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슈미트(Bernd H. Schmitt)의 경험 모듈을 중심으로 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활용 방안 연구 -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

        김응화,홍우정,김미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2

        최근 디지털 시대 소비자의 생활 모습과 패키지의 의미가 변화하여 소비자는 패키지를 통한 다양한 경험을 요구한다. 해외 기업은 소비자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자 첨단 기 술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 융합 패키지를 개발하고 있 으나 국내에서는 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연구목적은 번 H. 슈미트(Bernd H. Schmitt)가 제안한 전략적 경험 모듈(감 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을 중심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디자인 활용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은 문헌조사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번트 H. 슈미트(Bernd H. Schmitt)의 다섯 가지 전략적 경험 모듈을 따라 경험 디자 인의 이론적 근거를 확립,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디자인 사례에서 경험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고 경험 소비 관 점에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평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F.D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사례가 패키지 디자인 선호도와 차별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F.D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 지가 사용자에게 독자적인 경험을 제공한다는 긍정적인 결과 로 판단된다. 최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을 상용화하고 자 일회용 디스플레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시대 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은 소비자와 상호 작용해 다양한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이다. 앞으로 플렉서블 디 스플레이 기반 패키지는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consumers' lifestyles and the meaning of packages have recently changed in the digital age, consumers dem and various experiences through the package. Overseas c ompanies are developing packages that combine flexible display technology, which is a high technology, as a strat egy to provide a unique experience for consumers. Howe ver, in South Korea, the progress of the study is rather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util ization of flexible display-based package design through five strategic experience elements (sensory, emotional, co gnitive, behavior, and relationships) proposed by Bernd H. Schmidt. The research method follows five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from Flexible Display and Bernd H. Schmidt to establish the rationale for experience design, followed by analyzing experience design elements in flexi ble display-based package design cases. We analyzed the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flexible display-based packa ge design cases from an experience consumption perspec tive. Research has shown that F.D. Display-based packa ge cas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ckage design aff inity and differentiation. It is judged as a positive result that the F.D display-based package provides a unique ex perience to users. Recently, research on disposable displa y is underway to commercialize flexible display technolog ies. In the digital age, flexible display technology is the method to interact with consumers and create various br and values. In the future, flexible display-based packages will work as a strategic and effective design method.

      • KCI등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R&D기술 디자인 융합연구

        이재익(Lee, Jae I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최근 스마트기기의 형태가 ‘소지’에서 ‘착용’형태로 전환되어가는 시점에 등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기의 산업분야별 R&D기술과 전문화된 디자인 융합연구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미래창조 신성장 동력엔진의 창출 필요성으로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대안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때문에 학계와 산업계는 물론 정부에서도 주요한 분야로 육성 발전시키고자 하는 첨단 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업기술평가원(KEIT), 산업기술진흥원(KIAT),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학술논문, 전문자료 및 보고서 등을 통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기술 및 현황과 전망, 디자인융합 사례를 고찰하였다. 특히, 최근 국내에서는 LG 디스플레이, 삼성 디스플레이 등의 기업 연구소를 비롯하여 KEIT, ETRI, ETRI, 대학기관에서 Flexible LCD, OLED, e-Paper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회 전반적으로는 초고해상도 / 동영상 구현 등의 요구사항에 부합하기 위해 삼성 SDC와 LG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모바일 폰에 Bendable / Foldable 기능을 부여하는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으며 2020년 이후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50% 이상을 OLED 디스플레이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혁신 제품군은 현재 애플, 삼성, LG등의 국내외 모바일 기기를 생산하는 기업을 위주로 꾸준히 준비되고 있으나 아직은 프로토타입 개발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근간이 되는 패널기술, TFT기술, 소자기술, 공정기술, 소재기술 (LCD, OLED), 부품기술, e-Paper기술동향과 디자인 융합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융합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나아가 응용 기술 개발과 디자인 혁신에 지표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the time that the shape of smart device is transforming from possession to wearing, the R&D technology of flexible display equipment in every industry field and specialized design complex study a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alternative in need of newly creating job position and new creative growing dynamic engine in future. Therefore, they are the van-guard field to promote in government as well as academic and industrial world principally. Consequently, this convergence study investigated the technology associated flexible display and current design complex case home and abroad through the scientific treatise and specialized data and report of KEIT, KIAT, and NIPA. Particularly, the research regarding LCD, OLED, and e-Paper is processing at KEIT, ETRI, and university institute as well as corporation research center of LG, Samsung and so over. In overall society, flexible OLED display in mobile phone endowed with Bendable / Foldable function to meet the requirement of high clearness and the realization of moving picture mainly by Samsung SDC and LG display is expected to grow quickly. After 2020, OLED display is estimated to occupy more than half of flexible display. Besides, renovation product group is being prepared continuously in company producing mobile equipment such as Apple, Samsung, and LG inside and outside nation, but is in the stage of prototype development y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convergence study is to show the basic data indicating technology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influence to future consumer through figuring out the trend of panel technology, TFT technology, element technology, progress technology, material technology(LCD, OLED). part technology, and e-paper technology.

