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바일 앱 업데이트에 따른 사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 모바일거래시스템 리뷰 분석을 중심으로

        김남은,노미진,한무명초,김양석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6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급증하면서 증권, 교육,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모바일 인터넷 기반의 앱 시장이 활성화되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앱 서비스 제공 업체들은 사용자의 신규 요구사항 및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데, 업데이트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을 분석하는 것은 성공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리뷰에 토픽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용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는 모바일거래시스템 (Mobile Trading System; MTS)의 사용자 리뷰를 수집ㆍ분석하여 앱의 업데이트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Google Play Store에서 제공하는 MTS 앱 중에서 리뷰 개수가 가장 많은 ‘키움증권 영웅문S’을 선정하여 리뷰 데이터를 수집한 후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토픽을 추출한 뒤 앱 업데이트 전, 후 토픽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앱 업데이트 후 리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접속 오류 토픽은 점점 안정화된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사용자 인증 토픽은 앱 업데이트 후 다양한 불만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취할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MTS 앱의 경우 화면 구성 방식이 사용자에게 매우 중요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이 초기화가 되었을 때 불만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일관되게 유지할 방안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With the rapid adoption of smart devices inrecent times, the mobile internet-based app market has witnessed significantgrowth across various sectors such as securities, education, and manufacturing.Generally, providers of mobile app services strive to address users' new demandsand challenges by updating their software. Analyzing user responses to updatesis crucial for successful maintenanc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analyze user reactions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applied to user reviews.To achieve this, from the Mobile Trading Systems (MTS) available on the Google Play Store, we selected "Kiwoom Securities Hero Moon S" due to itshighest number of reviews to gather review data. We employed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technique to extract topics from thereviews and analyzed the trend of topic changes before and after app updates.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opic of connection errors, which dominated post-update reviews, showed a gradually stabilizing trend. However, the user authentication topic indicated an increase in diverse complaints after the app update, highlighting the need to actively address these issues. Additionally,in the case of MTS, the screen layout is very crucial to users, and numerous complaints arose when users' configured screens were reset. Therefore, it is evident that maintaining a consistent user interface is essential for usersatisfaction.

      • KCI등재

        주제 중심 통합(ITI: Integrated Thematic Instruction)형 가정과 의생활영역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김남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3

