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금강산 관리와 개발의 역학: 1930년 금강산 보승에 관한 타합회를 중심으로

        손용석(Son, Yong Seok) 한국사학회 2024 史學硏究 Vol.- No.153

        이 글은 1930년 초반 금강산과 관련한 일련의 종합대책회의의 개최 배경과 함께 회의의 구체적인 논의 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1930년에 이러한 회의가 개최되었던 역사적 경로를 규명하고 금강산을 둘러싸고 각자 다른 이해관계를 보이는 주체를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금강산 보승에 관한 타합회’는 대외적으로는 1920년대 후반, 일본에서 국립공원 제도 시행과 관련한 구체적인 시도들이 진행되는 것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다. 대내적으로는 1929년 조선박람회 개최와 금강산전철 단발령 터널 개통이 계기로 작용했다. 당시 총독부는 금강산을 찾는 탐승객이 크게 늘어나면서 관광자원으로서 금강산이 갖는 가치를 재인식하게 됐고, 1929년 농림대회에 참여한 국립공원 관련 전문가들의 금강산에 대한 높은 평가 역시 총독부가 금강산 관리에 적극적으로 착수하게 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정무총감을 위시로 총독부, 강원도, 금강산전철 관계자까지 참석한 회의에서 산림부는 금강산의 관리를 산림부가 맡는 것이 적절하다는 총독의 의중을 바탕으로 이 회의의 주관부서로 위치를 분명히 했다. 금강산전철은 내금강 장안사 일대의 개발과 함께 내금강에서 비로봉을 거쳐 외금강으로 나아가는 주요 탐승로의 개선 등을 요구하면서 회의를 주도했다. 이를 위해서 금강산전철은 철도계에서 상당한 경력을 쌓아온 안도 마타사부로를 전무로 위촉하면서, 총독부와의 협상력을 높이고자 했다. 금강산전철과 총독부 사이의 의견이 좀 더 극명하게 갈린 부분은 향후 금강산 개발관리에 필요한 예산 조달 방법이었다. 금강산전철은 10년 동안 100만원의 사업비를 확보해야 한다는 예산안을 내세웠지만, 곧바로 철도국의 반발에 직면했다. 철도국은 외금강 온정리를 중심으로 한 관광지 정비를 완성한 상황에서 금강산의 조속한 개발의 필요를 느끼지 못했다. 그리고 1929년 대공황 이후 예산의 추가적인 부담을 극히 경계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강산 개발에 예산을 투입하는 것에 대해서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금강산전철도 쿠메 사장의 갑작스러운 사망과 금강산 개발을 주도했던 안도 전무의 퇴진 등 내부 상황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예산 부담이 어려워졌다. 이에 총독부 산림부가 자체적으로 사업예산을 확보하고자했으나 이마저 무산되면서 금강산 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첫 단추를 매끄럽게 끼지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1930년 금강산 보승에 관한 타합회는 일제 강점 이후 금강산과 관련한 나름의 이해관계를 구축한 다양한 주체의 입장이 노출, 조정되는 계기로 작용했다.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context in which a series of meetings were held in the early 1930s regarding Geumgangsan, as well as the specific discussions that took place at these meetings,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historical pathways through which these meetings were organized in 1930 and to capture the different actors with different interests in the mountain. Externally, the meeting was set against the backdrop of concrete attempts to implement a national park system in Japan in the late 1920s. Internally, it was triggered by the 1929 Chosun Expo and the opening of the Geumgangsan Railway’s Danbaljeong Tunnel.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Geumgangsan made the governor general realize the value of Geumgangsan as a tourism resource, and the high evaluation of Geumgangsan by national park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1929 Agriculture and Forestry Congress also contributed to the governor general’s decision to actively manage the mountain. At the meeting, which was chaired by the Chief Minister and attended by representatives from the General Administration, Gangwon Province, and Geumgangsan Electric Railway, the Ministry of Forestry made its position clear as the organizer of the meeting, based on the Governor General’s intention that it was appropriate for the Ministry of Forestry to take over the management of Geumgangsan. Geumgangsan Railway led the meeting by call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Jangansa area of the Inner Geumgang River and the improvement of the main trail from the Inner Geumgang River through Birovong to the Outer Geumgang River. To this end, Geumgangsan appointed Matasaburo Ando, who has considerable experience in the railroad industry, as its executive director to increase its negotiating power with the governorate. One of the more stark disagreements between the two sides was how to finance the future development of Mount Kumgang. Geumgangsan Electric Railway proposed a budget of 1 million won over a 10-year period, but was immediately met with opposition from the Ministry of Railroads, which did not see the need to develop Geumgangsan as soon as it had completed its tourist attractions centered around the Onjeongri River. It was also extremely wary of further straining its budget after the Great Depression of 1929 and was reluctant to invest money in the development of Geumgangsan. In addition, internal circumstances such as the sudden death of Kume, the president of the Geumgangsan Electric Railway, and the resignation of Ando, who led the development of Geumgangsan, made it difficult to put additional budgetary pressure on the mountain. In response, the Ministry of Forestry of the Governor General tried to secure its own budget for the project, but this was unsuccessful, and the first steps toward the designation of Geumgangsan National Park were not smooth.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1930 Conference on the Preservation of Geumgangsan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xpose and reconcile the positions of various actors who had established their own interests in the mountain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 KCI등재

