's Studies. Furthermore, this center sh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tatus of women and as well as the women's studies programs in Korea. This Women's Information Center will work closely with the University Central Library and the Korean Women's Institute at Ewha Womans University. Its primary function will be to serve as a national information center far women by offering a variety of services. For achieving these goals, this center operate as a branch of the University Central Library, but also serve as a professional library for the Korean Women's Institute. Because this will be by far the moat efficient operation system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on women.

      • KCI등재

        필리핀 이주 기지촌 여성 ‘쥬시걸’의 민족지적 연구

        한정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2

        기지촌은 지금 필리핀 여성들이 과거의 ‘양공주’를 대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평택 주한미군 기지의 유흥업에 종사하는 외국 이주여성들의 이주의 동기와 과정 그리고 현지에서의 삶의 양식을 밝히는 민족지적 연구에 있다. 성매매 여성을 인신매매의 수동적 피해자로만 보는 시각으로부터 탈피해 한국으로의 이주 경험을 여성들의 주체적인 선택이나 삶의 전략의 하나로서 분석한다. 신자유주의 세계화 속에서 필리핀 농촌의 붕괴와 필리핀 정부의 해외 이주노동 장려 정책, 이들을 수입하는 한국 사회의 흡인 요인을 고려하면 필리핀 여성의 한국 기지촌으로의 유입은 여성의 성을 매개로 제도화된 해외이주노동에 의해 조장된다. 구조적 조건과 함께 이주과정에서의 여성의 선택의 과정을 분석하고 쥬시걸로서의 일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착취적 요소와 이에 대응하는 여성의 전략을 살펴본다. 기지촌 필리핀 여성 이주자들은 본국에 송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노동자로서 독립적이기도 하고 의존적이기도, 기략이 풍부하기도 하고 착취당하기도 한다. 이들은 세계화의 경제 관계의 망에 갇힌, 그러나 로컬 차원의 행위자들이다. 일의 체계는 고용주가 이들을 최대로 활용하여 최대의 이득을 목적으로 하는 데서 비롯된 주스 할당량과 바 파인(bar fine)의 구조로 짜여진다. 이에 따라 계약 임금노동자로서 지급해야 하는 월급보다 성과급(주스 할당/바 파인)의 비중이 훨씬 높고, 이 부분에 계약서상에 없는 벌금이나 외출 금지의 벌칙이 적용된다. 기지촌 성산업에 유입된 필리핀 여성은 형식적으로는 외국인 계약 노동자이다. 그러나 이들이 계약을 하고 한국에 와서 일하는 모든 과정을 관철하는 하나의 본질(epiphany)은 ‘비(非)법, 편법, 합법으로 위장, 법망을 피하기’이다. 이들이 정부의 허가를 받은 외국인노동자로서 수입됐다면 입국 과정에서의 중개자 역할과 고용 과정에서의 벌금제 등 불합리한 고용 행위를 노동권에 입각해 논의하고 시정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Filipina entertainers at a military camp-town in Korea. It includes motivations, immigration processes, and their work in the clubs. With the ‘feminization of survival’ of the current globalization, the camp-town women have been replaced by foreign migrant women, especially from the Philippines. These women have been usually viewed as trafficked people, victims of forced sex slavery, a view that fails to recognize them as autonomous subjects. In analyzing their migration processes and lives in the clubs, I look at them not as passive agents, but rather as active ones. I have examined various structural causes as the defining factors in the Philippine women’s choices.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Philippines as a debtor country, along with the Philippines policy for enhancing work abroad, have led to this migration as a way of earning foreign currency. Contributing to this movement of women are the lax regulations of broker business, the efforts of the Korean camp town’s club businessmen to import foreign sex workers, a lax process of issuing entertainment visas, and lax regulations over military prostitution as a result of US-Korea relations. The women migrated to Korea to support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back in the Philippines. Their considerations of intermarriage migration to Korea were also examined. However, their urgent financial needs have led them to reject patriarchal type marriages to Korean men. Before migration, they have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heir general work possibilities, but the extent and quality of this information seem to determin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migrate. Within the club they are struggling to expand their levels of bargaining power vis-à-vis their employers over required juice purchases and bar fines. Overall, Filipina camp-town women appear to be relieved that they are fortunate enough to migrate to Korea for higher incomes. They are independent, capable of sending money to their families, but are also dependent on labor processes which they sometimes circumvent.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exploitation, listening to their own voices should be the first step. To prevent abusive behaviors by brokers and club owners, there should be a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over labor standards, such as regular days off, lifting of the penalty system and curfews.

