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plicability of New Literacy Studies in the Korean English Classroom

        Kim, Jeung Deok(김정덕) 새한영어영문학회 2020 새한영어영문학 Vol.62 No.3

        As literacy practices began to be considered embedd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literacy researchers tr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ose contexts on literacy practices, by examining and bridging the gap between inand out-of-school literacy practices. In this process,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the domain of literacy theory was possible, leading to the creation of the New Literacy Studies (NLS) approach. However, relatively little literac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from ESL/ EFL contexts as the NLS framework has been applied primarily in Western contexts. Therefore, this current study examines whether the NLS framework can be applied to English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do that, two literacy models, the autonomous model and the ideological model of literacy, are explained, focusing on how each model explains literacy. Then, the status of English and English education in Korea are examined in order to whether NLS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contexts with three primary tenets of NLS. This leads to the inapplicability or limitations of fully applying the NLS’ tenets to Korean contexts.

      • KCI등재

        A Study on an Immigrant and an International Student’s Literacy Transfer

        Yoon Jung Kim 한국언어과학회 2021 언어과학 Vol.28 No.2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atterns of literacy transfer of two Korean college-level students: an immigrant student and an international student, enrolled in a midwestern American university. Data collected from three interviews of each participant are analyzed under two general emerging themes: (1) literacy transfer between inside-school and outside-school contexts at the secondary school, and (2) literacy transfer between the first language(L1) and the second language(L2). Both participants' writing practices at home highly influenced their school literacy practices and vice versa. However, a discrepancy was found from participants' perceptions toward L1 to L2 literacy transfer. While one believed that L1 literacies had played a positive role in L2 literacies, the other perceived that L1 literacies had hindered L2 literacies. The results may yield significant pedagogical implications with regard to improving students' literacies.

      • KCI등재

        Survey on the Perception, Needs, and Experience of Literac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Korea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박현린(Hyun-Rin Park),정경희(Kyung Hee Jung),배소영(Soyeong Pae),윤효진(Hyoji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문해 평가 및 중재에 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 요구도 및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언어재활현장에서의 문해 평가 및 중재 현황을 살펴보고 더불어 어떠한 교육적인 요구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언어재활사협회 회원으로 등록된 언어재활사 중 설문에 응답한 75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응답자 기본정보, 문해관련 지식 및 교육 경험, 문해 평가 및 중재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교육 요구도, 문해 평가 및 중재 경험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현장 언어재활사들 중 약 90%가 문해 평가 및 중재가 언어재활의 중요한 영역임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로서의 지식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약 40%에 불과하였다. 또한 전체 중 90% 이상이 관련 교육 참여를 희망한다고 응답하였다. 대다수의 언어재활사들은 임상현장에서 문해 평가 및 중재가 필요한 사례를 본 경험이 있으나, 문해 평가로 이어진 경우는 이들 중 64%가량이었다. 언어재활사들은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문해지식의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였으며, 문해관련 교육 경험과 사례 경험이 있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문해지식의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대부분의 언어재활사들은 학력, 경력, 교육이나 사례 경험 여부와 상관없이 문해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답한 경우가 상당히 높아(95%-98%) 임상현장에서의 높은 요구를 살펴볼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로부터 추후 관련 교육의 확대 및 환경적 개선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Objectives: This survey study focused o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knowledge, perception, needs, and experience regarding literac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Methods: Among SLPs registered in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KSLP), 757 SLP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survey consisted of the respondents’ background information; knowledge of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literac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erception of the need for literac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long with the requirement for relevant training; and experiences with literac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Results: Only 40%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ve adequate expertise in literac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lthough about 90% realized the importance of literacy as SLPs. Over 90% of the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relevant training programs. Even though most SLPs had encountered clinical cases requiring literac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nly 64% of these cases received literacy assessments. Moreover, SLPs perceived they had a higher level of knowledge about literacy if they had more academic degrees, longer careers, had taken more classes regarding literacy, and more experience in the area of literacy. It is also noteworthy that most of them (95%-98%) responded indicating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ontinuing education on literacy regardless of the aforementioned factors (i.e., academic credentials, career, former education, and clinical experience). These findings indicate a high demand for literacy-related training for SLPs. Conclusion: From this study there seems to be an urgent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comprehensive training programs covering issues such as literacy related education and other systematic improvements for SLPs.

