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의 유형 및 이미지 활용 분석 - 이미지 전이, 변형, 확장 대표사례 중심으로 -

        박인평 ( Park Inpyung ),한정엽 ( Han Jungyeob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이미지생성 인공지능(AI)은 디지털 아트 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미국에서 열린 한 미술전에서 인공지능이 생성한 그림이 우승을 차지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며 콘텐츠 개발과 같은 기술적인 측면에 주로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사용이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의 유형을 살펴보고 활용 방안을 분석하여 향후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의 활용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활용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뉴럴네트워크 딥러닝(Neural Network Deep Learning) 의 개념과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의 유형 및 활용 사례를 고찰한 다음,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의 유형별 대표 사례를 찾아 활용적 특성을 분석한다. 대표 사례는 2022년 10월 31일 기준으로 온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이미지생성 인공지능 중 전이, 변형, 확장의 사례가 명확한 인공지능을 사례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표 사례의 활용적 분석을 위해서는 입력 방법, 이미지 스타일, 샘플 제안, 그리고 활용 총 4가지 세부 정보를 척도로 활용했다. 이후 각 대표 사례에 세부 척도를 대입해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첫째,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이미지 전이 유형의 대표 사례인 미드저니(Midjourney)에서는 text to image 방식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특성이 있으며 회화적인 이미지 스타일로 이미지를 만드는데 활용되고 있다. 둘째,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이미지 변형 유형의 대표 사례인 아트브리더(Artbreeder)에서는 기존의 이미지를 업로드 하거나 이미 만들어진 이미지에 슬라이더를 조정하여 새로운 변형을 제작하는 특성이 있으며 사진이나 반실사풍 이미지 스타일로 활용되고 있다. 셋째,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이미지 확장 유형의 대표 사례인 달리2(DALL-E 2)에서는 아웃페인팅, 인페인팅 기능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확장하거나 이미지 속 내용물을 수정하는 특성이 있으며 사진 이미지 스타일로 활용이 용이하다.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의 활용 특성으로는 입력 방법에 따라 편의성이 달라지고 툴에서 제공하는 효과에 따라 이미지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공하는 샘플의 수량과 차이로 원하는 이미지를 찾기가 수월해진다. (결론)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은 전이, 변형, 확장유형에 따라 입력방식과 이미지 스타일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미지를 활용하는 목적에 따라 알맞은 이미지 전이, 변형, 확장 인공지능을 선별하여 사용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Recently, image-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digital arts field. An AI artwork won an award and caused controversy at an art exhibition held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research on image-generative AI is still limited and mainly focuses on technical aspects, such as content develop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use image-generative AI in the future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ts use by examining the types of image-generative AI currently available on online platforms and analyzing ways to utilize them. (Metho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neural network deep learning and the types and utilization cases of image-generative AI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n found representative cases of each type of image-generative AI to analyze its utilization characteristics. Among the image-generative AIs available online as of October 31, 2022, those with clear cases of transfer, translation, and extension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cases.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the representative cases, four types of detailed information were used as scales: input method, image style, sample suggestion, and utilization. Subsequently, detailed scales were applied to each representative case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Results) First, Midjourney, a representative AI image generator that uses image transfer, generates images using a text-to-image method and is used to create images in a pictorial style. Second, Artbreeder, a representative AI image generator that uses image translation, creates a new translation by uploading an existing image or adjusting a slider on an already created image and is used for a photo-realistic or semi-realistic image style. Third, Dall-E 2, a representative AI image generator that uses image extension, extends the image or modifies its contents using inpainting and outpainting techniques, and is easy to use for photo-style images. Regarding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image-generative AI, the convenience varies depending on the input method and various translations of image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effects provided by the tool.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amples makes it easier to obtain the desired image. (Conclusions) Image-generative AIs use different input methods and image styles based on transfer, translation, and extension. Therefore, users must select and use appropriate image transfer, translation, and extension AI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mage utilization.