      • KCI등재

        1990년대 남성 주도적 한국시장에서의 글로벌 여성담배 광고의 변형

        임인숙(In-Sook Lim),김보미(Bo-Mi Kim)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1 여성학논집 Vol.28 No.1

        이 연구는 1988년 강압적으로 한국시장을 개방했던 초국적 담배기업들의 여성시장 확장전략이 갖는 특성을 분석한다. PM사와 BAT사의 대표적인 글로벌 여성담배인 ‘버지니아 슬림’과 ‘휘네스’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이 자국과 세계시장에서 사용해온 전형적인 광고전략이 한국 상황에서 수정, 폐기되었을 가능성을 탐색한다. ‘버지니아 슬림’은 한국시장에 진입한 후 3년 만에 여성담배로서의 브랜드 정체성을 포기함으로써 1990년대 외산담배시장 점유율 2위를 고수하는 성공을 거두었다. 반면, 전형적인 광고라인을 10여 년 동안 유지했던 ‘휘네스’는 여성담배로서 인지도는 가장 높았지만 시장점유율은 버지니아 슬림보다 훨씬 뒤쳐졌다. 1990년대 여전했던 한국 담배시장의 남성 주도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담배광고와 판촉에 대한 전면 규제조치는 초국적 담배회사들이 한국여성 소비자를 확보하는데 ‘이중 장애물’로 작용했을 것이다. 그러나 담배광고 규제를 우회하는 간접광고와 판촉 행위들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진 사실은 글로벌 여성담배의 광고전략 변화가 한국여성 소비자 공략에 대한 포기라기보다는 남녀공용 담배로의 전환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부드럽고 순한 맛의 여성담배 특성이 성별 이미지보다는 건강 이미지와 결합되는 한, 한국여성들의 감성과 욕망에 호소하는 광고가 부재하더라도 건강한 담배를 자처하는 광고들이 한국여성들에게 호소력을 가질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national cigarette companies’ strategies to expand the female market in Korea after the market opening of 1988. Focusing on ‘Virginia Slims’ and ‘Finesse’, which are the PM and BAT’s representative female brands,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ir typical advertising strategies were transformed in Korean market. After 3years from the market opening, ‘Virginia Slims’ gave up its brand identity and the strategy was so successful that ‘Virginia Slims’ continued to be 2nd best-selling brand in the imported cigarette market in Korea. In contrast, ‘Finesse’ maintained a typical women’s cigarette image during the 1990s and consequently occupied the highest brand awareness as a female cigarette but lower market share than Virginia Slims. TTCs adapted to a doubly obstructed Korea market with its strong taboo against female smoking and a comparatively stronger legal ban on all cigarette ads targeting women. However, diverse indirect cigarette ads and promotions, which circumvented regulations, suggest that ads transforming was not to give up Korean female customers. Furthermore, the cigarette ads that the soft and mild taste of female brands are associated with healthy image rather than gendered image may appeal to Korean women without touching their emotions and desires.

