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법상 강제추행죄의 역할

        이 원상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017 刑事判例硏究 Vol.25 No.-

        Recently, the scop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has widened significantly. Also, the citizens are increasingly aware that most cases of indecent assault are done by forcible compulsion so, there is no animosity towards the expansion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However, it is somewhat inappropriate to expand the rol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n our criminal law. Because, in our criminal justice system, it is not intended to punish anyone for abusing all sexual harassment, but it is designed to punish people for violating their sexual decision–making rights by mobilizing force. Of course, indecent acts are reprehensible. But, it is necessary to think again about trying to punish indecent acts in the area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at is why the responsibility of the criminal law can be damaged. In such a sense, I agree with the supreme court decision in conclude. However, there has been a growing social interest in recent sexual assault. And the demand for punishment for indecent assault is on the rise. Therefore, it is a great burden to insist on reducing the role of indecent act of compulsion in criminal law. This paper does not claim to be lenient on sexual assault by reducing the role of indecent act of compulsion. but, within the principle of criminal law, indecent act of compulsion in criminal law should be more rationally applied. Because, criminal punishment is not the master key to solve all crimes. Indecent act by blitz(sexual harrassment) should not be included in the concept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us, indecent act by blitz should be punishable by a separate crime as sexual harrassment. And indecent act by compulsion should just play its own role. as it were, indecent act by compulsion should play its planned role in principles of responsibility of criminal law.

      • KCI등재

        강제추행죄에 있어서의 폭행‧협박의 의미 - 대법원 2023. 9. 21. 선고 2018도13877 전원합의체 판결 -

        황나영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아주법학 Vol.17 No.4

        대상판결 다수의견은 이른바 ‘폭행‧협박 선행형 강제추행’에 있어서 폭행‧협박의 의미에 관하여, 상대방의 항거를 곤란하게 할 정도로 강력할 것임이 요구되지 않고 상대방의 신체에 대하여 불법한 유형력을 행사(폭행)하거나 일반적으로 보아 상대방으로 하여금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는 정도의 해악을 고지(협박)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1) 문언해석 및 보호법익의 관점에서 다수의견의 해석은 ‘강제’추행의 문언 범위 내에 있고 다수의견에 따를 때 기존 판례 법리 하에서 자칫 항거곤란 여부에 대한 수사와 심리에 집중하게 될 수 있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성적 자기결정의 자유에 대한 두터운 보호가 가능하다. (2)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의 관점에서도 다수의견에 의할 때 폭행‧협박 선행형 강제추행에 있어서의 폭행‧협박과 그러한 폭행‧협박이 아닌 행위의 구별이 명확해지므로 같은 사실관계에 대한 강제추행죄 성부의 판단이 달라질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3) 위력에 의한 추행과의 구별과 같은 체계정합성 등의 면에 있어서도 다수의견에 따를 경우 불법한 폭행이나 협박을 한 뒤에 추행을 하였다면 강제추행에 해당하고 아동‧청소년과 같은 취약자에 대하여는 자유의사를 제압 또는 혼란케 할 정도의 위력만 행사하였더라도 아동‧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과 같은 특별법에 의하여 처벌대상이 되는 것인 점 등을 고려할 때 다수의견으로 인하여 체계정합성 등에 문제가 생긴다고 보기는 어렵다. (4) 이른바 기습추행 법리와의 관계에 대하여는 기습추행에 관한 기존의 확립된 판례 법리는 그대로 적용되어야 하고 다만 대상판결 이후에는 기습추행 사안에서 ‘기습성’ 유무 자체보다는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는 유형력 행사’가 있었는지를 중심으로 강제추행 성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형사처벌 범위의 지나친 확장 우려는 강제추행의 고의 유무 검토 등으로 구체적 타당성을 도모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bject judgment ruled that the violence or intimidation in the ‘violence or intimidation-preceding indecent act by compulsion’ is not required to be strong enough to make the other person hard to resist, but means using illegal tangible force to the body of the other person or telling the other person about the harm, one is willing to give, enough to cause the fear to the ordinary person. (1) In the aspect of the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the law and the right to protect by the criminal punishment, indecent act ‘using illegal violence or intimidation’ can be included in the literal meaning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Also the majority opinion can protect the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by solving the problem of focusing on the fact that whether the victim could resist the indecent act easily or not during the investigation or the trial, which could happen according to the previous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2) In the matter of the legal stability and the predictability, the majority opinion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making different conclusions of judgment(guilty or not) on the same fact because it can clearly distinguish the violence or intimidation of the ‘violence or intimidation-preceding indecent act by compulsion’ from the behavior which is not. (3) In the matter of the organization of the criminal statutes structure, such as distinguishing the indecent act by threat of force from the indecent act by compulsion, according to the majority opinion, indecent act after using the tangible force or intimidation can be evaluated as ‘the indecent act by compulsion’ under the CRIMINAL ACT and the indecent act by using only the threat of force enough to suppress or confuse the free will of the vulnerable victim like minors, is punishable under the special law such as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AGAINST SEX OFFENSES, therefore the majority opinion does not cause the problem to the organization of the criminal statutes structure. (4) In the relation with the legal principle about the indecent act by blitz, the established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about the indecent act by blitz regarded as the indecent act by compulsion should be applied like before. After the subject judgment, in the cases of the indecent act by blitz, it is possible to focus more on the fact that if there was the tangible force using against the other person’s will or not, rather than the fact that how fast or sudden the indecent act was. Concerns about the excessive extension of the punishment range can be reduced by making the right and just conclusion in each case through examining whether there was the intent of the indecent act by compulsion or not during the investigation or the trial.

