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권교육법 입법의 교육적 의미와 과제 : 인권교육의 국제동향을 기반으로

        전윤경(Jeon Yun Gyeong)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0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9 No.1

        본 글은 인권교육의 국제동향에 비추어 인권교육법안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과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UN의 문헌을 통해 인권교육의 국제동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2007년부터 국회에 제안된 5개 인권교육법안의 구성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셋째, 인권과 인권교육 이론가들의 연구를 참고하여 인권교육법 입법의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였다. 넷째, 결론으로 인권교육의 법제화를 위한 교육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향후 인권교육법 입법을 위하여 인권과 교육, 그리고 법의 균형점 모색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task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Act based on international trends in human rights education.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nternational trends in human rights education were explored in United Nations reports and literature. Secondly, this article review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five human rights education bills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since 2007. Third, based on the abov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uman rights education legislation were discussed by referring to research on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eories. Finally, the conclusion presented educational tasks for the legisl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 legisl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act needs to find a balance among human rights, education, and law.

      • KCI등재

        노동인권교육의 원칙 및 내용체계에 관한 기초 연구

        설규주,옹진환,정수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9 시민교육연구 Vol.51 No.4

        Numerous reports and surveys have highlighted the human rights on labor, especially for young people,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This issue has to be discussed and debated through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link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improve the youth's recognition of labor human rights and strengthen their competencies to solve labor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the following work. First,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labor and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ere presented. In particular,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as examined in term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e process of specifying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curriculum, the Philadelphia Declaration and the Beutelsbach consensus were reviewed, and the meaning, direc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of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were proposed in connection with the current curriculum. This could be the base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and enable stable teachings in school. Lastly, an alternative curriculum was proposed to strengthen the content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by conducting FGI(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in human rights on labor and curriculum. Through this, we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revised and textbook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school-level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on labor. 청소년들의 노동인권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가 드러나면서 학교 노동인권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우리 사회에는 노동이라는 용어를 금기시하거나 불편해 하는 시선도 있어서 노동 관련 내용이 교육과정에서 충실하게 다뤄지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이 연구는 노동인권에 관한 청소년들의 인식 개선 및 노동문제 해결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노동인권교육의 원칙과 내용체계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 문헌을 살펴보면서 노동 및 노동인권교육의 의미와 의의를 제시하였다. 특히 노동인권교육을 민주시민교육과 사회과교육의 차원에서 조명하면서 그 시의성과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노동인권 교육과정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는 필라델피아 선언 및 보이텔스바흐 합의를 검토하였고 현행 교육과정과의 연계 속에서 노동인권교육의 의미, 방향, 교수학습원칙을 제안하였다. 이는 노동인권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 학교 현장에서 안정적인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동인권 및 교육과정 전문가들과 협의회를 거쳐 노동인권교육 내용을 강화한 대안적 교육과정(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가 향후 노동인권교육을 위한 학교급별 자료집 개발은 물론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국악 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4 국악교육연구 Vol.8 No.1

        From our past, we used music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virtues of humanity such as allegiance, filial piety, manners, righteousness, and beliefs. Because Korean music is closely related to our personal humanity, we have to re-enforce humanity education through teaching Korean music. For this reason, it is logical and intelligent to establish humanity education utilizing Korean music and establishing an educational provision for it to be carried out.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al program to be of help to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First, I examined the theory of humanity education from the viewpoin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for the sake of argument.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I selected Korean music pieces and their teaching contents as suitable for establishing humanity education. Next, I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Korean music pieces and selected the teaching contents. Korean music contains purpose, content, and a method of humanity education from the claim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ased on this, I selected Korean music pieces and teaching contents, and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This Humanity Education Program is composed of seven separate topics. I specifically presented teach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its expression through activities,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and music actualization in each of the seven topics. Looking forward, I hope that the study about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utilizing Korean music is incorporated into the music curriculum.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인성과 음악을 결부시켜 왔고 ‘충, 효, 예, 의, 신’ 등의 인성 덕목을 표현하는 도구이자 수단으로 악(樂)을 사용했다. 국악은 음악 자체가 인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국악을 지도할 때에는 이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러한 점에서 국악교육 또는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은 매우 타당하며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국악은 그 자체가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상당히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 도움이 되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구안해보았다. 먼저, 국악과 관련된 사상의 인성교육론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에 적합한 국악 제재곡과 지도 내용을 선정한 다음, 선정한 제재와 내용을 토대로 학교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악의 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는 유교․불교․도교사상은 국악을 통한 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등 여러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 가지 사상에서 주장하는 인성교육론을 살펴본 결과 각 사상의 인성교육 내용은 국악 제재곡에 녹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악을 통해 가능한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선정하였고 선정한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토대로 구체적인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은 ‘부모님의 은혜’, ‘나라에 바치는 마음’, ‘마음 다스리기’, ‘위인들의 삶을 본받아’, ‘함께 하는 우리’, ‘마을 축제 속으로’,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 등 7가지 주제를 정하고 각 주제별로 표현활동, 감상활동, 생활화로 나누어 구체적인 지도 내용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해보았다. 이를 통해 국악은 지도할 수 있는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이 상당하며 그렇기 때문에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은 학교에서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의 인성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 국악을 통한 인성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대학 신입생들의 인성교육 경험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연구