      • KCI등재

        한국사회학에서의 여성연구 : 통합(integration)과 분리(segregation)의 이중전략

        Jae Kyung Lee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4 여성학논집 Vol.31 No.2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학에서 여성연구의 특성과 한계를 분석하고, 향후 여성(또는 페미니스트)사회학의 발전을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과제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학회 기관 학술지인 『한국사회학』과 한국여성학회 기관학술지인 『한국여성학』을 주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1980년대 이후 여성사회학 연구는 여성노동에 대한 관심증가, 여성학의 제도화, 여성운동의 확대, 여성 연구자 증가 추세를 배경으로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발전해 왔다. 우선 주류 사회학에서의 여성연구는, 1960-1970년대는 여성부재의 사회학, 1980-1990년대는 여성연구의 양적 성장이라는 특징을 보였다. 2000년대부터 여성사회학 연구는 양적 증가뿐 아니라 연구 주제 및 영역의 확장이라는 질적 성장을 이루어왔으며, 이러한 경향은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한편 1984년에 한국여성학회가 설립된 이후 페미니스트 사회학연구가 등장하면서 주류 사회학에서 분석되지 않았던 주제 및 개념을 분석하면서, 사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던 쟁점을 학문적 주제로 이끌어냈다. 방법론적으로도 심층 면접, 구술사 등 다양한 질적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양적 분석에서 간과되어 왔던 여성경험의 의미를 해석해 왔다. 그러나 사회학 내에서 여성연구는 젠더 정체화와 젠더 양극화로 인해 젠더 위계와 불평등이 (재)생산되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사회학에서 여성연구가 확장되고 사회학 지식생산에 개입하기 위해서는, 주류 사회학에서 여성연구의 확대와 주류 사회학과 거리를 둔 페미니스트 사회학 발전이라는 두 가지 전략, 즉 통합과 분리 전략을 넘어서 사회학에 대한 페미니즘의 보다 적극적 개입이 요구된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feminist sociology by analyz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For this, it collects and analyzes data from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and the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Given the context of increased interests on the issue of female labour,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studies, galvanizing of women’s movements, and a large increase of female scholars, 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 developed in two directions since 1980s: first, feminist studies in the mainstream sociology rarely focused on gender issues in the 1960s and 1970s, but quantitative growth and development was achieved in the 1980s and 1990s; second, 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 develop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erms of issues and concerns since 2000. On the other han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in 1984, feminist sociology studies have carved out a vibrant new field of inquiry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private and trivial issue within the mainstream sociology. Methodologically, they have developed diverse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and women’s oral histories, which allow reinterpreting and reconstructing women’s experiences and memories that have been expressly denied and excluded.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however, have faced some limitations caused by gender polarization and gender identification.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paper sets an agenda for expanding feminist studies in Korean sociology and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in sociology. This goal can be achieved by two strategies, which may require strengthening feminist studies and developing feminist sociology by going beyond integration and segregation.

      • KCI등재후보

        일제 말기 한국광복군 여성대원들의 활동 양상

        윤정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6 여성학논집 Vol.23 No.1

        본 논문은 일제 말기 한국광복군 여성대원들에 대해 조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같다. 광복군에 입대한 여성들은 독립운동가 집안의 여성 독립운동가와 결혼해서 광복군이 된 여성 국내에서 민족운동에 투신하다 일경을 피해 망명을 한 여성 기생 출신의 여성등으로 다양한 계층의 여성들이었다 이들의 입대동기는 여성들의 권리 신장, 일본군에 의한 가족의 사망, 독립운동가의 권유 등이었다. 활동내용을 살펴보면 여성대원들은 남성들과 똑같이 초모활동 교육과 훈련 선전활동한미군사 합작과 전략첩보활동 국내진입작전과 정진대 활동 등에 참가하면서 세탁 재봉구호대 등의 일도 수행하였다. 여성대원들은 남성대원들에 비해 더 많은 역할을 수행하였는데 이는 광복군에서도 여성들이 성역할 이데올로기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Korean Women’s Independence Army. It notesthat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women who joined the Korean IndependenceArmy was diverse. Many of them were the family members or wives of theparticipant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women who went into exileaway from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police and those who worked once ina Kisaeng house. The women enlisted in the Army with various motivations. Some thoughtof the enlistment as a way to enhance women’s rights, while others were drawnto the Army with the death of the family members by the Japanese. Among themOh Kwang-Sim and Ji Bock-Young were relatively in high ranks in the Army. They exclaimed “Who can deprive us of the equal rights if we boast toshow men’s capacity and character and if we work and bleed like men for themother country?” and participated actively in the services in the front and therear as male members did. The women who joined hands with men managed to finish militarytraining and exercises, participated in the propaganda campaigns and recruitmentactivities, and shared in strategical secret services for the Korean-American jointmilitary work. However, the women members of the Army could not escape from thestereotyped role of women at the time because they were given extra work thatwomen were supposed to do, such as sewing, laundering and nursing activities.