      • KCI등재후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품) 신시장 창출을 위한 차세대사용자 의식조사 연구

        이철호 ( Lee Cheol Ho ),정형기 ( Jung Hyeong Gi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6 No.-

        2000년대 사회 전반적으로 의료, 건강, 인포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확대될 것으로 보여지며, 향후 전자기기 디자인 융합기술, 인포테인먼트 및 게임디자인 융합기술, 산업 및 군사 디자인 융합기술 등에 적용된 사례개발 또한 급속도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스마트기기의 형태가 ‘소지’에서 ‘착용’형태로 확정되어가는 시점에서 등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기는 관련 산업분야별 신시장 창출과 미래 신성장 동력엔진의 먹거리, 차세대 일자리 창출의 필요성으로 당면하고 있는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대안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신시장 창출을 위한 차세대사용자의 의식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R&D기술과 디자인 융합연구 개발의 방향성 탐색의 단초 및 그 흐름을 제시하는데 그 배경과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 연구동향과 기대효과를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행한다. 둘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미래의 주사용자 즉, 차세대 집단의 의식조사 분석을 통한 태도연구를 실시하여 미래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시장에 대한 선도적 개발 방향과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향후의 실증적 자료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차세대 의식조사 연구는 SAS 9.3 Chi-square & Fisher``s Exact test 설문응답의 기술통계로서,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는 설문조사를 위해서 조사계획, 설문지, 표본추출, 본 조사, 자료입력, 자료 분석 등의전 과정에서 가장 적절한 통계적 방법인 크론바흐 기법 을 이용한 신뢰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셋째, 설문대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차세대 주 사용자인 수도권 20대 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접 형태로 조사되었으며 설문항목은 정보 이해도, 관심도, 흥미욕구 정도, 구매욕구 정도, 구매용도, 구매요인, 구매부위, 비구매 요인, 구매 시 보완요인, 보완요인 해결 시 최종 구매의사 등이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이해도, 관심도, 흥미욕구 정도, 구매욕구 정도, 구매용도, 구매요인, 구매부위, 비구매 요인, 구매 시 보완요인, 보완요인 해결 시 최종 구매의사 등 문항에서는 남녀구분 없이 긍정적인 응답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각 문항 간 신뢰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문항 간 상관관계 또한 독립적이지 않고 연관이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또 주사용자인 차세대 집단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비구매시 가장 중요한요인은 가격과 디자인, 인터페이스, 기능 등 특히, 가격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In the 2000s, flexible display is considered to expand in various areas of society, including medical service, health, and infotainmen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apply rapidly flexible display to digital devic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infotainment and game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and industrial and military design convergence technology. In particular, flexible display devices appearing at the time when smart devices type changed from ``belonging`` to ``wearing`` are accepted to be the best alternative to solve national impending issues, such as the creation of a new market in each industrial area, the drive engine for the future new growth, and the creation of the next-generation jobs. From the perspective, the pur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next-generation users`` perception in order to create the new market of flexible display,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finding the direction of the future flexible display R&D technology and design convergence R&D. The study method and scope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lated work and theoretical research are performed to find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 of flexible display and to predict the expected effects. Secondly,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next-generation users of flexible display devices and their attitudes,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material necessary for setting the direction for the leading development of futuristic flexible display devices and establishing a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survey on the next-generation users` perception of wearable devices is descriptive statistics of SAS 9.3 Chi-square & Fisher``s Exact Test Questionnaire. For reliable and valid questionnaire survey, Cronbach`s technique which is the most proper statistical method for all processes, including survey plan, questionnaire, sampling, main survey, data input, and data analysis, was applied. Based on tha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nalyzed. Thirdly, the study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80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s, who are the main next-generation users of flexible display devices. They had person-to-person in-depth interview. The questionnaire items include information understanding, interest, a degree of interest desire, a degree of purchase desire, purchase purpose, purchase factor, purchase region, non-purchase factor, something to improve in non-purchase cas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improved. The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the questions about information understanding, interest, a degree of interest desire, a degree of purchase desire, purchase purpose, purchase factor, purchase region, non-purchase factor, something to improve in non-purchase cas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improved, they answered positively regardless of gender, and their answ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liability of each question was high. The correlation between questions was not independent, but was found.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non-purchase of the next-generation users were found to be price, design, and interf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