        용아 박용철의 금강산 기행 시조 연구

        김준 열상고전연구회 2022 열상고전연구 Vol.78 No.-

        This study aims at Geumgangsan mountain travel by Yong-a Park Yongchul who represents simunhakpa. The part where he focused on forming the simunhakpa was to establish the independent value of the poem. This reflects his attitude that viewed the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ideology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t is an interesting point that he created Sijo based on the experience of traveling to Mount Kumgang in the 1920s. As it is known, the Japanese imperialism has implemented policies to destroy the ethnicity and culture of Joseon in various ways, so there was a movement to protect the territory, history, culture and language of Joseon. In this process, it gave symbolic meaning to Geumgangsan mountain and put it in Sijo, the regular poet of Jose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umgangsan mountain and Sijo was a material with considerable intimacy in terms of the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ideology. Therefore, most of the sijos created with Geumgangsan mountain were aimed at inspiring national consciousness by revealing their desire for visiting Geumgangsan mountain or by highlighting the sublime and sacredness of Geumgangsan mountain. But Park Yong-cheol’s approach was different from the beginning: he did not seek a long history at Geumgangsan mountain or intentionally give it any special meaning. The most distinctive part of his Geumgangsan mountain travel Sijo is two main parts. One is that the word mind frequently appears, and the other is that it uses the personal pronoun called you (Nim). Through this, he has been able to solve his inner self by form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closely. Park Yong-cheol had a lot of difficulties when traveling to Geumgangsan mountain due to his bad health. Despite these difficulties, he visited the area of Birobong and recognized Geumgangsan mountain as a space to heal his physical pain and inner distress. Park Yong-cheol advocated pure lyric poetry that captures the experiences and feelings of the poet, so this part is naturally reflected when creating the poetry of the Geumgangsan mountain.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seen that the poet who pursued pure lyric poetry on behalf of the simunhakpa can take the aspect of putting Geumgangsan mountain into Sijo. 본 연구에서는 시문학파를 대표하는 시인인 용아 박용철의 금강산 기행 시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가 시문학파를 결성함으로써 중점을 두었던 부분은 시의 독자적인 가치를 확립하려는 데 있었다. 이는 문학과 이데올로기의 결합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던 그의 태도가 반영된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태도를 갖고 있었던 그가 1920년대 금강산 기행 체험을 바탕으로 시조를 창작한 사실은 흥미로운 지점이다. 주지하다시피 일제는 다양한 방면에 걸쳐서 조선의 민족성과 문화를 말살하려는 정책을 펼쳤기에 조선의 영토, 역사, 문화, 언어 등을 지키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 과정에서 금강산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조선의 정형시인 시조에 이를 담아내었다. 금강산과 시조의 관계는 문학과 이데올로기의 결합 측면에서 볼 때 상당히 친밀성을 갖는 소재였던 것이다. 따라서 금강산을 소재로 창작된 대부분의 시조들이 금강산 탐방에 대한 열망을 드러내거나 금강산의 숭고함과 신성함을 부각함으로써 민족의식을 고취하려는 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박용철의 접근 방식은 그 출발점부터 달랐다. 그는 금강산에서 유구한 역사를 찾는다거나 의도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려 하지 않았다. 그의 금강산 기행 시조에서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마음이라는 시어가 빈번하게 등장한다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그대(님)라는 인칭대명사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대상과의 관계를 밀접하게 형성하면서 자신의 내면을 담담하게 풀어내고 있다. 박용철은 좋지 않은 건강으로 인해 금강산 기행을 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비로봉 일대를 둘러보았으며, 자신의 신체적 고통과 내면의 번민을 치유해 줄 수 있는 공간으로 금강산을 인식하였다. 박용철은 시인 개인의 체험과 감정을 담아내는 순수서정시를 주창했었기에 금강산 기행 시조를 창작할 때도 이러한 부분이 자연스럽게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본고의 논의는 시문학파를 대표하며 순수서정시를 추구했던 시인이 금강산을 시조에 담아내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는 데서 의의를 생각할 수 있다.

      • KCI등재

        용아 박용철의 금강산 기행 시조 연구

        김준 열상고전연구회 2022 열상고전연구 Vol.78 No.-

        본 연구에서는 시문학파를 대표하는 시인인 용아 박용철의 금강산 기행 시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가 시문학파를 결성함으로써 중점을 두었던 부분은 시의 독자 적인 가치를 확립하려는 데 있었다. 이는 문학과 이데올로기의 결합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던 그의 태도가 반영된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태도를 갖고 있었던 그가 1920년대 금강산 기행 체험을 바탕으로 시조를 창작한 사실은 흥미 로운 지점이다. 주지하다시피 일제는 다양한 방면에 걸쳐서 조선의 민족성과 문화를 말살하려 는 정책을 펼쳤기에 조선의 영토, 역사, 문화, 언어 등을 지키려는 움직임이 있었 다. 이 과정에서 금강산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조선의 정형시인 시조에 이 를 담아내었다. 금강산과 시조의 관계는 문학과 이데올로기의 결합 측면에서 볼 때 상당히 친밀성을 갖는 소재였던 것이다. 따라서 금강산을 소재로 창작된 대부 분의 시조들이 금강산 탐방에 대한 열망을 드러내거나 금강산의 숭고함과 신성함 을 부각함으로써 민족의식을 고취하려는 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박용철의 접근 방식은 그 출발점부터 달랐다. 그는 금강산에서 유구한 역사를 찾는다거나 의도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려 하지 않았다. 그의 금강산 기행 시조에서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마음이라는 시어가 빈번하게 등장한다는 점이며, 다른 하나는 그대(님)라는 인칭대명사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대상과의 관계를 밀접하게 형성하면서 자신의 내면을 담담하게 풀어내고 있다. 박용철은 좋지 않은 건강으로 인해 금강산 기행을 할 때 많은 어려움 을 겪었다. 이러한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비로봉 일대를 둘러보았으며, 자신의 신체 적 고통과 내면의 번민을 치유해 줄 수 있는 공간으로 금강산을 인식하였다. 박용철은 시인 개인의 체험과 감정을 담아내는 순수서정시를 주창했었기에 금 강산 기행 시조를 창작할 때도 이러한 부분이 자연스럽게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 다. 본고의 논의는 시문학파를 대표하며 순수서정시를 추구했던 시인이 금강산을 시조에 담아내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는 데서 의의를 생각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Geumgangsan mountain travel by Yong-a Park Yongchul who represents simunhakpa. The part where he focused on forming the simunhakpa was to establish the independent value of the poem. This reflects his attitude that viewed the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ideology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t is an interesting point that he created Sijo based on the experience of traveling to Mount Kumgang in the 1920s. As it is known, the Japanese imperialism has implemented policies to destroy the ethnicity and culture of Joseon in various ways, so there was a movement to protect the territory, history, culture and language of Joseon. In this process, it gave symbolic meaning to Geumgangsan mountain and put it in Sijo, the regular poet of Jose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umgangsan mountain and Sijo was a material with considerable intimacy in terms of the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ideology. Therefore, most of the sijos created with Geumgangsan mountain were aimed at inspiring national consciousness by revealing their desire for visiting Geumgangsan mountain or by highlighting the sublime and sacredness of Geumgangsan mountain. But Park Yong-cheol’s approach was different from the beginning: he did not seek a long history at Geumgangsan mountain or intentionally give it any special meaning. The most distinctive part of his Geumgangsan mountain travel Sijo is two main parts. One is that the word mind frequently appears, and the other is that it uses the personal pronoun called you (Nim). Through this, he has been able to solve his inner self by form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closely. Park Yong-cheol had a lot of difficulties when traveling to Geumgangsan mountain due to his bad health. Despite these difficulties, he visited the area of Birobong and recognized Geumgangsan mountain as a space to heal his physical pain and inner distress. Park Yong-cheol advocated pure lyric poetry that captures the experiences and feelings of the poet, so this part is naturally reflected when creating the poetry of the Geumgangsan mountain.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seen that the poet who pursued pure lyric poetry on behalf of the simunhakpa can take the aspect of putting Geumgangsan mountain into Sijo.

