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내공기질 관리 쟁점 및 개선방향

        정다운,서양원,이승민,최현진,오규림 한국환경연구원 2022 수시연구보고서 Vol.2022 No.-

        Ⅰ. 연구의 목적 및 범위 ㅇ 본 연구는 실내공기질 관리 현황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향후 우선 진행되어야 할 실내공기 관리정책 관련 쟁점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함 Ⅱ. 실내공기질 관리 현황 1. 실내공기질 관리 법령 ㅇ 국내 실내공기질 관리는 시설의 종류·유형에 따라 대부분의 시설은 환경부를 중심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외 교육시설(학교)은 교육부, 근로자의 작업장(시설)은 고용노동부가 관리함 - 소관부처 분산으로 인해 부처별 관리대상 시설에 대한 기준, 관리대상 오염물질, 시설별 관리방법의 차이 등이 존재함 2. 실내공기질 관리 제도 ㅇ 실내공기질 통합관리를 위하여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있으며, 실내공기질 관리현황 및 관리기준 설정 등에 대한 내용을 환경부 장관과 관계 중앙행정 기관장이 협의하여 수립함 ㅇ 이 외에도 환경보건 종합계획,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대책 등을 통해 실내공기질 관리정책을 제시하고 있음 - 환경보건 종합계획에서는 환경 유해인자 노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내 공기질 관리 강화를 제시하고 있으며, 그 추진전략으로는 인체 위해성 등을 고려한 신축주택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강화, 쾌적한 대중교통 차량 이용환경 조성 등을 제시함 -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에서 실내공기질 관리는 15대 중점 추진과제 중 하나로, 민감계층 이용시설의 실내환경 개선 지원, 환기설비 의무설치 시설범위 확대 등을 세부 내용으로 포함함 - 지하역사 공기질 개선대책에서는 지하역사, 터널, 지하철 차량으로 시설을 구분하여 각 시설별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함 ㅇ 향후 각 계획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면밀한 평가와 함께 범부처 차원의 연계를 위한 현황 공유 및 소통이 필요함 3. 실내공기질 관리 쟁점 및 정책수요 도출 □ 전문가 설문조사 ㅇ 실내공기질 관련 분야 전문가 대상으로 분야별 『제4차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 이행상황 평가, 우선 진행이 필요한 사업 등을 설문을 통해 조사함 - 민감계층 이용시설(어린이집, 학교 등)과 지하역사 공기질 관리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난 반면, 일반가정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 자율적 실내공기질 관리체계 구축, 실내환경관리센터 육성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나타남 - 실내공기질 개선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관리인력의 부재가 꼽힘 - 향후 1~2년간 우선 진행이 필요한 사업 중 기존사업으로는 대중교통 및 다중이용시설의 실내환경 개선과 IoT 기반 공기질 모니터링 확대 등이 제시되었으며, 신규사업으로는 소규모 다중이용시설 및 노후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 개선사업, IoT 및 인공지능 기반 실내공기질 통합관리를 위한 기술개발, 교육·홍보를 통한 인식 확대, 인센티브 제도 도입 및 자가측정장비 지원 등을 통한 자율적 관리 확대 등이 제시됨 □ 전문가 포럼 ㅇ 실내공기질 개선방향 논의를 위해 전문가 포럼을 개최하여 학계 및 유관기관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함 - 소관부처 분산으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해 환경부가 중심이 되어 범부처 기준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길 제안함 - 지하철, 학교 등의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므로 그 효율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제도적 개방을 통해 다양한 기술이 활용되어야 하며, 개선사업들의 단계적 이행 또한 필요함 - 수용체 중심의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설정이 필요하며, 관리기준의 강화뿐 아니라 강화된 기준을 어떻게 이행할지에 대한 체계 마련도 중요함 Ⅲ.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ㅇ 실내공기질 관리에 대한 현황 분석과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방향과 우선과제를 도출함 - 실내공기질 관리의 컨트롤타워를 수립하고 이를 통해 실내공기질 관리기준의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함 - 규제 사각지대를 면밀히 검토하여 이 중 노출 수준이 높은 시설에 대한 대상시설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ㆍ위해저감 효과, 정책이행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관리대상 확대 방안을 우선 도출하여야 함 - 공기정화 등 사후작업이 아닌 오염원을 제거하여 근본적인 관리와 예산 및 인력을 확보함으로써 실내공기질 모니터링 및 실태점검 빈도를 확대해야 함 ㆍ‘실내공기질 관리 우수시설 인증제도’ 도입을 적극 추진하여 시설관리 주체자의 자발적 관리 유도 -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재정립 및 관리정책이 시행되어야 함 - 지역 특성을 고려한 실내공기질 관리체계 강화와 에너지 효율과 연계한 실내공기질 개선사업이 우선 발굴되어야 함 Ⅳ. 결 론 ㅇ 본 연구에서 실내공기질 관리개선을 위해 제안한 과제는 새 정부에서 추구하는 국정 과제인 ‘숨쉬기 편안한 실내공기질 관리 강화’에 활용될 수 있음 ㅇ 단기적으로는 규제사각지대 발굴 및 위해성 기반 관리기준 강화를 우선 목표로 설정하며, 장기적으로는 실내공기질의 관리가 단순히 오염원의 노출 저감뿐 아니라 온습 도지수를 포함하여 쾌적함까지도 고려하는 것을 제안함 ㅇ 본 연구의 결과가 실내공기질 개선을 통한 국민 환경보건 안전망 구축 및 국민 안전 강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함 Ⅰ. Introduction ㅇ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major issu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in indoor air quality (IAQ) management by collecting detailed information and expert opinions on the current IAQ management. Ⅱ. Status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n Korea 1. Legislation regarding IAQ management ㅇ Different facilities are managed under different laws according to the type of facility; most facilities are manag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Educational facilities (schools) are manag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workers’ workplaces (facility) are manag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 Since each individual ministry takes part in IAQ management, they all have their own standards, target pollutants, and management methods, differing from one another. 2. IAQ management policy ㅇ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IAQ, the Basic Plan for IAQ Management is established every five years, and the content of the IAQ management statutes and standards are decided after the Minister of Environment consults with the heads of related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ㅇ In addition, the IAQ management policy is implemented through the Comprehensive Plan for Environmental Health, Comprehensive Plan for Particulate Matter Management, and Measures to Improve Air Quality in Subway Stations. - The Comprehensive Plan for Environmental Health suggests strengthening IAQ management to reinforce exposure management against environmental hazards, and proposes to raise the recommended IAQ standards in newly built houses based on human risk assessment and make public transport more enjoyable as its strategies. -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Particulate Matter Management, IAQ management is included as one of the 15 key tasks, and the plan includes details such as support for improving the indoor environment of facilities used by the vulnerable populations, and expanding the range of facilities that are required to install ventilation. - The Measures to Improve Air Quality in Subway Stations present specific tasks for underground stations, tunnels, and subway vehicles, respectively. ㅇ It is necessary for different government entities to share and communicate the information on current status as well as detailed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each plan for continued cooperation. 