      • KCI등재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의 유형 및 이미지 활용 분석 -이미지 전이, 변형, 확장 대표사례 중심으로 -

        박 인 평,한정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이미지생성 인공지능(AI)은 디지털 아트 분야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미국에서 열린 한 미술전에서 인공지능이 생성한 그림이 우승을 차지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며 콘텐츠 개발과 같은 기술적인 측면에 주로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사용이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의 유형을 살펴보고 활용 방안을 분석하여 향후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의 활용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활용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뉴럴네트워크 딥러닝(Neural Network Deep Learning) 의 개념과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의 유형 및 활용 사례를 고찰한 다음,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의 유형별 대표 사례를 찾아 활용적 특성을 분석한다. 대표 사례는 2022년 10월 31일 기준으로 온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이미지생성 인공지능 중 전이, 변형, 확장의 사례가 명확한 인공지능을 사례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표 사례의 활용적 분석을 위해서는 입력 방법, 이미지 스타일, 샘플 제안, 그리고 활용 총 4가지 세부 정보를 척도로 활용했다. 이후 각 대표 사례에 세부 척도를 대입해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첫째,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이미지 전이 유형의 대표 사례인 미드저니(Midjourney)에서는 text to image 방식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특성이 있으며 회화적인 이미지 스타일로 이미지를 만드는데 활용되고 있다. 둘째,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이미지 변형 유형의 대표 사례인 아트브리더(Artbreeder)에서는 기존의 이미지를 업로드 하거나 이미 만들어진 이미지에 슬라이더를 조정하여 새로운 변형을 제작하는 특성이 있으며 사진이나 반실사풍 이미지 스타일로 활용되고 있다. 셋째,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이미지 확장 유형의 대표 사례인 달리2(DALL-E 2)에서는 아웃페인팅, 인페인팅 기능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확장하거나 이미지 속 내용물을 수정하는 특성이 있으며 사진 이미지 스타일로 활용이 용이하다.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의 활용 특성으로는 입력 방법에 따라 편의성이 달라지고 툴에서 제공하는 효과에 따라 이미지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공하는 샘플의 수량과 차이로 원하는 이미지를 찾기가 수월해진다. (결론)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은 전이, 변형, 확장유형에 따라 입력방식과 이미지 스타일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미지를 활용하는 목적에 따라 알맞은 이미지 전이, 변형, 확장 인공지능을 선별하여 사용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Recently, image-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digital arts field. An AI artwork won an award and caused controversy at an art exhibition held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research on image-generative AI is still limited and mainly focuses on technical aspects, such as content develop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use image-generative AI in the future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ts use by examining the types of image-generative AI currently available on online platforms and analyzing ways to utilize them. (Metho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neural network deep learning and the types and utilization cases of image-generative AI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n found representative cases of each type of image-generative AI to analyze its utilization characteristics. Among the image-generative AIs available online as of October 31, 2022, those with clear cases of transfer, translation, and extension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cases.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the representative cases, four types of detailed information were used as scales: input method, image style, sample suggestion, and utilization. Subsequently, detailed scales were applied to each representative case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Results) First, Midjourney, a representative AI image generator that uses image transfer, generates images using a text-to-image method and is used to create images in a pictorial style. Second, Artbreeder, a representative AI image generator that uses image translation, creates a new translation by uploading an existing image or adjusting a slider on an already created image and is used for a photo-realistic or semi-realistic image style. Third, Dall-E 2, a representative AI image generator that uses image extension, extends the image or modifies its contents using inpainting and outpainting techniques, and is easy to use for photo-style images. Regarding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image-generative AI, the convenience varies depending on the input method and various translations of image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effects provided by the tool.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amples makes it easier to obtain the desired image. (Conclusions) Image-generative AIs use different input methods and image styles based on transfer, translation, and extension. Therefore, users must select and use appropriate image transfer, translation, and extension AI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mage utilization.

      • KCI등재

        실버세대 남자 유명인의 퍼스널 이미지 유형화 및 선호도 분석

        김애경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9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7 No.4

