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그린뉴딜의 특징과 과제 : 주요 국가 그린뉴딜 사례와의 비교 분석

        염지선 한국비교정부학회 2022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multiple Korean green new deal with it’s other countries which has been planned or implemented for achieving zero-carbon society. Through this analysis, this research ultimately attempts to provide lessons which can contribute to successfully implement Korean New Deal Polic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research selects the cases with three criteria considering a clear target of carbon emission, institutions and finance systems for supporting Green New Deal policy, and geographical proximity to South Korea. Policy tools and strategies for achieve zero-carbon society from cases are analyzed with the analytical framework holding four different policy areas with action plans. (Findings) According to findings from the case study, EU Green Deal can be described as an ideal model in order to simultaneously achieve 3E’s pillar; economy, equity,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s, a purpose of the current US Green New Deal focuses on creating jobs through establishing green infrastructures. China has focused on producing dominant amount of renewable energy. Japan attempts to achieve zero-carbon emission through two tracks which indicate strategies to transform energy industry to renewable energy and protection environment through strong regulations. Lastly, South Korea has promoted K-Green New Deal plan as one of economic stimuli for preparing for post Covid-19 era.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All countries actively have promoted the green energy policy to increase production and usage of renewable energy. Also, green financing system should be involved in all action plans which are implemented under Green New Deal. The financing system can continuously fund resources to action plans and stimulate the private sector to invest into green industries. Lastly, although the ultimate purpose of Green New Deal is to equally achieve three aspects of economy, environment, and social equity, the current Green New Deal policy focuses on creating economic benefits such as job creation in most countries except for EU Green Deal.

      • 경기도 생태(生態) 분야 그린뉴딜 정책연구

        이양주,장누리,조진현 경기연구원 2020 정책연구 Vol.- No.-

        한국판과 경기도형 그린뉴딜은 말은 그린뉴딜인데 내용의 구성을 보면 에너지 뉴딜이다. 1,000명을 대상으로 한 경기도민의 설문에서는 에너지보다 오염을 줄이고 안전을 지키는 것을 1위로 꼽았다. 에너지 중심의 한국의 국가와 지방정부의 그린뉴딜을 상당히 보완해야 한다는 증거이다. 이 연구는 경기도 그린뉴딜에 생태(生態) 분야의 사업을 구상하여 추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외 문헌과 전문가 의견 조사를 하여 그린뉴딜의 범주를 확인하였다. 신재생에너지, 지속가능한 교통, 생물다양성, 식량과 농업, 오염 줄이기와 안전, 환경복지, 공정하고 순환하는 경제, 녹색산업과 건전재정, 지역 균형 정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모든 부문이 중요하지만, 이 연구의 초점인 생태 분야임을 고려하여 첫째, 분야의 연관성 둘째, 이해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오염 줄이기와 안전, 신재생에너지, 생물다양성/생태계 보호, 녹색(친환경) 건축, 공정한 환경과 복지, 식량과 농업, 지속가능한 교통 8개를 연구 범주로 결정했다. 경기도민 설문에서 응답 된 그린뉴딜의 영역의 중요도는, 오염 줄이기와 안전이 27%, 신재생에너지가 23%, 생물다양성/생태계 보호가 18%, 녹색(친환경) 건축이 10%, 공정한 환경과 복지가 9%, 식량과 농업이 7%, 지속가능한 교통이 6%이다. 국가와 도의 계획에서 다루는 분야의 중요도가 도민의 인식과는 차이가 크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경기도 생태 분야 그린뉴딜 사업은 (1)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2) 지불제로 부담된 돈으로 생태계서비스를 보호하거나 보완, (3) 기후변화와 코로나 19의 대책으로 도시와 자연을 완충하고 연결하는 농지의 보호, (4) 효과적인 그린을 보호하기 위해 산줄기와 물줄기의 보호와 복원, (5) 부담금으로 생태적으로 중요한 토지의 매수, (6) 오염원을 차단하고 녹색 경관을 연출하는 녹색 커튼, (7) 공평한 녹색 기반 서비스, (8) 연안습지(갯벌)의 복원 즉, 역간척이다. Green New Deal of the Korean and the Gyeonggi-do are the policy based on the energy. This study surveyed 1,000 Gyeonggi-do people. In the survey, residents of Gyeonggi Province said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reduce pollution and protect safety than save energy in the Green New Deal policy. This is the evidence showing that energy-oriented Green New Deal should be substantially sup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 ecological projects in Green New Deal of Gyeonggi-do. First, the category of Green New Deal is identifi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expert opinions. The categories of Green New Deal could be divided into renewable energy, sustainable transportation, biodiversity, food and agriculture, pollution reduction and safety, environmental welfare, fair and cyclical economy, green industry and sound finance, and regional balance. All categories are important. However,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ecological sector, so we decided to focus on eight categories of research, in order to amplify the relevance and ease of understanding of the field(reducing pollution and safety, new renewable energy, biodiversity/ecosystem protection, green building, fair environment and welfare, food and agriculture, and sustainable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about the most important area of Green New Deal, 27 percent of respondents chose "reducing pollution and safety", followed by "new renewable energy(23%)," “protecting biodiversity/ecosystem(18%)," "green building(10%)," "fair environment and welfare(9%)," "food and agriculture(7%)," and "sustainable transportation(6%)." The importance of each category in the Green New Deal policy shown in the plans of the state and the Gyeonggi-do differs greatly from the perception of the citizens. The Green New Deal project proposed in this study: (1)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PES), (2) Protect or supplement ecosystem services by PES, (3) Protection of farmland that buffers and connects urban and natur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climate change and Corona 19, (4) Protection and restoration of mountain ridges and water streams to protect effective greens, (5) Purchase of ecologically important land as levies, (6) Green curtains that block pollutants and create a green landscape, (7) Fair green-infra services, and (8) Restoration of coastal wetlands (mudflats), in other words, reverse reclamation.