      • KCI등재

        투명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연계 활용방안 제안

        김건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1

        With the accelerated development of transparent and flexible displays, the long-lasting concept of opaque flat based display has been changed. A variety of non-flat transparent flexible display which becomes unified with a shape of object and space is expected to be the center of the next-generation display. However, most studies on display focused on technologies. Some studies on design separated transparent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As a result,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 connection of these display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face desig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form factors on interface of transparent and flexible displays, and thereby to propose the connected activity plans of these displays. Regarding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in order to draw form factors on transparent and flexible display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face design. After that, the drawn form factors were used as an analysis tool in order to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then Low Fidelity Prototype was conducted to propose an idea of connected utilization methods. Therefore, this study drew four common form factors of transparent and flexible interfaces, such as size, distance, directionality, angle and perspective. In terms of connectable individual form factors, the form factor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derived from nine kinds including the superimposition, the use of both sides, and the backside touch. Also, the form factors of flexible display is derived from nine things including curvature, grounding, elasticity, flexibility, and foldable structure. 10 cas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erived form factors. After that, this study proposed 6 ways of utilization methods. 투명(transparent) 및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개발의 가속화로 오랜 기간 유지된 불투명 평판 기반 디스플레이의 개념이 바뀌고 있다. 사물 및 공간의 형태에 일체화되는 다양한 비 평면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중심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대다수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는 기술기반 연구들이며, 일부 디자인 기반 연구들도 투명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각각 분리하여 진행한 연구들로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 이 둘을 연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투명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 측면에 대한 형태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둘의 연계 활용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선행 문헌 연구 분석을 통해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 투명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태요인을 도출한 후 둘의 연계 형태요인을 추출하였다. 이후 이를 분석도구로 하여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있거나 프로토타입으로 제안되어 있는 국내외 선행사례를 분석한 후 Low Fidelity Prototype 제작을 통해 연계 활용방안의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투명과 플렉서블 인터페이스의 공통 형태요인으로 크기, 거리, 방향성, 각도 및 투시정도의 4가지를 도출하였다. 연계가 가능한 개별 형태요인 중 투명디스플레이의 형태요인으로 중첩성, 양면활용, 후면터치, 투명도를 포함한 9개를 도출하였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형태요인으로는 곡률, 접지성, 신축성, 유연성, 폴더블의 접지구조를 포함한 9가지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형태요인을 바탕으로 10개의 사례분석을 진행하였고, 이후 6개의 연계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용자 경험을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디자인