        Purpose: This study classifies types of personal image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rough personal image evaluation of South Korean silver generation male celebriti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ersonal image of silver generation male celebrities and to use the gathered information as basic data to develop an image making strategy by assessing personal image preference for silver generation. Methods: Fifty male celebrities, from the ages 55 -65,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evalua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9 adjective pairs and preference item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8 to April 12, 2019, and the final data, gathered from 200 participants, was used. Results: First,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personal image of silver generation male celebrities is indicated by an intelligent and a warm image. Second, there are four types of personal images of silver generation male celebrities, which are as follows: goodimpression image, sociable image, charismatic image, and quiet image. Third, Moon Se Lee has the most favorable male celebrity personal image among 20-year-olds, and Hyung Gi Cho’s image seems to be the most disliked. Conclusion: Implementing personal images based on th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ill enable one to plan their personal image. The top 20 most favored were ranked highest on the basis of attractiveness and good impression, sociable, and soft images, while the lowest were ranked on the basis of their unattractiveness and bad impression, unsociable, and non-individual images. It would be effective to use this result as a strategy to target 20-year-olds in the necessary areas. 목적: 이 연구는 실버세대 남자 유명인에 대한 퍼스널 이미지 평가를 통해 유형을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20대의 실버세대에 대한 퍼스널 이미지의 선호도 순위를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실버세대 남자의 퍼스널 이미지를 이해하고 이미지 메이킹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법: 자극물 대상은 55세에서 65세까지의 남자 유명인 50명을 19개의 형용사 쌍과 선호도 문항으로 구성한 설문지를 일대일 대인면접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3월 18일부터 4월 1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20대를 대상으로 최종 20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실버세대 남자 유명인에 대한 퍼스널 이미지에 대한 계층구조는 지적인 이미지와 따뜻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둘째, 실버세대 남자 유명인의 퍼스널 이미지의 유형은 4개로 구분되었으며, 인상 좋은 이미지, 사교적인 이미지, 카리스마 있는 이미지, 점잖은 이미지로 명명하였다. 셋째, 20대가 가장 좋아하는 남자유명인 퍼스널 이미지는 이문세, 가장 싫어하는 이미지는 조형기이며, 퍼스널 이미지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매력적인, 인상좋은, 진취적인, 온순한, 따뜻한, 강한, 사교적인, 점잖은, 부드러운, 개성 있는 이미지 순이다. 결론: 이 연구에서 각 유형에 따른 분석된 특징을 바탕으로 추구하는 퍼스널 이미지를 구현한다면, 개인 또는 이미지 메이킹 기획에 도움을 줄 것이다. 20대의 선호 1위는 매력적인, 인상 좋은, 사교적인, 부드러운 이미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에 최하위는 매력적이지 않은, 인상 나쁜, 사교적이지 않은, 개성 없는 이미지에서 가장 높은 점수로 평가한 결과를 필요한 영역에서 20대를 공략하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 한다면효과적일 것이다.

      • KCI등재

        성격 유형별 선호하는 의복이미지와 의복구매 행동

        오현정 한국의류학회 2001 한국의류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red clothing images and clothing behaviors on personality types. Personality types were applied using Myers- Briggs Type Indicator(MBTI). Clothing image preferences were measured using 28 adjectives of 5-point so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1 female using questionnaire to prefer on clothing images, consumer information sources and retail store types. The data analysed with crosstab analysis, t-test, MDS.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ual, sporty, fresh, youthful, western, and simple image. Extroversion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casual, sporty, fresh, youthful, and western style more than introversion types. Sensing and intui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inine and strong image. Sens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feminine style more than intuition types. Think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simple image more than feeling types. Judging and perceiv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ceful, lofty, and strong image. Judg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graceful and lofty style more than perceiving types.

      • KCI등재

        Theses: The Study on Fashion Beauty Design and Emotional Image by External Image Type of Korean Male Idol Stars

        ( Joo Mee Kim ),( Se Yeong Shin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1 패션 비즈니스 Vol.15 No.6

        This study is purposed to categorize external image types of Korean male idol stars, an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and beauty design for each type and through such, the study is meant to identify the various types of male image and to provide data of image making. As part of the empirical study, it selected well-known 15 groups of male idol stars who were active during February of 2008 and August of 2010, categorized the image types by their photographic data,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fashion and beauty design for each type.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image types, a survey was also conducted. The image types of male idol stars, which were classified through a workshop by a group of image-related experts, were categorized with 6 types that are Elite, Urban Chic, Charisma, Rebellious child, Toy boy, and Homme Fatale. The six types of male idol stars have a great relation with the modern male trends and images, and that the male idol stars have been leading the trends and presenting the image by the public preference. In addition, as shown the above, the recent male image appears as a mixed image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showing a complex aspect that does not dominates with one image, and that it was found out to constantly be changing in the flow of times.

      • KCI등재

        남성 아이돌 스타의 외적 이미지 유형 연구

        김주미 ( Joo-mee Kim ),신세영 ( Sae-young Shin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0 미용예술경영연구 Vol.4 No.3

        At present, idol stars are dominating Korean popular culture world and setting the social trend, and interest in men's appearance is increasing. In this context, male idol stars' body images, receiving positive response from the public, are leading the development of men's appearance management business.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image types of male idol stars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and beauty design by image typ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ous male image types and provide data for making images. As research methods, idol stars' images and male trend images were reviewed in literature and as empirical methods, 15 groups with high public recognition were selected among male idol groups that were active from February 2008 to August 2010, and their image types were classified through their activity pictures. The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and beauty design by image type were analyzed. The image types of male id이 stars were classified into six: Elite, Urban Chic, Charisma, Rebellious Child, Toy Boy and Homme Fatale. Each image type show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and beauty desig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ix image types are highly associated with modern male trend images, and male idol stars are making their images according to the public preferences as well as leading the trend.