      • KCI등재

        발달적 관점에서의 문해력 교육 실행 방향 - 초등학교 교육 방향을 중심으로 -

        제민경 한국어교육학회 2024 국어교육 Vol.- No.184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적 관점에서 초등 문해력 교육의 지향을 단계별로 제안하는 데 있다. 문해력 개념이 지니는 다층적 속성에 대한 현장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 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발달적 관점에서 교육의 목표를 제시하기 위해 문해력 발달과 언어 발달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토대로 2학년과 3학년 사이를 주요 변곡점으로 보아 문해력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해력의 다층적 속성에 주목하여 목적, 매체, 화제(분야) 범주를 중심으로 목적 범주의 초기 문해력, 기능적 문해력, 비판적 문해력, 매체 범주의 미디어 문해력, 화제(분야) 범주의 일상적 문해력, 학문적 문해력, 문화적 문해력을 핵심 문해력으로 제시하고, 이를 학년군별로 강조점을 달리하여 배열하였다. 아동의 문해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일상적 문해력, 구두 언어의 고려를 강조하였고, 초등학교급에서도 학문적 문해력을 고려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다양한 준거 개발을 통한 실제적인 수준별 텍스트를 통해 문해력 발달과 향상이 동시에 지원되어야 함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ep-by-step direction for elementary literacy educatio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A survey of 6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to confirm awareness of the concept of literacy, and research on literacy and language development was conducted to present educational goals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Based on this review, the direction of literacy education was presented, considering the age of 10(third grade)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addition, literacy was multi-layered around the categories of purpose, medium, and topic(field). Early , functional, critical, media, everyday, academic, and cultural literacy were selected as core literacy skills and arranged by grade group in consideration of developmental stage. As a result, the consideration of everyday literacy and verbal language for literacy development was emphasized, and it was stressed that disciplinary literacy should be considered eve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o improve literacy. It was also suggest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xts by levels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 KCI등재

        기술 발전에 따른 리터러시 변화 연구

        이유미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용봉인문논총 Vol.-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changes in the research of literacy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t's to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teracy theory and the New Literacy theory. The ability to read and write after the birth of letters was essential to access information. Learning letters was the first thing to learn as a social competence. This was an essential means of understanding society beyond access to information. However, as technology developed, the means of producing and understanding information began to develop into various media as well as text.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y technology gave birth to visual literacy, and the invention of television has led to media literacy, with the advent of various digital media such as computers and smartphones, digital literacy has emerged. In modern times,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began to study post-human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literacy has changed not just to read and write letters, but to have the ability of critical social reading to understand society. As such, studying the history of literacy has a need and meaning as a basic task of exploring the purpose and object of " literacy" in the new era.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발전에 따른 리터러시의 대상과 목적의 변화를 확인할 뿐 아니라 리터러시에서 뉴리터러시로의 발전을 통한 리터러시 목적의 변화를 확인하는 데 있다. 문자 탄생 이후 문자를 이해하는 것은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역량이었다. 이에 문자를 배우는 것은 사회적 역량으로서 첫 번째로 학습해야 하는 대상이었다. 이는 정보의 접근을 넘어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 수단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술이 발전하면서 정보를 생산하고 이해하는 수단이 문자뿐 아니라 다양한 매체로 발전해 가기 시작하였다. 사진 기술의 발전은 비주어 리터러시를 탄생시켰고, 텔레비전의 발명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컴퓨터, 스마트 폰 등의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등장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생각하게 하였다. 현대에는 인공지능의 발달과 함께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리터러시의 목적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사회적 기초 역량으로 글자를 이해하는 것에서 사회를 이해하는 비판적 사회 읽기의 능력을 배양하는 것으로 변화함을 통해 단순히 매체 활용이 아닌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까지가 ‘리터러시’의 목적이 되었다. 본고를 통해 리터러시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새로운 시대의 ‘리터러시’ 목적과 대상을 탐구하는 기초적 작업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초등 저학년을 위한 문식성 교육