      • KCI등재

        강제추행죄가 성립하기 위한 강제추행의 요건

        류부곤(Ryu Bu Gon) 한국형사법학회 2016 刑事法硏究 Vol.28 No.4

        형법상 강제추행죄가 성립하게 되는 ‘강제추행’의 개념에 대해서는 대법원이 소위 ‘기습추행’을 그 형태의 하나로 인정한 이래로 실무와 학계 사이에 상당한 이견이 존재하고 있다. 강제추행이라는 개념의 성립에 있어 전제가 되는 ‘추행’행위의 내용적 성격에 대해 행위자의 관점에서는 ‘성적인 자극ㆍ흥분 또는 만족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라는 점과 피해자의 관점에서는 ‘일반인에게 성적 수치심과 혐오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행위’이면서 ‘성적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라는 것을 학계나 실무나 모두 대체적으로 동의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어떠한 행위가 ‘강제추행’으로 평가되어 강제추행죄의 의율대상이 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학계의 일반적인 시각과 실무에서 인정되는 범위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추행행위와 ‘강제적’ 추행행위가 개념적으로 구별되는 것인지에 대한 관점의 차이, 그리고 강제추행죄의 객관적 구성요건인 ‘강제추행’의 성립에 있어 그 수단으로 ‘폭행ㆍ협박’을 요구한다는 것의 의미에 대한 관점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이 글은 대법원 판례로 나타나는 실무의 입장과 학계의 견해를 추행개념과 폭행협박의 의미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강제추행죄의 보호법익인 성적 자기결정권의 의미, 추행의 개념분석, 폭행협박과 추행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의 순서로 강제추행죄가 규정하는 강제추행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의 대안으로 단순추행죄의 입법필요성과 입법적 논의를 기술하였다. The concept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s necessary for a criminal offense to be established by korean criminal law. However, since the Supreme Court admits that ‘indecent act by blitz’ is on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ere is a difference in opinion on the concept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between the legal practice and legal academia. The concept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ncludes sexual molestation. The concept of the sexual molestation that academics and practitioners generally agree is as follows. The content of sexual molestation is an act in which an actor acts for sexual stimulation, excitement, or satisfaction, and is an act that causes the victim to feel feelings of sexual shame and disgust, and is an act that infringes the victim s sexual freedom. However,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interpretation of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practice in relation to the specific scop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which is the subject of criminal offense. The reasons for this difference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opinion as to whether conceptual distinction can be made between simple indecent act and forced indecent act. And the objective constitution of the forced indecent act is forced assault by means of assault or threat, where there is a difference in opinion on the meaning of assault or threat. This paper analyzes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academics viewpoint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sexual molestation and threat and assault expressed in cases and doctrines and analyze the meaning of sexual self - determination righ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exual molestation, and the threat and assault. In conclusion, I can not agree with the interpretation that the present indecent act by compulsion as criminal offense includes indecent act by blitz, and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a crime of simple indecent act in order to punish indecent act by blitz.

