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구조 규명을 위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이재윤,정은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22 정보관리학회지 Vol.39 No.1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which quantitatively identifies th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sub-domains of fields, has rapi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Analysis techniques traditionally used to conduct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research include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co-citation analysis, co-occurrence analysis, and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a novel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method, Keyword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KBCA). The Keyword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KBCA) is a variation of the author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 which targets keywords instead of authors. It calculates the number of references shared by two keywords to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the two keywords. A set of 1,366 articles in the field of ‘Open Data’ searched in the Web of Science were collected using the proposed KBCA technique. A total of 63 keywords that appeared more than 7 times, extracted from 1,366 article sets, were selected as core keywords in the open data field. The intellectual structure presented by the KBCA technique with 63 key keywords identified the main areas of open government and open science and 10 sub-areas. On the other h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network of co-occurrence word analysis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in the overall structure and detailed domain structure. This result can be considered because the KBCA sufficiently meas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using the degree of bibliographic coupling. 학문의 구조, 특성, 하위 분야 등을 계량적으로 규명하는 지적구조 분석 연구가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적구조 분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분석기법은 서지결합분석, 동시인용분석, 단어동시출현분석, 저자서지결합분석 등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서지결합분석(KBCA, Keyword Bibliographic Coupling Analysis)을 새로운 지적구조 분석 방식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은 저자서지결합분석의 변형으로 저자 대신에 키워드를 표지로 하여 키워드가 공유한 참고문헌의 수를 두 키워드의 주제적 결합 정도로 산정한다. 제안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Web of Science에서 검색된 ‘Open Data’ 분야의 1,366건의 논문집합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366건의 논문집합에서 추출된 7회 이상 출현한 63종의 키워드를 오픈데이터 분야의 핵심 키워드로 선정하였다. 63종의 핵심 키워드를 대상으로 키워드서지결합분석 기법으로 제시된 지적구조는 열린정부와 오픈사이언스라는 주된 영역과 10개의 소주제로 규명되었다. 이에 반해 단어동시출현분석의 지적구조 네트워크는 전체 구성과 세부 영역 구조 규명에 있어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키워드서지결합분석이 키워드 간의 서지결합도를 사용하여 키워드 간의 관계를 풍부하게 측정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철강산업의 지적자산보고모형에 관한 연구