        노명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2 No.-

        현재 모든 나라에서는 국어(자국어) 교육을 가장 중요한 학교 교육으로 삼고 있다. 이는 국어 교육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지도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에서의 문식성 교육에 초점을 맞춘 이 논문에서는 문식성을 두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하나는, 문식성을 심리적 측면 특히 구성주의적 측면(더 정확하게는 ‘인지-사회-문화적 구성주의’)에서 살펴보고, 두 번째는 문식성을 교과과정과 지도방법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문식성은, 애초에는 읽기와 쓰기를 지칭하는 개념이었다. 그러다가 점차 인지가 발달하고 사회문화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문식성 개념은 말하기와 듣기까지 포함하는 언어적 의사소통, 고등사고기능, 국가발전, 문명사회 및 민주사회 형성으로까지 그 개념을 넓어졌다. 이런 확장된 문식성 개념 속에는 문식성을 보는 기저 이론의 발전도 포함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 확인 분석한 문식성의 기저 이론은, 그 발달 순서로 보면, 인지심리학, 스키마 이론, 구성주의, 독자반응이론, 사회문화적 이론이다. 본 논문의 두 번째 과제인 교육과정 검토에서 연구자는 문식성 개념을 일과성과 총체성으로 규정하면서 10가지의 핵심 지도 지도내용을 선정하였다. 이 핵심 지도 내용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고등학교에 이르는 전체의 교육과정에 모두 포함되어야 하는 핵심 지도 내용들이다. 문식성 교수 방법으로 연구자는 기능 지도와 전략 지도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면서, 전통적인 기능 지도의 개념을 비판하면서 인지구성주의적 문식성 지도 방법으로 전략 지도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전략 지도의 구체적 방법으로 피어슨의 책임이양 모형과 노명완의 과정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두 지도 방법은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과 비계설정 개념에 기초하는 방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derlying theories of the concept literacy, and the curriculum and methods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concept of literacy in its early period meant only reading, and then included the 4-language behaviors as a whole. But as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psychology, the increase of the demandstirom high technological society, the concept of literacy extended widely, as we knowtirom such phrases as ‘language and literacy’, ‘literacy and high-order thinking skills’, ‘literacy and communication’, ‘literacy and education’, ‘literacy, society, and culture’, ‘literacy and national development’, ‘literacy and democracy’.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concept of literacy in two aspects: One is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theories in the concept of literacy, and the other is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of literacy education. As of the underlying theories, I examined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five theories such as cognitive psychology, schema theories, constructivism, reader response theory, and sociocultural theory. In the study, I also examined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basic approaches I took in the examination was the wholesome psychological process of literacy, which means, the reading process includes the whole processes from decoding, to word recognition, sentence comprehension, reading strategies, and to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monitoring. And I suggested two instructional models, Pearson’s ‘Explicit Instructional Model’ and the ‘Process-centered Comprehension Model’ that was developed by the writer of this paper, Myeong-wan Noh. These two instructional models heavily depended upon the Vygotsky’s ZPD(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Scaffolding 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wo points: One is that the concept of literacy is highly reader-based cognitive, constructive, and sociocultural processes, and the other is that the teaching of literacy even in the early stages of elementary school should be reader-based strategic, and self-regulatory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AI 시대의 리터러시 특성에 관한 연구 : AI 리터러시와 관계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이유미(Yi Yu-mi)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10 No.-