      • KCI등재

        SF영화 속 히로인(heroine) 패션이미지유형과 변화

        임민정(Im, Min Jung),박문희(Park, Moon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SF 액션영화 히로인의 패션이미지 유형을 분류하여 히로인의 패션 이미지 변화를 규명하는 것이다. SF액션영화 히로인에 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영화 속 패션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온라인 영화 기사에서 영화의상을 표현한 어휘와 액션영화 속 히로인 이미지를 수집했다. 표적집단면접법(FGI: Focus Group Interview)을 시행하여 히로인 의상디자인 특성과 히로인 의상 이미지유형을 분류하고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히로인 의상디자인은 하이브리드, 이상적 신체미, 하이테크적 특성을 가진다. 둘째, 히로인 패션이미지 유형은 페티시이미지, 워리어이미지, 퓨쳐리즘이미지, 스포츠이미지로 분류되었다. 셋째, 유형별 히로인 패션이미지의 변화는 페티시이미지는 워리어 이미지와 퓨처리즘 이미지와 혼합되는 현상이 나타나 노출보다는 바디라인을 강조한 강하고 스마트한 지적인 여성이미지로 변화되었다. 워리어 이미지는 남성적 군복스타일 의상에 퓨처리즘 이미지가 결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스포츠이미지가 퓨처리즘 이미지와 혼합되어 현대 여성이 지향하는 날씬하면서도 젊고 건강한 바디라인을 표현하는 이상적 히로인 캐릭터 이미지를 시각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F액션영화 히로인 패션이미지는 현대여성의 사회적 참여와 지위향상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역할의 구분에서 벗어나 젊고, 건강하고 대담함을 지닌 지적인 여성적 영웅의 이미지로 변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types of heroines fashion images in modern SF action films and explored changes in fashion images. Based on literature study on heroine in modern SF action films, analysis based on collected vocabulary shown on articles that expressed costumes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costume design of the images were collected.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by type. Fashion images of action heroins were analyzed by collecting information from in-depth workshops and focus group interview of an exper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stumes to express heroine image are characterized by hybrid, ideal body image, high-tech. 2) Types according to fashion image of heroine with Focus group interview were classified to fetish image, warrior image, futuristic image, and sports image. 3) classified types in image of action heroine have been changed. Fetish image is mixed with warrior image or futuristic image that emphasize the body shape rather than exposure. Therefore Image of the costumes expresses a strong, smart and intelligent woman image. Warrior images were analyzed as being futuristic images are combined. Sports images are mixed with futuristic images were analyzed by expressing the slim, young and perfectly shaped female body image of modern women of heroine. As the study results, the study described classified types by year, explored change in image of action heroine, and then, drew change of female image. Fetish image in the early 2000s was changed to futuristic image and sports image in 2010s. This change means that action movies heroine images are changing to image of intellectual, perfect shaped and bold heroine, going beyond distinct roles of women and men.

