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urse safety in home healthcare: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s’ experiences

        Kayoung Lee,Hyejin Kim,Ji Yeon Lee,Taewha Lee 한국간호과학회 2021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Aim(s): The vast majority of home healthcare nurses in Korea are female and work alone when conducting home visits. While promoting patient safety, home healthcare nurses are often exposed to unpredictable risks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car accidents, infection, or violence. This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aimed to describe the safety of home healthcare nurses in Korea. Method(s): Data related to nurse safety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which was conducted in 2019 to explore home healthcare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In the origi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0 home healthcare nurses from 11 general hospitals and one primary care clinic through individual, face-to-face,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using a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approach. Result(s): Two main themes emerged regarding nurse safety in home healthcare settings: exposure to various situational risks and useful strategies for promoting nurse safety. Situational risks include verbal violence or sexual harassment from patients or formal/family caregivers, exposure to possible infection from patients with communicable diseases following their discharge from inpatient settings, car accidents, severe weather, uncontrolled pets, and in-home visits conducted alone. Useful strategies for promoting nurse safety include: conducting home environment assessments during the first visit, us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aintaining the vehicles used for home visits, and developing institutional protocols or legal protection to make safer environments for nurses. Conclusion(s): Our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nurse safety in Korean home healthcare settings. Health system leaders should consider the potential risks that home healthcare nurses confront when they practice alone in various environments. More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estable interventions that can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for home healthcare nurses, thereb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and culture characterized by safety for both patients and nurses.

      •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김남은,채정현,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afety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Instruction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live their safe live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HE curriculum documents from the 1st to the 2015 revision were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iddle school students' current status of safety accidents and needs on the HE safety education.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were the 512 students of one OO Girls' Middle School in Busan. And then, the seven integrated themes were selected, each seven integrated theme-networks were formed, and safety theme-ba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The safety education content has continually been included from the first HE curriculum of 1954 to the 2015 revised HE curriculum. The middle school student respondents highly needed the content of 'the methods to deal with sexual violence and prostitution prevention', 'suicide prevention', and 'bullying net' for the HE safety education. All the 42 items were needed for the HE safety education by the respondents. The safety theme-based 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developed finally included the seven integrated themes, which were ① dietary life safety, ② adolescents' sex and safety, ③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safety, ④ family life and safety, ⑤ dwelling life and safety, ⑥ adolescents' egos and safety, and ⑦ social environment and safety. Each integrated theme consisted of three to six small themes, which amounted to total 28(for 35 lessons). Each small theme was presented with learning objectives and particular goals. The total 157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developed, which offered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 for each safety theme, total 28 teaching and learning plans(for 35 lessons) were developed, which offered specific instructions for the easy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n the classroom, 28 PPTs, 25 film materials, four reading materials, 61 workbooks, 14 activity sheets, 16 evaluation sheets, 3 test sheets, 2 reference materials, and 4 learning material models(the refrigerator model, traffic lights for discussions, food tray model and stickers, and food mileage card). In this study, the safety education themes of 'clothing life and safety', 'conflict and safety', 'professional life and safety', and 'consumer and safety' were not addressed because these theme were not needed highly by the respondents. Therefore,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HE safe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evaluat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to address the themes of 'clothing life and safety', 'conflict and safety', 'professional life and safety', and 'consumer and safety'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분석과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통하여 중학교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을 체계적이고 타당하게 개발하여 가정과교사들이 교실현장에서 안전교육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궁극적으로 청소년들이 안전한 생활을 실천하도록 기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1차에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안전교육 내용의 분석 및 부산지역 여자 중학교 5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전교육 요구도를 바탕으로 안전 내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주제선정기준에 의해 7가지 통합 주제를 선정하고 각 통합주제별로 주제망을 구성하여 가정과 ‘안전’ 주제중심 교육과정과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는 1954년에 제정된 1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이르기까지 안전에 대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표기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안전교육 요구가 가장 높게 나온 내용요소는 성폭력 및 성매매 예방과 대처방법이고 자살예방 및 대처방법, 집단따돌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게 나온 항목이 정리정돈이고 42개 모든 항목에서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은 식생활안전, 청소년의 성과 안전,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안전, 가족생활과 안전, 주생활과 안전, 청소년의 자아와 안전, 사회 환경과 안전의 7가지 통합주제를 선정하고, 각 통합주제에 따라서 3~6개씩 총 28개의 소주제(35차시 분)가 구성되었으며 이를 교실현장에서 손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교수・학습 과정안 총 28편(35차시분량),과 다양한 학습자료 (PPT 28개, 동영상자료 25편, 읽기자료 4편, 학습지 61개, 활동지 14개, 평가지 16개, 테스트지 3개, 참고자료 2개, 학습자료 모형 4개(냉장고 모형, 토론신호등, 식판모형과 음식스티커, 푸드마일리지 카드)로 총 157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7개 통합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초점이 있기에 우선순위에서 제외된 의생활과 안전, 갈등과 안전, 직업생활과 안전, 소비생활과 안전 주제 중심 교육과정 개발과 함께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안전의식과 행동 및 태도변화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 노인요양시설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