        이종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2

        These days, humanity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education, even at the university level.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regarding humanity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only discusses the state and the effects of humanity education. There is almost no research regarding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humanity education or the needs of humanity education. This research aims to find the general and attitudes toward humanity education in university freshmen and also see what they have experienced with it. This survey research is done on freshmen at "A" University with questionnaire about the students' past experiences of humanity education in middle-and-high schools, and the awareness about the needs of humanity education.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that received humanit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indicated that it had helped them with their lives. Also 80% of the respondents agreed that humanity education should be a part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In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several useful insights be considered in conducting humanity education at university level. 최근 들어, 대학교육 안에서도 인성교육이 하나의 큰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대학 인성교육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학에서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황 연구이거나 인성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비해, 인성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하거나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대학 인성교육의 대상자가 된 “대학 신입생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A대학에 입학한 신입생들에게 자신이 받은 인성교육에 대한 과거 경험에 대한 질문들과,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대한 질문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응답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들의 과반수가 중·고등학교때 받은 인성교육이 본인의 삶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또한 80%가 넘는 응답자들이 대학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였다. 논문의 결론으로는, 응답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대학 인성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비제도권 인권교육 현황분석을 통한 학교인권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조태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3

        The necess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s increasingly stressed along with recent social phenomena. So far, a lot of studies have been implemented on this issue, and human rights education must be provided as part of institutional school education to stay abreast with the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 education in a bi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Four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related organizations were selected in this study to serve the purpose from among lots of related institutions: SARANBANG Group for Human Rights, Dasan Human Rights Center and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The selected institutions respectively represented national agencies, nongovernment group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goals and ideology of each group were discussed, and literature review was done to compare their human rights education, objectives of that education and relevant activities by utilizing their websites and data published by them and by having an interview with people in charg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ome limits to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due to a lack of national guidelines about the directions of that, social perception of looking at the issue just from an ideological perspective, physical school environments, and awarenes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nd there were favorable prospects for this issue as well, which are expected to lead to the realization of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For instance,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the way teachers and students look at the issue, and that education could be offered in social studies class. Besides, human rights-friendly school setting will possibly be create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te of noninstitutional human rights education provided by human rights groups to discus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institutional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though it produced little immediate visible results. Lots of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 the future into this issue to determine how to actualize human rights education as part of institutional school education. 인권교육은 최근의 사회상과 맞물려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인권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당연히 귀결되어져야 할 것이 바로 ‘학교인권교육의 도입’이다. 본 연구는 비제도권 인권교육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인권교육 도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학교인권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여 그 방향성 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비제도권 인권관련단체는 인권운동사랑방, 다산인권센터, 국제사면위원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4곳이다. 먼저 각 단체들이 추구하는 인권교육의 개념, 목표 및 이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권교육의 세부목표, 인권교육 관련 활동내용, 인권교육의 내용 구성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홈페이지 및 발간자료 등을 통한 문헌연구와 더불어 인권교육 담당자와의 면담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교인권교육의 한계 요인으로 국가 수준의 인권교육의 방향 정립이 없다는 점, 인권교육은 이념적 접근이라는 사회적 인식, 학교의 비민주적인 환경 요인, 학교의 교사 및 관리자의 인식문제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학교인권교육이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 요인으로는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의식 변화, 사회과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인권교육의 가능성, 인권친화적인 학교환경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비제도권 인권단체의 인권교육 현황분석을 통하여 추상적이나마 학교인권교육 도입에 있어서의 체계적인 방향정립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차후, 구체적인 학교인권교육의 도입방안, 목표, 교육내용, 교육과정 수립 등에 대한 연구와 시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후보

