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강현실에서 객체와 오디오의 상호작용

        조현욱,이종근,이종혁,Cho, Hyun-Wook,Lee, Jong-Keun,Lee, Jong-Hyeok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12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 특히 음향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더불어 고품질 오디오에 대한 요구와 함께보다 현실감 있는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실감 오디오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에서 실감나는 오디오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는 3차원 오디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에서 좀 더 나은 오디오 기술을 적용하여 실감나는 오디오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한 내용은 가상세계와 실제세계의 현실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커 위에 띄워진 3D 모델의 움직임에 따라서 움직임에 맞는 사운드. 즉, 거리, 각도 등의 변화에 따른 사운드의 크기 및 피치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하였다. The recent development in multimedia technology such as audio technology needs high quality audio system. Especially, Real Audio Technology is to be developed to play realistic sound. To meet this demands, researches on 3-Dimensional Audio which provides realistic audio effect i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re conducted. In this paper, how to provide realistic audio effect by using better audio technologies in augmented reality was investigated. In the study, the movements of the 3-Dimensional model on the markers were used to provide the sense of reality in virtual and real world. Namely, the sound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del. The change in distance and angle of the model affected the sound volume and the pitch.

      • KCI등재

        흰쥐의 소뇌에서 selenium 방법에 의한 아연이 함유된 세포의 확인

        조현욱,최은상,Cho, Hyun-Wook,Choe, Eun-Sang 한국현미경학회 1996 Applied microscopy Vol.26 No.4

        A zinc-specific method (selenium method) has been employed to identify the zinc-containing cells in the cerebellum of the rats. When rats were allowed to survive 24 hours after the sodium selenite administration, zinc selenide reaction products formed in zinc-containing cellular boutons are retrogradely transported to the somata of those boutons. And the zinc selenide products accumulated in somata of the cells can be rendered visible by silver amplification of developer. Zinc-containing cells identified by the method were Bergmann glial and granule cells. Labeled zinc-containing cells were absent in molecular layer and white matter of the cerebellum. In ultrastructural level, the zinc selenide products were located in lysosomes of somata of the zinc-containing cells.

      • KCI등재

        His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Zinc-containing Neurons in Rat Spinal Cord

        조현욱,한원동,Cho, Hyun-Wook,Han, Weon-Dong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1996 Applied microscopy Vol.26 No.2

        The somata and boutons of the zinc-containing neurons in the spinal cord of the rats were label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odium selenite and silver amplification. The labeled somata of the neurons were located in laminae V, VI, VII and X of the gray matter. The zinc selenium reaction products were retrogradely transported and precipitated into somata of the neuron with survival 8 hours. This observation suggest that all or part of the spinal cord zinc-containing neurons are interneurons. At survival 1 hour, the loaded axonal boutons with zinc precipitates of zinc-containing neurons were distributed in the gray matter and in the processes of lateral and ventral funiculi of the white matter. In particular, AMG stained boutons with huge form were appeared in the lamina IX. Ultrastructurally, the zinc precipitates were located in the cytoplasmic lysosomes or the vesicle within boutons of the zinc-containing neuron in accordance with survival times. Sodium selenite를 피하주사하고 은 증폭시켜 흰쥐 척수에 있는 아연이 함유된 신경원의 포체와 bouton을 표지하였다. 표지된 신경원 세포체는 회백질의 V, VI, VII 및 X층에 분포하였다. 8시간 생존시킨 경우 아연 셀레늄 반응물이 역행수송되어 세포체에 침전되었다. 이것은 척수에 있는 아연이 함유된 신경원의 전부 혹은 일부가 개재신경원인 것으로 생각된다. 1시간 생존시킨 경우 아연 침전물로 표지된 축삭 bouton들이 회백질과 백질의 척수전삭 및 복측삭에 있는 돌기에 분포하였다. 특히 AMG로 염색된 큰 형태의 bouton 이 IX층에 나타났다. 미세구조적으로 아연 침전물은 생존시간에 따라서 아연이 함유된 신경원의 세포질 리소좀이나 bouton 내의 vesicle에 위치하였다.