      • KCI등재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

        고영섭(Ko Young Seop)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of Geumgangsan that is the influential ground for determining the Buddhism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evaluated as a mountain Buddhism, as native Buddhism. The reason that the temples of Geumgangsan could maintain certain formalities under the Buddhism suppressing policy of Joseon government is that government selected Geonbongsa, Singyesa, Yujeomsa, Pyohunsa, etc. as the places for royal prayers. Furthermore, the reason that Geumgangsan and its temples are discriminated from the temples of other area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s that they were the places containing special meaning for religion and training so that it was tradition for Buddhism lead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Emperor of Korea to stay at Mahayeon for a season. Recently,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ctively supported the recovery of Singyesa and completed Buddha-work because it desired the succession of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of this area, which has shared large por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m religion of Geumgangsan has established its characteristic as the system of Sammunsuhak(三門修學) was maintained. Pyohunsa was the temple, which was constructed on the foundation of Dharma Vessel religion based on Hwaeom Thought and its sudden enlightenment approach. Yujeomsa was famous for chamseondoryeong(參禪道場) based on direct shortcut approach. Singyesa was reborn as chamseondoryeong based on direct shortcut approach on the foundation of Faith in Amitābha. Traditionally, Manilyeombulhoi(萬日念佛會) based on Faith in Amitābha was popular in Geonbongsa. It can be said that the tradition of lecture and meditation has been founded since the 19th century. Like that, the Buddhism religion of Geumgangsan was the place where Beophwa Cheontai, Hwaeom Bohyeon, Jeongto Yeombul, Seonbeop Chamseon, Esoteric Buddhism and Odaesan religion are concentrated. Top 4 temples of Geumgangsan have maintained unique training traditions. For Pyohunsa, Pyohun, Sinrim, and Neungin have succeeded practical Hwaeom Thought of Uisang since the Era of Unified Silla and it made traditional clue of Seonkyoilwon(禪敎一元) or Seonkyogyeomsu(禪敎兼修), which formed the main flow of Korean Buddhism. For Yujeomsa, it seems that the tradition of Samyeong Yujeong, who was the founder of this temple, maintained the tradition of his teacher, Cheongheo Hyujeong, ‘Enters to seonbeop(禪法) through kyobup(敎法)'. For Singyesa, When considering the annotation of Tanmoon, who was the Hwaeom person of the early Goryeo age, adopted Beopanseon(法眼禪) and practiced thought of Buddhism of Myocheong, it seems that the temple has emphasized the training system of Kyoseonilchi(敎禪一致), focusing on doctrine and studying seonbeop(禪法) additionally. For Geonbongsa, Yujeomsa, When considering that the temple has succeeded the tradition of founder Baljing Hwasang, jungchangjo(重創祖) Doseon and Naong Hyegeun, it is estimated that the temple maintained the training tradition where Faith in Amitābha and seonbeop(禪法) are combined. Therefore, the temples of Geumgangsan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the furnaces of Buddhism religion and training tradition. The temples of Geumgangsan were the places where Buddhism religions were concentrated and assemblies of religions so that national religions could be specialized in a certain area. The area contains the peak name, rock name, valley name and waterfall name with Taoist background as well as Gwaneum(觀音) Munsu(文殊) believe(信仰) and the faith of Amitābha Maitreya that formed popular foundation of Buddhism religion. Like that, the temples of Geumgangsan were the holy places of Buddhism and assemblies of all religions. 이 논문은 산중불교로 평가받는 조선시대불교를 자생불교로 파악 할 수 있는 유력한 근거이기도 한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조선 정부의 억불 정책 아래서도 금강산 사찰들이 일정한 사격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정부 스스로가 금강산 지역의 건봉사, 신계사, 유점사, 표훈사 등을 왕실 기도처로 삼아왔기 때문이다. 더욱이 한국불교사에서 금강산과 금강산 사찰들이 여타의 지역 사찰들과 변별되는 까닭은 조선후기 및 대한시대 이래 불교 수좌들이 마하연(摩訶衍) 선방으로 가서 한 철 나는 것을 전통으로 삼아왔을 정도로 신앙과 수행에 대해 남다른 의미를 담고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최근 대한불교조계종이 신계사 등의 복원을 적극 지원하여 불사를 마무리 한 것도 한국불교사에서 이 지역이 차지해 왔던 불교 신앙과 수행 전통의 계승에 대한 남다른 염원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이래 금강산 사찰의 불교신앙은 삼문수학(三門修學) 체계가 정비되면서 특성을 확립해 갔다. 표훈사는 화엄사상에 기초한 법기(法起)신앙과 화엄의 원돈문(圓頓門)을 기반으로 다져진 사찰이었다. 유점사는 경절문(徑截門)에 입각한 참선도량으로 이름을 떨쳤다. 신계사는 미타신앙의 기반 위에서 경절문에 입각한 참선도량으로 거듭 났다. 건봉사는 전통적으로 미타신앙에 입각한 만일염불회(萬日念佛會)가 성행했으며 19세기 이후 강학전통을 세워왔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금강산의 불교신앙은 법화 천태계와 화엄 보현계 및 정토 염불계와 선법 참선계통에 밀교 및 오대산 신앙이 결합된 모든 불교신앙의 집중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금강산의 4대 사찰은 저마다 개성적인 수행 전통을 간직해 왔다. 표훈사는 통일신라 이래 표훈과 신림(神琳) 및 능인(能仁) 등이 의상(義湘)의 실천적 화엄사상을 계승하였고 이것은 이후 한국불교의 주요한 흐름을 형성한 선교일원(禪敎一元) 혹은 선교겸수(禪敎兼修)의 전통의 실마리를 놓았다. 유점사는 이 절의 중창조인 사명 유정(四溟惟政)의 가풍이 스승인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가풍인 ‘선교겸학’(禪敎兼學)의 수행체계를 유지했을 것으로 보인다. 신계사는 고려 초기 화엄가이자 법안선(法眼禪)을 수용한 탄문(坦文)이나 불교사상을 실천하였던 묘청(妙淸)이 주석한 것으로 보아 교학을 주로 하고 선법을 종으로 하는 교선일치(敎禪一致)의 수행체계를 강조해 왔을 것으로 보인다. 건봉사는 창건주인 발징(發澄)화상에서부터 중창조인 도선(道詵)과 나옹 혜근(懶翁惠勤) 등의 가풍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타신앙과 선법이 결합된 수행 전통을 간직해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조선후기 금강산 사찰은 불교 신앙과 수행 전통의 용광로라고 할 수 있다. 금강산 사찰은 전국에 산재하는 모든 신앙을 금강산이라는 특정한 지역에 특화시킨 불교 신앙의 집중처이자 종교신앙의 모음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불교 신앙의 대중적 기반을 지닌 관음문수신앙과 미타 미륵신앙 뿐만 아니라 도교적인 배경에서 이루어진 봉우리 이름과 바위이름 및 골짜기 이름과 폭포 이름도 있다. 이처럼 금강산 사찰은 불교의 성지이면서 모든 종교의 신앙을 아우르는 집합체이기도 했다. 대한불교 이래 금강산이라는 공간이 갖는 특성 역시 척박한 조선조 불교의 지형에서 수행 전통이 드물게 살아있는 독자적 지점이었기 때문이었다. 앞으로 금강산 불교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심화시키기 위해서는 금강산 불교의 개념, 불교사상, 불교역사, 불교문화, 불교수행 등의 분야까지 검토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 인다.