      • KCI우수등재

        기습추행미수에 관한 검토- 대법원 2015. 9. 10. 선고 2015도6980, 2015모2524 판결 -

        민수영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6

        The Supreme Court classifies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under Article 298 of the Criminal Code into two types: 'Indecent act after compulsion' and 'Indecent act as compulsion'(so-called 'surprise indecent act'). 'Surprise indecent act' is a crime that does not require result, that is a crime of action.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said, "The execution of the indecent act by compulsion is in the exercise of tangible power against the will of victim, that is assault, and this is the same in 'surprise indecent act'." But this is not valid. Because 'surprise indecent act' is a crime which is immediately constituted if there is an assault. In other words, the initiation of the execution of the 'surprise indecent act' should be applied to a different standard from that of the 'Indecent act after compulsion'. On the basis of the general theory, it is reasonable that the initiation of the execution of the 'surprise indecent act' is recognized when there is a direct action which is possible to directly fulfill actus reus. 대법원은 형법 제298조의 강제추행죄를 폭행‧협박 후 추행(편의상 ‘협의의 강제추행’이라 칭하기로 한다)과 폭행행위로서의 추행(이른바 기습추행)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면서, 각 유형에서 요구되는 폭행‧협박의 시기 및 정도를 달리 보고 있을 뿐 아니라, 기습추행에서는 폭행‧협박이 추행의 수단이 될 것을 요하지도 않는 듯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법리에 따르면 기습추행은 거동범으로 해석될 수 밖에 없다. 기습추행은 폭행행위로서의 추행이므로 상대방의 의사에 반한 유형력의 행사(폭행)가 있다면 즉시 기수에 이르고, 그와는 별도의 추행행위(또는 폭행‧협박행위)가 필요하지 않으며, 폭행‧협박행위와 추행행위와의 인과관계나 추행행위와 구별되는 별도의 결과발생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거동범적 성격을 가진 기습추행에서 미수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인가? 거동범에서도 범죄자가 계획한 행위를 종료하지 못한 경우 착수미수는 인정된다. 그렇다면 기습추행의 실행의 착수시기는 언제로 볼 것인가? 본건에서 대법원은 강제추행죄의 실행의 착수시기는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는 유형력의 행사, 즉 폭행행위 시에 있고, 이는 기습추행에서도 마찬가지라고 하였지만 이는 타당하지 않다. 앞서 본 바와 같이 기습추행은 폭행행위가 있다면 그 즉시 기수에 이르는 거동범이기 때문이다. 본건에 관하여 보면, 피고인은 ‘뒤에서 피해자를 껴안는 행위’를 하려고 하였다. 이는 상대방의 의사에 반한 유형력의 행사이고, 이 행위 자체가 추행행위로 평가될 수 있으므로, 이른바 폭행행위로서의 추행 즉 ‘기습추행’에 해당한다. 그런데 피고인은 피해자를 껴안는 행위에는 이르지 못하였으므로, ‘착수미수’가 성립할 수 있다. 또한 피고인의 행위(피해자의 뒤에서 양팔을 높이 들어 벌린 행위)는 구성요건적 행위(뒤에서 피해자를 껴안는 행위)에 시‧공간적으로 접근하여 있고, 별도의 중간행위도 개입할 필요가 없는 행위로 평가될 수 있으므로, 기습추행의 ‘실행의 착수’에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기습추행미수에 해당한다는 판례의 견해에는 동의한다. 그러나 판례가 설시한 바와 같이 위 피고인의 행위를 피해자의 폭행행위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피해자의 신체를 향한 유형력의 행사는 없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 폭행행위(뒤에서 양팔을 높이 든 행위)는 추행으로 평가되기도 어려운데, 이를 강제추행의 폭행행위로 인정한다면 결국 본건에서 폭행행위로서의 추행은 없는 것으로서, 기습추행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결론에 이르는 것이 논리적일 것이다. 즉, 기습추행의 실행의 착수시기는 협의의 강제추행에서의 실행의 착수시기와 다른 기준이 적용되어야 한다. 결국 본 판결의 결론에 있어서는 동의하지만, 기습추행의 착수시기를 폭행행위 시로 본 점과, 피해자의 뒤에서 양팔을 벌린 행위를 폭행행위로 인정한 점은 동의하기 어렵다. 기습추행미수는 성립 가능하지만, 그 실행의 착수시기는 폭행행위 시가 아니라, 구성요건 실현을 위한 직접적 행위 시에 인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 KCI등재