        이 연구는 AI 시대라는 21세기 기계 문명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 필요한 기초적 역량이 무엇인가를 고찰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AI 리터러시와 관계리터러시를 정의하였다. AI 리터러시는 AI 시대에서 필요한 기초역량이 무엇인가를 리터러시 이론의 발전 역사를 통해서 정의하였다. AI 리터러시는 전통적 리터러시인 3Rs(읽기, 쓰기, 셈하기)를 습득하고 사회에 대한 읽기가 가능하도록 교육하는 사회적 리터러시를 함양하여 발전하는 기술시대에 바르게 적응하는 기술리터러시 능력 배양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기술 리터러시는 디지털 리터러시, 미디어 리티러시, ICT 리터러시 등의 다양한 기술 기반의 리터러시를 포함하며 나아가 AI 시대에 필요한 AI 이해와 활용을 포괄할 수 있도록 디지털리터러시가 아닌 기술 리터러시로 포괄하였다. 또한 포스트휴먼시대를 맞아 관계에 대한 다원성을 이해해야 하는 현대 사회인의 관점에서 관계 리터러시를 정의하고 이들 리터러시 간의 영향 관계에 따른 구조와 AI 시대라는 특수한 시대에 맞는 역량이 무엇인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AI 시대의 리터러시 역량으로는 다언어능력, 혁신성, 포용력, 다변화 이해력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새로운 시대에 맞는 기초 역량을 새롭게 해석해 본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미를 가진다. 그뿐 아니라 ‘관계’는 기존 연구에서 리터러시의 대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지만 기술 사회에서 ‘관계’가 새로운 사회의 많은 의미를 함축한다는 지점에서 이를 리터러시의 대상으로 인정하고 그에 대한 특징을 살펴 영향성을 평가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ncepts and competences of literacy necessary in the AI era. The literacy needed in the AI era is AI literacy and relationship literacy. AI literacy is the ability to adapt to changing cultures due to AI and recognize them critically. Relationship literacy is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various beings created by AI technology and to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s. AI literacy is based on functional literacy, social literacy, technological literacy. Functional literacy, a traditional literacy, refers to acquiring 3Rs (reading, writing, arithmetic). Social literacy is to educate people to read about society, and technology literacy is to learn basic technology skills necessary for the times. Technology literacy encompasses not only digital literacy, media literacy, and ICT literacy, but also AI utilization capabilities. In the posthuman era, there are various forms of relationships. Relationship literacy was defined to understand the relevance of various forms of relationships. In addition, this paper showed the structure between these literacy and the competence of each literacy. Literacy competences in the AI era are multilingual ability, innovation, inclusion, and understanding of divers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ed ‘relationship in literacy and suggested what basic competences are needed in a new era.

      • KCI등재

        문식성 재개념화와 새로운 문식성 교수,학습을 위한 방향 탐색

        옥현진 ( Hyoun Jin Ok ) 청람어문교육학회 2013 청람어문교육 Vol.47 No.-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literacy instruction after summarizing recent discussions on literacy reconceptualization and examining what has to be taught essentially. As the concept of literacy changes according to media development and the change of social needs, recent discussions on literacy reconceptualization in the academic circle look inevitable. Three convergent theme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regarding literacy reconceptualization; multimodal literacy, loc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literacy practic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four basic directions for literacy instruction were discussed; facilitating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rospection of the essence of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needs of the education for media adaption, designing classes based on the interaction with real worlds, and utilizing literacy sponsors.