      • KCI등재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채종훈 ( Jong Hun Chai ) 국제지역학회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8년까지 10여 년 동안 이루어진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업연관분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고, 향후 그 동안 중단되었던 금강산관광사업이 재개될 경우 남북한 양측의 금강산관광사업을 통한 경제적 효과 극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금강산관광사업의 시행에 따른 관광기반조성산업 투자지출 및 관광객 최종소비지출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분석절차를 따랐다. 첫째, 한국은행에서 2010년에 발간한 전국산업연관표를 관광기반조성산업과 관광산업으로 재분류하여 27×27 부문으로 재작성 하였으며,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관광산업은 관광쇼핑(소매업) 등 10개 부문으로 세분화하여 재구성 하였다. 둘째, 통합된 산업연관표로부터 생산유발승수, 부가가치유발승수, 소득유발승수, 고용유발승수를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승수와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산업에 대한 관광기반조성산업 투자지출 및 금강산관광객 최종소비지출을 바탕으로 남북한경제에 미치는 총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금강산관광사업 시행기간동안(1998.11~2008.7) 관광기반조성사업 투자지출 3,881억 원과 금강산관광객의 소비지출 7,378억 원이 최종 지출되어 남한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23,777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14,019억 원, 소득유발효과 2,736억 원, 고용창출효과 8,969명이 발생하였다. 이는 금강산관광사업 시행기간동안(10년) 총 23,777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하여 국내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북한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소비지출 4,400억 원이 발생하여 북한경제에 유발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7,378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3,388억 원, 고용창출효과 4,323명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남북한경제 파급효과를 고려할 경우 금강산관광사업의 재개는 반드시 필요하며 재개를 위한 남북한 양측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analyzed the ripple effect of Geumgangsan Tourism Project that was performed for 10 years from 1998 to 2008 through Input-Output Model from the posteriori aspect and proposed the political alternative to maximize the economic ripple effect on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Geumgangsan Tourism Project when the suspended Geumgangsan Tourism Project is resumed. For the analysis method, following study proced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ripple effect of the investment and final consumer’s expenditure caused by Geumgangsan Tourism Project on the domestic economy. First, the study redivided the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that was issued by the Bank of Korea in 2010 into 27×27 sectors including the tourism industry and subdivided the industry related to Geumgangsan Tourism Project to 10 sectors. Second, the study deducted the production, income, employment and value added multiplier from the unified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Third, the study measured total ripple effect on the construction investment expenditure and the final consumer’s expenditure for the industry related to Geumgangsan Tourism Project.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KRW 388,100 million was expended for the investment related to Geumgangsan Tourism Project and KRW 737,800 million was expended as the tourist’s consumption. Its effect on the South Korea production inducement was KRW 2,377,700 million, its effect on the value added inducement was KRW 1,401,900 million, its effect on the income inducement was KRW 273,600 million. and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KRW 440,000 million was expended as the tourist’s consumption. Its effect on the North Korea production inducement was KRW 737,800 million, its effect on the value added inducement was KRW 338,800 million. Therefore, KRW 2,377,700 million was generated as a domestic ripple effect, revealing that the implementation of Geumgangsan Tourism Project contributed to the economic activation.