        정신과 의사에게 시행되는 인권교육 이대로 좋은가

        강유리,안준호,주연호,김창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6 신경정신의학 Vol.55 No.4

        ObjectivesZZ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annually since Korea enacted human rights legislation in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s of Korean psychiatrists toward human rights education and assess the relevance of the provided education materials. MethodsZZQuestionnaires comprised of 8 items were provided to 274 psychiatrists attending the April 2015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seminar. In addition, 12 cases related to education material developed by the Korea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were examined to determine whether the material’s content was relevant and appropriate for human rights education. ResultsZZData from 267 psychiatrists that answered all requested question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lthough respondents in general accepted the beneficial int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71.5%) disagreed with the mandatory 4 h of annual human rights education. Approximately half of respondents (49.4%) believed that frequency of such education should be decreased. A substantial percentage of respondents (38.7%) expressed overall dis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program, and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55.6%) were skeptical that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 could produce a real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human rights. The case reviews highlighted several problems. First, all education materials were heavily weighted toward psychiatric hospitalization legal proceedings rather than human rights. Among the 12 cases examined, four were considered inappropriate for human rights education because they were presented as if human rights abuse was synonymous with violation of a law, even if the law was ambiguous. ConclusionZZThe current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does not meet psychiatrists’ expec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the purpose and means of providing human rights education to psychiatrists.

      • KCI등재

        기독교교육 목적의 하나로서 그리스도인의 인간성 문제 고찰

        임창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1 기독교교육논총 Vol.26 No.-

        Generally speaking, they call the modern society an age of loss of humanity. It is the byproduct of overbearing free competition and extreme selfishness found in highly developed capitalistic society that fosters survival of the fittest. Especially,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in which people pursue success oriented lifestyle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human relationship played a key role in destroying the humanity education by putting top priority on academic achievement in schools. Humanity refers to certain qualities that makes human beings to be human beings. It generally has meant morality. Accordingly in the area of education, humanity was equal to morality. From Socrates to Herbart,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was the completion of morality. In other words,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is completion of humanity. Since 1990s in Korea,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destruction of education and school system as social problems have indicated as its reason the lack of humanity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It means that the lack of humanity education leads directly to the destruction of education. In an attempt to resolve this social issue, the alternative solution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roposed the recovery of morality. Considering this fact, we can see that humanity education is equal to morality education. Korean churches and church education since 1990 has rapidly deteriorated. It is noteworthy that the timing for the destruction of general public education falls into same period. If there is a certain aspect of educational content that needs to be recovered in church education, what should it be? Is it a humanity education? If we are dealing with Christian humanity, how is it different from general humanity?Starting from the above mentioned issues, this researcher has dealt with general understanding of humanity from the morality perspective; Christian understanding of humanity from the perspective of new commandment of Jesu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is researcher finds out that in contrast to the issue of general humanity and morality, which is understood fairly passive ways, the interpretation of Jesus’ new commandment has quite active and moving aspects which is beyond general morality. In other words, Jesus’ new commandment goes beyond general morality that considers others, and it is names as the law of love which indicates the actual practice in life accompanied by active service and sacrifice for others. This law of love was demonstrated by Jesus’ own life, and this lifestyle is demanded for all Christians who need to imitate Jesus. In conclusion, Christian humanity that was demonstrated by Jesus is both Christian mode of existence and practical mode of expression, and it is both the content that has to be realized and sought as the ultimate purpose of Christian education and a possible content to be expansively applied as a purpose of education of public schools. 일반적으로 오늘날 현대사회를 인간성 상실의 시대라고도 부른다. 적자생존을 유도하는, 고도로 발달된 자본주의 사회의 극단적 이기주의와, 과도한 자유경쟁주의가 생산해 낸 산물들이다. 특히, 출세지상주의를 추구하는 한국의 전통적 학력사회, 인맥사회는 학교교육의 현장을 성적제일주의로 이끌면서 인간성 교육을 말살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해 왔다. 인성이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그 어떤 속성을 일컫는 말로서, 일반적으로 그것은 도덕성을 의미해 왔다. 따라서 교육계에서는 인간성을 도덕성과 동일시 해온 것이다. 소크라테스 이후 헤르바르트(Herbart)에 이르기까지 교육의 최종목적을 도덕성 완성으로 보아왔는데, 환언하면 교육의 최종목적은 인간성의 완성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90년대 이후 한국의 사회문제로 등장한 교육붕괴, 학교붕괴 현상을 학교교육에 있어서 인간성교육의 부재로 지목한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인간성교육의 부재는 곧바로 교육의 붕괴로 이어진다는 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가 내놓은 대안이 도덕성 회복이라는 것을 보면, 인성교육이 도덕성교육과 동일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교회와 교회교육이 90년대 이후 급격하게 퇴조해 왔는데, 일반 공교육이 무너지는 시기와 때를 같이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만일 교회교육의 현장에서 다시 회복되어야 할 교육내용이 있다면 그것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인성교육인가? 만일 그리스도인의 인간성을 말한다면 그것은 일반적 인간성과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본 연구자는 이상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일반적 의미의 인간성 이해를 도덕성의 관점에서, 그리스도인의 인간성 이해를 성경에 나타난 예수의 새 계명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적 의미에서의 인간성과 도덕성의 문제가 소극적 관점에서 이해되고 있는 데 비해, 예수의 새 계명적 해석은 도덕성을 넘어서는 매우 적극적이며 동적인 면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예수의 새 계명은 타인을 배려하는 차원의 도덕성을 넘어, 사랑의 법으로 명명된 것으로서 타인을 위한 적극적인 섬김과 희생을 동반하는 삶의 실천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사랑의 법은 예수 자신이 실천적 삶으로 보여준 양식이며, 예수를 닮아가야 하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요구되는 삶의 양식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예수가 보여준 그리스도인의 인간성은 그리스도인의 존재양식인 동시에 삶의 실천적 표현양식으로서, 기독교교육의 최종 목적으로 구현화하고 실제화해야 할 내용일 뿐 아니라, 일반교육의 교육목적으로서도 확대 적용이 가능한 내용이라고 본다.