      • KCI등재

        여성주의 윤리 시각에서 본 여성의 모성

        강혜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2

        이 연구는 기존의 모성(motherhood) 이데올로기나 모성적 신화 등 구성된(제도화된) 모성 논의와 다른 차원에서 여성의 몸의 경험으로서의 모성 실천이 가진 함의를 추론하는 것(reasoning)을 목표로 한다. 즉 여성 몸의 생물학적 경험인 모성이 본질주의(essentialism)로 비판됨에도 불구하고 모성 경험의 자질들은 여성성(femininity)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모성의 사회성을 배태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여성과 남성의 서로 다른 도덕성에 주목하는 여성주의 윤리(Feminist Ethic)의 시각에서 여성들의 도덕성이 관계의 원리에 근거한 돌봄의 윤리(ethic of care)와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지금까지 여성성은 젠더적 차원에서 여성적 특성으로 간주되어 사회적으로 평가절하되어 왔으며 더욱이 페미니스트들 내부에서도 여성주의 전략으로 고려되지 못했다. 이 글에서 여성성에 대한 비판적 재고와 모성의 사회성 추론은 근대의 남성중심주의적 질서 비판과 남녀의 동등함 및 새로운 사회질서의 수립을 위한 재해석의 동기를 부여하는 지점으로 제시된다. 여성 경험으로서 모성에 대한 여성주의 전략은 모성적 실천의 잠재적 가능성을 관계적 자아로서의 모-자녀의 관계성(mother-children relationship)을 사회 정치적 차원에서 사회적 연대를 위한 기반으로 확장할 것을 주장한다. 이는 트론토(Tronto)가 주장한 것처럼 여성의 모성적 실천이 갖는 여성의 도덕성(women's morality) 논의가 이제 돌봄의 윤리(care ethic)로 이동해야 하며, 이러한 여성의 도덕성 전략은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제도에서의 정치 의제화 하는 것이다. This research purports to carry out a reasoning that reveals the implications of the practice of motherhood as women' bodily experience. Although motherhood, which is a biological experience of a woman's body, is criticized by essentialism, the social dimension of motherhood can be revealed by a new interpretation of femininity. Up to now, femininity has been socially underestimated from the gender perspective that considers it as a feminine characteristic. Moreover, feminists have not espoused femininity for feminist strategy. In this paper, a critical reconsideration of femininity and the reasoning on the social dimension of motherhood provide the motivation for reinterpretation to criticize the mencentered order of the modern era, restore gender equality, and establish a new social order. The feminist strategy that centers on motherhood as women's experience argues that the potentials of motherhood practice and the relational women's identity rooted in mother-children relationship can be expanded into the foundation for a social alliance at the socio-political dimension.