      • KCI등재

        4차산업혁명기술을 통한 그린뉴딜의 법정책적 함의 연구 - 융합법적인 연구의 기초와 토대를 위하여 -

        이순자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가천법학 Vol.15 No.2

        환경개선에 대한 국제법적인 의무가 우리 정부에도 부과되어 있는데, 환경개선에 대한 한계의 원인과 진상을 규명하면서 이에 대한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인공지능기술 등 4차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는 것의 가능성과 효과성에 대하여 그동안 미진하였던 새로운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동 안 입법정책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하는 것은 환경법분야에서도 쉽지 않았고 미진한 점들이 많았다. 입법정책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전개될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환경법정책에 분석적이며 조화로운 나침반을 제공해 줄 실익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인공지능 등 4차산업혁명기술이 사회를 변화시켜가고 있다. 이는 인류가 그동안 환경개선을 위한 노력이 효과를 크게 보지 못한 한계를 극복하는 데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새로운 학문과 정책상의 관점이 최근에 전 세계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인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유엔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 등은 물론이고 최근의 파리협정 (Paris Agreement) 등 국제적인 노력을 많이 기울여 왔다. 그러나 환경 정책을 강화하는 것은 화석연료를 사용한 경제개발에 역행하는 것이라는 모순된 전제를 극복할 수 없었기에 우리 정부는 선뜻 국제법적인 환경정 책을 본격적으로 실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부족한 인간의 힘으로 일일이 기후변화의 원인들을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분석과 조치를 취하기에는 한계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개선의 새로운 패러 다임으로서 인공지능 등 4차산업혁명기술과 환경을 연결하는 학제간의 융 합법적인 기초작업을 그린뉴딜정책을 위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 그린뉴딜이 4차산업혁명기술과 환경정책을 연결 하고 접목할 수 있는 가능성과 허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그린뉴딜이 기존의 환경정책들의 단순한 집합이나 나열에 지나지 않고, 새로운 내용과 성질의 진테제로서의 환경법 정책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유럽과 미국 등의 그린딜을 비교하면서 확인하였다. 세 번째, 그린뉴딜이 4차산업혁명기술과 기존의 환경법정책을 결합하여 새로운 진테제로서의 법정책적 내용으로서 그린뉴딜이라는 목표가 분명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법령의 목적을 조정하고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개별법을 통해 고찰하 였다. 네 번째, 특히 한국의 그린뉴딜이 실패하지 않고 기존의 환경정책 과 달리 의도한 성과를 확보하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로 이행할 수 있 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존의 법령에 그린뉴딜의 정책을 반영한 입법정책적 인 제언을 함으로써 법정책적인 함의를 밝혔다. 이는 한국형 그린뉴딜에 대한 입법적 과제와 입법 현황 평가를 다양한 분야들에 걸쳐서 실시해 본 결론이다. 구체적으로는 탄소감축에 대한 직접적인 감축을 위한 대응성 과제, 탄소감축을 위해 생산과 소비 및 에너지의 구조변화를 위한 적응성 과제, 4차산업혁명을 통한 기후변화정책에의 직업과 참여 확대, 한국형 그린뉴딜에서 장애조항들의 제거 및 규제완화, 4차산업혁명기술을 통한 기후변화정책이 가능하도록 교육의 확대 강화, 4차산업혁명을 통한 기후 변화정책에의 성과의 배분과 포용 등의 분야들이다. 결론적으로 한국형 그린뉴딜에 대한 제언으로서 한국형 그린뉴딜의 목 적 규정 수정과 교육목표ㆍ원칙 추가, 한국형 그린뉴딜을 촉진할 대응성 규정의 마련과 보완, 한국형 그린뉴딜을 촉진할 적응성 규정의 마련과 보 완, 한국형 그린뉴딜에서 정의로운 대전환을 위한 구체적 입법의 마련 등 이 요구된다. I have studied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Green New Deal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s an effective means to overcome the limi -tations on environmental improvement, while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obliged to environmental duty under international law. Basic research about this area was not enough. It was not easy to do basic research on legislative policy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law, and there were many incomplete legistlation.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practical benefits to provide an analytical and harmonious compass for detailed and specific environmental law policie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rough basic research on legislative policy with Green New Deal.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s changing society. This is causing a new academic and poli-cy perspective to be raised around the world recently that it can give new hope to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humankind's efforts to improve the environment. Humankind has made a lot of international effor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such as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Kyoto Protocol, as well as the recent Paris Agreement. However, as the contradictory premise that strengthening environmental policy would go against economic development using fossil fuels could not be overcome, the Korean government could not readily implement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in earnest. In addition, there were many limitations in monitoring the causes of climate change 24 hours a day with insufficient human power and analyzing and taking measures regardless of lo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s a new paradigm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basic work of interdisciplinary conjunction law that connect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environment is carried out for the Green New Deal policy. To this end, first, I have discussed the possibility and permissibility of connecting and