3. Identification of major issues and policy needs □ Expert survey ㅇ We conducted a survey among experts in the field related to IAQ to evaluate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Fourth Comprehensive Plan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by field and identify priority projects. - There were positive evaluations on air quality management in facilities used by vulnerable populations (such as daycare centers, schools, etc.) and underground stations, whil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utonomous IAQ management system and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centers received negative feedback. - A lack of management personnel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main factors hindering the improvement of IAQ. - Priority projects over the next one-two years included improving the indoor environ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multi-use facilities and expanding IoT-based air quality monitoring among the projects currently underway; for new projects,, IAQ improvement in small-scale and old facilities, technology development for IoT and AI-based integrated IAQ management, increasing awareness through education and publicity, introduction of incentive system and expansion of autonomous management through supporting self-measurement equipment were included. □ Expert forum ㅇ An expert forum was held to discuss ways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and various opinions of experts from academia and related institutions were collected. - The forum suggested th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ake the lead and provide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all ministries in order to solve problems caused by the fragmented responsibility for management among different ministries. - Sinc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budget is being invested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in subways and schools, a thorough review of its efficiency should be conducted. - Institutional means are necessary to utilize diverse technologies, and plans for the step-wis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s are also necessary. - IAQ management standards should be based on receptor risk, and it is important not only to raise the management standards, but also to prepare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trengthened standards. Ⅲ. Suggestions for Improving IAQ ㅇ We propose policy directions and priorities for improving IAQ based on the current status analysis and expert opinions. - A control tower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standardization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s needed. - Regulatory blind spots should be scrutinized and the scope of target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facilities with a high level of exposure. ㆍ Priorities should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reduction effect and the ease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a roadmap for expanding the management target accordingly should be drawn. - The focus of IAQ management should be shifted from follow-up management such as removal of pollutants through air purification to prevention strategies that include fundamental management of pollutant removal. - Moreove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and inspection by securing budget and human resources. ㆍ Voluntary management of facility managers must be implemented by actively promoting the Indoor Air Quality Certification. - IAQ management standards and management policies must b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 The IAQ management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taking into accoun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AQ improvement projects linked to energy efficiency should be designed. Ⅳ. Conclusion ㅇ The strategies proposed in this study to improve IAQ management can be utilized in ‘reinforcing IAQ management for comfortable breathing,’ a national task pursued by the new government. ㅇ We suggest that identifying regulatory blind spots and raising management standards based on health risks should be set as the short-term management priority, and in the long term, the management range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reducing exposure to pollutants but also temperature-humidity index, and furthermore, comfort levels. ㅇ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building a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afety net and strengthening public safety through improvement of IAQ.