      • KCI등재

        국내·외 SPA 브랜드의 이미지 기반 패션 큐레이션 이미지 유형 및 이용자의 이미지 선호에 관한 연구

        김지우 ( Ji U Kim ),오경화 ( Kyung Wha Oh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6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8 No.4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the types of images posted on official accounts operated by domestic and foreign SPA brands on Instagram and Pinterest, which are image-based fashion curations, and performed a survey on preferred image types in the fashion curations of SPA brands. It aims to induce active apparel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through the suggestion of image types about fashion curation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fashion brands and consumers. The survey to targets the 20s and 30s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23, 2015 until November 22 and conducted factor analysis, paired t-test. The above imag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previous studies: product images, brand images, lifestyle images, multiple imag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lso divided into four factors in line with the classification of image types. Generally, foreign SPA brands(H&M, Uniqlo, Zara) used image-based fashion curation services more frequently than domestic SPA brands(8Seconds, Mixxo, Spao, Tngt). The analysis of image types in the fashion curations of SPA brands showed that product imag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images used in the official accounts of SPA brands. However, the comparison of averages on the preferred image types of survey respondents showed that the users who had once visited the official accounts of SPA brands on Instagram and Pinterest preferred in the order of lifestyle information > product information > brand information > multiple information provided by SPA brand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CSR 활동 유형 및 메시지 유형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정은송,박병진,김도희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SR activity types on the corporate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Another purpose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SR message types (positive message vs. negative mess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SR activities and corporate image. To achieve the purposes, we categorized CSR activities into five different types that include th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s well as the four types of social responsibilities in Carroll’s(1991) model (economic, legal, philanthropic, and ethical). Based on the prior research and arguments regarding the effects of CSR activitie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each type of CSR activities would enhance the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image would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Further, it is expected that the impact of CSR activity types on the corporate image will be greater in negative messages than in positive 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ive types of CSR activities, legal, philanthropic,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rporate image, while economic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did not affect the corporate image. In particular, environmental and legal responsibiliti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corporate image, followed b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Second, with respect to the CSR message type, the negative type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image than the positive type. That is, environmental, legal, philanthropic, and ethical responsibiliti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for the type of negative message. However, only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rporate image in a positive message type. Thus,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rporate image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message types, while economic responsibility for corporate imag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message types. As a result, we found that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have the strongest impact on corporate image. We also found that environmental responsibility’s impact on corporate image affects not only negative message type, but also positive message type.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활동은 이제 필수적인 경영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품질과 가격만으로는 차별화와 경쟁력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CSR 활동에 대한 사회의 기대와 관심이 높아짐에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이미지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Carroll(1991)의 네 가지 평가 유형(경제적 책임, 법률적 책임, 윤리적책임, 자선적 책임)과 함께 최근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환경적 책임을 포함한 총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CSR 활동 유형이 기업의 이미지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책임 활동의 메시지유형(긍정 vs 부정)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효과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기업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책임 활동 유형은 환경적 책임, 법률적 책임, 자선적 책임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 및 부정의 메시지 유형별로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부정적 메시지가 더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정적 메시지에는 경제적 책임을 제외한 환경적, 법률적, 자선적, 윤리적 책임 활동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긍정적 메시지에는 환경적 책임만이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적 책임 활동은 전체 응답과 메시지 유형별(긍정 vs 부정) 영향분석 등에서 모두 높은 수준의 유의성을 보여 가장 견고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데 있어 CSR 활동 유형 및 메시지 유형에 따라 기업 이미지 및 구매 의도를 통해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에 맞는 CSR 활동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중등 예비교사의 교사상 유형 및 추구하는 교사상의 복합성 정도

        허영주 ( Youngju Hur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들이 추구하는 이상적 교사상을 유형화함으로써 예비교사는 어떤 유형의 교사상을 추구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유형이 단일적 유형인지 복합적 유형인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나아가 예비교사가 추구하는 이상적 교사상이 대학, 성별, 학년, 계열, 교과목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예비교사가 추구하는 교사상은 크게 다섯 가지로 유형화되었으며, 이것은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주로 ``새로운 수업을 하는 교사``가 되고 싶어 했으며, 다음으로 ``친근하고 신뢰로운 교사``가 되고자 하였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새로운 수업을 하는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예비교사의 비율이 높아졌다. 셋째, 65%의 예비교사가 단일한 유형의 교사상을 추구했고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 유형의 교사상을 추구하는 예비교사는 35%에 불과했다. 대학원생이 24학년보다 더 많이 복합적 교사상을 추구하고 있고, 4학년이 2, 3학년보다 상대적으로 복합적 교사상을 추구하는 비율이 높았다. 중등 예비교사들이 바람직한 교사상을 복합적으로 지니도록 돕기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에게 다양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관점을 제공하고 이와 같은 자질을 갖추도록 도울 수 있는 교사양성교육과정 편성을 위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상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is to categorize desirable image types of teacher that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pursue, and to grasp that they want to single image type or multiple image types, rate of they want to differ depending on university, sex, grade, major, sub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desirable image types of teacher that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pursue come in five types. Second, many of them want to``teacher to try alternative teaching``and that the higher the grade rise percentage of them want to it. Third, 65% of pre-service teachers to pursue single image type of teacher and 35% of them to want to multiple image types of teacher. Also, that the higher the grade rise percentage of them want to multiple image types of teacher.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o develop teacher training curriculum for give perspective of variable teachers` roles to pre-service teachers and for helps they get such professional abilities. Also, this suggested to studying constantly about desirable teacher`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