        윤숙희(Sook Hee Yoon),김세영(Se Young Kim),오향련(Xianglian Wu) 한국간호행정학회 2014 간호행정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 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를 파악하였으며, 환자안전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국 70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실무종사자 982명을 조사한 결과, 이들의 평균 연령은 47.1세로 고등학교 졸업이 412명(43.6%)으로 가장 많았으며, 노인요양시설 근무경력은 1~2년이 441명(47.4%)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실무종사자의 직종은 요양보호사 652명(67.7%), 간호사 101명(10.5%), 사회복지사 68명(7.1%), 간호조무사 65명(6.7%)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청[20]의 보고에서 국내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전문인력 중 요양보호사가 차지하는 비율 77.7% 보다는 낮지만, 국내 노인요양시설에서 직접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인력으로 요양보호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 보험제도가 시작된 후 노인요양시설이 증가되었고, 급하게 양성된 요양보호사가 시설의 인력으로 대거 투입되어 왔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와 관련해서 Bonner[2] 등은 너싱홈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의료사고의 위험이 높아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너싱홈에서 간호보조 인력에 의해 직접적인간호가 제공되기 때문에, 환자안전을 위하여 간호보조 인력들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따라서 노인요양시설에서 안전에 취약한 노인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를 측정하고 이를 환자안전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출발점[11]으로 활용해야 하며, 특히 실무종사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환자안전 교육과 훈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본 연구의 환자안전문화 점수를 동일한 도구를 사용한 타연구와 비교할 수 없지만, 환자안전문화의 영역별 평균 점수는 5점 척도에서 직무태도 영역 4.13점, 조직시스템 영역 3.99점, 관리자의 리더십 영역 3.93점, 관리활동 영역 3.44점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의 문항별 점수를 살펴보면, 근무태도 영역에서 실무종사자들은 사고의 예방을 우선시하고, 정해진 시간에 관찰과 기록을 수행하고, 간호의 표준과 절차를 준수하고, 사고발생 시 대처행동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한다는 내용의 문항들에 대하여 4점(그렇다) 이상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조직체계 영역에서는 노인요양시설에 사고발생 시의 환자이송 지침과 사고보고서 작성 규정이 있으며, 거주 노인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내용의 문항들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그러나 관리활동 영역에서 실무종 사자들은 시설의 임금과 복리후생과 같은 근무조건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문항들 중 가장 낮았으며, 관리자가 직원의 업무량을 공평하게 배분하는 것과 직원의 피로정도에 관심을 갖는내용의 문항의 점수가 다른 문항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본 연구에서 노인요양시설의 실무종사자들 중 간호사 집단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도는 10점 척도에서 6.9점으로 요양보호사 및 타 직종 집단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도 7.7점보다 유의하게 낮아서, 노인요양시설의 간호사들이 다른 직종보다 환자 안전에 대한 문제점을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이라 해석되었다. 간호사는 환자안전에 관련된 문제점을 민감하게 인식할수 있는 전문가 집단으로 외국의 선행연구에서 간호사의 관심과 인식이 환자안전을 증진시키는 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수 있음이 강조되어왔다[17,21]. 한편 미국 5개 주 72개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문화를 조사한 Castle[1]의 연구에서 노인 100명당 간호사 수가 많은 기관의 환자안전문화 점수가 높게 나타난 결과에 대하여 노인요양시설에서 간호사들이 조직의 규범에 큰 영향을 주는 관리자로서 안전을 개선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라 해석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인요양 시설에서 간호사들이 환자안전 개선가로서 리더십을 발휘하여 실무종사자들에게 환자안전 교육을 시행하고 조직시스템을 정비하는 등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된다.본 연구에서 노인요양시설의 기관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서울과 대도시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병상 수가 100병상 이상인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astle[1]의 연구에서는 노인 100명당 간호사 수와 간호보조원 수가 많을수록, 회사 기관에서, 지역의 너싱홈 수가 많을수록 환자안전 점수가높아졌으며, 병상 수가 클수록, 영리기관에서, 평균 병상점유율이 높을수록 환자안전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도시와 지방을 비교한 환자안전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런데 본 연구와 Castle[1]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노인요양시설의 병상 수와 환자안전문화는 부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내어, 노인요양시설의 규모가 크고 노인 환자 