      • KCI등재

        학교 인성교육의 문제점과 방향

        유재봉 ( Yoo Jae-bo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6 교육철학연구 Vol.38 No.3

        이 논문은 인성교육 정책을 학교 수준에서 검토하고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인성의 개념을 탐색하고, 현행 인성교육의 문제점을 교육정책과 관련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학교 수준에서 바람직한 인성교육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인성은 물성과 구분되는 인간다운 성향과 성품의 총체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그것은 교육을 통해서 인간만이 보다 온전하게 성취할 수 있다. 인성의 개념은 또한 기술적 의미보다는 규범적인 의미로, 그리고 인격이나 도덕성처럼 좁게 규정되기보다는 인간다운 특성 전체를 일컫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인성은 인성 요소나 덕목을 분리하여 가르치거나 각각의 인성요소를 단순히 합하여 가르친다고 길러지는 것이 아니며, 특정 인성 요소를 함양하는 유일한 교육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다. 인성교육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증요법으로 부족하며, 이 점에서 보면 실천 혹은 체험 중심의 교육은 근본적인 방안이 될 수 없다. 학교 인성교육의 방향은 올바른 교과교육 혹은 지식교육을 통해 다양한 교과에 스며있는 가치를 내면화시키는 일과 교과 공부가 실지 삶과 유리되지 않도록 ``프락시스로서의 교육``을 하는 일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Korean education policies regarding character education, an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To this end, I intend to analyse the concept of humanity compared with animality, examine the problems of humanity education with regard to educational policies in Korea, and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for humanity education in schools. The main arguments are as follows. Unlike animality, humanity is a complex concept with a distinctive humane nature and character, and it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education of humans. The conception of humanity should be understood in a normative sense rather than a descriptive sense, and understood in a broad sense rather than a narrow sense. Humanity is neither learnt through adding various humanity elements and virtues nor by specific teaching methods. Solving the problems of humanity education is not done sufficiently by symptomatic therapy, thus practice-based or experience-based activities are by no means a fundamental solution. Rather, humanity education in schools should focus on both subjects-based education which addresses internalization of values of various subjects and praxis-based education which stresses the connection of life and knowledge.