      • KCI등재

        마우스 비장내 수은의 미세구조적 위치

        조현욱,김명훈,이성태,Cho, Hyun-Wook,Kim, Myung-Hoon,Yee, Sung-Tae 한국현미경학회 1998 Applied microscopy Vol.28 No.4

        The autometallographic method was used to demonstrate the localization of mercury deposits in spleen of mouse. The mercury deposits were identified with the light and electron mocroscope. Mice were treated with methylmercuric chloride in the drinking water (demineralized water) for 40 days. Control and mercury treated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body weight and spleen weight per one mouse. Mercury grains were appeared in the germinal center of white pulp consist of a preponderancing lymphocytes, not in red pulp and capsule. At the ultrastructural level, mercury deposits were restricted to lysosomes of macrophage and lymphocyte. Specially, volume in lysosomes of the macrophage was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rcury localization in lysosomes i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immune activity.

      • KCI등재

        차량교통이 통제된 도로에서 진행된 집회 · 시위에 참가한 사람에 대한 일반교통방해죄 성립 여부

        조현욱(Cho, Hyun-Wook) 한국법학원 2018 저스티스 Vol.- No.168

        대상판결에서 대법원은 집회․시위 ‘단순참가자’의 일반교통방해죄 성립기준에 관한 종전 입장을 재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교통방해죄의 구성요건 중 “기타 방법으로 교통을 방해하는 행위”의 범위와 관련하여 협의설과 동등설에 따라 해석하면 대상판결 사안은 기타 방법에 해당되지 않게 되어 일반교통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결론내릴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이 여전히 광의설에 입각하여 판단하고 있는 부분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행 일반교통방해죄에 규정된 ‘기타 방법’의 범위를 집회 및 시위의 자유의 보호범위를 벗어나 도로를 물리적으로 파괴․파손하거나, 쉽게 제거하기 어려운 장애물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에 준하거나 동등한 수준으로 교통을 방해한 경우로 한정하여 해석․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대법원이 제시한 공모공동정범이론을 적용하게 되면 ‘단순참가자’조차 공동정범으로 처벌될 소지가 높아 가벌성의 확대를 가져올 우려가 상존하며, 집회 및 시위의 자유라는 기본권행사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법원은 ‘단순참가자’에 대한 일반교통방해죄 성립을 판단함에 있어 어떤 경우에는 일반교통방해죄 구성요건에 따른 판단을 하고 있는 반면 대상판결을 비롯한 일부 판결에서는 공모공동정범이론을 동원하여 판단하고 있으므로, 어느 것이 일반교통방해죄의 성립을 논증할 수 있는 명확한 판단기준인지 알기 어려워 예측가능성(법적 안정성)을 담보하기도 어렵다. 생각건대 대상판결 사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헌법재판소가 판단한 ‘기타 방법에 의한 교통방해’의 해석범위를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해석을 하는 대법원의 입장을 비판적 시각에서 바라보지 않고 도식적으로 일반교통방해죄를 적용하여 기소하는 검찰단계에서부터 ‘단순참가자’를 형법상 일반교통방해죄로 기소하는 것을 지양하고, ‘집시법’ 내지 도로교통법을 우선적으로 검토․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기본적으로 구성요건 해당여부를 따져 일반교통방해죄의 성립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특히 ‘기타 방법’의 범위는 협의설 또는 동등설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헌법재판소 결정의 취지에도 부합하는 합당한 해석이 될 것이다. 셋째, 현행 일반교통방해죄의 구성요건해석을 둘러싸고 여러 가지 논란이 제기되어 1995년에 일반교통방해죄가 개정되었으나, 여전히 ‘기타 방법’부분은 삭제되지 않고 존치되었다. 따라서 불명확한 구성요건을 보다 세분화하여 이를 명확하게 규정하는 재개정이 이루어진다면, 일반교통방해죄 성립 여부를 구성요건요소만으로도 충분히 판단할 수 있다고 본다. The subject case reaffirms the previous position on the criterion that the simple participant in assembly and demonstration can establish the Article 185 of the Criminal Act. There are three opinions for interpretation of vague and ambiguous “other means”. First, the narrow boundary theory argued that “other means”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similar degree to damage, destruction or blocking. Second, the Equivalent theory argued that “other means” should be interpreted only in the equal degree to damage, destruction or blocking. Third, the broad boundary theory argued that “other means” should be interpreted anything that can cause obstruction of traffic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narrow boundary theory and the Equivalent theory, the subject case is not applicable to other means, so general obstruction of traffic is not established. In order to solve the subject case, first, it is desirable to avoid the prosecution of a simple participant as a general traffic obstruction, and to review and apply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or the Road Traffic Act. Second, it is necessary to judge whether or not the general traffic obstruction is established based on the configuration requirements. Third,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unspecified constitutional requirements of the current general traffic obstruction. If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are clearly defined, there is no need to mobilize the joint-principal theory through conspiracy proposed by the Supreme Court. I think that it is enough to judge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general traffic obstruction by the constitutionality alone.