        김진배,양대천,최정미,백상미 한국세무학회 2009 세무와 회계저널 Vol.10 No.4

        Many countries perceive that intellectual assets reporting can help create firm value since traditional financial reporting systems might not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firm's quality and growth. Therefore several countries under the leadership of OECD develop standard guideline and encourage firms in using reporting frame of intellectual assets as a communication tool. It is hard to apply standard reporting frame in practice, in spite of efforts to develop standard intellectual assets reporting framework, because intellectual assets vary from industries. This paper proposes intellectual assets measures and reporting model of steel industry based on P firm which could be regarded as a leading company in steel industry in the world. The results indicate that brand images, customer satisfaction index and product/division market share are recognized important factors in customer assets, and that governance structure/management transparency, long-term/stable ability to acquire raw materials and new product/advanced technology adoption are identified as important elements in structural assets. In human capital assets, leadership of managers and experiences/abilities, abilities to create value-added, and stable relationship between labor union and management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Respondents prefer quantitative form of information for customer and human capital assets while they prefer qualitative information for structural assets. Moreover they support to disclosure intellectual assets semiannually in the form of separative report. This paper makes following contributions. First, it contributes OECD leading research related to industrial intellectual capital reporting and it stimulates domestic intellectual capital research not working well after the research of Korea Accounting Institute(2000). Second, it contributes for capital market including investors to acquire useful informations about firm's value and growth since it helps steel companies to disclose its intellectual assets voluntarily. Third, it might be a catalyst to develop industry-specified intellectual assets reporting models in other industries besides steel industry. 현행 재무제표가 과거지향적이면서 가치관련성이 낮아서 미래 기업의 가치와 성장에 대해 시장에 의미있는 정보전달을 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OECD를 중심으로 각 국가별 규제기관은 표준적인 공시지침을 개발 및 공표하면서 기업들로 하여금 시장과의 의사소통의 도구로 활용할 것을 적극 권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표준적인 지적자산의 측정 및 공시모형 개발에 대한 각국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지적자산은 산업별로 특화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해당 공시지침을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전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자산의 측정과 공시와 관련하여 산업별 특화모형을 제시하려는 시도에서, 철강산업의 대표적인 기업인 P사를 중심으로 하여 철강산업의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가진 내․외부 관련자의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철강산업의 지적자산 측정 및 공시 모형과 적절한 공시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분석결과, 고객자산, 구조적자산, 인적자산 각각의 세부항목별 중요성 평가에 있어 ① 고객자산의 경우 기업브랜드이미지평가도, 고객만족지수, 제품별․사업별 시장점유율 순으로 나타났고, ② 구조적자산의 경우 지배구조․투명성, 장기․안정적 원료확보능력, 신제품․신기술 개발 및 상용화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③ 인적자산의 경우 경영진의 리더십․경험 및 능력, 부가가치창출능력, 노사관계안정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료형태에 있어서는 고객자산항목과 인적자산항목은 정량적인 자료제시를 선호하고 구조적 자산항목은 정성적인 자료제시를 선호하였다. 공시주기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반기 1회를 선호하고, 공시형태에 있어서는 별도보고서, 보충적 주석 순으로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철강산업에 특화된 지적자산 보고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최근 OECD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산업별 연구에 있어 일부분을 담당하고, 한국회계기준원(2000) 연구에서 그 필요성이 제기된 이후 정체되어 있는 산업별 연구의 시초적 국내연구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철강산업에 속한 기업들이 자발적인 방식으로 지적자산을 공시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기업 가치와 성장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를 시장에 전달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나아가 철강산업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에서도 특화된 모형을 개발하고 해당 기업들이 공시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중국 매체지식인 연구의 지적 구조와 사회적 함의

        최은진 중국학연구회 2016 中國學硏究 Vol.- No.77

        In this article, to consider the new changes in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Chinese intellectuals connected to th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 and its implications, it wa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urrent studies on media intellectuals.Since multi-dimensional researches including individual case studies related to the intellectuals’ wrongdoing exposed in various media were accumulated, it was intended to apprehend the meanings, analyze the trends and current status of the studies so as to articulate the implications in this article.To achieve this, I tried to appl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 to analyze the Chinese researches about the media intellectuals. Besides, I attempted to carry out both the author profiling analysis method and co-occurrence keywords analysis which were frequently used to point out research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First, 261 articles with the theme were extracted from CNKI. Then the articles were analyzed through WNET to being drawn out the intellectual map. Through the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current researches had a tendency to get dispersed, and not reached to the degree of closely inter-connect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xpansion of research area and close correlation were being in progress. On review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tudy about media intellectuals, the research area was viewed to gradually being divided into three realm. Originally the researches were focusing on the theme of social phenomenon through the TV like Lecture Room and intellectuals or Pierre Bourdieu. Then the issue of so-called opinion leader was emerged with the appearance of WEIBO. Thirdly, the issue of public sphere became interested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evious two. In other words, the research area about media intellectuals was divided into three distinct categories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all these three were closely related. It is confirmed that the main research trend that is requesting media intellectuals the recovery of morality and public spirit as responsible intellectuals is continually being reiterated.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study about media intellectuals have the effect to evoke the meaning of publicness in Chinese Society.

      • KCI우수등재

        사회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감정기(Gam, Jeong-Gi),감미아(Kam, Mi Ah),박미희(Park, Mi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2