      • KCI우수등재

        1930년대 중반 불교계의 『金剛山』 잡지 발간과 그 의의

        이경순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1 No.-

        금강산은 다양한 전승이 혼재하며 장구한 역사를 지닌 공간이다. 식민지기에 들어서 금강산은 근대 관광의 최전선으로, ‘동양의 신비’를 간직한 상업적 위락 공간으로 변모했다. 식민지의 민족주의자들은 식민지 조선의 역사, 민족혼에 대한 향수를 금강산에서 발견했다. 금강산은 문명과 자연이 혼거하며, 다양한 표상들의 경합장이 되어갔다. 이러한 가운데 불교는 삼국시대 이래 금강산의 문화 전승자로서 존립하고 있었다. 그런데 금강산의 불교는 새로운 관광주체와 근대 지식인들의 시선 속에서 고대의 유물, 고정된 경관으로 인식되었다. 금강산에 대한 국내외의 폭발적 관심과 예찬, 언설의 홍수 속에 불교측은 금강산에 대한 관점을 재정립하고 자신들의 존재를 천명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계기에 의해 1935년 『금강산(金剛山)』 잡지가 발간되었다고 보았다. 즉, 잡지 발간은 금강산이라는 주제에 대한 1930년대 중반 불교계의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응답이었다. 금강산 표훈사가 발간한 『금강산』은 1930년대 불교계 중앙기관지가 중단된 가운데, 몇몇의 개인과 지방의 사찰 또는 불교 단체들이 잡지를 간행한 맥락 속에 위치한다. 불교계의 다양한 주체들이 성장하여 잡지라는 근대 매체에 목소리를 담아가기 시작한, 1930년대 중반 불교문화사의 풍경 속에 『금강산』이 출현한 것이다.『금강산』은 금강산 지명과 전설의 불교적 해석, 조선시대 전통의 발굴에 주력했다. 식민지 개발에 의해 첨단의 관광지로서 새롭게 태어나 식민지 권력에 의해 발견된 비경으로, 압도적 자연미의 산실로 여겨졌던 금강산에 대해, 불교계는 불교라는 전통에서 금강산을 표상화할 것을 잡지 『금강산』을 통해 전하려고 하였다.『금강산』은 금강산에 대한 다양한 논의 분출과 상업화의 흐름 속에서, 금강산에서의 불교 입지를 드러내고자 한 시도로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publication of a monthly magazine Kumkangsan in mid 1930s. Kumkangsan was recognized at the time as the first magazine on Mt. Geumgangsan (or Kumkangsan) and the first Buddhist magazine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Not only Mt. Geumgangsan had been the most popular site among travellers through the history of Korea, but also a significant colonial tourist attraction in the modern era. In the early 1930s, a tourist railroad to Mt. Geumgangsan was completed and a commercial tourist town was developed around the mountain. While Mt. Geumgangsan gained popularity among Japanese people and Westerners as one of the oriental, or mystical sight of nature, it evoked nostalgia of Joseon-period for Koreans under the Japanese rule. Korean Buddhists residing in Mt. Geumgangsan, who had retained their long tradition and relics until the modern period, realized that numerous tourist guide books and travelers’ journals about the mountain omitted or ignored information or discourses about Buddhist traditions. Having found a need to reestablish their status in Mt. Geumgangsan and to disclose some of their ancient preservation to public, some Buddhist intellectuals and monks in the mountain got together to publish a magazine, Kumkangsan. In the magazine, they emphasized Buddhist origin and identity in naming the mountain, presented historical events and Joseon-period cultural products, and published Buddhist literary works. Despite Kumkangsan’s short-lived publication of only ten issues, the magazine represented an active response to commercialization and touristification of Mt. Geumgangsan and an attempt to revive Buddhist identity of the mountain.

      • KCI등재

        금강산의 디지털 재현, 메타버스 가능성

        박효은(Park, Hyo-e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3 美術史學 Vol.- No.45