        직접정범과 간접정범의 구별 및 자수범에 관한 고찰 - 피해자를 피이용자로 하는 강제추행죄와 관련하여 -

        김종구 ( Kim Jong Go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4

        간접정범은 타인을 범행매개자로 이용하여 자신의 범죄를 실현하는 것이므로, 범인 자신이 직접 범죄를 실행해야 하는 자수범(eigenhandiges Delikt)의 경우 간접정범이 성립할 수 없다. 그러나, 간접정범이 성립할 수 없는 자수범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자수범의 개념은 간접정범 성립의 한계와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이다. 대법원은 강제추행죄를 정범 자신이 직접 범죄를 실행하여야 성립하는 자수범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처벌되지 아니하는 타인을 도구로 삼아 피해자를 강제로 추행하는 간접정범의 형태로도 범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간접정범의 피이용자에는 피해자도 포함될 수 있으며, 피해자를 도구로 삼아 피해자의 신체를 이용하여 추행행위를 한 경우에도 강제추행죄의 간접정범에 해당할 수 있다고 본다. 강제추행죄는 피해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의 침해에 초점이 있는 것이며, 행위자의 신체만이 수단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3자를 이용한 간접정범 형태로도 범할 수 있다고 해석된다. 따라서, 대상 판례에서 대법원이 강제추행죄의 자수범성을 부정한 것은 타당하다. 간접정범과 직접정범의 구별도 우리 형법상 간접정범이 교사 또는 방조의 예에 의해 처벌된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 대상 판례처럼 강제추행죄에서 피해자가 피이용자가 되는 경우 배후자는 강제추행죄의 직접정범으로 보는 해석도 필요하다. 다만, 직접정범과 간접정범의 구별에 관한 이론에 비추어 보면, 대상 판례에서는 피해자인 피이용자의 행위를 맹목적인 인과요소로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배후의 이용자가 강제추행죄의 간접정범이 된다고 판단한 대법원 판례의 입장은 타당한 측면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제추행죄의 간접정범에 관한 대법원 판례와 관련하여 먼저, 강제추행죄가 자수범에 해당하는가를 검토하면서 자수범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직접정범과 간접정범의 구별 기준을 살펴보면서, 대상 판례처럼 피해자가 피이용자가 되는 2자 구조에서 배후자를 간접정범이 아닌 직접정범으로 볼 수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Indirect crime is to realize one's criminal act by using another person as an agent, with the proviso that an indirect principal (Principal through an Innocent Human Agent) cannot be established in the case of eigenhandige Delikte crimes (offences that can only be directly committed by the principal), such as perjury.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over the concept and scope of eigenhandiges Delikte crimes, which is an important issue with regards to the establishment and limitations of indirect crimes.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termined that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cannot be regarded as an eigenhandiges Delikt (where the offender has to carry out the crime by himself). The Court held that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can also be committed in the form of an indirect crime in which victims are forcibly molested by others who are not otherwise punishable. In addition, the innocent agent of an indirect crime may include a victim, and even if the victim is used as the innocent agent to molest the victim's own body, the act may constitute an indirect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s focused on the victim's righ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the violation of which may by means other than that of the offender’s body, such that it can also be carried out in the form of an indirect crime using a third party as an instrument. Therefore, it was reasonable that the Supreme Court of Korea held that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s not an eigenhandiges Delikt. The distinction between indirect and direct crime is also important in that under the Korean criminal law, indirect crime is punishable through accomplice liability. Consequently, if a victim becomes an innocent agent in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e actor behind the crime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direct principal of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However, in this case, it is hard to say that the victim's act is not a direct causal factor. Consequently, the Korean Supreme Court's decided that the offender behind the crime is the indirect principal of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n this paper, the author first explores, with respect to the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 on indirect principal of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e meaning of eigenhandiges Delikt,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n addition, by focusing on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en direct and indirect principals, the author reviews whether the person behind the crime could in the alternative be regarded either as a direct principal, and not as an indirect principal, respectively, in which the victim becomes an innocent agent, as in the Supreme Court case.