graf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policy with the Green New Deal. Second, it was discussed while comparing Green Deal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hether the Green New Deal was just a simple set or list of existing environmental policies, or whether it could be evaluated as an environmental law policy with new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hird, the Green New Deal combin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the existing environmental law policy to examine what purpose and what tasks should be performed as a legal and policy content as a new truism. Fourth, in particular, legislative policy proposals while discussing what tasks to keep in mind in order for Korea's Green New Deal to not fail, to secure the intended results unlike existing environmental policies, and to transition to a fair and just society. By doing so, the legal and policy implications with the Green New Deal were discussed.

      • KCI등재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경기도 3기 신도시 정책 및 뉴스트렌드를 중심으로 -

        강현철,고성훈,박진호,이세훈,최용준,김종성 한국지적정보학회 202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4 No.1

        Discussions on the "Green New Deal-specific smart city" are being actively held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councils. In order to respond to this policy movement,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irections and policy proposal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the third new city by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keyword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eywords for the "Green New Deal-specific smart city," it is characterized by the strong policy aspects promoted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rather than giving the meaning of the smart city and the green new deal itself in Korea. In addition, in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th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 of whether the operational definition derived through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Green New Deal and the smart city itself means the happiness of residents or the city they want to live in. Green New Deal-specific smart cities deriv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reviews, keyword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defined as social-oriented sustainable cities that respond to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COVID-19,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conceptual link between the two terms 'Green New Deal' and 'Smart City' is not clear and the basic concept of the third phase new town in Gyeonggi-do was selected. Howeve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give implications when establishing a specific basic plan for the "Green New Deal Specialized Smart City" in the future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최근 그린뉴딜을 실제로 구현하는 핵심콘텐츠이자 새로운 도시관리방안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도시에서 보다 고도화된 정의가 가능한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에 대한 대한 논의가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 차원에서 활발하게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의 개념화 및사례적용을 통한 방향성 제시를 위해 문헌검토, 키워드 분석과 포커스 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여, 3기 신도시의 원래 취지인 주택시장 안정에도 부합하고 지역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 설정 및 정책제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에 대한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스마트도시와 그린뉴딜 자체의 의미를 부여하기보다는 중앙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정책 측면이 강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경기도 내 3기신도시의 경우, 신도시 건설로 인해 발생 되는 부동산 문제에 대한 연관어가 도출되어 결국 3기 신도시가 본격적으로추진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부동산 가격 폭등 및 투기 등의 문제점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방향을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의 개념화를 통해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포커스 그룹인터뷰(FGI) 에서는 그린뉴딜과 스마트도시의 구성요소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도출된 조작적 정의가 개별 3기 신도시에 적용되면그 자체가 주민의 행복 또는 살고 싶은 도시로서의 의미인지에 대한 질문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기존 문헌검토, 키워드 분석 그리고 포커스 그룹인터뷰(FGI)를 토대로 도출한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는 기후변화와 코로나19, 4 차 산업혁명 등 다양한 도시문제에 대응하고 혁신기술과 연계한 소셜지향형 지속가능한 도시’로 정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경기도 3기 신도시에 대한 개별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린뉴딜’과 ‘스마트도시’ 두 용어의 개념적 연계가 명확하지 않고 경기도 내 3기 신도시의 기본구상이 선정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가 있다. 다만 향후 ‘그린뉴딜 특화형 스마트도시’의 구체적인 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시사점을 줄 수 있고,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그린뉴딜 시대 비건 텍스타일 사례 연구