        이 글은 한국미술사의 주요 연구대상인 금강산을 21세기의 대표적인 디지털콘텐츠로 설정하여 새로운 메타버스 개발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우선 디지털콘텐츠 산업 발전의 역사적 맥락에서 메타버스의 의미를 살펴본 후, 금강산의 디지털콘텐츠화 양상을 디지털데이터 축적과 디지털화된 전시콘텐츠로 나누어 소개하고, 실현가능한 금강산 메타버스의 면모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메타버스를 활용한 전시기획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증한 최근의 추세에 부응하고자 한다. 메타버스는 증강현실, 일상기록, 거울세계, 가상세계가 모두 통합된 ‘웹 기반 사용자 참여 3D 디지털세계’이다. “가상 같은 현실세계”와 “현실 같은 가상공간”의 융복합 범주를 뜻하는 메타버스는 VR·AR·MR·XR을 비롯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NFT 등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의 총합을 이루며, 1980-90년대 이래의 전산화, 2000년대 이래의 디지털화에 이어 디지털 대전환의 시기에 접어든 최근에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새 장을 이끌고 있다. 따라서 금강산 메타버스의 청사진을 그려보고자 한 이 글의 시도는 디지털 대전환 시기에 적합한 제안이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 문화예술과 국가문화유산에 대한 정보가 단기간에 전산화, 디지털화된 데는 2000년대를 통한 국가지원 연구과제나 국가기관의 정책적 사업수행이 크게 기여하였다. 그중에서도 금강산 관동팔경을 브랜드로 내세운 국립춘천박물관은 연구조사, 전시기획, 온라인전시관으로 디지털 금강산의 내용을 채우면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서 금강산이 갖는 의미를 소개해왔다. 기초자료를 전산화하고, 그 데이터를 전시를 통해 시각화하며, 그 결과를 온라인전시관에 아카이빙해 누리집 자체를 플랫폼화한 일련의 사업수행은 거울세계 메타버스에 근접하는 효과를 낳았다. 더불어 전시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와 참여를 높이고자 한 전시기법과 전시마케팅은 증강현실, 일상기록의 메타버스와도 통하는 것이었다. 관람객 참여와 개인화된 관람경험을 제공하고자 한 전시기획이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만남으로써 자연스럽게 메타버스에 가까워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그간의 동향에서 더 나아가, 이 글은 전시콘텐츠로서 디지털금강산의 대부분이 영상이고, 전시보조영상과 실감영상 모두가 CG에 기반해 21세기적 형상화를 낳았다는 점에 착안해 새로운 금강산 메타버스를 구상해보았다. 국립박물관의 다수 동시체험형 실감콘텐츠 상영관에서 볼 수 있는 실감영상에 구현된 몰입도 높은 3D 가상세계는 금강산 메타버스의 배경경관으로 삼기에 충분하다. 여기에 거울세계 금강산과 옛그림의 재현방식을 연결해 새로운 3D 경관 제작을 모색하고, 이를 VR·AR·MR·XR을 활용한 3D 디지털문화유산 기술과 결합하여 옛그림 속 개별명소와 유형문화유산을 복원하는 방안을 제안해보았다. 그중에는 아바타의 금강산 유람과 금강산도 감상 및 관련 정보 검색 등 사용자 참여와 소통을 꾀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웹상에 3D 기반의 금강산 메타버스를 구현한다는 발상이 기술적으로 충분히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고찰에 기반해 17-18세기 동아시아 회화사에서 중국의 황산, 일본의 후지산과 유사하게 기능한 금강산의 위상을 되찾고 북한과 안전하게 협력할 돌파구이자 통일한국의 평화적인 교두보로 기능하게 될 금강산 메타버스 조성을 제안한다. 풍부하게 연구된 디지털금강산에 기반하는 21세기 디지털콘텐츠로서의 금강산 메타버스는 북한과 공동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문화유산에 금강산을 등재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Metaverse developmental possibilities of Geumgangsan Mountain – a major research subject in Korean Art History – as representative 21st century digital content. After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Metaverse from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Geumgangsan Mountain’s digital content aspects will be addressed in terms of its digital data accumulation and digitized exhibit contents. Then, the aspects of Geumgangsan Mountain that can be materialized in the Metaverse will be examined to meet today’s rapidly increasing interest in Metaverse-inclusive exhibition planning and education. Metaverse is a convergent 3D cyber-world in which web users participate in four different categories: augmented reality, life logging, mirror worlds, and virtual worlds. It is an integrated category for virtually enhanced physical reality and physically persistent virtual spaces, which can also be said to be a collection of cutting-edge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VR, AR, MR, and XR, as well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Internet of Things, and NFT, etc. After the beginning of computerization in the 1980s and 1990s and digitalization in the 2000s, recently, the Metaverse is leading the way for the modern digital content industry and the digital transition trend. It can thus be said that this paper’s intent to draft a blueprint for the Geumgangsan Metaverse is appropriate for the ongoing digital transformation era. The computer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Joseon Dynasty cultural art and national heritages in such a short time is in no small part due to the substantial contributions of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and governmental institutional policies. For instance, the Chuncheon National Museum established the digitization of the brand of Geumgangsan Mountain and The Eight Scenic Sites of Gwandong with the purpose of embodying a wide collection of research, exhibition planning, and online exhibitions detailing the meaning of Geumgangsan Mountain in Korean culture and history in a digital format. This series of base data computerization, data visualization through exhibitions, and archiving these results through an online exhibition hall generated a platform-like cyberspace of the museum’s website itself, which had an effect of nearly actualizing a mirror world Metaverse. Additionally, the exhibition marketing and display techniques used to increase exhibition visitors’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were found to be in near concordance with the augmented reality and life-logging aspects of the Metaverse, as well. The personalized exhibition experience and visitor participation intentions of the exhibition planning were a hand-in-hand development of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and enabled one more step to be taken toward a natural manifestation of the Metaverse. As an extension of those same efforts, this paper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Geumgangsan Metaverse. The majority of Geumgangsan Mountain’s digital content was in video form, and CG-based exhibition auxiliary imaging and immersive digital video were also created to capture a more modern, 21st century atmosphere. These digital videos on display at national museums’ immersive content experience theaters are sufficient to become a background for the Geumgangsan Metaverse. Then, a combination of a Mirror World rendition of Geumgangsan Mountain and depictions of the mountain in old paintings was added to these videos, and this was combined with 3D digital cultural heritage technology, including VR, AR, MR, and XR, to suggest a possible way of restoring attractions and tangible cultural assets seen in old paintings. Also included are aspects designed to entice user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cluding sightseeing of Geumgangsan Mountain, viewings of paintings of the mountain, and access to related information search fea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vatar. Overall, it can be co