      • KCI등재

        초등학교 중학년 문식성 평가 방향 탐색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literacy assessment method for middle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assessment study of literacy in its early period was conducted for early grades or whole grades of elementary school. But this study focus on middle grades literacy assessment. I argued that 1)the traits of literacy education and literacy assessment in middle grades: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cy education, the guiding principles for literacy, and the personalized assessment for literacy. 2)the assessment ways o f literacy for middle grades: t he f eatu res, t he e lements, a nd the methods of the personalized literacy assessment. In this study,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mprovement in student’s ability of literacy. So, I considered that the personalized assessment of literacy must contribute to learning literacy of middle grades. Because of it should clarify the learned factors of literacy and to learn the factors,and then it offers suggestions to the literacy teaching for contents and methods on middle grades. 초등학교 중학년 문식성 교육은 저학년에서 형성한 기초 문식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기초 문식력은 문식활동을 할 수 있는 토대로 문자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요건을 갖춘 수준이다. 중학년 학생들은 문식력을 이루는 문식요소를 익힘으로써 학교 학습과 문식생활에 필요한 문식력을 갖출 수 있다. 중학년에서 갖추게 되는 문식력은 세련된 문식생활을 위한 토대가 된다. 중학년의 문식성 교육은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학습과 문식생활 참여로 이루어진다. 문식력 향상은 문식요소를 많이 습득하고, 문식요소를 사용한 문식활동을 적극적으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문식생활 참여는 문식활동을 필요로 하는 삶의 장면에서 문식요소를 활용하여 이해와 표현 활동을 하는 것이다. 문식력 향상이 학습 활동을 통하여문식력은 높이는 것이라면 문식생활 참여는 문식활동을 직접 함으로써 문식력을 높이는 것이다. 학생의 문식력은 문식학습과 문식활동의 상보작용으로 신장된다. 중학년 문식성 평가는 문식력 향상의 결과와 문식생활 참여 활동을 평가해야 한다. 문식력 향상의 평가는 문식 요소를 학생들이 습득했는지를 파악해야 하고, 문식요소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문식생활에 참여하여문식요소의 활용 능력을 높이고, 세련된 문식생활을 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중학년 문식성 평가는 이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미래 대학 교양교육의 핵심 영역으로서 ‘다중 문해력(Multi-Literacy)’

        김종규 ( Kim Jong-gyu ),원만희 ( Won Man-hee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4

        본 논문은 미래 대학교양교육이 ‘다중 문해력(Multi-Literacy)’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다중 문해력의 의의는 다양한 매체들의 등장으로 생겨난 새로운 리터러시들과 전통적인 문자 리터러시의 통합적 체계 구축에 있다. 디지털 전환과 함께 등장한 정보획득 수단으로서 새로운 매체들은 그 사용자들의 인식, 지각구조의 변화를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리터러시’, ‘데이터 리터러시’ 등 리터러시의 다중화를 수반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전통적인 문자 리터러시의 지배력은 현격히 약화하였다. 그래서 새로운 개별 리터러시의 특성에 대한 강조 속에서 우리의 교육적 관심은 리터러시 본연의 의미와 역할보다는 특화된 리터러시 기능에 맞춰졌고, 매체의 특성에 부합하는 기술 활용 능력을 배양하는 일에 목표를 두게 되었다. 그러나 리터러시는 인간의 세계를 읽고 이해하고 또 그것을 이루는 정신적 활동으로, 인간의 실존적 존재 방식을 상징한다. 따라서 올바른 리터러시 교육은 이러한 리터러시 본연의 의미와 역할의 이해 속에서 이뤄져야 한다. 이 시점에서 전통적인 문자 리터러시의 위상은 새롭게 정립되어야 한다. 비록 그 지배력은 크게 약화되었지만 여전히 문자 리터러시가 지닌 토대적 기능은 사라질 수 없다. 문자 리터러시는 서로 통약불가능해 보이는 새로운 리터러시들 사이에서 교량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문자 리터러시는 병렬해 있는 리터러시들 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또 그 새로운 리터러시가 지닌 철학적, 인식론적 의미를 반영한다. 따라서 문자 리터러시에 여러 리터러시들의 융합 토대로서의 역할이 주어져야 하며, 그것이 작금의 리터러시의 위기에 대한 실질적 대안이라는 것이 필자의 결론이다.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futur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pursue the 'Multi-Literacy.' The meaning of the 'Multi-Literacy' lies in overcoming the dispersibility of Multiliteracies and obtaining the possibility of a consolidated literacy education system. The media appearing along with the Digital Transformation flow have caused new literacies. Now we have a lot of literacies. We usually stress the function of each media related to each literacy than the original meaning of literacy. As the result, our education of the new literacies concentrates on func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But literacy is a spiritual activity that reads, understands, and constructs the human world. And all acts with media also is contained in that activity. Thus we have to understand all literacies in that meaning and role and the literacy education also has to base on that understanding. To establish future literacy education on that base, we have to be newly aware of the value and status of literal literacy. It has preserved the original meaning of literacy for the longest time, and, through this meaning, we can understand various literacies as a consolidated whole. In this sense, literal literacy should be a central role in constructing a new future literacy educa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