        고보경 ( Go Bo Kyung ),한선주 ( Han Sun Ju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코로나19(COVID-19) 팬데믹(Pandemic)으로 기후변화와 저성장이라는 환경·경제적 이슈는 지속가능 사회 실현을 위한 어젠다(Agenda)로 그린뉴딜을 한 축으로 하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이어 2020년 11월 산업통상자원부는 ‘섬유·패션산업 한국판 뉴딜 실행전략’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에 섬유·패션산업은 자연·생태계 보전, 자원순환 등에 기초한 환경친화적 경제안정정책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7월 정부가 발표한 그린뉴딜(Green New Deal) 정책을 토대로 섬유산업의 나아갈 방향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비건 텍스타일(Vegan Textile) 사례를 분석하여 그린뉴딜 시대에 비건 텍스타일 소재 개발의 중요성과 가능성,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정부와 섬유·패션산업에서 발표한 그린전략과 행동양식을 분석하여 환경에 유해한 소재 대체를 위한 신소재 R&D 강화의 중요성과 신종감염병 상황에 친환경 기업에 적극적인 소비 행동을 보이는 비건 지향적인 소비 행태, 그리고 비건 텍스타일 연구를 통해 생분해성 섬유, 리사이클 섬유 등을 포함한 비건 텍스타일의 범주가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비건이 지속가능, 환경, 사회문제 등과 관련하여 그린뉴딜 추진 전략과 방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으며 그린뉴딜 시대에 섬유·패션산업의 지속가능을 위해서는 생태계 보호와 사회복지를 아우르는 ESG를 고려한 글로벌 가치사슬 구조(GVC)의 진정성 있는 친환경 전략과 실행 체계 등의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며 소비자 욕구와 사회적 가치가 맞물리는 공동의 목표 실현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및 지원이 필요하다. Due to the Covid-19 pandemic, environmental and economic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low growth have become an agenda for realizing a sustainable society, and as a resolution to this agenda, South Korea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nounced the ‘Korean New Deal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after ‘the Korean New Deal Comprehensive Plan’. In this paradigm shift,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require the need for eco-friendly economic stabilization policies based on nature and ecosystem conservation and resource circ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the textile industry based on the Green New Deal policy that was announced by the government in July 2020, and analyze the case of sustainable vegan textiles and present the importanc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developing vegan textile material in the Green New Deal. By analyzing green strategies and behavior patterns announced by the government and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R&D for new materials to replace materials harmful to the environment, vegan-oriented consumption showing active consumption behavior for eco-friendly companies in the face of new infectious diseases, and the expansion of categories of vegan textiles that include biodegradable fibers and recycled fibers through research on vegan textiles were confirmed as research method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veganism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trategy for promoting the Green New Deal in relation to sustainability, environment, and social issues.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in the era of the Green New Dea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genuine eco-friendly strategy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global value chain structure (GVC) considering ESG that encompasses ecosystem protection and social welfare. The government's active policies and support are needed to realize the common goal that meets both consumer needs and social values.

