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리적 도덕 판단을 위한 초등 도덕과 통합 수업 모형

        송영민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8

        The Teacher's Guidebook for moral education presents 'basic unit system and composition', 'basic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o help implement of the moral curriculum into the instructions. Here, 'basic unit system and composition' is the general level based on the textbook organization, and 'basic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is the general level based on the elements of morality. The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is a steps in the logical orders to reach a specific teaching purpose based on the main educational theory accepted in moral education. When an integrated model is present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m, rather than listed separately, it can be used as a guide for teachers. As a valid guide, the integrated model should present the instructional steps with specific teaching objectives and the main activities available at each stages. This is to assist in the selection of the main activities required for the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 considering the instructional purpose with reference to the integrated model. This paper focuses the suggestion of an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pecifically on the teaching of rational moral judgment. To this end, the instructional models and background theory directly related to rational moral judgment are examined. Representative models that directly intend rational moral judgment in major instructional models include value analysis instruction model and value conflict resolution instruction model.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theories related to these models, the 'basic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 basic unit system and composition', and 'major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an be an integrated model. The proposal mainly reflects that the value analysis instruction model focuses on value judgment and the value conflict resolution instruction model focuses on resolving differences. Based on this, the proposed integrated model consists of the steps of 'presenting moral problems-analyzing moral problems-presenting moral judgments-examining moral judgments-revising moral judgments-seeking ways to implement moral decisions'. In addition, the instructions proposes discussion class in the form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illustrates the main educational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be used at each step for discussion.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도덕과 교육과정의 수업 구현을 돕기 위해 ‘도덕과 기본형 단원 체제ㆍ구성’, ‘도덕과 교수ㆍ학습의 기본적 과정’, ‘도덕과 주요 교수ㆍ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도덕과 기본형 단원 체제ㆍ구성’은 교과서 편제에, ‘도덕과 교수ㆍ학습의 기본적 과정’은 도덕성 요소에 근거한 일반적인 수업 단계이다. 그리고 ‘도덕과 주요 교수ㆍ학습 모형’은 도덕과에서 수용하고 있는 주요 교육이론에 근거하여, 특정 교수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교수전략을 논리적 순서로 전개한 단계이다. 이들이 별개로 나열되기 보다는 그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적 모형이 제시될 때, 그것은 교사의 수업구성을 위한 유효한 안내로 활용될 수 있다. 유효한 안내로써 통합 모형은 특정 수업목적이 부각된 수업 단계와 각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주요 활동들을 제시해야 한다. 이는 통합 수업 모형을 참조하여 수업목적을 고려한 구성 및 그 실행에 필요한 교수ㆍ학습 활동의 선택을 돕기 위해서이다. 본고는 특히 합리적 도덕 판단을 목적으로 하는 수업에 초점을 두고 통합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합리적 도덕 판단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수업 모형 및 그 배경이론을 살펴본다. 도덕과 주요 수업 모형에서 합리적 도덕 판단을 직접적으로 의도하는 대표적 모형에는 가치분석 수업 모형과 가치갈등해결 수업 모형이 있다. 이들 모형과 관련된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합리적 도덕 판단이라는 목적이 부각되도록 ‘도덕과 교수ㆍ학습의 기본적 과정’, ‘도덕과 기본형 단원 체제ㆍ구성’, ‘도덕과 주요 교수ㆍ학습 모형’을 통합한 모형을 구성한다. 그 구성에서 가치분석 수업 모형은 가치 판단에, 가치갈등해결 수업 모형은 가치 판단의 차이를 해소에 초점이 둔다는 측면을 반영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안한 통합 모형은 ‘도덕적 문제의 제시-도덕적 문제의 분석-도덕적 판단의 제시-도덕적 판단의 검토-도덕적 판단의 수정-도덕적 결정의 실행 방안 모색’이라는 단계로 제안된다. 그리고 수업의 형태로 토의수업을 제안하며, 토의수업을 위해 각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주요 교수ㆍ학습 활동도 함께 예시한다.