      • KCI등재후보

        과학기술시대의 형법

        조현욱 ( Hyun Wook Cho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소 2009 과학기술법연구 Vol.15 No.1

        Heutige Gesellshcaft ist die wissenschaftliche-technische Zeit. Je die wissenschaftliche Technik hoch entwickelt, desto das Strafrecht auch mehr entwickelt. Es geht hier um das Strafrecht in der wissenschaftlichen-technischen Zeit. Die Entwicklung der modernen Technik hat die grundlagende Veranderung an der Lebensweise und Form der menschlichen Gesellschaft. Durch die schnelle Gesellschaftsumwandlung verursachte Veranderung der Weltanschauung und der Lebensweise. In den modernen Gesellschaften alamieren fast taglich immer neue Meldungen uber eine zunehmende Beeintrachtigung unse aller Lebensgrundlagen. Ulrich Beck hat den Begriff der Risikogesellschaft als Kennzeichnung unserer Situation eingefuhrt. Um die Risiko zu beseitigen, wird auf der Seite der Kriminalpolitik mehr und mehr gefordert, die abstrakten Gefahrdungsdelikte noch zu erweitern und die Symbolcharakter des Strafrechts zu verstarken, d.h. sog. Risikostrafrecht. Die Aufgabe des Strafrechts soll daher systematisch geandert werden, um eine effektive Verfolgung und Pravention der neuen Kriminalitat zu ermoglichen. Die extreme Veranderbarkeit der modernen Technik ist eine ernstzunehmende Gefahrdung des Rechtsgebiet von dem Erfolgsrechts und der Grundprinzipien des Strafrechts nulla poena sine lege, wobei eine Kategorisierung des Verbrechensformen die Voraussetzung fur eine Verfolgung ware. Wie die Aufgabe des Strafrechts in der Beherrschung der tatsachlichen Problematik liegt, so bedarf es der Korrektur oder Uberarbeitung des Verfolgungsrechts zur neue Kriminalitat. Das moderne Strafrecht hat sich unter dem Parsdigma praventiver Zweckmaßigkeit stehenden, der Durchsetzung beliebiger politischer Zwecksetzungen dienenden Instrument staatlicher Krisensteurung entwickelt.

      • KCI등재

        수탁자의 명의신탁부동산 처분행위에 대한 형사책임

        조현욱 ( Cho Hyun-wook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일감부동산법학 Vol.9 No.-