      • KCI등재

        실내공기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박종원 ( Jong Won Park ) 한국법정책학회 2011 법과 정책연구 Vol.11 No.4

        실내공간으로 직접 방출되는 물질로 인한 오염은 사실상 외부의 대기오염보다 더욱 심각한 것으로, 현대인에게 직접적이고 중대한 위해를 초래할 수 있다. 더구나 현대인은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실내공간의 공기오염은 대기오염보다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실내공기오염이 사회적으로 문제되고 있고, 법제 개선을 위한 입법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실내공기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관련 법제를 어떻게 개선하여야 할 것인지를 논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실내공기질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현행법상 실내공기질 관리의 체계와 주요내용을 검토함으로써 문제점을 제시하고, 미국의 입법논의로부터 일정한 시사점을 보태어, 실내공기질관리법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현행 실내공기질관리법제는 관련 법률이 분산되어 있고 관계부처별로 관리대상시설, 기준, 관리방법 등이 불일치하여 종합적인 접근이 어렵다는 데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더구나 이들 법령을 상호 조정하고 소관부처 간의 협의를 위한 법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이와 더불어 대상시설의 모호성과 협소성, 대상오염원과 대상오염물질의 협소성, 공기질 관리수단의 실효성 부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미국 역시 다수의 법령에 근거하여 다수의 관계부처가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활공간의 공기오염을 관리하고 있으나,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실내공기오염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몇 차례의 입법시도가 있었음과 아울러, 그 영향으로 현재는 연방실내공기질부처위원회를 설치함으로써 분산된 공기질관리를 통합·조정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분산·분절되어 있는 현행 실내공기질관리법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내공기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그에 관한 기본원칙을 정립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특히 환경보건상의 4대 원칙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미국과 같이, 분산관리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내공기질관리기본계획의 수립·시행 및 실내공기질관리위원회의 설치를 법제화할 필요성이 크게 인정된다. 그 밖에, 관리대상시설의 확대·조정, 관리대상 오염물질 및 오염원의 확대, 기준의 적정성 제고, 공기질 측정 및 관리의 실효성 제고, 리스크의사소통의 확대, 자율적 환경관리의 촉진 등도 함께 추진되어야 할 법정책적 과제이다. Significant air pollution has been reported from a variety of indoor living spaces. Some experts feel that more people suffer from the effects of indoor air pollution than outdoor pollution. Nevertheless, we have many difficulties in controlling indoor air pollution in a variety of living spaces under current legal systems. I tried a systematic analysis of Korean laws related to controlling air quality in indoor living spaces, aiming at understanding their problems in depth. The laws include the Indoor Air Quality Control in Public Use Facilities, Etc. Act, the Building Act,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the School Health Act, and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Then, I tried an analysis of legal systems and past bills related to indoor air quality in United states,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seek legal ways to improve air quality in living spaces. Based on these analyses, I suggest that our laws should be guided by basic principles of environmental health. And I present some concrete ways to improve our legal system, including development of national plan to control indoor air quality, expansion and rearrangement of scope and objects of application, expansion of pollution sources and pollutants controlled, establishment of reasonable standards through risk assessment, effective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enhancement of risk communication and promotion of voluntary approaches.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실내공기질 관리에 대한 태도와 관련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배진희(Jin-Hee Ba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2015년에 발표된 실내공기질관리 기본계획은 민감계층을 고려하는 실내 환경보건 강화를 주요 추진 전략중 하나로 담고 있다. 사회복지생활시설은 장애인, 노인, 아동, 노숙인 등이 주 거주지로 삼으며 실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매우 긴 공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시설은 법정 실내공기질 관리 대상 기관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에 대한 태도와 관련 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실내공기질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서 69.5%가 찬성하였고, 사회복지시설을 실내공기질관리 대상 기관에 포함하는 것에 대해 80.9%가 찬성하였다. 응답자 중 90.8%가 본인이 종사하고 있는 시설의 실내공기질 분석을 받을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사회복지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 법정 기관화 찬성과 관련 있는 요인은 환경의식이었고, 본인이 종사하고 있는 실내공기질 분석 의사와 관련 있는 요인은 실내공기질 관리법 인지도였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사회복지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환경부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 개정, 중앙 혹은 지방 정부의 비용부담, 사회복지시설 실내 공기질 관리에 대한 교육 및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s these days people spend most of time at inner space, indoor air quality affect human life seriously. Government manage indoor air quality of various facilities based on different laws. Government released that they would try to protect environment for vulnerable people such children and seniors from indoor air pollutants in 2015. But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exception under current legal systems. Clients of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ies are the disables, the elderly, homeless and children and they usually stay inner space very long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e workers attitude and related factors about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69.5% of respondents agree to governments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80.9% of respondents think social welfare facilities must be included in legal system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Environmental awareness and law awareness were related with attitude to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 propose the amendment of law on indoor air quality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st burden of central or local government a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research o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후보