        At present, the whole world is characterized by openness, cooperation and integration as a society with information and the world, and it requires creative talents for this.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depends on the cultivation of creative talents. It demands anthropological value by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through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to share and care, not to cultivate creative talents for personal desires and accomplish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 learning process to develop integrated creative talents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at the ba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do this, we first extracted the content elements of the Clothing Life area of the revised curriculum from the 1st to 2015 and the contents of the Clothing Life area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to which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was applied. Five topic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content selection criteria And The Theme of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clothing' was selected. Researcher developed a integrated thematic instruction Home Economics Education Clothing Life teaching - learning proce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ocess") focused on the theme of 'selection and management of clothing'. The Process was composed of 5 basic classes [basic inquiry - content 1 - content 2 - depth study - application]. The process considers integration within the curriculum and interdepartmental integration, and aims to improve the personality,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consideration and sharing in the course of the integrated class. In detail, the curriculum goals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and ITI goals are presented separately in the curriculum developed for each process. At the stage of the class, the element of creativity and the element of personal education were exposed and applied to the class. In Korea, new curriculum has been revised and announced from time to time, making it difficult for the teacher to carry out the class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of change. Home curriculum i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so it is an appropriate subject for an integrated subject. It ha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subject in that it allows students to integrate the creative and personal elements that are limited in other subjects. ITI process will be helpful to teachers who need to implemen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which the theme-centered integrated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cess is newly introduced. It is necessary to follow - up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how to improve students' problem - solving ability and cultivate creativity. 현재 전 세계는 정보화・세계화의 사회로 개방, 협력, 통합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창의적인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국가의 경쟁력은 곧 창의적 인재 양성에 달려 있으며 개인적인 욕망과 성취를 위한 창의적 인재 양성이 아니라 나누고 배려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인류학적 가치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저에 있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특징을 가정교과에 적용시켜 통합형 창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1차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의생활 영역의 내용 요소와 2009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기술・가정 교과서의 의생활 영역의 내용 요소를 추출한 후 전문가 집단이 내용선정 기준에 의해 5가지 주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의생활 영역의 5가지 주제 중 ‘의복의 선택과 관리’ 주제를 중심으로 주제 중심 통합형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이하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과정안은 총 5차시 수업으로 [기초 탐구 - 내용 1 - 내용 2 - 심화탐구 - 적용]으로 구성하였다. 과정안은 교과 내 통합과 교과 간 통합을 고려하였으며 통합형 수업의 진행 과정에서 배려와 나눔의 인성요소와 창의성, 문제 해결력 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실제 5차시 수업을 위해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에 가정교과의 교과목표와 주제 중심 통합형 교육 목표를 분리하여 제시하였으며, 수업 진행단계에서 창의적 요소와 인성적인 교육 요소를 표면적으로 드러내어 수업에 적용하였다. 우리나라 교육은 새로운 교육과정이 수시로 개정 및 고시되고 있어 교사가 변화패러다임에 맞추어 수업을 실행하기가 어려웠다. 가정교과는 실제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통합형 주제로 수업을 하기에 적절한 교과이며 다른 교과에서 다루기에 한계가 있는 창의, 인성적 요소까지 학생들에게 통합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과의 교육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주제 중심 통합형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이 새롭게 도입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실시해야 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나아가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가정과 안전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김남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에서의 안전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이 분야에서의 다양하고 균형 있는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된 가정교과 관련 15개 학회지의논문 중 ‘안전’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경우와 안전교육 영역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 논문(244편)과 ‘안전’을 키워드로 제시하여 검색한석・박사학위 논문(179편)을 대상으로 전집 표집하였다. 분석 내용은 안전교육 관련 논문의 연도별・주제별 연구동향과 안전교육의 영역별・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육에서 안전 교육에 관한 연도별 연구논문의 편수는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여 매년14-52편으로 연간 평균 28.2편 정도 지속적인 안전교육에 관련된 연구가 이어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15년에는 논문 연구수가2014년의 26편의 2배인 52편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정부의 안전종합대책 발표와 교육부의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안전내용 강조 때문으로 생각된다. 둘째, 연구 주제의 동향을 살펴보면 안전교육관련 논문은 137(29%)편, 안전실태 관련 논문은 336편(71%)으로 2009년 이전에는사고 실태나 인식 조사가 많은 비율을 차지(74.4%)하였고 반면, 2009년 이후에는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나 효과 검증, 교육자료개발, 교육방법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증가(21편→53편)하였다. 안전실태 연구 중 가장 많이 다룬 주제영역은 안전사고와 관련이있거나 영향을 주고 받는 변인에 대한 주제로(23.2%) 그 변인과 관련된 주제는 가정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터넷 중독의 영향요인, 부부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위험 식품 구매 의사 영향 요인, 또래 괴롭힘 요인, 자살시도 요인 등과 관련된 연구 등이었다. 다음으로 안전 인식에 관련된 연구(13.9%), 안전지식 및 태도(7.4%), 안전행동(6.3%), 안전의식(2.3%)의 순으로 나타났다. 안전교육관련 연구 중 가장 많이 다룬 주제영역은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11%)로 연도별로는 2015년에 가장 많았다(21.1%). 셋째, 안전교육의 8개 영역 중 생활안전이 143편(33.8%), 폭력 및 신변 안전 106편(25.1%), 안전에 대한 일반적인 주제나 안전의영역 전체를 다룬 논문 93편(22%), 약물 및 인터넷 중독 안전 58편(13.7%) 순으로 나타났고, 응급처치와 관련된 논문은 없었으며, 직업안전의 경우 1편(0.2%)이었다. 직업안전의 영역은 가정교과에 관련단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게 연구되고 있었고 응급처치는가정교과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었지만 실습수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대비하여 연구될 필요가 있다. 넷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대부분(89.1%)으로 조사연구(70.4%)와 실험연구(18.7%)가 대표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특히, 안전교육의 실태조사연구와 효과 검증인 실험연구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질적연구로는 안전사고 실태와 관련된 현상학적 연구(3.1%)와 사례연구(3.1%)가 있었다.