        본 논문은 수탁자의 명의신탁부동산 처분행위에 대한 형사책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수탁자의 명의신탁부동산 처분행위에 대한 형사책임과 관련하여 학설은 다양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비해, 대법원 판례는 비교적 명확한 관점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3자간 명의신탁의 경우 수탁자의 처분행위는 횡령행위로 평가되지만, 계약명의신탁의 경우에 있어서의 그것은 적어도 형사처벌의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따라서 대법원 판례와 학설은 서로 통일적 해석을 이루어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계속적인 논란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대법원이 부동산실명법의 취지에 부합하는 판단을 내리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대법원 2012년 12월 13일 선고 2010도10515 판결에서와 같은 계약명의신탁의 경우뿐만 아니라 3자간 명의신탁의 경우에서도 수탁자의 명의신탁 부동산처분행위에 대하여 횡령죄의 성립을 인정하고 있는 판례의 태도는 타당하지 않다. 만약 대법원이 3자간 명의신탁의 경우에도 수탁자의 명의신탁 부동산 처분행위에 대한 가벌성을 인정해야 한다면, 매도인이 악의인 경우에도 그 가벌성을 인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매도인이 악의인 경우 계약당사자를 수탁자로 판단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 계약당사자 규명에 관한 대법원 판례의 관점에 따르면 계약당사자는 수탁자가 아니라 신탁자로 평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학설의 입장과 대법원 판례의 입장이 서로 통일적인 해석방향을 이끌어 내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종류의 명의신탁이든 부동산명의신탁에 대해서는 부동산실명법이 우선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형법의 적용을 자제하는 것이 형법의 보충성원칙에도 부합된다는 생각이다. 불법한 부동산명의신탁은 형법으로 보호할 만한 가치가 있는 신임에 의한 위탁관계가 존재하지 않고 위탁관계의 전제가 되는 원인행위 또는 위탁행위 자체가 불법을 구성하므로 형법상 법익보호의 필요성이 충족되지 않는다. 따라서 현행 부동산실명법은 부동산명의신탁을 금지하면서 이를 위반한 경우 신탁자와 수탁자 모두를 형사처벌하고 있는데, 수탁자의 처분행위에 대해 횡령죄를 인정하는 것은 명의신탁에 대해 위탁관계를 인정하는 것이 되므로 법해석상 논리적으로 모순된다는 지적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또한 명의신탁은 민법뿐만 아니라 형법상으로도 불법이므로 법질서의 통일성이라는 관점에서 신탁자의 수탁자에 대한 반환청구권을 인정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도 경청할만하다. 부동산실명법상의 벌칙이 횡령죄의 처벌보다 오히려 무겁게 규정하고 있으므로 수탁자의 명의신탁 부동산임의처분행위와 관련하여 형법의 적용을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으로 대법원이 부동산실명법의 입법취지를 고려하여 부동산실명법위반죄로 취급할지 아니면 형법상의 횡령죄 또는 배임죄로 취급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검찰에서도 현시점에서 선도적으로 부동산실명법 적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comes to legal principles of title trust of real estate in Supreme Court shown case. Focus of this paper is criminal liability for a title trustee who acts on disposal of real estate. As stated above can such a title trustee punished by embezzlement or breach of trust? The Types of title trust of real estate are registry title trust between the two parties, registry title trust between the three parties and contract title trust. In the case of registry title trust between the two parties and registry title trust between the three parties, title trustee is also punishable by embezzlement after Supreme Court case. In the case of contract title trust, title trustee is not punishable by embezzlement or breach of trust after Supreme Court case. But in theory are a variety of opinions on the criminal liability for a title trustee who acts on disposal of real estate, especially in the case of registry title trust between the three parties and in the case of contract title trust. It is right way to exclude the application of the criminal law in the case of registry title trust between the two parties and registry title trust between the three parties and also contract title trust. I hope that the opinions of Supreme Court and theory of Law to be identical to each other as soon as possible to show citizens and lawyer right overseeable direction.

      • KCI등재

        주간에 주거침입을 한 상습절도범에 대한 상습절도죄 및 주거침입죄의 죄수 문제

        조현욱(Cho, Hyun-Wook)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論叢 Vol.35 No.-