      • KCI등재

        코로나 일상 시대의 대학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온라인 수업설계 모형 개발

        임정훈 ( Junghoon Leem ),김미화 ( Mihwa Kim ),이세현 ( Sehyu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일상 시대에 대학 교수자가 면대면 수업을 비대면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실제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을 설계, 운영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설계모형을 개발,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격교육, 이러닝, 온라인 수업, 수업설계모형과 전략 등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였고 대학의 일반 교수자 5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 교수자가 온라인으로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이나 전략들을 단계적으로 제시한 수업설계 모형 초안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초안은 2차례에 걸쳐 5인의 전문가들로부터 내적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코로나 대응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대학 교수 5인으로부터 사용성 평가를 통해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설계를 위한 모형은 ‘온라인 수업 분석 및 준비’, ‘온라인 수업 설계’, ‘온라인 수업 자료 개발’, ‘온라인 수업 운영’, ‘온라인 수업 평가 및 성찰’의 다섯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온라인 수업 평가 및 성찰’단계 이후 지속적으로 반복 및 순환 가능한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설계모형은 수업설계 각 단계에서 교수자가 수행해야 하는 주요 활동 중심의 ‘절차모형’과, 주요 활동별로 수행해야 할 세부 활동 및 전략들이 제시된 ‘상세모형’으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끝으로, 대학 현장에서의 실천적 적용을 통한 모형의 활용 가능성 탐색, 모형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개발, 실험이나 실습 등 실기 활동이 기반이 되는 실습수업을 고려한 추가적 모형 개발의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actical and systematic onlin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university professors can use in the transition from their face-to-face instruction to non face-to-face in the era with coron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lated literatures such as distance education, e-learning, onlin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strategies were review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professors. Based on these, a draft of an onlin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at presented step-by-step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was developed. The draft of the developed model was validated twice by 5 experts, and the validated model was evaluated for usefulness by 5 university professors who experienced non face-to-face online lectures to encounter the corona era in 2020.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non face-to-face online instructional design model consisted of five steps(‘online instructional analysis and preparation’, ‘online instructional design’, ‘online instructional material and contents development’, ‘online implementation’, and ‘online instructional evaluation and reflection’) was developed. This model was characterized by repetitive and cyclical design process. In addition, it was developed by dividing into a ‘procedure model’ including the main activities that the professors should perform at each stage of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and a ‘detailed model’ including various activities or strategies for the main activities. Finally, it was discussed about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higher education field, the development of detailed guidelines for effective use of the model, and the necessity of additional mode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class or practical class in university.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 개발

        김주연,강영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2 지적장애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appiness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this end, an initi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positive psychology-based happiness classes was developed with the positive changes tha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uld make through happiness classes, and the fin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confirmed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validation. First, an initi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components of happiness classes,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instructional procedures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 the internal validation of the initial model, 10 experts verified the initi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ree times, and five field specia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usability evaluation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fter that, external valida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site application evaluation involving one high school special teacher and seven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from two special classes. In the instructor's response evaluati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special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examined, and changes in student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rough pre-post tests and interviews of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After the happiness class using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happiness class design model, th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7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analysis, "discovery of interest and meaning in class", "interest in happiness gained from clas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friends' feelings". The result of 'practice in everyday life' was derived. The fin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consisted of 5 components, 11 design principles, and 26 detailed guidelines.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happiness classe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can be conducted immediately without institutional change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to pay attention to their own happiness and practice it in their daily live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지적장애학생이 행복 수업을 통해 생길 수 있는 긍정적 변화를 염두에 두고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을 위한 초기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여 내적, 외적 타당화를거쳐 최종 수업설계 모형을 확정하였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행복 수업의 구성요소, 수업설계 원리, 수업의 절차를 분석하여 초기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초기 모형의 내적 타당화를 위해 10명의 전문가가 3차례에 거쳐 초기 수업설계 모형을 검증하였고 수업설계 모형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현장 특수교사 5명이 사용성 평가에 참여하였다. 이후 고등학교특수교사 1인과 2개의 특수학급 소속 지적장애학생 7명이 참여한 현장적용평가를 통해 외적타당화를 실시하였다. 교수자 반응 평가에서는 특수교사의 수업설계 모형에 대한 이해도와적용 정도를 알아보았고 행복 수업에 참여한 지적장애학생의 사전-사후 검사, 면담을 통해학생의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을적용한 행복 수업 후 지적장애학생 7명의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는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면담 분석 결과 ‘수업에 대한 흥미와 의미 발견’, ‘수업을 경험하며 가지게 된 행복에 대한관심’, ‘친구의 감정에 대한 이해’. ‘일상생활에서 실천’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최종수업설계모형은 5개의 구성요소와 11개의 설계 원리, 26개의 상세 지침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지적장애학생의 행복 수업을 제도적 변화 없이 즉시 실시할 수 있고 지적장애학생이 스스로의 행복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청각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영역별 교수-학습 모형 개발