        이 연구는 한국사회복지학회 의 학회지에 1979년 창간호에서부터 2015년까지 게재된 논문들의 키 워드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사회복지학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전체시기에 대한 분석과 더 불어 이를 두 시기로 나눈 분석을 병행함으로써 연구의 동향을 밝혀보게 된다. 연구의 가닥은 크게 셋 으로 나뉜다. 첫째는 연구방법의 동향으로서, 질적, 양적 및 문헌연구의 비중이 시기별로 변화된 양상 을 개관한다. 둘째는 연구주제의 동향으로서, 시기별 키워드 출현빈도의 추이를 분석한다. 셋째는 지적 구조의 동향으로서, 키워드들의 중심성 지수의 변화를 살펴본 후에, 이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해주는 패스파인더 알고리즘 및 네트워크 구조를 도식적으로 구현해주는 노드엑셀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여 사 회복지학 지적 구조의 흐름을 밝힌다. 끝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들에 내포된 함의를 검토해 본다. This study analyzes key word networks of the papers which are published a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issued by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from 1979 to 2015. It aims at investigating the trends of social welfare researches in Korea by dividing the given period into two: 1979-2000 and 2001-2015. It shows the trends in three ways: methodologies, subjects, and intellectual structures. In order to identify intellectual structure, it calculate centrality indices basing on co-appearance frequency of key words. It also derives some values which explain relationship structure of key words by using pathfinder algorithm, and finally visualizes the intellectual structures by using the NodeXL program. Som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se analyses are discussed in the end.

      • KCI등재

        지식재산담보금융과 신탁구조 활용에 관한 소고

        최철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외법논집 Vol.44 No.1

        With the advent of disruptive technology and innovation, intellectual proper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asset for the growth of a company and economic development of a nation. Recently, IP financing has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s from IP and finance communities, and the relevant policy-makers have endeavored to develop IP finance ecosystem in Korea. In this context, companies and governments are paying attention to how to utilize the economic value of intellectual property for the purpose of financing. The mode of IP financing can be categorized as equity financing and debt financing. As a part of the IP financing package, IP secured loan is used to support for the growth of SMEs with IP assets. Considering the intangible nature of IPR provided as security, effective execution of IP secured loan transactions requires experts who can understand and manage the IP asset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IP financing structure focusing on IP secured loan in connection with the establishment, management, enforcement of IP security interest and utilizing the trust structure. A security trustee with expertise in managing IP assets as security will contribute to efficiency of IP financing. This paper looks into the institutional aspects and the effects of adopting security trust structure in connection with IP secured financing. 지식재산의 경제적 가치를 활용한 자금조달수단으로써 지식재산담보금융에 관한 관심과 정책적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IP금융은 지분투자형(equity)와 부채형(debt)금융으로 구별될 수 있는데, 효율적인 금융생태계의 형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금융기법을 포함하는 IP금융패키지가 제공되어야 한다. IP금융 관련하여 지식재산권의 유동적 특성 및 기술성, 권리성, 사업성 평가의 어려움과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투자형 자금조달이 강조되기도 하나, 자금조달 비용 및 경영권 희석화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대출형 자금조달에 대한 수요도 제기되고 있다. IP담보대출이 증대되고 여기에 참여하는 금융기관이 확대될수록 IP담보금융에 제공되는 다양한 IP담보물의 효과적 관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게 된다.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이 담보물로 제공된 지재권을 관리할 수 있는 조직과 역량이 상당히 제한적인 상황에서 담보신탁의 이용은 효과적인 IP담보금융 실현을 위한 방안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P담보대출과 관련하여 신탁기구의 활용가능성을 담보신탁을 중심으로 담보권의 설정, 관리, 실행의 측면에서 시론적으로 고찰하고 IP금융의 성장과 관련된 신탁구조의 의미를 검토한다.

      • KCI등재

        저자프로파일링분석과 저자동시인용분석의 유용성 비교 검증

        유종덕,최은주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 정보관리학회지 Vol.28 No.1

        This study compared Author Profiling Analysis(APA) to Author Co-Citation Analysis (ACA). The former is a new analytic technique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whereas the latter is a traditional analytic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ppropriate methods to analyz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in the Korean research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adopted APA using Text Mining for analysis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ience rather than relying on citation index in order to determine a potential utility of the new analytic technique that can identify the intellectual structure. 본 연구는 학문의 지적 구조를 분석하는 새로운 분석기법인 저자프로파일링분석과 전통적인 분석기법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 연구환경에 맞는 지적 구조 분석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용색인을 이용하지 않고 학문의 지적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저자프로파일링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지적 구조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학술지는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 KCI등재