수가 많을수록 실무종사자들이 느끼는 환자안전문화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국내 노인요양시설의 다양한 구조적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의 차이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본 연구에서 환자안전도의 영향요인을 조사한 결과, 실무종사자의 연령과 경력, 환자안전문화의 하부영역인 관리자의리더십, 조직체계, 관리활동이 환자안전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 결과의관련성을 제시한 여러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Pronovost등[22]의 연구에서 병원의 환자안전문화는 재원일수감소, 간호사 이직, 투약 오류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legen, Gearhart, O’Brien, Sehgal과 Alldredge[23]는 환자안전문화가 환자안전도를 예측한다고 했다. 또한 Fitzpatrick,Stone과 Walker[24], Cooper와 Phillips[25]의 연구에서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문화는 낙상, 투약오류, 욕창과같은 거주자의 안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onner[2] 등의 연구에서 간호보조 인력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높을수록 낙상 보고율이 높아지고, 환자안전문화가 낮은 시설에서 억제대 사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문화가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안전과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환자안전을 개선하기 위해서 국가적 차원으로 전국의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지속적인 환자안전문화 개선사업이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노인요양시설들이 실무종사자들의 환자안전문화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관리자의 리더십 즉 환자안전을 우선시하고 실수에 대하여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노력, 직원의 업무환경에 대한 관리활동을 수행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안전문화를 개선한 실제적인 예로써, 수술실에서 팀 기술 훈련, 교육 세미나와 같은 환자안전 증진활동을 적용한 후에 간호사들의 안전문화 인식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었으며[26], 팀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한 이후에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26].한편 본 연구에서 환자안전문화의 근무태도 영역 점수가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았고, 근무태도와 환자안전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였으나, 회귀분석에서는 근무태도가 환자안전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 결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McFadden, Henagan과Gowen[27]의 연구에서 환자안전문화 하부영역의약 38% 정도가 환자안전 결과와 관련성이 있으며, 환자안전 문화가 환자안전 결과와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보다는 안전간 호활동이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 결과를 매개한다고 했다.이를 본 연구의 결과에 적용하면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근무태도는 안전간호활동을 통해서 노인의 환자안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의 관리자는 실무 종사자들이 환자안전을 우선시하고 노인을 간호하는데 표준 과 절차를 지키도록 강조하고 이를 공식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실무종사자들의 근무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시설의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in Korea by measuring the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ing homes and understanding its influencing factors.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of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using data fro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patient safety culture scale for nursing homes. A total of 982 cas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0 program. Results: For the safety culture of the pati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facility. For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age, education, occupation, marital status, and the size of the nursing home were significant factors.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e regression model of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was significant (F=20.73,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7.4%.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patient safety culture is a factor influencing safety of elders in nursing homes. To improve patient safety for nursing homes in Korea, continuous evaluation and improvement projects need to be done at a national level.