      • KCI등재

        강제추행의 성립범위 확장과 성강요죄 입법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법원 2018.2.8. 선고 2016도17733 판결을 중심으로 -

        양랑해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법학논고 Vol.0 No.65

        Recently,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ruled establishment of indirect perpetration on indecent act by compulsion, in case by threatennig the victim, the victim touched her own body without offender’s direct touch. The contents of the case are as follows. The offender(male) were threatening the victim(female) would spread pornographic photographs, video of her. and then he told her to touch her body or to masturbate, and she did so. in that case, despite the lack of offender’s direct touch, the Korean Supreme Court ruled that it is indirect Perpetration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About the case, the first trial court ruled that it is indirect perpetration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but the appeal court ruled that it is just a offense of compel. So look at what the results are different, despite the sexual freedom of self-determination was violated, the case is controversial whether to admit simple offense of compel or to admit establishment of indirect perpetration on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e Supreme Court has argued in the previous cases that if no-touch can be regarded as the same as touch, it is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erefore, In this case, the victim was forced to follow intent of the perpetrator by threatening to spread the victim's pornographic photographs and videos, and the perpetrator used the victim as the sexual tool of him, for these reason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establishment of indirect perpetration on indecent act by compulsion. However, according to the 'Nullum crime sine lege' principles, there is a lot of criticism about the fact that no-touch is regarded as touch. so, it is doubtful whether the establishment scope of indecent assault was expanded by recognizing the establishment of indirect perpetration. Historically,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expanded the establishment scope of indecent assault in the following order; Even if the assault and intimidation were not preceded, court acknowledged that If touched, a crime is established; In interpreting the concept of indecent assalt, the offender's sexual intent is excluded; It is touch if no-touch can be regarded as same as touch. Every time the scope is expanded, many criticisms have been made. The case examined in this paper is also subject to criticism. This paper is not intended to criticize establishment of indirect perpetration on indecent act by compulsion but to express critical thinking about the excessive expansion of the establishment scope. Besides rape and sexual assault which using means of assault and intimidation, Considering that the freedom of sexual self-determination of victims in various ways are being violated, I think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a crime punishable by 'the type that forces or accepts sexual behavior'. If it does, it will be able to reduce the controversy and protect the victim's sexual self-determination broadly. 최근 대법원에서는 직접적인 신체접촉이 없이 협박하여 피해자 스스로 자신의 몸을 만지게 한 경우 강제추행의 간접정범이 성립한다는 판결이 나와 화제다. 사건은 피고인과 피해자간 직접 접촉 없이 피해자의 음란한 행위가 담긴 사진과 동영상을 유포한다고 협박하여 피해자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의 몸을 만지거나 자위를 하게 하였다면 강제추행의 간접정범이 충분히 성립한다고 판시하였는데, 1심에서는 강제추행을, 항소심에서는 강요죄 성립을 인정하였지만 대법원에서는 다시 강제추행의 간접정범 성립을 인정함으로써 직접적인 접촉 없이 간접정범의 방법으로도 강제추행이 성립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심급마다 서로 다르게 의율한 것을 보면 이번 사건은 단순강요죄를 인정할 것인지 아니면, 성적 자기결정권 침해를 인정하여 강제추행의 간접정범을 인정할 것인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사건이다. 대법원은 비접촉 추행이 강제추행이 될 수 있는 요건 즉 「접촉과 동등하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 에 대해 “사진과 동영상의 유포 협박에 의해 어쩔 수 없이 행해졌고, 피해자를 도구로 삼아 성적자유를 침해하고 있어 피고인이 직접 접촉한 것과 동등하다고 평가할 수 있으므로” 간접정범의 성립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죄형법정주의 관점에서 이미 비접촉 추행의 인정에 대하여 상당한 비판이 있는 상황에서 간접정범을 인정하면서까지 피고인에게 불이익한 지나친 확장해석을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지울 수가 없다. 대법원은 강제추행죄에 있어서 ‘기습추행의 인정’ , ‘행위자의 성적 의도 배제’ , ‘비접촉 추행’ 의 인정 순으로 추행의 범위를 확장해 왔는데, 그러할 때마다 이에 대한 비판은 꾸준히 이어져 왔다. 본 판결 역시 비접촉 추행의 방법의 하나로 간접정범 성립가능성도 인정함으로써 이러한 논란에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본 논문은 간접정범 인정의 부당성을 논하기 보다는 강제추행의 성립범위의 지나친 확장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서술한 것이다. 폭행·협박을 수단으로 하는 강간과 강제추행까지는 아니더라도 다양한 방법으로 피해자의 성적 자기결정의 자유가 침해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면 해석에 의한 개념 확장 보다는 ‘성적 행동을 하게 하거나 받아들이게 하는 유형’을 처벌하는 성강요죄를 입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할 경우 이러한 논란을 잠재우고 국민의 예측가능성을 보장하는 한편, 나아가 피해자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폭넓게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것이다.