        윤중오,김민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3 장애와 고용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 고용을 위한 직업훈련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술습득을 돕기 위하여 직업훈련 영역별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 학습관련 선행연구에서 지원이론과 설계원리를 도출한 다음, 전문가 검토를 거쳐 1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형에 대해 1차 현장 적용을 거쳐 수정사항을 도출하였고 다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여 2차 모형을 위한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2차 모형을 개발하고 2차 현장 적용 등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최종 청각장애인을 위한 직업훈련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청각장애인의 직업훈련 영역별로 도출된 교수-학습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에 있어 청각장애인의 부족한 기초학습능력의 향상을 영역으로 하는 교수-학습 모형이다. 둘째, 직업훈련의 기능숙련에 있어 이론능력 배양을 영역으로 하는 교수-학습 모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직업훈련의 기능숙련에 있어 실기능력 배양을 영역으로 하는 교수-학습 모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절차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다른 교수-학습모형과 차별성을 띤다. 또한,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교수-학습 방법들의 제한점을 보완하고, 교수자들은 사용하기 편리하며, 청각장애인들에게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으로 전문 기술을 습득하여 고용과 연계됨은 물론 고용 안정을 제공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에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로 이러한 모형들이 실제 청각장애인 직업훈련에 있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 및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models that vocational training objectives to improve the technical skill learning in vocational training for the deaf. For the purpose, this study employed design-based method. First of all, researcher extracted theories and design principles from precedent studies on the deaf and professional review in order to develop the initial instructional models. Then, the first instructional models with the design principle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n actual classroom and the parts that need modifications were identified. Another professional review was done to develop the design principles for the second instructional models. Based on this design principles, the second instructional model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again. Finally the final instructional models in vocational training for the deaf were developed. The instructional models based on vocational training objectives for the deaf are as follows. The first model was the instructional model with a objective of improving the basic learning ability for the deaf. The second model was the instructional model with an objective of cultivating theory ability for improvement of skills. The third model was the instructional model with a objective of cultivating practical skills. Based on the research, the developed models were effective in meeting the objectives of cultivating basic learning ability, theory reinforcement ability, and practical skills. Therefore, I expect this stud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earning models for the deaf and provide instructors with convenient models and the deaf with opportunities for effective vocational training.

      • KCI등재

        강의실 수업 교수자를 위한 현장지향 통합적 교수설계 모형(AMOS Model) 개발 연구

        홍성욱 ( Sungwook Hong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4

        교육현장에서 다수의 교수자는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설계 모형의 부재로 인해 체계적 교수설계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하나의 모형이면서도 다양한 교수설계 이론의 강점들을 활용할 수 있는 현장지향 통합적 교수설계 모형으로 AMOS 모형을 제시하였다. AMOS 모형은 객관적 지식의 전달에 초점을 맞춘 분석지향 이론인 Gagne의 교수설계 이론, Merrill의 내용요소전시이론, 학습동기설계모형인 Keller의 ARCS 이론과 구성주의적 접근 방법 기반 종합지향 이론을 통합한 모형이다. AMOS 모형의 요소는 주의를 집중시키면서 강의를 시작하기. 수업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는 학습동기 부여하기, 자신감을 가지고 학습목표 달성하기, 만족감으로 수업을 마무리하기이다. AMOS 모형을 활용하여 교육모듈과 단위수업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6단계 절차가 필요하다. 1단계 수행목표의 규명, 2단계 학습내용의 도출, 3단계 학습목표의 설정, 4단계 학습목표 달성전략, 즉 교수방법 설계, 5단계 AMOS map 그리기, 6단계 AMOS 모형의 적용이다. 특히 6단계는 이전 단계에서 나온 결과물을 활용하는 통합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강의실 수업 교수자가 교수설계에 대한 현실적 어려움을 해결해 줄 것이며, 또한 교수설계 이론의 통합적 관점을 만들어 가는데 기여할 것이다. Many instructors at educational field are finding it difficult to conduct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because of the absence of a practic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In this study, I suggested the AMOS model as a field-oriented integrated model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field, but also takes advantage of the strength of a variety of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The AMOS model is based on Gagne's ‘instructional design theory’, Merrill's ‘component display theory’, Keller's ‘ARCS theory, and a constructivism approach. An element of the AMOS model is Attention. Motivation, Objective, satisfaction. Using the AMOS model to design education modules and lesson required a six-step process. Step 1 is to identify performance objectives, step 2 is to derive learning contents, step 3 is to establish learning objectives, step 4 is to design a learning method, step 5 is to draw an AMOS map, step 6 is the application of the AMOS model. In particular, step 6 presented an integrated model utilizing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step.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olve the real challenge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at the educational field, and will also help create an integrated view of the instructional design theory.