      • KCI등재

        조선시대 유자(儒者)의 공간의 의미화 양상과 그 의미 - 금강산 유산기(金剛山遊山記)를 중심으로 -

        박은정(Park Eun-j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4 No.-

        금강산을 유산하는 자들은 유산(遊山)의 경험과 정보를 서로 주고받으면서 개인적 유산의 체험을 집단적 유산의 체험으로 확장시켰다. 그 결과유산기는 개별적이고 개인적인 체험의 기록임과 동시에 유람을 통해 서로의 기억을 확인하고 확장하고 축적했던 집단의 기록이 되었다. 유산자들은 이 유산기를 통해 금강산이라는 공간에 대한 기억을 함께하고 의미를 공유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유자들이 산이라는 공간을 개인적 체험의 경계를 넘어 집단적으로 소비하고 의미화하는 양상을 살피고, 그 과정 속에 내재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유자들이 금강산을 의미화하는 양상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이름없는 장소에 이름을 부여하거나 기왕에 있던 이름을 자신의 뜻에 맞게 개명하는 것으로, 이는 적극적으로 공간을 의미화하는 작업이다. 명명(命名)과 개명(改名)을 통한 공간의 의미화 작업은 개인적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산기 속 기록이나 승려의 입을 통해 집단으로 확대되었다. 두번째는 유산자들이 공간에 이름이나 시를 새기는 각자(刻字) 행위를 들 수 있다. 각자는 뒤에 오는 사람들에게 먼저 다녀간 사람을 기억하게 하는 행위였을 뿐만 아니라, 그들만의 장소로 공간을 의미화하는 구체적인 행위였다. 세 번째는 유교적 형상화를 통한 공간의 의미화이다. 유산자들이 유산의 체험을 형상하면서 유가 경전 구절을 인용하거나 중국 시인의 시구와 자신의 체험을 동일시하거나 또는 유가적인 이상공간으로 묘사하는 것 또한 유자들이 공간을 의미화하는 행위였다. 유산기 속에 그려진 금강산에 대한 유가적 형상화는, 유산기를 읽는 사람들에게 선험적으로 금강산이라는 공간을 유교적 공간으로 각인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처럼 조선시대 유자들은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개인의 체험과 감상을 형상화하는 데만 집중한 것이 아니라 금강산의 의미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노력하였다. 금강산의 불교적 색채를 다양한 방식으로 지우고 그 위에 유교의 새로운 의미를 덧씌우려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것은 불국토를 유자의 공간으로 환원시키려는 조선시대 유자들의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금강산을 자신들의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던 욕망이 내재된 행위였다. 산을 단순한 지리공간이 아니라 하나의 인문공간으로 이해했기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Travelers of Geumgangsan(Mt. Geumgang) expanded from the experience of personal travel to the experience of collective travel by repeating process of that they influenced and were affected each other through Geumgagnsan Usangi(金剛山遊山記: records of travel in Geumgansan). Therefore, Usangi was a record of individual and personal experiences, and at the same time, it was a group record that confirmed, expanded and accumulated each other’s memories through sightseeing while sharing Usangi. Travelers shared memories and meanings of the space called Geumgangsan through Usangi. In this regard, this study looked at the aspect of collective consumption and semanticization of confucian in Joseon Dynasty beyond the level of personal consumption on the space called mountain with targeting on Geumgagnsan Usangi. Also this study researched the desire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process of meaning on the space. There are three aspects of the confucian scholars’ meaning of the Geumgangsan space. The first, hikers gave names to unnamed places or renamed existing names to suit their own will, which was an activity positively meaning space. The work of meaning of space through naming and renaming was not limited to the individual level, but was expanded to work the meaning of collective space through Usangi or the words of monks. The second was the travelers’ act of engraving names or poems on the space. Engraving was not only an act of remembering the person who went first, but also a positive act that meant space as only their own space. The third was the meaning of space through shaping of Confucianism. It was also an act of meaning by the travelers to refer to the passage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or to identify Chinese poet’s poetry with his own experience or to describe the space as confucian space, while shaping the experience of the hiker’s climbing mountain. The shaping of Confucian about Geumgangsan would have worked to people who read Usangi to impress the meaning on the space of Geumgangsan.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Dynasty meant their own space with intentionally changing the Buddhist name of the space or confucian shaping the description of Geumgangsan, or engraving their names and carving poems wherever they went, while they traveled Geumgangsan. This was an effort of several methods by Confucian scholars to escape the Buddhist colors of Geumgangsan then to return Geumgangsan to the space of Confucian scholars. The semantic aspect of space in various ways was an act in which Confucian scholars’ desire to make Geumgangsan their space.

      • KCI등재

        20세기 초 금강산 표상 연구— 최남선의 「풍악기유」와 금강예찬 을 중심으로 —

        박은정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동방학 Vol.- No.46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Choi Nam-seon's 「Pungakgiyu」 and Geumgang Yechan as part of tracking the symbol change of Geumgangsan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pre-modern to modern times. Through 「Pungakgiyu」 and Geumgang Yechan , it was revealed that Choi Nam-seon intentionally focused on creating the symbol of Geumgangsan and the reason was considered. In 「Pungakgiyu」 and Geumgang Yechan , Choi Nam-seon gives new meanings to Geumgangsan in four aspects. First, Choi Nam-seon establishes Geumgangsan as the king of the world's famous mountains. Second, Choi Nam-seon defines Geumgangsan as a symbol of Joseon spirit. Third, Choi Nam-seon uses Geumgangsan as a sacred place for Joseon ideology. Fourth, Choi Nam-seon symbolizes Geumgangsan as the spiritual mountain of ancient Shinto. Choi Nam-seon's claim that Geumgangsan is a symbol of Joseon was an active declaration that Geumgangsan belonged to Joseon and a concrete act to protect Geumgangsan in Jose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본고는 전근대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금강산의 상징 변화를 추적하는 일환으로 최남선의 「풍악기유」와 금강예찬 에 주목했고, 「풍악기유」와 금강예찬 을 통해 최남선이 의도적으로 금강산 상징 만들기에 주력했음을 밝히고 그 이유를 고찰하였다. 「풍악기유」와 금강예찬 속에서 최남선은 금강산에 네 가지 측면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첫째, 최남선은 금강산을 세계 명산 중의 제왕으로 자리매김한다. 둘째, 최남선은 금강산을 조선심과 조선 정신의 표상으로 규정한다. 셋째, 최남선은 금강산을 조선 사상의 성지로 삼는다. 넷째, 최남선은 금강산을 고대 신도의 영산으로 상징 짓는다. 이렇듯 1920년대 최남선은 도드라지게 금강산을 조선의 표상이라 주장했고, 의도적으로 금강산의 의미 만들기에 주력했다. 일본이 조선의 금강산을 개발하여 일본의 풍경, 일본의 관광지, 식민지의 상징으로 삼으려 하는 데 반하여, 최남선은 금강산을 조선, 조선심, 조선 정신의 표상이라고 선언했다. 최남선의 금강산 조선 표상화는 금강산이 조선의 것이라는 적극적인 선언이었으며, 일제로부터 조선의 금강산을 지키려는 최남선의 구체적인 행위였다.