        이영주,강재신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

        The digital multimedia environment, center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 technology, has transformed our imagination into a diverse experience. The flexible display, which was born as a means of human-machine communication required in a highly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t is creating a new market by linking with Internet of things. ecause the interface of a flexible display can provide a physical form as a result of input or output, user-centered interface design is paramount. Therefore, the researchers of this paper have studied the physical de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lexible display by user manipulation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Therefore, the authors of this paper studied the physical deform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flexible displays by user manipulation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guidelines for a flexible display interface design for the user experience. First, it must be designed to provide the functionality that users need in a variety of display environments. Second, in using the interface, external factors should be removed from the viewing angle of multi-users. Third, all possible user actions should be considered on flexible displays other than touch and contact. Fourth, flexible design of flexible display requires changing interface design for user experience.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기술이 중심이 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환경은 우리의 상상을 현실의 다양한 경험으로 바꾸어주었다. 고도의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과 기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탄생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시장을 다변화시키고, 사물인터넷등과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내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는 입력 또는 출력의 결과로 물리적 형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의 연구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물리적 변형과 특성에 대해 문헌과 사례조사를 통해 연구했다. 연구 결과 사용자 경험을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둘째, 인터페이스를 활용함에 있어서 다중 사용자의 시야각에 방해 요소는 제거되어야 한다. 셋째 터치와 접촉 이외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가능한 사용자의 모든 조작행위가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가변적 상황에 따라 사용자 경험을 위한 인터페이스디자인도 달라져야 한다. 위 가이드라인은 향후 다양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출시된 후, 실증적인 사용자 경험에 대한 분석과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업무 커뮤니케이션 UX 시나리오

        안신미 ( Shin Mi Ahn ),정승은 ( Seung Eun Chung ),류한영 ( Han Young Ry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8 No.-

        본 연구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업무 커뮤니케이션 UX 시나리오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종이처럼 얇고 유연하여 현존하는 디스플레이 시장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미래의 업무 환경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업무를 손쉽게 처리하는 환경으로 변화할 것이며 이때 높은 이동성과 확장성을 가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업무 행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사용자 조사를 실시하여 업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적용에 적합한 사용자 니즈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15개의 인사이트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자연스러운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UX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office communication UX scenarios using flexible display. It is expected that the flexible display would be widely used in the future office environment because of its high mobility and scalability. In this paper, first, the existing communication behaviors were identified by reviewing web blogs of office workers. Second, office workers` needs and problems were collected by focused group interviews. Third, 15 insigh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Finally, 2 UX scenarios using flexible display were proposed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t office.