      • KCI등재

        ‘이해(understanding)’를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 개발

        최유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3

        이 연구는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 이론 및 기술교과의 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연구의 논의를 고찰하여 기술교과에 적합한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 모형을 구 안하고 타당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방법의 연구자의 문헌고찰과 모형 개 발, 그리고 타당화 평가 과정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타당화의 방법의 질적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고, 양적으로 CVR 검증을 통하여 타당화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구안한 이해를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의 이해기반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과 연구자가 기술교과의 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학습전략인 기술 교과 수업설계안으로 진정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이론적 모형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구안된 모형은 실제로 10명의 기술교사가 직접 설계안을 작성하면서 실천 타당성을 높였으며, 15명의 기술교육 전문가의 주어진 항목별 타당성 평가 결과 높 은 수준의 타당성을 보였다. 이 연구의 제언은 이 연구의 모형이 다소 이론적인 수준에서 수행되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실증적이고 현장적인 실행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부분 적으로 하위 모형별로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연구 수행이 뒤 따라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understanding of technology education by analyze research on ‘understanding by desin’ and ‘ instructional model integrated leaning and assessment in technology education. And Model of the study was verified by CVR value and evaluating of 15 technology teachers. The conclusions as a result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understanding of technology education develode in this study was consisted as follows ; basic model, problem design model, goal settlement model, assessment model, learning model. Second, 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understanding of technology educ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as reasonably evaluated by technology teachers. CVR values were verified at 0.05 of significance level. Suggestion from the results of our study was that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at a theoretical level, following study will be need to carried out empirical and field research by each sub-model of this study.

      • KCI등재

        음악을 접목한 STEM (M⋅STEM) 수업모형 개발

        황윤한,김고은,노원준,이지원,이호준,추국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EM instructional model incorporating music (M·STEM) so that students can enjoy and willingly studying STEM subjects that are hard, difficult, and uninteresting.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rom their M·STEM classes for a year and a half. Three STEAM learning criteria suggested in the teacher's guide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guided the data analysis. These criteria are situational presentation,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 The most efficient M⋅STEM class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STEM lesson flow for the M⋅STEM instruction model. The M⋅STEM instructional model reflected the time for applying in the lesson and the instruction situation. This study suggests four M⋅STEM instructional models: 1) Analyzing the lyrics model (ALM), 2) Changing the lyrics model (CLM), 3) Writing the lyrics model (WLM), and 4) Producing a music video model (PMVM). A class with little experience in music activities can use the ALM for introducing a unit. Upon a lesson or a unit arrangement period, the students familiar with the M⋅STEM model can use the CLM. The WLM has two sub-model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type: lesson arrangement (LA-WLM) and unit arrangement (UA-WLM). At the end of a lesson and students with experience on the CLM can use the LA-WLM. At the end of a unit and with students with experience in LA-WLM can use UL-WLM. The last M⋅STEM model is the PMVM. Teachers use this model at the tim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the students with experience on project learning to make the product. The M⋅STEM instruction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been secured the validity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taught STEM subjects.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에겐 어렵고 힘들며 재미없는 STEM 교과들을 즐겁고 신나게 공부할 수 있도록 STEM 수업에 음악을 접목한 수업, 즉 M⋅STEM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이 M⋅STEM 수업을 하면서 수집한 음악 활동 자료들을 수업에 적용한 시기, 적용 대상, 그리고 교사용지도서가 제시한 세 가지 STEAM 학습 준거, 즉 상황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에 따라 분석하였다. STEM 수업의 흐름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M⋅STEM 수업의 모습을 체계화 시켰다. M⋅STEM 수업 모형은 수업의 적용 시기와 적용 대상에 따라 ⅰ) 가사분석 모형(단원 도입 시기; 음악 활동 경험이 적은 학급), ⅱ) 개사중심 모형(차시 및 단원 정리 시기; M⋅STEM 모형에 익숙해진 학급), ⅲ) 작사중심 모형(차시정리 유형(각 차시 마무리 시기; 개사 중심 모형을 경험한 학급)과 단원정리 유형(마지막 차시/단원 마무리 시기; 차시 정리/작사중심 모형을 완료한 학급)), ⅳ) 뮤직 비디오 제작모형(창의적 체험활동 시기; 활동 산출물 제작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는 학급)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자들이 개발한 M⋅STEM 수업 모형은 현장의 교사들의 평가를 통해 문항신뢰도와 모형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 KCI등재