      • KCI등재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안의 실효성 증진방안

        전재경 한국법제연구원 2009 법제연구 Vol.- No.36

        3 groups composed by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rendered 3 bills relating climate change last year and early this year, and then the Government also rendered the Green New Deal(GND) Bill in face of the economic depression to the Assembly on February in this year. The Government for the first time announced the Climate Change bill but afterward revoked it and then brought a new bill substituting the former bill. The Special Committee of National Assembly for Climate Change is so undergoing review of 4 bills relating the Climate Change and the Green New Deal. The GND bill which was rendered by the Government hit the point of enhancement for economic growth through the paradigm shift from the non-green economy to the green economy as well as encountering with the Climate Change. But the GND bill has many problems in respect of legal theory and relations with another present rules. For example, the GND bill has some obscure concepts like the "green growth", "the green finance" and "the green industry", and its application coverage is too broad to regulate the overall legal relations about economy. The GND bill is also going to change the Basic Ac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n put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ESSD) under the concept of the green new deal(GND). It is more suitable in respect of legal stability for the GND bill to make short of its coverage, taking into account of another present rules like the Basic Ac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Basic Act for Energy which are apt to serve the goal of climate change and green new deal(GND) without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GND bill and the old ESSD bill, because we can't find out any differences between the concept of GND and the concept of ESSD. The GND bill is requesting the Promotion of Conversion of Industrial Structure into Environmental Style [PCISES] Act to promote the green industry, so this Act should be revised to receive the request for the conversion of industr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GND bill. But the coverage of the PCISES Act is too narrow to admit all the request of the GND bill, therefore the GND bill should prepare another apparatus for covering wholly green industry. At the same time, the GND bill should be given a supplementary legal system about making green jobs through adjusting legal relations among relevant rules like the Labor Standard Act.

      • KCI등재후보

        이명박 정부의 ‘녹색 뉴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조영탁(Cho, Young-Tak) 한국공간환경학회 2009 공간과 사회 Vol.31 No.-

        이 글은 지속 가능한 발전과 관류 혁신 그리고 생태적 뉴딜 전략의 관점에 입각하여 이명박 정부의 ‘녹색 뉴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방향을 논의한다. 정부의 ‘녹색 뉴딜’은 과거 20세기의 전통적 뉴딜, 특히 그중에서도 4대강 사업과 같은 반환경적인 토목사업에 지나친 중점을 두고 있으며, 외형상 생태적 뉴딜과 관련된 사업들도 추진방향이나 정책내용상 문제점이 많다. 이를 개선하려면 정부 뉴딜의 중점을 ‘20세기형 전통토목사업’에서 한국 경제의 자원효율성을 제고하는 ‘21세기형 관류 혁신사업’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paper diagnoses the problems of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Green New Deal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put innovation and ecological new deal. The current administration’s ‘Green New Deal’ is closer to 20th century’s old fashioned New Deal rather than real Green New Deal. It focuses too much on the civil engineering project like four major river improvement, and even the project which seems to be a part of ‘Green New Deal’ needs revaluation. To improve the administration’s New Deal Policy, the administration should change the projects of the old fashioned civil engineering projects into the throughput innovation projects which enhance resource efficiency of Korean Economy.