      • KCI등재

        가정배달 노인급식 수혜자의 위생지식 및 가정에서의 위생관리 습관

        이경은(Kyung-Eun Lee),이나영(Na-Young Yi),박정연(Jung-Yeo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배달 노인급식 수혜자의 위생지식수준과 가정에서의 위생관리 수행도를 조사하는 것으로 서울지역에서 가정배달 노인급식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복지관과 종합사회복지관 2곳을 선정하고 수혜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20명을 선정하였고 조사에 참여한 97명의 응답을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응답자의 대부분은 여성이었고, 70세 이상이었으며, 초등학교 졸업이하의 학력을 보였다. 절반가량이 혼자 살고 있었고, 여러가지 만성질환으로 약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스스로도 자신의 건강을 좋지 않게 인식하고 있었다. 위생지식 평가 결과 손 씻기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였고, 가열처리 없이 섭취하는 과일의 세척, 소독 방법, 남은 음식의 보관 방법, 행주의 사용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배달급식을 받는 노인들의 가정내에서 위생관리 수행도 평균 점수는 2.8점으로 높지 않았다. 남은 음식의 완전한 재가열, 유통기한 준수가 가장 잘 수행되고 있는 반면, 손 상처의 부적절한 처리, 행주와 도마의 관리, 달걀 등 오염도가 높은 식품 취급 후 손 씻기가 잘 수행되고 있지 않았다. 급식 수혜노인의 위생지식과 식품취급습관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일반 사항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위생지식 총점과 수행도 평균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세부 영역별로는 구분사용과 세척 및 소독 위생지식이 관련 수행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독거노인과 노인가정이 증가하면서 가정에서 노인들의 식품취급은 증가할 것이고, 외부에서 조리된 음식을 가정에서 섭취할 경우에도 섭취 전까지 보관이 식품의 안전성 확보에 중요하므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위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본 연구 결과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효과적인 위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위생교육을 통해 습득된 위생지식이 실생활에서 실천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역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food safety knowledge and to assess home food safety performance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recipients. Two facilities providing home-delivered meal services for older adults were located in Seoul. A total of 120 service recipients were surveyed using an individual interview technique and 97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program (ver.14)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70 years old or older and females. They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as poor or very poor and took more than one kind of medicines. An average score of the food safety knowledge test was 11.48 based on 18 points (63.8%).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older adults knew the importance of hand washing but were not aware of when and how to wash hands. There was room to improve knowledge on cleaning and sanitizing fresh fruits and using wiping cloth. The knowledge score for each categor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nd age. The home food safety practices of the older adults was rated as 2.8 out of 4 points; the highest score was associated for proper food handling category and the lowest score was for cleaning and sanitizing. The worst performance was related to managing hand cuts and wounds (1.96). The total knowledge score and an average performance scor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01). Food safety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the older adults who receive home-delivered meal services would improve the recipients'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related to consumption of the meals at home. The programs should focus on not only improving food safety knowledge but also changing food safety practices.

      • Improving Reusability of Hazard Analysis Model with Hazard Template for Deriving Safety Properties of Home Network System

        Ben Yan,Ken-ichi Matsumoto,Masahide Nakamura,Lydie du Bousquet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3 No.2