        사무실 근로자들의 실내공기질 인식에 관한 기초 조사 (K대학교를 중심으로)

        신은영,김광희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7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6 No.3

        Indoor Air Quality(IAQ) affects physical and mental state of person who is residing indoor. Also, it manages daily life condition of Indoor Air in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study, office workers spend 23 hours and 12 minutes, about 97% of his/her day indoor. Therefore, Indoor air quality affects not only the health of the person whose staying inside for a long hours but also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work. This study conduct investigations on employees’ awareness of indoor air quality of office in university. By doing so, we are able to determine current situation and provide basic data of improvement for derived problems. As a result,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ventilation and moisture which are elements of Indoor Air Quality. These led people to struggle with symptoms of health. Therefore,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of a university office, it is necessary to exchange the air six times an hour according to recommendation of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s (ASHRAE)in the United States. Also, plan for Ventilation system that consider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flow indoor shall be provided for high quality conformabilit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ultilateral in factors of generation of revenue through health care savings of workers and improvement of productivity. 실내공기질(Indoor Air Quality, IAQ)은 실내에 상주하는 이용자의 심신에 영향을 주는 공기의 질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보통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건물 내부의 공기상태이다. 과거에 비해 많은 사람들이 실내에서 거주하는 시간이 증가하였고,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사무실 근로자의 경우, 하루의 약 97%인 23시간 12 분을 실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오랜시간 거주하는 근로자의 특성상 실내공기질은 건강뿐 아니라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에도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발표되었다. 따라서 향후, 대학 사무공간의실내공기질의 개선을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미국의 냉동공조학회(ASHRAE)의 권고 사항처럼 1시간에 6회 이상의 공기 교환이 이루어 져야 할것이며, 질 높은 쾌적함을 위해서 온습도 및 기류까지 고려한 환기시스템 계획이 세워져야 한다. 또 외기공기 유입을 막아 무조건적인 에너지 비용의 저감만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적절한 환경 제공을 통해기대되는 근로자의 의료비 절약과 생산성 향상을 통한 수익 발생 등의 요인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Perception Level and Proper Management of Indoor Air Quality Recognition in Elderly Care Hospital Workers