        탑파 문화재의 지식 구조와 교육 방안 : 문화재 교육의 이론화 시론

        오인택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1

        본고는 현재 공개된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설명문을 분석하여 석탑 문화재의 지식 구조를 탐색하고, 그에 따른 석탑의 학습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설명문에 나타난 지식 구조는 관찰 가능한 ‘조형성’, 조형의 역사적 의미를 읽는 ‘역사성’, 조형과 역사적 의미에 대한 직관적 통찰인 ‘미학적 해석’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에서 역사성은 ‘석탑의 생애사’와 ‘석탑의 양식사’로 나뉘었다. ‘석탑의 생애사’는 석탑 일생의 역사이며, ‘석탑의 양식사’는 석탑의 양식 계보를 말한다. 학습의 난이도는 조형성, 석탑의 생애사(역사성), 석탑의 양식사(역사성), 미학적 해석의 순서이다. 석탑의 양식사(역사성)와 미학적 해석은 전문적인 영역이고, 조형성과 석탑의 생애사(역사성)는 비전문적인 영역이며 단순한 지식 구조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초등학교(5학년 이상)는 조형성과 석탑의 생애사(역사성), 중학교 이상은 석탑의 양식사(역사성) 교육이 가능하다. 미학적 해석의 교육에서는 전문가의 추상 개념이 강요되어서는 안되며 학습자의 소박한 해석이 허용된 방식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A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explanatory texts on "five storied stone pagoda of Jeongnim temple site"(Korea's National Treasure Number 9) circulated in Korean society today and to find a new teaching method on the basis of their intellectual structures. The intellectual structures of explanatory texts on "a five storied stone pagoda of Jeongnim temple site" consisted of three elements: formative aspects to be visible, historical aspects reading historical contexts, and aesthetic interpretations, insight penetrating into formative and historical aspects. Historical feature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a life history of stone pagoda' to pursue the changes in social function of a stone pagoda and 'a history of a style of building' to find its position in the genealogy of stone pagoda. The order of the higher degree of difficulty to learn puts an aesthetic interpretations first, followed by 'a history of building style', 'a life history of stone pagoda' and formative aspects. While a history of building style and aesthetic interpretations are professional areas of study, 'a life history of stone pagoda' and the formative aspects are amateur areas of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a teaching orientation and method of pagoda have to be fitted to the goal of learning and level of learners.

      • KCI등재

        근대계몽기 지식인 독자의 ‘읽기’와 ‘쓰기’

        전은경(Jun, Eun-kyung)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5

        This thesis studied on a Intellectual"s "Reading" and ‘Writing’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Namely, It studied on 〈the readers" column; 諷林〉 and novels of discussion form in the Newspaper 〈Daehanminbo(大韓民報)〉 such as Byungingansinhuyrok (『病人懇親會錄』), Jeolyoungsinhua (『絶纓神話』) and eumsujaepan (『禽獸裁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spect a process that readers who had studied Confucianism written by Hanmun(漢文) had changed to read novels written by Hangul(Korean letter). It is also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s in early modern era and the modern media.There were various culumns in the newspaper, 〈Daehaminbo(大韓民報)〉. The readers" column, Punglim(諷林) was the unusual space among other readers" columns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A intellectual reader who had studied Hanhak(漢學) for a long time could put an record in Punglim (諷林). It was the sphere for intellectual readers, not the lower readers such as female readers. At the first place, Punglim(諷林) had demanded that the writing should have a satire and a metaphor like an allegory and narrative. It has related with novels written by Hangul. Specially, Punglim(諷林) is very similar to novels of discussion form in the Newspaper 〈Daehanminbo(大韓民報)〉. Therefore intellectual readers had written Punglim(諷林) and at the same time had read novels of discussion form.