        The recent ubiquitous/pervasive technologies allow general household appliances to be connected within the network at home. The home network system (HNS, for short) is comprised of such networked appliances to provide various services and applications for home users. The great advantage of HNS lies in integrating (or orchestrating) features of multiple appliances, which yields more value-added and powerful services. We call such services HNS integrated services. In developing and providing a HNS integrated service, the service provider must guarantee that the service is safe for inhabitants, house propertie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As for the HNS integrated services, however, we have to consider the safety much more carefully. This paper presents a systematic method that can derive the verifiable safety properties from a given HNS model and hazard contexts. Specifically, we propose the HNS Hazard Analysis Model (HNS-HAM) for deriving safety properties with conducting a goal-oriented analysis. The analysis yields cause-and-effect chains from the abstract hazard contexts to the concrete attributes and operations of HNS objects (appliances, services, and environment). Then the safety properties and their responsible operations are derived from the complete model, which give the strong rationale of the safety of the HNS. On the other hand, to make the proposed method more practical, it is necessary to save the analysis cost while appliances and services in the HNS are added or changed. For this, we have also proposed the notion of the hazard template, which characterizes the generic portion of the HNS-HAM. For every hazard context, the hazard template is supposed to be constructed once by the safety experts. The template can be reused for various kinds of the HNS objects for the common hazard context. The reusable templates make it possible to save the analysis cost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HNS-HAM.

      • KCI등재

        Electro-Mechanical Safety Testing of Portable ECG Devices for Home Healthcare Usage

        김주현,조은정,이정기,박수강,이병채,유선국 대한의료정보학회 2010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16 No.1

        Objectives: This paper suggests the experimental guidelines to evaluate the electro-mechanical safety of belt type equipment. The electro-mechanical safety was determined by using the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guidelines, which are widely used as important factors for assessing the electro-mechanical safety of belt type equipment. However, the local guidelines on wearable healthcare sensors are currently not well-established. Therefore, safety guidelines suited for the actual circumstances in Korea are required, and this paper attempts to try a new experimental safety test procedure of the wearable healthcare sensor. Methods: This belt type device measures the electrocardiogram (ECG) and heart rates by attaching to the chest. Examination lists were selected by analyzing the common standards ofelectro-mechanical safety (IEC 60601-1) and environment tests (IEC 60068-1, IEC 60068-2) of home-healthcare equipment. Results: The essential electrical safety, which was required for the RS300G3 as a medical device, was evaluated, and most of the examination list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the users. The device passed all the selected examinable lists that are applicable to the Korean environment. Conclus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to estimate and to conduct electro-mechanical safety experiments because our study focused on the belt type of heart-rates equipment. We are not taking into account the overall electro-mechanical home-healthcare measurements. According to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re are infinite possibilities for the advancement of home-healthcare equipment, so more examination lists for safety are being added in addition to what we have done.