        교과교육 관점의 수업설계모형 연구

        김경한(Kyong-Hah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에서는 수업설계의 시각에서 교과교육 관점의 수업모형의 이론과 실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사례 연구로서 영어과 수업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설계 원리에 근거하여 교과 내용 수업에 적용 가능한 교과 대표 수업모형의 개발이 모든 교과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미진하였다. 기존의 교과 일반 수업모형의 형태는 교육 방법 중심의 수업모형으로 모든 교과에 적용될 것을 목표로 수업의 일반적인 절차적 단계만 제시하고 현장 교실에서 교과별로 응용하여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교과 일반 수업모형이 제시하는 일반적인 절차적 단계는 교과 특수적인 내용 학습 방법을 담보하지 못하므로 궁극적으로는 교과 내용과 관련된 고유한 수업 방법 체계, 즉 내용과 방법이 통합된 교과교육 관점의 수업모형을 정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 사례로 제시한 영어과 수업모형은 일반적인 수업 방법 절차를 교과 특수적인 학습 내용에 결합한 수업모형의 예이다. 본 수업모형은 수업의 일반적인 절차적 단계뿐만 아니라, 교과 특수적인 학습 내용, 그리고 이 둘의 통합적 구현 기법을 제시하는 대표 활동으로 구성된다. This study reviews instructional design models in theory and practice and presents an English instructional model as a cas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education. Although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instructional models applicable to subject classes based on the principle of instructional design is the ultimate goal of all subject-matter education, its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so far been insufficient. The existing form of subject-general instructional models centered on the teaching method is designed to present only the general procedural steps of instruction with the purpose of being applied to all subjects. However, since the subject-general instructional model does not guarantee the learning of subject-specific content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unique method of instruction related to subject matters, that is, a subject-specific instructional model. The study provides an English instructional model in the form of combining the method frame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content frame of subject matters, and the model consists of procedural steps, learning contents, and representative activities that embody the technique of integrating educational methods and subject contents.

      • KCI등재

        실천적 성찰에 기초한 순환적 자기수업컨설팅 모형 개발

        김미화 ( Mihwa Kim ),임정훈 ( Junghoon Leem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2

        이 연구는 실천적 성찰에 기초하여 교수자가 자신의 수업을 분석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교수자 스스로가 지속적으로 수업을 개선할 수 있도록 자기수업컨설팅 단계를 도식화하여 모형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자의 수업 성찰, 자기수업컨설팅의 특징과 절차 등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고 자기수업컨설팅을 심도있게 경험한 현장교사들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실천적 성찰에 기초한 순환적 자기수업컨설팅 모형(이하 SELF 모형)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 초안은 전문가 5인에게 2차례에 거쳐 타당도를 검증 받았으며, 이를 통해 모형의 절차적 표현이 재도식화 되고 세부 단계의 용어와 전략이 수정 보완되었다. 이같은 내적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된 SELF 모형은 교육현장의 실제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교사 5인을 대상으로 외적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내·외적 타당도 검증을 통해 완성된 SELF 모형은 ‘Start instruction(자기수업컨설팅을 수행할 수업 시작하기)’, ‘Explore instructional system(체계적으로 수업분석하기)’, ‘Look into problems(수업문제 들여다보기)’, ‘Find solutions(개선안 탐색하기)’의 주요 단계와, ‘수업 준비’, ‘수업 실행’, ‘성찰적 수업 관찰’, ‘체제적 수업분석’, ‘문제 발견’, ‘개선할 문제 선정’, ‘개선안 탐색’, ‘개선안 실천’의 세부 단계로 최종 확정되었다. 아울러 단계들 간의 순환적인 구조 특징과 실천적 성찰의 중요성을 표현하기 위해 SELF 모형의 전체적인 형태는 바람개비를 메타포로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끝으로, 메타포를 활용하여 제시한 모형의 이점, 수업문제 발견을 위한 단계적 절차의 시기, 평생교육과 기업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 탐색, 자기수업분석도구 개발의 필요성, 자기수업컨설팅을 위하여 요구되는 요인이나 역량 도출의 필요성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 cyclical self-consultation model of instruction based on practical reflection, allowing instructors to improve their own classes continuously through an analytical process of identifying and solving problems.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relevant evidence, such as instructors’ reflections on a class, the reflection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dures a self-consultation model of instruction, was reviewed.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 the field and experts with experience of self-consultation in instruction. On account of this, a draft cyclical self-consultation model of instruction based on practical reflection(the SELF model) was validated twice by five experts. The procedural expression of the model and its stages were revised in light of their feedback. The validated model was then implemented by five instructors in the field to externally verify its practical us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SELF model consisting of four main steps(‘Start instruction’, ‘Explore instructional system’, ‘Look into problems’, and ‘Find solutions’) was developed.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SELF model was presented using a pinwheel as a metaphor to express the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tages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al reflection. Finally, the advantages of the model were discussed, including the use of metaphors, the timing of the problem identification stage, the applicability to lifelong and corporate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additional self-consultation analysis tools, and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self-consultation in instruction.