      • KCI등재

        기후변화 대응 법제의 입법형식과 체계에 관한 소고

        이준서 ( Lee Jun-seo ) 한국환경법학회 2021 環境法 硏究 Vol.43 No.1

        탄소중립에 대한 사회적 요청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을 영(0)으로 만들고, 녹색기술·녹색산업을 기반으로 한 녹색경제를 구축하며, 에너지 전환을 통한 녹색일자리를 확보하는 것은 현 시점에서 정부의 가장 큰 책무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현재 ‘그린뉴딜(Green New Deal)’에 대한 정책과 입법을 마련하기 위한 각계의 노력이 한창 진행 중이다. 2020년 6월 1일 정부가 발표한 ‘2020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는 디지털뉴딜에 그린뉴딜 및 고용안전망 강화 정책이 포함된 ‘한국판 뉴딜’이 제시되었고, 그린뉴딜, 탈탄소사회 이행, 기후위기 대응, 녹색전환 등 2020년 12월 기준 발의된 기후변화 관련 법안만 해도 5건에 이른다. 그린뉴딜, 기후위기, 탈탄소사회, 녹색전환 등 정책이 표방하는 용어는 시기와 상황, 주체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고 있지만, 이러한 정책들의 핵심 내용은 ‘기후변화 대응 법제’를 통해 실현된다. 문제는 현행 법체계 내에서 기후변화 대응에 관한 법제를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에 있다. 현행 법체계상으로는 2010년부터 제정·시행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녹색성장법)」이 가장 핵심적인 법률이기 때문에, 국회에서 발의된 위 법률안 중 대부분이 「녹색성장법」을 중심으로 한 법체계의 개편 또는 동법 자체의 개정을 내용으로 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녹색성장법」의 구성과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녹색성장법」의 본질과 그 한계를 검토하고, 이 법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녹색성장법」은 기후변화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범부처적인 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담아내는 기본법으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하게 했지만, 녹색성장이라는 개념의 모호성과 이에 따른 정책과 시책의 추상성·중복성, 관련 법률의 무리한 통합, 정부 주도의 정책 추진, 명확하지 않은 원칙과 방향 제시, 원칙과 시책의 혼선 등으로 많은 형식상·내용상의 폐해를 야기하기도 하였다. 이번 기회에 「녹색성장법」의 개정 논의를 통하여 기본법의 의의와 지위, 기능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숙고해 볼 필요가 있다. 시대와 상황이 변하면 그에 맞추어 법제도 변해야 한다. ‘기후위기’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시급하고 급진적인 정책의 변화가 요구되는 상황임을 인식하여 이제 ‘저탄소 녹색성장’의 개념은 폐기하고, 「녹색성장법」은 기후변화 대응 법률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개편해야 한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본법으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녹색성장법」을 개정하고, 기후변화 관련 법체계를 정비하여야 한다. 동법에 편입된 에너지정책 등의 기본원칙, 에너지기본계획, 지속가능발전의 기본원칙,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에 관한 조문을 본래의 법률로 환원하고 법체계를 정비하여야 한다. 아울러 원칙과 시책에 관한 조문도 명확하게 구분하여야 한다. 내용적 측면에서도 지속가능발전과 구분되는 기후변화 대응에 관한 정책과 시책이 강화되어야 하며, 기존에 시행되어 왔던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제도 중 적응대책의 강화, 기후영향평가제도의 구체화가 필요하다. The social demand for carbon neutrality continues to increase. It is the Korean government's biggest responsibility at this point to bring net carbon emissions to zero by 2050, build a green economy based on green technology and green industries, and secure green jobs through energy transition. In Korea,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are in full swing to come up with policies and legislation for the ‘Green New Deal’. In “the Economic Policy Direction for the Second Half of 2020”, the Korean government presented its version of the New Deal, which includes three major policies: the Digital New Deal, the Green New Deal,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employment safety net. There are already five climate change-related bills initiated as of December 2020 that cover climate crisis response and green transition. Terms used by the policies, such as the Green New Deal, the Climate Crisis, a Decarbonized Society, and the Green Transition, vary by time, situation, and subject; however, the core value of these policies are to be realized through the law on climate change. The problem lies in how to formulate a legal system that responds to climate change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At present, the Framework Act for Low Carbon, Green Growth(“the Green Growth Act”, enacted in 2010) is the main pillar in the climate change law arena. Most of the bills propos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refore, are reforms of the legal system centered on the Green Growth Act or amendment of the same.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system of the Green Growth Act, I will review the nature and limitations of the Act and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climate change response policies that have been stemmed out of the Act. The Green Growth Act is meant to be a framework act that contains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a cross-ministerial policy to prepare for the era of climate change, yet the physical integration with no through understanding of many related laws, government-led top-down policy implementation, unclear principles and directions, and confusion between principles and policies have resulted in harms in many formative and substantive level. It is crucial to revisit the significance, status, and function of the Green Growth Act as the framework act. As times and circumstances change, the legal system must change accordingly. Acknowledging the urgency of the matter to the point that the term climate crisis is used, reforms must be made that the concept of ‘low carbon, green growth’ be abolished and the Green Growth Act firmly set its identity as a law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Considering the function as a framework act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reform and reorganization of the Green Growth Act is necessary. The provisions on the basic principles of energy policy, the basic energy plan, the basic princi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basic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each belonged to various energy-related laws until transplanted into the Green Growth Act, should return to their original laws, and the overlapping legal system should part their way. In addition, provisions on principles and policies sh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Content wise, policies and plans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which are distinct from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reinforced, and among the existing climate change-related systems, reinforcement of adaptation measures and concrete climate impact assessment systems must be reorganized.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사회적인 그린뉴딜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구상 : 생태학적 지향을 갖는 기본소득 구상 을 중심으로