        대법원은 상습으로 단순절도를 범한 범인이 상습적인 절도범행의 수단으로 주간에 주거침입을 한 경우에 그 주간 주거침입행위의 위법성에 대한 평가가 형법 제332조 및 제329조의 구성요건적 평가에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그 주간 주거침입행위는 상습절도죄와 별개로 주거침입죄를 구성한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상습절도 목적으로 주간에 주거에 침입하였다가 절도에 이르지 아니한 경우에 절도미수로 판단하지 않고 별개의 주거침입죄가 성립한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상습절도 1죄만 성립한다고 판시한 기존판결의 입장과 배치되는 측면이 존재하며, 처벌의 불균형문제 및 별개의 주거침입죄 성립여부 그리고 상습범과 관련하여 해석·적용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습절도범에 대한 상습절도죄 및 주거침입죄의 죄수를 실체적 경합관계로 판시한 대상판례의 결론에는 동의하나, 아직까지 처단형의 불균형문제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해석을 통하여 이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처단형의 불균형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으로 주거침입과 결합된 절도죄의 규정을 정비하는 입법론적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야간주거침입절도죄를 폐지함으로써 일본형법처럼 주거침입과 절도의 결합가중형태의 구성요건을 없애거나, 독일형법처럼 주·야간을 구별하지 않고 주거침입절도죄로 통합하는 방안이다. The Supreme Court case(Decision 2015do8169 decided October 15, 2015) goes on the research on Numbers of Crimes of a Habitual Thief Committing Trespass. The Supreme Court can not see that this habitual theft if the thief during the day as a means of breaking and entering offenses in the assessment of the illegality of their actions contained in the daytime burglary Penal Code §332(habitual crimes) and §329(Larceny) sets of configuration assessment requirements. So daytime burglary was ruled that acts as a habitual theft burglary configured separately. Also, if habitual thieves who steal the riches that were in the daytime residential break, separate burglary is established. This position is the position of the existing arrangement which ruled that the decision entered into only habitual theft. A problem that occurs imbalance in sentencing between daytime and nighttime humidity habitual theft burglary, established issue of separate burglary and the problem of habitual crimes. The cause lies in the distinction between day and nigh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 offer that the new legislation of no distinction between daytime and nighttime theft as German and Japanese Penal Code.

      • KCI등재

        정신장애범죄인의 사법적 처우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조현욱(Hyun Wook Cho) 안전문화포럼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9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범죄의 예방과 정신장애범죄인의 치료 및 재범방지를 위한 사법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먼저 정신장애인의 개념을 살펴본 결과 각 개별법에서의 정신장애 개념 정의에 따라 그 범위가 다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범죄 비율도 매우 상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의학적 특성과 각 개별법의 입법목적에 비추어 볼 때 정신장애인의 개념을 일의적(一義的)으로 개념지우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무리하게 통일적 개념을 정의하기보다는 정신장애인 관련개별법의 목적과 의학적 관점에서 각 정신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치료 및 재범방지 목적을 보다 실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더 올바른 방향이라고 할 것이다. 현행 치료명령제도의 개선방안으로 치료명령대상자 범위의 확대, 판결 전 조사제도의 의무화, 복약검사 수인의무 규정 마련, 현행 정신장애범죄인의 사법적 처우가 법원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정신장애범죄인 등을 대상으로 한 전담법원 내지 전담재판부 신설, 나아가 현행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형 집행 종료 후 치료제도’ 도입을 제시하였다. 정신장애인의 개념 분화에서 보듯이 의료와 사법 양 영역 간 조화와 협력을 통한 대응체계의 개선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정신장애인 범죄의 예방 및 정신장애범죄인의 재범방지라는 형사정책적 목적을 보다 실효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paper goes on This paper goes on comparative study on the judicial treatment for mentally ill criminals. This study seeks judicial counter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mental disorder crimes, treatment of mentally ill criminals, and prevention of recidivism.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 of mental disorder, it can be seen that the scope differ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mental disorder in each individual law. Even if the scope is different, if such a mental disorder or mentally ill person belongs to the category of mentally ill subject to judicial treatment such as treatment orders, the category of mentally disabled can be considered relative.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treatment order system are the limited scope of treatment order subjects, the voluntary pre-judgment investigation system, the inadequacy of the compulsory prescription for taking medication tests, the issue of dual treatment orders and execution, and the absence of treatment plans after the execution of the sentence is over. As an improvement plan considering the human rights of criminals with mental disorders, the scope of treatment orders is expanded, the pre-judgment investigation system is mandatory, the regulation on the obligation to take medication tests, improvement of cost burden regulations, and the current judicial treatment of mentally ill criminals are mainly focused on the general court. In conside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mental health court or a dedicated tribunal for mentally ill criminals, and the fact that there is no treatment plan for mentally handicapped criminals whose sentences have been completed under the current law, 'Therapy after termination of execution of sentences' etc. were present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prevent crime through ‘preemptive treatment’ of the mentally disabled.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cope of this study, it does not suggest ways to improve the response system through harmoniz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medical and judicial fields. Therefore, in this study, only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as above to more effectively achieve the criminal policy or crime safety objective of preventing recidivism of mentally ill crimi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