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혼합된 형태는 10편(2.4%)이며, 조사연구와 실험연구가 동시에 진행된 연구도 있었다(0.9%). 연구대상에서 인적환경에 대한 연구(87.5%)가 물리적 환경에 대한 연구(12.5%)보다 많았고 교사나 학부모에 대한 연구(20.6%)에 비해 학생에 관한 연구(48.4%)가 많았다. 물리적인 환경 대상은 학교(6.5%)가 가장 많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information for diverse and balanc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is field with understand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In order to so, this study makes population and sampling by targeting cases which refer to ‘safety’ on 15 papers of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home economics registered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from 2001 to 2015, 244 paper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area and 179 master doctorate thesis by searching keyword as ‘safety’. Analysis contents are research trends of paper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by year and by subject and research trends of safety education by area and by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safety education by year on home economics curriculum repeated increase and decrease and there have been consistent studies conducted on safety education with 14-52 papers per every year and yearly average 28.2 papers. On the other hand, the most number of studies conducted in 2015 with 52 papers which are twice as much of 26 papers in 2014. This seems to be affected by the announcement of safety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rom government and the emphasis of safety subject on 2015 curriculum revis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with regards to research trends by topic, 137 papers are related to safety education (29%), 336 papers are related to safety actual condition (71%). Accidents and recognition had a greater percentage in a paper before 2009 (74.4%) and studies are increased after 2009 (from 21 papers to 53 papers) in terms of development or evalu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education materials, development of education method etc. Subject area dealt with the most on the research of safety actual condition is regarding safety accidents or effective variables (23.2%). Subject regarding the variables are researches related to factors influencing family violence, internet addiction, spouse violence, willingness to purchase unsafe food, age harassment, or suicidal attempt etc. Next, researches related to safety recognition (13.9%),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 (7.4%), safety behaviors (6.3%), safety consciousness (2.3%) show in sequence. Subject area dealt with the most on the researches regarding safety education i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11%) and this appears the most in 2015 by year (21.5%). Third, with regards to eight areas of safety education, there are 143 papers regarding public safety (33.8%), 106 papers regarding violence and personal safety (25.1%), 93 papers regarding general subject on safety or whole safety area (22%) and 58 papers regarding drug and internet addiction (13.7%) in sequence. And there is no paper related to first aid and 1 paper is related to occupational safety (0.2%). Occupational safety area is less researched nevertheless its included in home economic curriculum as relative chapter. First aid does not directly correlate with home economics curriculum but should be studied in preparation for accident which could happen in practical class. Forth, with regards to research trends by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89.1%) is mostly used and both research study (70.4%) and experimental research (18.7%) are used the most frequently. In particular, researches on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and experimental studies for effectiveness verification take most of research method. As qualitative studies, there are phenomenological study (3.1%) and case study (3.1%) related to actual conditions of safety accidents. 10 papers (2.4%) are mixtur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some research conducted research study and experimental research at the same time (0.9%). With regards to subject of study, human environments (87.5%) are more than physical environments (12.5) and students (48.4%) are more than teachers and school...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분석 : 가정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김남은,허영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를 분석하여 초등 학교 실과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현가능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의 내용을 비교하고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의 타당도는 CVR 지수 0.93으로 충분히 타당하다고 검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 내용과 관련된 SDGs 목표는 17개 목표 중 11개, 169개 세부목 표 중 23개가 관련이 있었다. 둘째, 실과 교과서에서 SDGs 주제별 관련된 가정생활 영역은 환경적 관점이 22개로 가장 많았고, 사회·문화적 관점이 14개, 빈곤과 기아종식이 3개, 경제적 관점이 3개였다. 셋째, SDGs 세부목표 중 양성평등은 5학년, 6학년 모든 실과 교과서에 제시되었으며 깨끗한 물과 위생,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의 경우도 대부분 제시되어 있다. 반면, 불평등 감소, 기후변화와 대응, 산업·혁신·사회기반 시설,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 목표의 경우 지속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함 에도 불구하고 5학년에만 제시되고, 6학년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in the field of family lif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provide basic data so tha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realized in pract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field of family life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results, an expert group consisting of a total of 10 people was constituted, and the CVR result after analysis was verified to be sufficiently valid as 0.9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11 out of 17 goals and 23 out of 169 specific goals were related to the SDGs goal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family life area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Second, in practical art textbooks, the number of contents in the family life area according to SDGs subject classification was 22 from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14 from the socio-cultural point of view, 3 from the eradication of poverty and hunger, and 3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Third, gender equality among the SDGs targets was presented in all subjects and textbooks in grades 5 and 6, and clean water and sanitation, and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re also presented in most c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equality reduction, climate change and response, industry, innovation, social infrastructure, decent jobs, and economic growth goals, they are presented in the 5th grade and not in the 6th grade textbooks, despite the need for continuous learning.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deal with them for next curriculum.