        강원돈(Won Don Kang)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4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생태학적 지향을 갖는 기본소득 구상에 바탕을 두고서 포스트 코로나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설계도를 제시하고자 했다. 코로나 팬데믹은 자본주의적인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생태계의 안정성과 건강성을 깨뜨리면서 나타난 생태계의 총체적 교란의 결과임이 분명하다. 이러한 생태계 교란을 불러일으킨 자본주의적 경제체제는 사회적 가난을 확산시키는 장본인이기도 하다. 이것은 팬데믹 한 가운데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구상하고자 할 때 반드시 유념하여야 할 점이다. 생태계 위기와 사회적 가난을 동시에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않고서는 그 누구도 포스트 코로나 사회를 설계할 수 없다. 필자는 포스트 코로나 사회가 사회적 그린뉴딜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사회적 그린뉴딜은 그린뉴딜과 기본소득을 통합하는 구상이라는 테제를 제시했다. 이 테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필자는 첫째로 경제계와 생태계 사이의 에너지-물질 순환에 대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서 생태학적 정의와 사회정의의 관계를 밝혔다. 둘째로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그린뉴딜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짚었고, 셋째로 국민경제 차원의 소득분배 계획의 틀에서 그린뉴딜과 기본소득의 연계를 제시했고, 끝으로 사회적 그린뉴딜을 뒷받침하는 신학적 담론의 기본 프레임을 밝혔다. In this paper, I have presented the most basic blueprint of the post-corona society. It is based on a concept of ecologically oriented basic income. It is obvious that the Covid-19 pandemic originated from the total disturbance of the ecosystem, the stability and healthiness of which have been destroyed through capitalist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It is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that causes the ecological disturbance and spreads social poverty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design a post-corona society, unless man can pave the way to overcome the complexity of ecological crisis and social poverty. I have insisted the thesis that a post-corona society should be based on a social-oriented green new deal. Social-oriented green new deal is a concept that integrates the green new deal and basic income. In order to support the thesis, I have investigated firs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cological and social justice. I have argued that such an insight comes from a perception of energy-material cycle between ecosystem and economic system. Second, I have revealed various problems of ‘Green New Deal’ which has been promoted in the frame of ‘Korean New Deal’ by the Korean government. Third, I have proposed how green new deal and basic income should be linked in the framework of income distribution plan at the level of national economy. Finally, I have presented a basic frame of theological discourse which supports the social green new deal.

      • KCI등재

        그린뉴딜 분야의 기술 특허 동향 분석

        최정열 한국통신학회 202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7 No.10

        Climate change is emerging as a serious problem due to global warming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an economic stagnation crisis is coming due to COVID-19. In this situation, countries are promoting the ‘Green New Deal’ policy, an active investment project to respond to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 and revitalize the economy. The Green New Deal policy is carried out across a wide range of fields such as establishment of a carbon-neutral foundation, green transformation of infrastructure, low-carbon energy, and establishment of a green industrial ecosystem, and technology development is a key factor in realizing this. Therefore,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Green New Deal policy into eight technical items such as greenhouse gas management, circular economy, building energy management, fine dust management, water management, smart grid, renewable energy, and green mobility, and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patent trends by fields. Through this, we will analyze the strengths of each country in the Green New Deal field and suggest technological development items that Korea should focus on. 산업화에 따른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후변화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경제 침체 위기가 도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국은 환경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경제 부흥을 위한 적극적인 투자 사업인 ‘그린뉴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린뉴딜 정책은 탄소중립 기반 구축, 인프라의 녹색 전환, 저탄소 에너지, 녹색산업 생태계 구축 등 포괄적인 분야에 걸쳐서 진행되는데, 이를 실현함에 있어서 기술 개발은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린뉴딜 정책을 온실가스 관리, 순환경제, 건물에너지 관리, 미세먼지 관리, 물 관리, 스마트 그리드, 재생에너지, 그린 모빌리티 등 8대 기술적 항목으로 분류하고, 분야별 국내외 특허 동향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그린뉴딜 분야의 각국의 강점을 분석하고, 우리나라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술 개발 항목을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