      • KCI등재

        유진오의 <華想譜> 재론

        윤석달 한중인문학회 2008 한중인문학연구 Vol.25 No.-

        현민 유진오는 1930년대를 대표하는 중요한 작가의 한 사람이었으나 오늘의 우리 문학사는 그의 문학사적 의미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있는 듯하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그가 해방이후 작가로서보다는 법학자로, 정치가로 활약했기 때문이며, 또 한 가지 중요한 이유는 1930년대 지식인의 고뇌를 다룬 소설을 주로 발표했으나 이후 그런 작가의식에서 후퇴하여 시정의 일상사를 주로 다루는 소설을 발표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는 문학적 성취도가 낮은 작품을 몇 편 발표한 뒤 마침내 소설 창작을 그만두었다. 해방 이후 그는 작가로서의 생을 포기하고, 다른 인생을 살았다. 본고는 그의 유일한 장편이며 문학적 생애의 후반기에 창작된 소설 <화상보>에 대해 논의를 하고자 한다. 그동안 이 작품은 작가의 새로운 소설쓰기를 위한 방향 모색이 있은 뒤에 나온 작품으로,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부정적 평가를 받아왔다. 그가 자신의 주장을 버리고 단지 유행하는 시정의 연애소설을 씀으로써 시대적으로 위축된 작가정신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화상보>를 다시 살펴보고, 이 작품을 통해서 작가가 그려내고자 한 진정한 세계는 어떤 것이었으며, 작품에 나타난 실제는 어떤 것이었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했다. 탐구의 결과로서 이 소설은 작가의 창작의도를 반영함으로써 작가가 도달하고자 했던 식민지 지식인의 일상생활에 대한 묘사, 생활의 정당성, 인간적 성실성 등을 제시하는데 어느 정도 목표에 근접하고 있다. 작가는 이 소설을 구상하기 전에 순수성과 대중성을 잘 조화시킨 ‘연애소설’ 쓰겠다는 의도를 밝힌 바 있다. 이 소설은 그러한 작가의 새로운 활로를 보여주었다. 연애와 통속을 통해 시대의 한 징후를 포착했고, 어느 정도는 형상화에 성공했다. 특히 이 소설이 나오던 시기에는 통속소설이 본격적으로 쓰이던 시대였는데, 이 소설도 그런 시대정황과 맞아떨어진다. 이 소설은 작품의 구조에서 여러 겹의 삼각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인물들은 긍정적/부정적 인물들이 뒤섞여 흥미로운 서사를 만들어낸다. 여러 유형의 지식인들이 등장하며, 한 사회의 다양한 변모를 인물들이 드러내는데 성공하고 있다. 작품의 구조는 표면적으로 그려내는 내용과 이면에 감추고 있는 내용이 서로 다른데, 작가가 궁극적으로 갖고 있었던 세계는 이면구조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그러나 작가는 역사의 전망을 확신하지 못했던 듯이 보인다. 통속소설이 보여주는 상투적 결말에 그런 내용이 담겨 있다. Hyunmin, You Jin O was one of the important Korean novelists representing the 1930’s, but the current critics do not seem to agree that he is an important novelist in Korean literary history for several reasons. The first reason would be that he is known more popular as a lawyer and politician than a writer. And the second one would be that he began to write commonplace novels since 1930’s differently from his previous works dealing with intellectuals’ agonies of pain. Finally, he stopped writing novels after a few attempts to write unsuccessful works. He even lived a complete different life since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ization period. This study discusses <Whasangbo>, a unique full-length novel written in the late period of his literary life. It, however, has been criticized by many researchers because it was published after he applied a new and different writing style. They criticized that he threw away his own previous writing style and tried to accept contemporary writing trend, thus becoming a shrinked novelist.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is novel and discover carefully the reality that the author attempts to deliver to us. As a result of the inquiry, it is found that this novel reflects author’s creative intention sufficiently. He attempted to write a “love story” with a balanced harmony between purity and popularity. This novel showed clearly a new insight. He tried to catch a symptom of a contemporary period through love and popularity and in turn visualized it successfully. It is well compatible with the trend of the period when popular novels were becoming attractive. The novel shows multiple and complicated relationships in the plot where positive and negative characters are entangled to make an interesting epic. Different types of intellectuals describes the various aspects of one society in a successful way. Considering that the surface structure of this novel is different from the inner structure, the ultimate world that the author tried to persue in this work might be inner structure. The author seems to have had no confidence in his historical prospect. It is clearly shown in the conclusion as most popular novels do as usual.