      • KCI등재

        가정배달 노인급식 종사자와 자원봉사자의 생산-포장-보관-배달 단계별 위생지식 및 수행도 평가

        최정화,이나영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3 No.2

        This study evaluated the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of employees and volunteers involved in the production, packaging, holding, and delivery stages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s for the elderly. A total of 135 employees and volunteers were surveyed at 27 senior welfare centers nationwide. A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Of the respondents, volunteers and employees comprised 57.0%, and 43.0%, respectively. The total score for food safety knowledge was 11.02 out of 15 points. In the food safety knowledge area, the employees and volunteers scored 11.44 and 10.76 points,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ategory of food safety knowled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orkers and volunteers in the evaluation scores of ‘food storage (P<0.05),’ ‘packaging (P<0.01),’ and ‘holding (P<0.05).’ In terms of food safety practic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scores of ‘personal hygiene (P<0.001),’ ‘food storage (P<0.05),’ and ‘production (P<0.001)’ were observed between workers and volunteers. This study suggests that food safety education for volunteers participating in the entire process of home-delivery meal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and repetitively.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intensive education of volunteers regarding knowledge and practices related to items that received low scores at each stage of the production, packaging, holding, and delivery processes in home-delivered meal services. 본 연구에서는 가정배달 노인급식 종사자와 자원봉사자의 개인위생 및 식재료보관, 생산-포장-보관-배달 단계별 위생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를 평가하여 가정배달 노인급식에 대한 위생교육과 위생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100개 노인종합복지관에 설문지를 우편으로 1,000부 배포하여 27개 가정배달 노인급식을 실시하는 급식소로부터 167부(회수율 16.7%)가 회수되었고 최종 135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낮은 회수율을 보여 향후에는 노인종합복지관 협회 등의 협조를 받아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조리종사자(91.2%)와 자원봉사자(79.7%) 모두 여성의 비율이 높았다. 조리종사자(복수응답)의 87.9%가 조리에 참여하였고 자원봉사자의 46.8%가 포장, 41.6%가 배달 업무에 투입되었다. 개인위생 및 식재료보관, 생산-포장-보관-배달 단계별 위생관리에 대한 지식 평가에서 조리종사자의 평균 점수는 11.44점(15점 만점), 자원봉사자의 평균 점수는 10.76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위생지식을 영역별로 보면, 개인위생 점수는 조리종사자와 자원봉사자의 차이가 없었고, 식재료보관 점수는 조리종사자가 자원봉사자(1.28)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0.05). 생산-포장-보관-배달 단계에서는 포장(P<0.01)과 보관(P<0.05) 영역에서 조리종사자의 위생점수가 자원봉사자의 위생점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종사자와 자원봉사자의 수행 평가를 비교해 보면, 개인위생 영역에서는 모든 항목과 평균에서 조리종사자(4.94점/5점 만점)가 자원봉사자(4.53점)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생산-포장-보관-배달 단계별 수행도 평가 비교 결과, 생산(P<0.001) 및 포장(P<0.05) 단계의 평균 점수가 자원봉사자(생산: 4.84점, 포장: 4.51점)보다 조리종사자(생산: 4.84점, 포장: 4.74점)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관과 배달 단계에서도 조리종사자의 점수가 자원봉사자의 점수보다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노인급식소의 조리종사자와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위생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급식이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으므로 안전하고 위생적인 급식을 제공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노인급식소는 학교, 병원, 산업체 등의 집단급식소와는 달리 체계적인 급식관리 및 위생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관리자나 영양사가 배치되지 않은 급식소가 대부분이고, 전문성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자원봉사자의 참여율이 높아 위생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노인종합복지관 차원에서는 조리종사자와 자원봉사자에게 위생 및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업무수행 시 필요한 지식을 강화하고 위생관리 수칙을 숙지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2019년부터 시범 운영되고 있는 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의 정기적인 순회방문지도를 통해 조리종사자뿐 아니라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개인위생 및 급식 생산단계별 위생관리 방법에 대한 위생교육을 지속해서 실시해야 한다. 영양사가 배치되지 못한 노인급식소는 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 등의 전문 인력 지원을 받아 위생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고, 궁극적으로는 급식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노인급식소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정부에서는 노 ...

      • 가정내 생활안전 관련 국제적 트렌드 및 학술연구 동향 분석

        정민규(Chung, Min-Kyu),최정민(Choi, Jung-Min) 한국주거학회 2021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3 No.2

        Children at home are at risk of many accidents, and the types of accidents include fall, burn, cut, electric shock, and suffocation, etc.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studies “child safety at home” from an international aspect to identify the trends as well as research subjects. For this reas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me safety issues using Google Trends and bibliometrics analysis techniques in terms of Web of Science (‘WoS’). The result shows that firstly, using Google Trends, a search for children by combining five types of safety accidents at home, it was found that fall accidents were searched the most frequently, whereas when searching for toddlers, cutting accidents were the most frequent. Secondly, using VOSviewer with 3,864 research articles from WoS,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Abuse, Child maltreatment, Foster care” in 〈Cluster 1〉, “Behavior, Childhood, Exposure” in 〈Cluster 2〉, and “Depression, Experiences, Health” in 〈Cluster 3〉. As a result of this series of analysis, it is clear that the research papers related to child safety at home are increasing year by year, and therefore parents and familie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children.