      • Indecent Act by Compulsion in KOREA Criminal LAW

        Ryu Bu gon J-INSTITUTE 2017 Robotics & AI Ethics Vol.2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troversy over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concept of forced harassment in Korea, in particular so - called ‘indecent act by blitz’. The concept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s necessary for a criminal offense to be established by korean criminal law. However, since the Supreme Court admits that ‘indecent act by blitz’ is on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there is a difference in opinion on the concept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between the legal practice and legal academia. The concept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ncludes sexual molestation. The concept of the sexual molestation that academics and prac-titioners generally agree is as follows. The content of sexual molestation is an act in which an actor acts for sexual stimulation, excitement, or satisfaction, and is an act that causes the victim to feel feelings of sexual shame and disgust, and is an act that infringes the victim s sexual freedom. However,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interpretation of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practice in relation to the specific scop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which is the subject of criminal offense. This paper analyzes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academics viewpoint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sexual molestation and threat and assault expressed in cases and doctrines and analyze the meaning of sexual self - determination righ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exual molestation, and the threat and assault.

      • KCI등재

        기습추행의 의미와 그 판단기준

        조현욱 ( Hyun Wook Cho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一鑑法學 Vol.0 No.33

        본 논문은 대상판례에 나타난 기습추행의 의미와 그 판단기준을 평석한 것이다. 폭행자체가 추행행위가 될 수 있으나, 기습추행의 경우에는 그것이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피해자의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기 때문에 강제추행으로 평가될 수 없다. 폭행이나 협박 등을 전제하지 않은 공중밀집장소추행죄로 판단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위 대상판례에서의 행위장소는 인적이 드문 외딴 곳이기 때문에 공중밀집장소에 해당하지 않아 성폭력특례법 제11조에 의해서도 처벌이 불가능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강제추행의 고의는 행위자가 처음부터 피해자의 저항을 예상하고 이를 극복한 뒤 추행을 하겠다는 의사 또는 저항이 있을지 여부는 불확실하지만 만약 저항이 있다면 이를 극복하고서라도 추행을 하겠다는 미필적 의사가 있는 경우에만 인정된다. 대상판례의 사안의경우 추행행위 자체를 폭행으로 파악하는 견해에 의하면 고의를 인정할 여지가 있으나, 추행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견해에 의하면 그 자체로써 강제추행의 고의를 논할 실익이 없어지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에 따르면 대상판례의 사안과 같은 기습추행의 경우 강제추행죄로는 처벌이 어렵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기습추행을 형사처벌하기 위해서는 단순추행죄의 신설이 필요하다. 성폭력특례법 등 형사특별법을 향후 형법전에 편입하는 방향으로의 입법이라면 단순추행죄를 형법전에 규정하는 방식이 타당하고, 현실을 고려하면 성폭력특례법 제11조를개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장소 등을 불문한 추행 등의 행위를 처벌하는 단순추행죄를 신설한다면 지금까지 과도하게 처벌해왔던 부당한 사례들의 경우 행위와 형벌의 비례성을 유지할 수 있고, 공중밀집장소 외에서 발생하는 추행까지도 처벌 가능해 진다. 또한 사회구성원들의 성의식과 성적 자기결정권의 적극적 보호 및 성형법의 축소해석과 형법의 겸억성 원칙 등에도 부합할 것이다. This aricle goes on the meaning of indecent act by blitz and its criteria. Assault itself may indecent act, because a indecent act by surprise means not to overcome the resistance reality that exists assaulted the victim. So it can not be evaluated indecent act by compulsion. Also it can not be evaluated by indecent acts in crowded public places, because act places is not public crowded places. There is no necessity of discuss on the intention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according to opinion denying the enforceability of indecent act by surprise. In the case of indecent act by surprise, the punishment will be difficult to see. Therefore, in order to punish the indecent act by surprise new provisions is required. The simple way to define the reasonable and new provisions as absolute indecent act in Criminal Code, considering the reality could be one idea to amend Article 11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 KCI등재