        Mi-Suk Choi(최미숙)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1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병원의 실내공기질 관리계획을 제안하고자 노인요양병원의 실내공기질 수준을 측정하고 근무자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측정 항목은 온도, 습도, CO2, CO, PM10, VOC이며 2019년 4월 26일에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실내 공기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실외 공기질이 더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실내환경 요소 중 악취가 가장 낮은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실내 공기질의 만족도가 높을 경우 실내환경 요소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중응답 분석결과 "환기 부족"이었고 회귀 분석 결과 "공기질 관련성" 항목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인 요양 병원의 실내 공기질 환경을 최고 수준으로 유지하려면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환기 장지를 추가로 설치하고 자연 환기 횟수를 늘리고 정기적인 환기담당자를 지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내 공기질 환경을 제공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plan for a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in elderly care hospital by measuring the indoor air quality level of elderly care hospital and conducting a survey the workers" awareness of indoor air quality. The measurement items were Temperature, Humidity, CO2, CO, PM10, VOC and were taken on April 26, 2019. The survey found that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with indoor air quality, the better outdoor air quality and odor items were analyzed to be the lowest among the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When the satisfaction level of indoor air quality is high, the satisfaction level of indoor environment factor is high.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sponse analysis was “lack of ventilation”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the lower the "relevance of indoor air quality" category. To provide the best indoor air quality environment for elderly care hospital workers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ventilation equipment to remove odor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atural ventilation and the designation of regular ventilation personnel will be necessary. By establishing such a pla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door air quality environment to provide the best services for elderly care hospital workers.

      • KCI등재

        실내,외 통합 모델링 및 인체 위해성 평가를 통한 실내 유해화학물질의 관리 전략

        신용승 ( Yong Seung Shin ),임혜숙 ( Hye Sook Lim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환경정책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 공기내의 유해화학물질의 농도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실내 공기질의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서울대에서는 실내 공기내의 유해화학물질의 농도 예측을 위한 ‘통합적 실내 공기질 모델(IIAQ)’을 개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IIAQ모델을 사용하여 실내 공기내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도출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서 제시된 시나리오에 따른 인체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IIAQ 모델을 통해 예측된 톨루엔과 포름알데히드의 10년 평균 농도는 실내에서 207.3 ug/m3, 36.4ug/m3, 실외에서의 측정값은 55.9 ug/m3, 8.62 ug/m3 으로 현재 실내 공기질 기준에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해성 평가 결과, 포름알데히드의 노출로 인해서 예상 가능한 발암 위해도가 성인 남성 그룹에서 최대 1.05E-0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수용체 그룹에서 자연적인 암 발생률인 1E-06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톨루엔에 대한 비발암 위해도는 모든 수용체 그룹에 대해서 1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 심각하게 우려할 만한 비 발암 위해성이 나타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 수행된 신축 공동주택에서 신축 후 10년간의 관심 화학물질인 톨루엔 및 포름알데히드에 농도 변화에 대한 모델링 결과 실내 오염원이 실외 오염원에 비해 실내 공기 오염에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해물질 위해도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주요 실내 공기 오염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이 수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위해성 평가 결과는 현재의 실내 공기오염 기준치에 준하게 노출되었을 경우에 발암 위해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현재의 실내 공기오염 기준치는 실내·외 오염원으로부터의 모든 노출 경로에 대한 총 노출량을 감안하여 총 노출 및 위해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적절한 기준치로 재정립 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trategies regarding indoor air pollutants while considering various factors affecting indoor pollutants concentration. The Integrated Indoor Air Quality model (IIAQ) develop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used for this study. The IIAQ model is a tool that can provide an integrated view to indoor environmental pollution by simulating suggested scenarios. The results of the modeling are used to assess health risk. The concentrations that are used for the risk characterization are weighted concentrations based on the period of time in each place and existing Indoor Air Quality (IAQ) standards. The estimated concentration of toluene and formaldehyde for 10 years through the IIAQ model was 207.3 ug/m3 and 36.4 ug/m3 in indoors, and 55.9 ug/m3 and 8.62 ug/m3 in outdoors. These concentrations are lower than the existing IAQ standards. The estimated carcinogenic risk of formaldehyde is up to 1.05E-03 for the adult male group and exceeds 1E-06 for all receptor groups. This value means that cancer could affect one person out of 1000. The estimated non-carcinogenic risk of toluene was lower than 1, which means that there was no serious non- carcinogenic risk. The result of modeling shows that using low emitting indoor sources i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for both formaldehyde and toluene. This risk assessment suggests that the total exposure levels of existing IAQ standards may cause serious carcinogenic risk. In order to avoid uncontrolled risk, it is suggested that the current IAQ standards should be adjus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total amount of exposure from all exposure pathways from indoor and outdoor sources.