      • KCI등재

        풍수 형기론(形氣論)으로 본 대순진리회 금강산토성수련도장

        신영대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6 No.-

        본 논문은 대순진리회 금강산토성도장을 풍수학의 형기학적인 관점에서 전반적인 풍수의 국세와 특징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겉으로 드러난 산의 형세를 보고, 그 안에 흐르는 기의 세력을 살펴 산천에서 발생하는 기운의 강약과 후박 등을 통해 생기의 흐름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길흉을 살펴보았다. 이곳은 특히 “일만 이천의 도통군자로 창성하리라”라는 상제님의 말씀이 서려있는 곳이며, 미륵불과 도전님의 능소가 있다는 점에서 수도를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의미 있는 도장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풍수론에 부합한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의 풍수적 상징성과 생왕지지에 대해 탐색하고, 그에 따른 지세와 형국, 동해의 맑은 수기가 어울린 용맥과 지맥, 금강산의 산세, 대순진리회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의 풍수적 입지와 지세, 지맥 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백두대간은 금강산을 거쳐 신선봉으로 이어지고 그 중 한 줄기는 금강산토성수련도장으로 이어졌고, 다른 한 줄기는 상봉을 거쳐 미시령과 설악산으로 이어져 내려간다. 따라서 대순진리회의 여러 도장들 가운데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을 형기풍수론을 토대로 살펴봄으로써, 대순진리회가 종교 건축물의 입지조건으로서 주위 환경과의 관계를 강력히 고려하고 있다는 사실을 풍수지리 제반 이론들을 토대로 학술적 접근을 통해 그 본의를 논증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이 자리하고 있는 현장을 중심으로 산과 물의 흐름을 파악하고 주변의 지세가 어떤 형태로 풍수의 이치에 부합하고 있는지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제반 풍수이론에 근거하여 볼 때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은 신선봉을 필두로 하여 주맥이 행도 과정에서 산줄기가 흘러내리면 물이 따라 흐르고, 물이 휘돌아 흐르는 곳에 산이 따라 이어지는 수많은 지리적 음양변화를 거치며 금강산토성수련도장으로 이어져 내렸다. 자연의 이치라 할 수 있는 산과 물의 유기적인 관계로 볼 때 때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의 가장 두드러진 풍수적 특징은 음양합덕에 부합한 빼어난 수세와 청룡과 백호가 조화를 이룬 국세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풍수이론에 부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overall Fengshui figuration and geomantic features of Daesoon Jinrihoe’s Geumgangsan (Mt. Geumgang)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from the Hyeonggi (Energy of Form) Theory in Fengshui.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mountain landscape viewable from the surface, examined the influence of Qi (Energy) flowing inside it, comprehended the flow of its vitality in terms of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gauged the depth of the energy produced from mountain streams to determine fortune and misfortune. There is a special significance to this site due to Sangje’s teaching that “…it will be prosperous with 12,000 Dotonggunja (Dao-empowered Sages),” and it is also known as a efficacious grounds for cultivation among ascetics due to it housing the royal mausoleum of Dojeon (interpreted by some as Maitreya). Concerning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geomantic symbolism and growth-supporting land of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as it corresponds to Fengshui theory, and in keeping with this, the topography and conditions are likewise examined. The mountain range and its energy pathways (veins) harmonize with the pure water energy coming from the East Sea. The mountain terrain of Mount Geumgang, and the geomantic location, topography, and energy pathways that influence Daesoon Jinrihoe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are all explored.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extends through Mount Geumgang to Sinseonbong Peak, and one range extends to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whereas the other range extends through Sangbong Peak down to Misiryeong Valley and Mount Seorak.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Daesoon Jinrihoe has always strongly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temple complexe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The order has always selected locations that exhibit optimal conditions which suit the construction of sacred spaces. The determinations in this paper were made through an academic approach that drew upon various theories of Fengshui while examining Daesoon Jinrihoe’s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The in-depth analysis was specifically based on Hyeonggi Fengshui.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looked into the surroundings of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In particular, the mountains and flow of nearby bodies of water were comprehensively examined to show how the surrounding topography corresponds to the principles of Fengshui. An integral approach combining all major theories of Fengshui revealed that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starts from Sinseonbong Peak, and its energy flows through the main mountain range, going through numerous geographical changes of yin and yang. When the range flows down, the water flows accordingly, and where the water whirls, the mountains are shaped accordingly. Eventually, this energy reaches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From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mountains and bodies of water, which can be said to be the essence of the order of nature, it can be judged that the most prominent geomantic feature of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corresponds to traditional theories of Fengshui in that it forms a configuration wherein optimal water energy supports th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Yang and harmonizes the Blue Dragon with the White Ti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