        형법상 강제추행 개념의 해석 범위

        김준호(Kim, Junho) 한국법학원 2016 저스티스 Vol.- No.153

        형법 제298조는 강제추행을 벌한다. “폭행 또는 협박”을 수단으로 해서 사람을 추행하는 것이 동조가 정하는 강제추행이다. 이 “폭행 또는 협박”이라는 문구에 주목하여 과거에 판례는 먼저 피해자에 대하여 폭행 또는 협박을 가하고 추행을 하는 유형만을 강제추행이라고 인정했다. 그러나 그 후 판례는 폭행 자체가 추행이 되는 경우, 다시 말해 기습적으로 이루어지는 추행을 강제추행의 또 한 가지 유형으로 추가했다. 예고 없이 신체에 접촉하는 행위가 피해자의 성적 자유를 침해하면, 여지없이 강제추행의 유죄를 인정하는 것이 현 판례의 추세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신체에 접촉하지 않는 방식의 강제추행을 인정한 사례도 등장했다. 피해자에게 강제로 자신이 자위행위하는 모습을 보게 한 사례, 자위행위를 하여 피해자의 신체 가까이에 정액을 튀긴 사례에서 강제추행죄의 유죄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실무의 경향과 정반대로 대부분의 교과서는 강제추행죄가 ‘중대성 있는 육체적 접촉’이 있었던 경우에만 성립한다고 설명한다. ‘여자의 손이나 허벅지를 만지는 일’, ‘옷을 입고 있는 여자의 가슴을 만지거나 엉덩이를 쓰다듬는 일’ 등은 강제추행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 교과서의 일반적인 설명이다. 그 동안 축적된 판례를 바탕으로 현재의 학설의 서술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Article 298, an indecent assault by compulsion is defined as an act of committing obscenity on another person by means of “violence or intimidation.” The judicial precedents in the past solely focused on the terms “violence or intimidation” and only referred to those types of indecent acts as compulsory indecency if violence or intimidation was committed on a victim. However, another type of indecent act was added as compulsory indecency by the precedents due to necessity. If the act of violence itself became an indecent act, that is, if a sudden indecent assault was committed on another person it was acknowledged as another typ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If the act of touching the body without giving notice infringes upon the sexual freedom of the victim, current precedents showcase that it constitutes as a crime under indecent act of compulsion. Moreover, there have been cases where indecent acts by compulsion have been acknowledged even without any physical contact of the body. Forcing the victim to watch one masturbate, splashing semen close to the victim’s body after masturbating were acknowledged as indecent acts by compulsion. However, contrary to the court’s viewpoint, legal literature still mainly explain that an indecent act by compulsion can only be constituted as a crime with a significant physical contact. It is a general explanation of criminal law textbooks that touching women’s hands or thighs, or touching a woman’s breasts or hips with her clothes on do not constitute a crime under Article 298 on Indecent Act by Compulsion. Based on the precedents accumulated so far, this study calls for reexamining the description of the current theory.