      • KCI등재

        근대 기독교선교 출판문화의 맥락에서 살펴본 여성의 글쓰기와 연대

        이고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20 여성학논집 Vol.37 No.2

        19세기 말, 수백 년 동안 가정 내부로 활동 영역이 제한되었던 한국 여성들은 어떤 과정을 통해 공적 영역으로 진출하게 되었을까? 기존 연구에서 근대 계몽기 한국에서 페미니스트 의식이 발생하게 된 계기와 장을 여성 교육과 기독교계 여학교를 중심으로 설명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여성들이 근대 기독교 출판문화를 통해 “글쓰기”라는 행위로 공적 영역 진출과 여성의 연대 형성이라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는 과정을 고찰한다. 특히 미국 여성 선교사와 전도부인, 배운 여성의 연대를 주목하며, 당시 여성들의 인식 변화와 영역 확장 과정을 고찰한다. 먼저 조선조 여성의 글쓰기가 어떠했는지 간략히 서술한 뒤, 개화기 개신교계에 의해 근대식 출판문화와 인프라가 도입되면서 ‘여성의 대중적 글쓰기’가 실현되는 여건이 마련된 배경을 설명한다. 당시 미국 여선교사들은 전도문서와 교양서적을 번역·저술하는 한편 한국 여성을 교육하여 문해력을 증가시키고, 사역의 기회를 제공했다. 전도부인은 여선교사를 통해 문해력을 습득하는 한편, 자신의 인맥을 활용해 여선교사와 한국 여성을 연결했다. 그 결과 전도부인은 다른 여성을 교육하는 기회를 얻었고, 서적을 유통하며 여성 독자를 양성하는 등 여성의 활동 영역을 확장하는데 공헌했다. 이들의 노력으로 얻어진 배운 여성들은 여학교뿐 아니라 교회 공동체에서 조직 활동에 참여하거나 후원자가 되었으며, 성경과 잡지, 신문 등의 독자로서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며 전국 여성들의 연대를 형성하는 데 일조했다. 동시에 이들이 마주해야 했던 한계를 지적하여 이들의 연대가 제한될 수밖에 없었던 양상을 짚어본다. In the late 19th century Korea, how did Korean women reach out to the public domain, breaking from the long secluded women’s sphere? While many previous studies attributed to girls’ education from mission schools in explaining the change, this paper suggests that such a transformation could have been possible because of women’s writing, a behavior that had long been discouraged in Korea but gradually popularized after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 modern printing culture. Particularly, it will call for attention to the solidarity formed among the American women missionaries, Korean Bible women and the learned women educated by the two groups, which transformed women’s social awareness and expanded their domain to the public, such as writing for newspaper opinions. I first provide a brief overview of women’s writ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and then move on to explain the context, the introduction of modern printing culture in Korea focusing on the Protestant missionaries’ modern printing presses and distribution of books for the public, regardless of social classes, age and gender. At the center of this were women missionaries, who exemplified the possibility of women’s writing for the public by translating and writing evangelical books. Besides, they aided Korean women by providing education and job opportunities. In this way, Korean Bible women gained literacy and mediated women missionaries and other Korean women, utilizing their personal network. They also nurtured other women to become readers by teaching them how to read and distributing books for them. Under their leadership, the learned women became active participants of church communities and formed their identity as a social member of the country while reading the Bible, newspapers and periodicals. Meanwhile, there were institutional and social boundaries in those days that limited these women’s solidarity.