      • KCI등재

        인성교육 이해방식과 방법론에 관한 일고찰 : 인간 본성과 감정의 올바른 이해를 토대로 한 인성교육으로의 전환

        김성실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2 대순사상논총 Vol.42 No.-

        Character education begins with a clear definition of character. There are claims that humanity is reducible to human nature or personality, but when approached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human nature soon boils down to the question of its ultimate goodness or wickednes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systems that emerge from the standpoint that human nature is evil versus the standpoint that human nature is good. With regards to educational outcomes, this can be observed both in terms of human nature and personality. Modern education today sees education as leading the immature to a mature state from the standpoint that human nature is evil. But if human nature is evil, how could we implement an education that would render it good? If character education becomes a system of etiquette education or one of instilling manners whereby simple wrong cases are righted, it would be nothing but a follow-up to the wrong educational cases that had been carried out previously. In that sense, character education is correction; not education. Education should be done in a way that realizes and understands the perfect self rather than unfolding as a process of constantly correcting and reinforcing immature human beings. In that sense, this paper posits that enabl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own emotions would serve as a correct form of character education. This would be a system of focusing on emotions that reveal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Personality can be educated, but education at this time should be a way to bring out a student’s already good and even perfected nature. This is more realistic than replacing a ‘faulty’ character with a good character which supposedly did not exist previously. If personality education morphs into ‘emotional self-understanding,’ contemplations on ‘why not to do’ unsavory acts rather than mere negative commands ‘don’t do that,’ and listening to what one’s emotions intuit prior to and after given actions, then that would arise to the true standard of a good education. 인성교육은 먼저 인성에 대한 명확한 정의로부터 시작된다. 인성이 인간의 본성 혹은 성격이라는 주장들이 있으나 교육적 측면으로 이해한다면 인성은 곧 선하냐 악하냐에 대한 문제로 귀결된다. 인간의 본성으로 보나 성격으로 보나 결국 교육이라는 의미에서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입장에서의 교육과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입장에서의 교육은 상당한 차이가 난다. 오늘날 현대교육은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입장에서 교육은 미성숙한 자를 성숙한 상태로 이끄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면 한번도 선하게 된적도 없는 우리의 본성을 무슨 수로 선하게 만드는 교육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인가. 인성교육이 단순히 잘못된 사례를 중심으로 고쳐나가는 방식의 에티켓 교육이나 주입식 예의범절 교육이 된다면 그 이전에 잘못된 교육사례의 답습밖에 안될 것이다. 그런 의미의 인성교육은 교육이 아니라 교정이다. 교육은 인간의 미성숙하기에 끊임없이 교정ㆍ교화해나가는 절차가 아니라 완전한 나를 깨닫고 이해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본고에서는 인성교육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입장 하에서 인간의 선한 본성으로 드러난 감정을 중심으로 감정의 자기이해가 올바른 인성교육임을 말하고자 하였다. 인성은 교육 가능하지만 이때의 교육은 결코 없던 인성을 채워넣는 방식이 아닌 이미 완전하고 선한 나의 본성을 이끌어내는 방식이어야 한다. 어떤 행동을 ‘하지마’라는 부정적 명령보다 ‘왜 하면 안될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 그리고 그 이전에 내 감정이 그렇게 느끼고 말해주는 것에 귀 기울여 듣는 ‘감정의 자기이해’가 녹아들어가는 인성교육이 된다면 가장 바람직한 교육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인성교육진흥법」제시된 인성교육의 목표에 대한 고찰

        이병래(Lee, Byung-N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이 연구는 인성교육진흥법이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목표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인성교육진흥법에 제시된 인성교육의 목표가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하고 있는 ‘법’의 이념 및 목적, ‘인성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 번째로 인성교육진흥법이 추구하는 ‘이념’과 ‘목적’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는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목적’이 인성교육진흥법의 ‘이념’과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진흥법에 제시되어 있는 ‘인성교육의 목표’가 인성교육진흥법이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의 목적’은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하는 이념 및 목적에 부합된다. 둘째, ‘인성교육의 목표’는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하는 인성교육의 목적에 부합한다고 인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인성교육의 목표’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Humanity Education pursued by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Specifically, the Objective of Humanity Education presented in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is to examine whether it is in line with the Ideology and Purpose of ‘Act’ pursued by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and the Goal of Humanity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irst thing is to examine the ‘Ideology’ and ‘Purpose’ pursued by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Second, we examined whether the ‘Goal of Humanity Education’ pursuant to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is in line with the ‘Ideology’ and ‘Purpose’ of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Finally, we examined whether the ‘Objective of Humanity Education’ presented in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is in line with the ‘Goal of Humanity Education’ pursued by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Humanity Education’ is in line with the Ideology and Purpose pursued in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Second, it is hard to admit that the ‘Objectives of Humanity Education’ is in line with the Goal of the Humanity Education pursued by the Humanity Education Promotion A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Objectives of Human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