      • KCI등재

        강제추행죄에서 ‘폭행 또는 협박’의 의미

        이준민 사법발전재단 2023 사법 Vol.1 No.66

        대상판결의 쟁점은 폭행 또는 협박이 추행보다 시간적으로 앞서 그 수단으로 행해진 이른바 ‘폭행·협박 선행형 강제추행죄’에서 상대방의 항거를 곤란하게 하는 정도의 폭행 또는 협박이 요구된다고 판시한 ‘종래의 판례 법리’(대법원 2012. 7. 26. 선고 2011도8805 판결 등)를 유지할 것인지 여부이다. 이에 관해서는 강제추행죄의 ‘폭행 또는 협박’은 상대방의 항거를 곤란하게 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상대방의 신체에 대하여 불법한 유형력을 행사(폭행)하거나 일반적으로 보아 상대방으로 하여금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는 정도의 해악을 고지(협박)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는 견해(제1설), 상대방의 항거를 곤란하게 하는 정도의 폭행 또는 협박이 요구된다고 판시한 ‘종래의 판례 법리’는 여전히 타당하므로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견해(제2설)를 상정할 수 있다. 제1설은 강제추행죄에 관한 현행 법규정이 폭행·협박의 정도를 명시적으로 한정하고 있지 않고, 피해자의 ‘항거곤란’을 요구하는 것은 강제추행죄의 보호법익이 정조가 아닌 헌법 제10조에 근거한 자유로운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인 점과 부합하지 않으며, 폭행·협박을 수단으로 원하지 않는 성적 행위를 하게 된다면 그로써 강제추행죄의 보호법익인 성적 자기결정권은 침해된다고 할 것이고, 근래의 재판 실무는 종래의 판례 법리에도 불구하고 가해자의 행위가 폭행죄에서 정한 폭행이나 협박죄에서 정한 협박의 정도에 이르렀다면 강제추행죄의 성립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운영되어 왔으므로, 사실상 변화된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현재의 재판현실과 종래의 판례 법리 사이의 불일치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된 논거로 한다. 제2설은 종래의 판례 법리는 강제추행 중 ‘강제’ 부분에 관한 법문언과 ‘항거곤란’을 기초로 마련된 성범죄 관련 특별법과의 체계에 부합하고, 준강제추행죄에서 항거불능을 요구하는 것과 해석상 균형이 맞으며, 종래의 판례 법리는 피해자의 현실적 저항을 요구하거나 2차 피해를 야기하는 법리가 아니고, 대법원이 수십 년 동안 반복적으로 선언한 법리로 학계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른바 ‘종합판단기준설’을 통해 구체적 타당성도 도모할 수 있는 법리로, 강제추행죄에 관한 종전의 판례 법리를 바꾸어 처벌범위를 확대하는 것은 국회의 입법절차를 통하여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주된 논거로 한다. 대상판결은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제1설을 다수의견으로 채택하고, 종래의 판례 법리를 변경하였다. 한편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에 의할 경우 앞으로 기습추행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추행’의 의미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관해 다수보충의견들이 개진되었다. 대상판결은 대법원이 강제추행죄에 대하여 ‘항거곤란’을 요구한 종래의 판례 법리를 폐기하고, 그로써 종래 법리와 현재의 재판 실무 사이의 불일치를 해소하며, 일반인들에게 금지된 행위와 허용된 행위의 경계를 분명히 이해하고 그에 따라 이를 행위규범으로 수용하도록 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The gist of the subject case pertains to whether to uphold the legal doctrine set by precedents concerning a so-called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preceded by violence or intimidation”, i.e., a criminal offense in which violence or intimidation was employed, as a means of committing an act of indecency, prior to the commission of indecency in temporal terms, stating that violence or intimidation must reach a degree of making the victim unable to resist (Supreme Court Decision 2011Do8805, Jul. 26, 2012). There are two perspectives: (a) “violence or intimidation” in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hereinafter “forcible indecency”)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reach a point of making resistance impossible, but rather, it means either to unlawfully use force on another person’s body (violence) or to warn of harm to the point of terrorizing the victim (intimidate); or, on the contrary, (b) the previous legal doctrine set by precedents, which concluded that there has to be violence or intimidation severe enough to cause the victim’s inability to resist, still remains valid and should therefore be upheld. The first view is based on the following rationale: (a) the existing statutory provisions concerning the crime of forcible indecency do not set forth an express limit on the severity of violence or intimidation; (b) requiring the victim’s inability to resist is in dissonance with the interest intended to be protected against the crime of forcible indecency, which is not chastity but the individual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based o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c) if a victim is drawn into unwanted sexual activities due to violence and intimidation, his or her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which is a legally protected interest against the crime of forcible indecency, would be infringed; (d) the recent court trials over the crime of forcible indecency have largely found the crime established if the offender’s act rose to the point of violence or intimidation as stated in the crime of violence or the crime of intimidation; and (e) the disparity between the present practice of the court that applies de facto revised standards and the previous legal doctrine of precedents needs to be resolv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view is based on the following rationale: (a) the previous legal doctrine set by precedents coincides with the statutory text concerning “compulsion” in the crime of indecent act by compulsion and special acts concerning sexual crimes focused on the victim’s inability to resist; (b) the previous legal doctrine set by precedents also strikes a reasonable balance of interpretation with the crime of quasi-indecent act by compulsion that requires the inability to resist of the victim; (c) the legal doctrine set by precedents neither requires the victim to have actually mounted resistance nor causes secondary damage, but rather, it has been repeatedly proclaimed by the Supreme Court for the past few decades and is supported by the academia; (d) the legal doctrine set by precedents is a legal doctrine by which concrete reasonableness can be achieved in individual cases through a so-called “theory of standards for comprehensive determination”; and (e) the scope of punishment can be expanded better by the legislative procedures of the National Assembly than by making changes to the legal doctrine set by precedents concerning the crime of forcible indecency. The subject case adopted the first view through careful deliberation and changed the previous legal doctrine set by precedents. In the subject case, Justices wrote opinions concurring with the Majority Opinion concerning how to delineate the boundary with surprise indecency and define the meaning of “indecency,” both of which are the issues that will be raised subsequently if following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bject case.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case is t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