      • KCI우수등재

        고등학교 무용연습공간의 실내공기질 연구: PM<sub>10</sub>, CO<sub>2</sub>를 대상으로

        박연지(ParkYeonJi),김영재(KimYoungJae)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3

        본 연구는 고등학교 무용연습공간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측정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무용연습공간의 실내공기환경 유지를 위한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무용연습공간의 실내공기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교육부(2017)에서 공고한 학교보건법에 명시된 공기질 등의 유지·관리기준에 근거하여 온·습도와 미세먼지(PM<sub>10</sub>), 이산화탄소(CO<sub>2</sub>)를 측정 항목으로 설정하여 2018년 6월 11일에 경기도 지역의 고등학교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무용연습공간의 온도와 습도의 측정결과 온도 25.5℃, 습도 52.6%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무용연습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결과 평균 2,766ppm으로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 정한 다중이용시설의 유지기준(1,000ppm)과 비교 하였을 때 다소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무용연습공간의 미세먼지 평균농도는 11.2㎍/㎥으로 기준인 100㎍/㎥을 만족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 무용연습공간이 적정한 실내 온·습도 조건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무용연습이 진행될 때는 미세먼지의 수치가 올라갔으므로 신체활동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 무용연습공간의 실내공기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과학적 기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무용연습공간의 특성에 따라 실내공기 질에 대한 정량적·정성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seek management plans for keeping indoor air environments of high school dance practice rooms pleasant by measuring the indoor air quality of a high school dance practice room.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oor air quality of a high school dance practice room, temperature·humidity,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10μm(PM<sub>10</sub>) and carbon dioxide(CO<sub>2</sub>) were measured at a high school of Gyeonggi-do area in June 11st 2018, based on the maintenance criteria of the air quality specified in the School Health Act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2017).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of the dance practice room were measured at 25.5℃ and 52.6%. Second, the average CO<sub>2</sub> concentration of the dance practice room was 2,766ppm, which was a little higher than the maintenance standard(1,000ppm) of public facilities specified in the Indoor Air Quality Control Act. Third, the average PM<sub>10</sub> concentration of the dance practice room was 11.2㎍/㎥ that satisfied the standard 100㎍/㎥. As shown above, the high school dance practice room maintained proper indoor temperature·humidity conditions, but the PM<sub>10</sub> concentration rose during dance practice and it is therefore considered that this may influence physical activities. These results can provide scientific fundamental data to be used in establishing indoor air control measures of high school dance practice rooms. In the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practice room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indoor air quality would be required in the future.