      • KCI등재

        전지구적 여성주의와 초국가적 여성주의들

        허민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1

        이 글은 전지구적 여성주의(global feminism)와 초국가적 여성주의들(transnationalfeminisms)을 전지구적인 여성에 대한 폭력추방운동과 여성인권개념의 등장과 확산에 초점을 두어 개념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진행형으로 논의 중인 이 두 여성주의의 영역을 가시화하는데 있어, “여성간 차이 다루기”(dealing with differences among women)를 핵심 개념으로 활용한다. 전지구적 여성주의가 여성간의 차이를 가로지르는 공통성을 추구함으로써 전지구적 네트워크, 연대, 연합을 이루고자 하는 여성주의자들의 노력이라면, 초국가적 여성주의들은 계급, 인종, 성적 지향, 그리고 국가와 관련한 여성간의 차이들을 신중하게 고려함으로써 전지구적 여성주의의 보편적이고도 제국주의적인 일면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려는 이론적 논의들이다. 한국 여성폭력추방운동의 전개는 바로 이러한 전지구적 여성주의와 초국가적 여성주의들의 논의와 맞닿아 있다. 현 가정폭력방지법의 실행과 집행의 보수화, 아내구타 문제의 비범죄화 경향은 바로 그 법제정을 이뤄냈던 운동당시의 맥락, 그 맥락을 활용한 여성운동의 전략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한국여성폭력추방운동의 역사적 전개는 초국가적 여성주의들의 이론적 논의들로부터 평가받을 수 있다. 그러는 동시에, 전지구적 여성주의가 추구하는 보편가치는 우리 문화적 맥락의 한계를 극복하고 여성폭력개념을 정립하는 중요한 정치적 전략이자 목표가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여성폭력추방운동은 전지구적으로 그리고 초국가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그 역사적 진행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conceptualize the notion of global feminism and transnational feminisms by exclusively focusing on the ways in which the issue of "differences among women" has been dealt with within those two on-going feminist thoughts and practices across borders. Identifying global feminism as a feminist attempt to find common ground, despite complicated differences among women,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issue of violence against women has emerged as a common global problem. It also articulates the ways in which a women's human rights discourse has been developed to resist violations of women's rights committed in the name of respecting cultural differences. The UN conferences on women provided a space for discussing women's shared problems and forging feminist alliances across the world. While global feminism is accused of constructing a general causality in order to establish a united, global political force, transnational feminisms attempt to explore possibilities or impossibilities for feminist coalitions across differences. In this sense, the term "transnational feminisms" refers to theoretical dimensions of feminist coalition building around the globe. Although transnational feminisms share with global feminism an emphasis on coalition building, they reject both the universalizing tendency of formulating agendas and oppositional binaries that pervade global feminist projects. Transnational feminisms seek to theorize differences rather than leave behind or celebrate differences. Based on their postcolonial critique, therefore, transnational feminisms attempt to elaborate feminist theories and practical ideas by criticizing and contradicting the universal and imperialist tendencies of global feminism. By briefly presenting an empirical case study of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in the South Korean setting, this article addresses the gap in knowledge surrounding the promotion of a universal human rights language as well as locally situated feminist activities, frameworks and decision making. In order to challenge cultural bias and prejudice, which decriminalize wife beating in the name of protecting family values, this article affirms the necessary for Korean feminist activists to employ women's human rights discourse in terms of global justice. O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shows that the contemporary obstacles that the Korean anti-domestic violence movement confronts, in spite of considerable legal reforms, are closely relevant to socio-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s upon which the movement relied and in which the issue of wife beating was constructed as a public one. In this vein, it concludes that the locally-situated Korean women's movement against violence against women can be discussed within global/transnational feminist discourses and practices as it also makes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o the growing field of feminist studies.

      • KCI등재후보

        1970년대 신문연재소설의 여성 인물과 ‘연애’양상 연구 : 별들의 고향, 겨울여자를 중심으로

        곽승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6 여성학논집 Vol.23 No.2

        본 연구는 1970년대 신문연재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분석을 바탕으로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과 조해일의 '겨울여자'에서 연애가 어떠한 방식으로 형상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별들의 고향'에서 경아는 사물화 된 여성으로, '겨울여자'에서 이화는 육체화 된 여성으로 형상화된다. '별들의 고향'에서 연애는 남성 인물의 도취적 연애로, '겨울여자'에서의 연애는 사제관계적 연애로 드러난다. 이러한 연애 구조에서 관계를 이끌어가는 것은 철저히 남성 인물에 의해 이루어지며 주체로서의 여성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이러한 기형적 연애관계 속에서 주인공이 되지 못한 여성 인물들은 이후 전개되는 연애소설에서도 반복되어 재현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female characters and their love affairs in TheHomeland of Stars and The Winter Woman, novels which were published inserial form in Korean newspapers in the 1970s. In The Homeland of Starswritten by In-Ho Choi, Kung-A, the heroine, is represented as an object orthing to be exchanged among male characters rather than as a human being. InThe Winter Woman by Hae-Il Cho, Ewha is represented as a body, just a fleshpossessed by male characters. The love affairs in The Homeland of Stars arenarcissistic ones by males. Those in The Winter Woman are mentor-pupilrelationships. While male characters lead the love affairs as subjects, femalecharacters are just objects of male desire. These kinds of images of women andaspects of love affairs have been repeated in many of the novel serialspublished in the newspapers ever s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