      • KCI등재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형태요인

        정승은 ( Seung Eun Chung ),노지혜 ( Ji Hye Noh ),안신미 ( Shinmi Ahn ),주은선 ( Eun Sun Chu ),류한영 ( Han Young Ry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8 No.-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형태의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는 인터페이스로써,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형태는 핵심적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특성을 드러내는 형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존의 디자인 문헌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문헌연구에 나타난 형태요인을 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형태 요인의 수준에 따라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문헌에 나타난 수준의 분류를 통해 사용 용도나 사용 경험에 차이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되는 요인 값을 인용하여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형태요인은 모양(Shape), 유연성(Flexibility), 크기(Size), 다중 표면(Multi-Surface), 질감(Texture), 투명(Transparency)의 6가지이다. 이때 모양의 요인 값은 2.5D와 3D의 기하학적 원형을 중심으로 한 8가지 수준의 값, 유연성은 곡률반경을 중심으로 5가지 수준의 값, 크기는 휴대할 수 있는 정도의 초소형에서부터 공공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을 만한 대형까지 4가지 수준의 값, 다중표면은 연속된 경우와 불연속된 경우로 나누고 이것을 분리된 면의 수로 나눈 5가지 수준의 값, 질감은 시각, 촉각, 시촉각의 3가지 수준의 값, 그리고 마지막으로 투명은 배경 사물을 인지하는 수준과 관련하여 3가지 수준의 값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형태 요인과 값들은 향후 사용자 경험과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newly emerging flexible display is the interface of which physical form could be chanced. This paper shows the form factors of the flexible display interface and their factor values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at the physical for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that could affect user experiences. The form factors of the flexible display interface shown in this paper are Shape, Flexibility, Size, Multi-Surface, Texture and Transparency. Shape is divided into 8 factor values based on the geometric primitive. Flexibility is divided into 5 factor values based on the Rbending value. Size is divided into 4 factor values based on not only size itself but also the user context. Multi-Surface is divided into 5 factor values based on the number of the divide surfaces and their continuity. Texture is divided into 3 factor values based on the tactility and visuality. Finally, transparency is divided into 3 factor values based on the clarity of object through the display.

      • KCI등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이용된 웨어러블 패션 제품 개발 및 상용화 동향에 관한 연구

        이혜원 ( Lee¸ Hyewon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21 패션 비즈니스 Vol.25 No.4

        Recently, flexible displays have been used as part of fashion beyond the concept of parts for electronic products. The flexible display applied to wearable fashion products flexibly bends according to the wearing position of the human body and, at the same time, decorates the fashion product more splendidly through the screen on which images or videos are displayed. Flexible displays, which are used for clothes and accessories, combine analogue fashion sensibility with digital screens to create a new level of convergence product design and expand the range of fashion design and fashion material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fashion products that use flexible displays. As a research method,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in parallel. First, as a theoretical study, the morphologic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flexible displays were examined. Through theoretical studies,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flexible displays on the development of wearable fashion products was investigated. Second, as an empirical case study, the design of wearable fashion products using flexible displays over the past 10 yea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s used in the produc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alyzed, the product design, display and product integration methods and the commercialization stages of wearable fashion products using flexible displays were analyzed.

      • KCI등재

        소형 원통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정의 핸드 제스처

        김효영(Hyoyoung Kim),김희선(Heesun Kim),이동언(Dongeon Lee),박지형(Ji-hy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아직 제품으로 등장하지 않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반의 소형 원통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정의 기반의 핸드 제스처 도출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소형 원통형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기능을 정의하고, 해당 기능 수행을 위한 태스크를 도출하였다. 이후 가상의 원통형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와 이를 조작하기 위한 물리적 오브젝트를 각각 구현하여 사용자들이 실제 원통형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것과 유사한 환경을 제작하였고, 제스처 도출을 위한 태스크를 수행했을 경우 발생하는 결과를 가상의 원통형 디스플레이에 제시하여 사용자들이 해당 조작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제스처를 정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출된 각 태스크 별 제스처 그룹에서 빈도수를 토대로 대표 제스처를 선정하였으며, 각 제스처에 대한 의견 일치 점수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스처 분석 및 사용자 인터뷰를 기반으로 제스처 도출에 활용되는 멘탈 모델을 관찰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licit user-defined hand gestures for the small cylindrical displays with flexible displays which has not emerged as a product yet. For this, we first defined the size and functions of a small cylindrical display, and elicited the tasks for operating its functions. Henceforward we implemented the experiment environment which is similar to real cylindrical display usage environment by developing both of a virtual cylindrical display interface and a physical object for operating the virtual cylindrical display. And we showed the results of each task in the virtual cylindrical display to the participants so they could define the hand gestures which are suitable for each task in their opinion. We selected the representative gestures for each task by choosing the gestures of the largest group in each task, and we also calculated agreement scores for each task. Finally we observed mental model of the participants which was applied for eliciting the gestures, based on analyzing the gestures and interview results from the participa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