      • KCI등재

        傳統 知識人 丹齋 申采浩의 省察的 主體로서의 글쓰기 의식

        徐亨範(Seo, Hyoung-bom) 대동한문학회 2010 大東漢文學 Vol.33 No.-

        丹齋 晩年의 사상적 도달지점을 '무정부주의' 또는 '민중혁명론'이라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朝鮮革命宣言」 및 그의 晩年의 交遊를 살펴보면 丹齋가 계몽적 민족주의를 거쳐 고대사연구를 통한 새로운 역사관을 채용한 뒤의 도달지점을 破壞와 創造를 기본 구조로 삼는 정치사상으로 파악하는 것이 전혀 억지스럽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적어도 저자의 文面 진술을 그대로 번역하는 것에서 벗어나 여러 의도를 담은 소통을 예비하는 수사적 장치로서 파악하는 것이 문학연구의 기본 방향이다. 그러므로 문학연구는 저자가 '왜 그러해야 했는가'에 대한 물음, 곧 인간 丹齋의 시각에서의 물음 또한 중요하게 제기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물음을 바탕에 두고 그의 만년의 작품인 「龍과 龍의 大激戰」을 분석할 경우, '무정부주의' 혹은 '민중혁명론'이라는 정치사상의 지향과는 조금 다른 丹齋의 글쓰기 의식을 추출해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한 사람의 사상가로서, 정치지도자로서의 丹齋의 내면에서 숨쉬고 있는 자기환멸과 자기성찰의 복잡한 긴장관계를 복원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렇게함으로써 글쓰기 행위를 통해 쉼없이 자기를 돌아보며 세상과 대결했던 丹齋의 본모습이 조금 더 생생하게 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일종의 '감정의 배설구'로서의 글쓰기의 기능을 통해 丹齋는 자신의 지적 고독 및 세상과의 대결에서 비롯된 감정의 긴장을 해소할 수 있었고 이는 丹齋를 의연한 모습으로 이미지화하여 자기 완결적인 존재로 우리게 받아들이게끔 만든 이유라 할 것이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개화계몽기와 그 이후 한국 근현대문학을 가로질렀던 일군의 지식인들을 전통 지식인들의 성찰적 태도와 그 결과물로서의 저작들이 지닌 복합적 메시지를 해석하는 데 새로운 접근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것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Shin Chae-ho who had steadily tried to find a solution to colonialization and the his writing method in narrative papers written in his twilight life in exile in Chinese. A lot of Korean Modern Literature researchers regard Shin Chae-ho's Dragon War (Yong-gwa Yong-eui taekyeokjeon 龍과 龍의 大激戰) as the anarchism text because of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the Earth people, a victim of oppression overthrowed the dictatorship of sang-je(the God) and the ruling classes in the celestial world since the beginnings of the universe and narrate the struggle between '드래군(Deuraegun, Dragon)'(the metaphor of the power of people's revolution) and '미리(Miri)'(the metaphor of the power of ruler) resulted in the extinction. A literary style and the way of writing of Korean traditional intellectual's papers can be understood as a method for researching the inner inquiry of Korean traditional intellectual and as a trace of establishment of their new values. Also Shin Chae-ho's writing can be accepted as a writing trace finding out the way of establishment of new values which can correct distortions of Korean history severely ruled by the Japsnese imperialism and enlignten Korean people. The clue of this is in In Dragon War. In Dragon War, we can find out not only the anarchism motif that people can defeat the tyranny and all of ruling system must be destroied, but also the message that Shin felt lonely in Manchuria where he sought asylum after the Joseon Dynasty's ruination. The both extinction of '드래군' and '미리(Miri)' at the end of Dragon War means Shin's nihilistic thought that everything he have done so far was in vain. Because his history research methology that the Korean history is the contium of the struggle process beetween 'A(我, means 'the Subject')' and 'Bi-A(非我, means 'the enemy')' caused him to have the set of values of the relationship and view of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