      • KCI등재

        청정환기장치 최적제어를 위한 IoT 기반 실시간 공기질 모니터링 플랫폼 구현

        수던프라사드우프레티 ( Sudan Prasad Uprety ),김유신 ( Yoosin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이용해 실내공기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유기화학물과 온도, 습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할 수 있는 실시간 실내공기질 모니터링 서비스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구현하였다. 이를 실내공기 정화시설인 청정환기장치와 연동하여 실시간 실내공기질 상태에 따라 환기장치 최적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플랫폼은 청정환기장치 내외부에 장착된 실내공기질 측정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IoT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공/처리/적재하는 클라우드 데이터 처리부, 적재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공기질 현황을 웹과 모바일에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데이터 분석 서비스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플랫폼의 가동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공기질에 민감한 영유아의 교육 생활환경인 국공립 어린이집 교실을 대상으로 실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 결과는 웹과 모바일에서 실시간으로 시각화 서비스될 수 있도록 실증 구현하였고, 환기장치의 실내공기질 개선효과는 실내공기질 측정 센서들의 측정값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공기질 개선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real tim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and controlling platform on cloud using IoT sensor data such as PM10, PM2.5, CO2, VOCs, temperature, and humidity which has direct or indirect impact to indoor air quality. The system is connected to air ventilator to manage and optimize the indoor air quality. The proposed system has three main parts; First, IoT data collection service to measure, and collect indoor air quality in real time from IoT sensor network, Second, Big data processing pipeline to process and store the collected data on cloud platform and Finally, Big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service to give real time insight of indoor air quality on mobile and web application. For the implication of the proposed system, IoT sensor kits are installed on three different public day care center where the indoor pollution can cause serious impact to the health and education of growing kids. Analyzed results are visualized on mobile and web application. The impact of ventilation system to indoor air quality is tested statistically and the result shows the proper optimization of indoor air quality.

      • KCI우수등재

        학교교실의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환기장치 및 공기청정기의 연동제어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연구

        박환출,이동현,이정재 대한건축학회 202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6 No.5

        This study presents the energy-saving sequential control algorithm to handle indoor CO₂and PM2.5 for the improvement of the air quality ofschool classrooms. To solve indoor air quality (IAQ) problems, air cleaning and ventilation systems are mainly used for school classrooms. Although air cleaning is able to collect PM2.5, it is difficult to remove harmful gas substances. The ventilation system is suitable to tackleCO and CO₂, the volume ventilation, however, is relatively small. In this paper, to remove CO₂and PM2.5, the pollutant balance equation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is reviewed. The sequential control algorithm of the ventilation and air cleaning system with four levels ofcriteria is introduced for the effective removal of pollutants. The proposed sequential control algorithm confirms that indoor CO₂and PM2.5can be properly controlled below the standard value. In addition, the sequential operation of air cleaning and ventilation systems has shownsignificant improvement in IAQ compared to the independent ventilation system operation. Particularly, such systems are efficient whenoutdoor PM2.5 is high. 본 연구에서는 CO2 및 PM2.5 관점에서 학교교실의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환기장치 및 공기청정기의 에너지 절약적 연동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청정기, 환기장치와 같은 설비의 적용이 급증하고 있다.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오염물질 수지방정식을 검토하였다. 오염물질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4단계 기준을 갖는 환기 및 공기청정 시스템의 연동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환기시스템 단독 운전시보다 공기청정 시스템과 연동시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대폭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나타났다.

      • KCI등재

        친환경건축물의 실내공기질 (TVOC, HCHO) 평가방식 개선을 위한 예측방정식 개발에 관한 연구

        강혜진(Kang, Hae Jin),김혜연(Kim, Hye Yeon)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5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9 No.2

        The majority of certification systems evaluate indoor air quality by the conside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indoor air quality (e.g. interior architecture finishing, the possibility of bake out, ventilation rate, etc.) as individual items. These individual evaluation methods considering individual factors, offer a simple method for a rapid evaluation of indoor air quality during the planning stage of the method. However, these evaluation methods make it difficult to grasp the degree of overall improvement in the indoor air quality, and they cannot accurately reflect how much each of these items contribute to the indoor air quality improvement in terms of their weighted values. Although a number of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indoor air quality, they cannot perform rapid calculations because of being too complicated and requiring various input values. Hence, in this study, we aim to develop a certification system with a simple equation that can be used for an overall evalu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To set up a variable to be input in the equation, the factors examined for the analysis included: wall/ceiling paper, adhesive for wall/ceiling paper, floor material, adhesive for floor material, and ventilation rate. The experimental design which helped us identify the main factors, among the main factors, with a minimum number of experiments was used as a measure to decrease the number of experiments. The indoor air quality scenarios were simulated using a validation eq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s were used as data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load prediction eq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