      • KCI등재

        아베 정권의 안보위협 인식과 대응 - 보통국가화의 촉진제로서의 위협인식 -

        김남은,서승원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일본학 Vol.51 No.-

        This article explains how the Abe administration has exploited the threat perception against North Korea and China. Through analysis of the Abe administration's discourses stated in official documents of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oFA), Ministry of Defense (MoD), and Cabinet Secretariat, it attempts to explain how the threat perception lead to actual security policy. After the launch of the administration, it has repeated and escalated its own threat perception against North Korea and China to justify strengthening Japan's defense capabilities and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Paradoxically, for the Abe administration, security threat from neighbouring countries played the role of assistance forces for Japan to become a Normal Country. In conclusion, first, threat perception against North Korea and China provides opportunity and orientation of Japan's autonomous building up of defense capability. Second, the threat perception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the effective rear support by the US in case of emergency on the Korean Peninsula. Third, as the threat perception escalates, the administration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onstitutional revision. 본 연구는 일본 외무성, 방위성, 내각관방 등 정부기관의 공식적인 자료에 실린 아베 정권의 실제 언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아베 정권이 북한과 중국 위협인식을 어떻게 정치적으로 활용해 왔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떠한 정책으로 이어졌는지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아베 정권은 출범 이래 북한과 중국에 대한 위협인식을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그 수위를 높이면서 일본의 독자적인 방위력 강화와 개헌의 당위성을 강조해왔다. 북한과 중국의 위협인식에 대한 아베 정권의 대응과 관련해서 주목되는 것은 첫째, 일본의 독자적인 방위력 정비의 중요한 계기와 방향성을 제공했다는 점이다. 둘째, 한반도 유사시 미국의 후방지원에 대한 실효성을 위한 제도적 정비 면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셋째, 위협인식의 증가에 비례해서 개헌의 당위성을 강화해 오고 있다는 점이다. 역설적으로 말하자면 주변국으로부터의 안보위협은 아베 정권이 일본의 보통국가화를 추진하는 데 있어 고마운 지원군과도 같은 것이다.

      • 이중 언어 사용자의 한국어 쓰기 분석 : 여성 결혼 이민자를 중심으로

        김남은,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2 다문화의사소통 Vol.1 No.1

        본 연구는 이중언어강사를 목표로 한국 어를 배우는 이중언어 사용자들 중 여성 결혼 이민자의 쓰기 분석을 통해 한국어 쓰 기 양상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쓰기에 나타나는 문장 수, 평균 형태 소 길이, 어절 수, 문장 당 어절 수, 문법 오류 유형 및 그 빈도를 분석하였다. 총 584 개의 문장에서 평균 25.78의 평균형태소길이(MLU-m)가 나타났고, 430개의 문법 오 류가 나타났다. 총 어절 수는 5753개로 평균 159.81개의 사용되었으며, 문장 당 어절 수는 평균 10.52개였다. 전체 문법 오류 가운데 조사 오류는 382개, 89.07%로 가장 높 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형태, 사동·피동, 시제, 경어표현 순으로 오류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중언어 사용자들의 효과적인 한국어 학습을 위한 교육 방안이 마 련되길 기대한다.

      • 이중 언어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 분석 : 여성 결혼 이민자를 중심으로

        김남은,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1

        본 연구는 이중언어강사를 목표로 한국어를 배우는 이중언어 학습자들 중 여성 결혼 이민자의 쓰기 분석을 통 해 한국어 쓰기 양상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쓰기에 나타나는 문장 수, 평균 형태소 길이, 어절 수, 문장 당 어절 수, 문법 오류 유형 및 그 빈도를 분석하였다. 총 584개의 문장에서 평균 915.47의 평균형태소길 이(MLU-m)가 나타났고, 430개의 문법 오류가 나타났다. 총 어절 수는 5676개로 평균 157.67개의 사용되었으며, 문장 당 어절 수는 평균 10.28개였다. 전체 문법 오류 가운데 조사 오류는 382개, 89.0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 지했으며 형태, 사동·피동, 시제, 경어표현 순으로 오류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중언어 학습자들의 효 과적인 한국어 학습을 위한 교육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