      • KCI등재

        학습자중심 모듈형 의사소통교육의 수업 모형과 실제

        박준범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 리터러시 연구 Vol.- No.22

        This paper proposes the learner-centered modular instructional model for communication education as a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 The learner-centered modular instructional model for communication education proposed in this paper is centered on learner-led class, class that combines the fields of communication education such as reading, discussion, debate, writing in a convergent way, and class that can design various cour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uch as major, level, interest.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model for communication education ultimately aims to achieve more effective student's teaching and learning goals in communication education of college. It is needed to enable students to actively and autonomously participate in class by seeking transformation of teaching method centered on student rather than teacher-centered. And it can solve the problem of motivation or interest of students. The modular instructional model for communication education allows students to design their own creative class plans and solve problems related to the diversity and efficiency of teaching methods. The teacher can provide the experience of designing the class by oneself as another space for communication education. And in this process, students can directly learn various thinking and conference process. In addi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create more practical, creative, and reformative class. In the learner-centered modular instructional model for communication education, the role of the teacher is also important. First, the teacher should role as a guide to provide students with a educational model. Second, the teacher should role as an assistant to convey the necessary minimum theoretical knowledge to the students. Third, the teacher should assume the role of evaluator. It is pointed out that this study is one of the examples of the instructional model. But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one of the factors that will help to tur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positively.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의사소통교육 수업 모형의 하나로 학습자중심 모듈형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학습자중심 모듈형 의사소통교육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수업, 의사소통교육의 영역과 활동-독서(읽기), 토론(듣기·말하기), 작문(쓰기)-을 융합적으로 연계한 수업, 교과목의 수업 과정을 학습자들의 특성-전공, 수준, 관심사 등-에 따라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수업을 중심적인 성격으로 한다. 학습자중심 의사소통교육은 궁극적으로는 대학의 의사소통교육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학습자의 교수·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것이다. 교수자중심이 아닌 학습자중심으로 교육 방법적 변환을 모색하여 학습자들이 능동적·자율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중심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학습자중심 의사소통교육은 학습자들의 동기 혹은 흥미 유발의 문제를 해소시켜 줄 수 있다. 모듈형 의사소통교육은 학습자가 스스로 창의적인 수업 계획을 디자인하게 하고, 교수법의 다양성과 효율성에 관한 문제를 해결시켜 줄 수 있다.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수업을 디자인하는 과정 자체를 또 하나의 의사소통교육의 장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은 이 과정 안에서 다양한 사고와 협의의 과정 등을 직접 학습할 수 있다. 아울러 학습자들은 보다 현실적이고, 창의적이며, 개혁적인 방식의 수업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중심 모듈형 의사소통교육의 수업 모형에서는 교수자의 역할도 중요할 것이다. 교수자는 일차적으로 수업 모형을 학습자들에게 제공해야 하는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이론적 지식을 전달해 주는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교수자는 평가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본 연구는 수업 모형에 대한 하나의 사례라는 점이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겠지만, 이것이 의사소통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데 도움이 되는 요인 중 하나가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