      • KCI등재

        가정에서의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 및 어머니의 요구 분석

        채영란 ( Chae Young-ran ),유승우 ( You Seung-w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본 연구는 가정에서 실시하고 있는 안전교육 실태와 교육요구가 어떠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 연구문제로 가정에서의 영유아안전교육 실태는 영유아연령 및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라 어떻게 다르며, 영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는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영유아의 어머니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교육의 주체는 ‘부모 둘 다’, 교육 시 주요 고려사항은 영유아의 ‘개인적 특성’과 ‘내용에 적절한 장소’로 나타났다. 안전교육 내용은 ‘놀이 시 안전’과 ‘일상생활관련’ 안전교육이고, 실시시기로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생각날 때’ 순으로 응답하였다. 안전교육 방법으로는 ‘말로 설명하기’가 가장 많았으며, 가장 많이 활용하는 안전교육활동 형태로는 ‘그림자료/동화책’, ‘동영상자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희망하는 안전교육 내용으로는 ‘실종 및 유괴예방’을 가장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의 안전교육을 위해 어머니가 교육을 받기 원하는 곳으로는 ‘자녀가 다니는 유아교육기관’이 가장 많았다. 또한 가정에서 안전교육을 실시할 때 필요한 사항으로는 ‘동영상자료’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안전교육을 실시할 때 어려운 점으로는 ‘설명방법을 몰라서’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적절한 자료를 구하기 어려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정에서도 안전교육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안전관련 부모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in households, and the educational needs as well. For this purpose, 239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in City of G were surveyed and analyzed. It showed that the educators were ‘both parents.’ ‘Individual traits’ and ‘proper place for contents’ were put into consideration for the safety education. ‘Playtime safety’ was the most prevalent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followed by ‘daily activity’, and ‘often in daily activities’ was the most prevalent in the time of education, followed by ‘when it comes to mind’, and ‘when encountering dangers.’ ‘Verbal instruction’ was the most prevalent for the medium of education, followed by ‘reading children’s book’, ‘reenactment and experience’, and ‘showing educational video.’ The most utilized form of safety education was ‘pictures/books’, followed by ‘video’, ‘instruction without materials’ and ‘physical material.’ The most desired contents for safety education was ‘missing and kidnapping’, followed by ‘sexual abuse and child abuse’ and ‘traffic safety.’ The mothers’ preferred place to be educated were in the order of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children’, ‘public office of local community’, and ‘mass media.’ ‘Video material’ appeared to be most needed when educating, followed by ‘plaything related to safety’, and ‘educational material.’ In addition, the most prevalent difficulty was ‘not knowing how to explain’, followed by ‘hard to obtain proper materials’, and ‘difficulty handling emotions in emergency.’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를 위한안전 시스템 만들기 체험활동 과제 개발

        윤상빈,유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202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afety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a 'Making safety system' hands-on activity task for a 'safety accident types and countermeasures' learning element at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economics’ subject. In this study, a demand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learning elements of 'safety accidents types and countermeasures'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s in middle school. In addition, a total of 4 activity tasks were developed under the themes of making a fire alarm system, making a warning system for wearing a helmet, and making a building crack management system. The validity of the activity task of 'making a safety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by experts. In addition, a preliminary test and field test were conduc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hands-on activity task was finally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hands-on activity task developed in this study to the class, student satisfaction was generally high, and the contents and system of the hands-on activity task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The safety system making hands-on activity task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afety awarenes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안전사고 유형 및 대처방안’ 학습요소를 위한 안전 시스템 만들기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하여 중학생의 안전 의식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에서 ‘안전사고 유형 및 대처방안’ 학습요소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화재 경보 시스템 만들기, 안전모 미착용 경고 시스템 만들기, 건축물 균열관리 시스템 만들기를 주제로 총 4차시의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안전 시스템 만들기’ 체험활동 과제는 전문가 검증을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고,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시험 및 현장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최종 수정·보완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체험활동 과제를 적용한 결과 학생 만족도가 높았으며 체험활동 과제의 내용과 체계 측면에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안전 시스템 만들기 체험활동 과제는 중학교 학생들의 안전의식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